KR102274943B1 -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43B1
KR102274943B1 KR1020190163055A KR20190163055A KR102274943B1 KR 102274943 B1 KR102274943 B1 KR 102274943B1 KR 1020190163055 A KR1020190163055 A KR 1020190163055A KR 20190163055 A KR20190163055 A KR 20190163055A KR 102274943 B1 KR102274943 B1 KR 102274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a
same
strain
insect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030A (ko
Inventor
김영민
조민호
이하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7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5Amino acids other than alpha- or beta amino acids, e.g. gamma amino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바(GABA)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를 이용하여 가바 생산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Strain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of GABA, a composition for producing GABA containing the same, a method for producing GABA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GABA in insects using the same}
가바(GABA)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를 이용하여 가바 생산량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바(GABA)는 천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이며, 발아현미, 차, 야채류, 곡물류에 함유되어 있다. 사람 등의 포유동물에 있어서는 뇌나 척추에 존재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며, 그 생리적 효과에 대해서는, 혈압강하작용, 정신안정화작용, 항 스트레스작용, 알코올대사 촉진작용, 뇌대사 촉진작용, 비만방지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혈압증의 개선이나 정신안정화작용을 목적으로, GABA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제창하고 있다. 식품 중에 GABA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가바론 차(gabaron tea)와 같이, 찻잎을 혐기적 조건하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GAB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나, 쌀의 배아 등을 물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GABA 및 유리 아미노산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찻잎을 뜨거운 물로 추출할 때에 GABA가 희석된다. 혹은, 대량의 배아를 모아야 한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한편, 미생물 발효법을 이용하여 GABA를 풍부하게 한 식품도 개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2종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고농도의 GABA를 얻는 방법, 유제품을 프로테아제로 처리하여 GABA의 출발원료인 글루타민산을 생산하고, 유산발효시키는 방법, 김치로부터 단리된 유산균을 이용하는 방법, 붕어초밥(후나스시)으로부터 단리된 유산균을 사용하는 방법, 글루타민산과 2종 이상의 유산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낮은 나트륨함량을 달성시키는 방법, 글루타민산 데카르복실라아제(decarboxylase)를 갖는 유산균을 사용하여 GABA가 부가된 대두(콩)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바(GABA)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를 배양하였을 때 가바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상승하고, 곤충의 가바 함량 또한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Enterococcus avium) JS-N6B4, 프로테우스 속(Proteus sp.)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는 가바(GABA)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프로테우스 속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프로테우스 속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곤충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프로테우스 속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의 가바 생산량 증진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바(GABA)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를 이용하여 가바 생산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Enterococcus avium) JS-N6B4, 프로테우스 속(Proteus sp.)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는 가바(GABA) 생산용 조성물이다.
상기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 쌍별귀뚜라미(two-sp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및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곤충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탄소원 또는 질소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글루코스(Glucose), 프럭토스(Fructose), 갈락토스(Galatose), 자일로스(Xylose), 말토스(Maltose), 수크로스(Sucrose), 락토스(Lactose) 및 만니톨(Mann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루코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글루코스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농도는 2 내지 15 g/L, 2 내지 13 g/L, 2 내지 11 g/L, 2 내지 9 g/L, 5 내지 15 g/L, 5 내지 13 g/L, 5 내지 11 g/L 또는 5 내지 9 g/L, 예를 들어, 5 내지 8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루코스의 함량은 중심합성법(Central Composite Design; CCD)을 통해서 7 g/L로 선정하였다. 글루코스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글루코스의 농도가 5 g/L일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을 보였고 10 g/L에서도 유사한 GABA 생성량을 보였다. 높은 농도의 글루코스 공급은 오히려 세포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 쇠고기추출물(beef extract), 맥아추출물(malt extract),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소이톤(soytone), 프로테오스 펩톤(proteose peptone) No.3, 카제인(casein), 우레아(urea)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스트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이스트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이스트 추출물의 농도는 20 내지 70 g/L, 20 내지 60 g/L, 20 내지 50 g/L, 30 내지 70 g/L, 30 내지 60 g/L, 30 내지 50 g/L, 40 내지 70 g/L 또는 40 내지 60 g/L, 예를 들어, 40 내지 50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스트 추출물의 함량은 중심합성법을 통해서 45 g/L로 선정하였다. 이스트 추출물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질소원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40 내지 70 g/L가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프로테우스 속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배양하는 배양 단계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 방법이다.
상기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장수풍뎅이 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곤충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탄소원 또는 질소원을 포함하는 배양액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자일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및 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루코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글루코스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농도는 2 내지 15 g/L, 2 내지 13 g/L, 2 내지 11 g/L, 2 내지 9 g/L, 5 내지 15 g/L, 5 내지 13 g/L, 5 내지 11 g/L 또는 5 내지 9 g/L, 예를 들어, 5 내지 8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루코스의 함량은 중심합성법을 통해서 7 g/L로 선정하였다. 글루코스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글루코스의 농도가 5 g/L일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을 보였고 10 g/L에서도 유사한 GABA 생성량을 보였다. 높은 농도의 글루코스 공급은 오히려 세포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 쇠고기추출물, 맥아추출물, 펩톤, 트립톤, 소이톤, 프로테오스 펩톤 No.3, 카제인, 우레아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스트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이스트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이스트 추출물의 농도는 20 내지 70 g/L, 20 내지 60 g/L, 20 내지 50 g/L, 30 내지 70 g/L, 30 내지 60 g/L, 30 내지 50 g/L, 40 내지 70 g/L 또는 40 내지 60 g/L, 예를 들어, 40 내지 50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스트 추출물의 함량은 중심합성법을 통해서 45 g/L로 선정하였다. 이스트 추출물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질소원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40 내지 70 g/L가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프로테우스 속 L-G7,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곤충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의 가바(GABA) 함량 증진 방법이다.
상기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장수풍뎅이 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곤충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곤충은 곤충의 성충, 유충, 알, 번데기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탄소원 또는 질소원을 포함하는 균주 배양용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은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자일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및 만니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글루코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글루코스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농도는 2 내지 15 g/L, 2 내지 13 g/L, 2 내지 11 g/L, 2 내지 9 g/L, 5 내지 15 g/L, 5 내지 13 g/L, 5 내지 11 g/L 또는 5 내지 9 g/L, 예를 들어, 5 내지 8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루코스의 함량은 중심합성법을 통해서 7 g/L로 선정하였다. 글루코스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글루코스의 농도가 5 g/L일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을 보였고 10 g/L에서도 유사한 GABA 생성량을 보였다. 높은 농도의 글루코스 공급은 오히려 세포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 쇠고기추출물, 맥아추출물, 펩톤 트립톤, 소이톤, 프로테오스 펩톤 No.3, 카제인, 우레아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스트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이스트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에 포함된 이스트 추출물의 농도는 20 내지 70 g/L, 20 내지 60 g/L, 20 내지 50 g/L, 30 내지 70 g/L, 30 내지 60 g/L, 30 내지 50 g/L, 40 내지 70 g/L 또는 40 내지 60 g/L, 예를 들어, 40 내지 50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스트 추출물의 함량은 중심합성법을 통해서 45 g/L로 선정하였다. 이스트 추출물의 중심 값을 설정해주기 위해서 질소원 농도에 따른 GABA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40 내지 70 g/L가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가바를 생산하는 능력을 갖고,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16S rRNA 핵산 서열을 갖는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16S rRNA 핵산 서열을 갖는 프로테우스 속 L-G7,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16S rRNA 핵산 서열을 갖는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16S rRNA 핵산 서열을 갖는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균주는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장수풍뎅이 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곤충으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바(GABA)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를 이용하여 가바 생산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엔테로코커스 아비움(Enterococcus avium) JS-N6B4 균주의 위치를 계통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프로테우스 속(Proteus sp.) L-G7 균주의 위치를 계통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No-22-1 균주의 위치를 계통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HJ-N6 균주의 위치를 계통수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식용곤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 활성에 대한 TLC 정성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식용곤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 활성에 대한 HPLC 정량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장수풍뎅이 유래 GABA 생성균주의 탄소원에 따른 GABA 생성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장수풍뎅이 유래 GABA 생성균주의 질소원에 따른 GABA 생성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영양원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내의 GABA 생산에 대한 TLC 정성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영양원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 내의 GABA 생산에 대한 HPLC 정량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용곤충 4종으로부터의 GABA 생산균주 분리
식용곤충 4종인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 쌍별귀뚜라미(two-sp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brevitarsis),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을 각각 적정량의 시료를 분쇄하여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각 시료는 MRS(DifcoTM Lactobacilli MRS broth) 한천 배지에 10-1 내지 10-7까지 희석한 후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형성된 콜로니 중 형태학적으로 다른 콜로니들을 임의로 선택하여 변형된 MRS 배지(1% monosodium glutamate(MSG)를 첨가한 MRS 배지)에서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GABA 정성분석을 통해서 GABA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통한 미생물 동정
각 콜로니로부터 비드(Chelex bead)를 이용한 보일링(boiling) 방법으로 gDNA를 추출하였다. 이후 DNA 합성효소(Solg™ EF-Taq DNA Polymerase)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PCR(Veriti R TM 96-well Thermal Cycler (ABI))을 수행하였다.
단계 온도 시간 사이클
초기변성(Initial denaturation) 95℃ 15 min 1
변성(Denaturation) 95℃ 20 sec 30
어닐링(Annealing) 50℃ 40 sec
신장(Extension) 72℃ 1 min 30 sec
최종신장(Final extension) 72℃ 5 min 1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와 같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
1 27F 프라이머 AGAGTTTGATCCTGGCTCAG
2 1492R 프라이머 GGTTACCTTGTTACGACTT
이후 키트(BigDye® Terminator v3.1 Cycle Sequencing Kits)를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방법을 통해 시퀀싱(ABI PRISM 3730XL DNA analyzer)하였다(capillary 50 cm).
단계 온도 시간 사이클
초기변성(Initial denaturation) 96℃ 1 min 1
변성(Denaturation) 96℃ 10 sec 30
어닐링(Annealing) 50℃ 5 sec
신장(Extension) 60℃ 4 min
장수풍뎅이 유충 유래의 GABA 생성균주, 쌍별귀뚜라미 유래의 GABA 생성균주,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의 GABA 생성균주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유래의 GABA 생성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고, 이를 도 1 내지 4에 계통수로 나타내었다.
서열번호 명칭 서열
3 Enterococcus avium JS-N6B4의 16S rRNA 염기서열 AGTCGAACGCTTTTTCTTTCACCGGAGCTTGCTCCACCGAAAGAAAAGGAGTGGCGA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ATCAGAAGGGGATAACACTTGGAAACAGGTGCTAATACCGTATAACAATCGAAACCGCATGGTTTCGGTTTGAAAGGCGCTTTTGCGTCACTGATGGATGGACCCGCGGTGC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AACGATGCATAGCCGACCTGAGAGGG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GGCAATGGACGAAAGTCTGACCGAGCAACGCCGCGTGAGTGAAGAAGGTTTTCGGATCGTAAAACTCTGTTGTTAGAGAAGAACAAGGATGAGAGTAAAATGTTCATCCCTTGACGGTATCT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CTTAAGTCTGATGTGAAAGCCCCCGGCTCAACCGGGGAGGGTCATT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GAGTGGAAT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GGAACACCAGTGGCGAAGGCGGCTC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AGTGCTAAGTGTTGGAGGGTTTCCGCCCTTCAGTGCTGCAGCTAACGCATTAAGCAC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CTTTGACCACTCTAGAGATAGAGCTTCCCCTTCGGGGGCAAA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GTTAGTTGCCATCATTTAGTTGGGCACTCTAGC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GAAGTACAACGAGTCGCGAAGTCGCGAGGCTAAGCTAATCTCTTAAAGCTTC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C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
4 Proteus sp. L-G7의 16S rRNA 염기서열 CGAGCGGCGGACGGGTGAGTAATGTATGGGGATCTGCCCGATAGAGGGGGATAACTACTGGAAACGGTGGCTAATACCGCATAATGTCTACGGACCAAAGCAGGGGCTCTTCGGACCTTGCACTATCGGATGAACCCATATGGGATTAGCTAGTAGGTGGGGTAAAGGCTCACCTAGGCGACGATCTCTAGCTGGTCTGAGAGGATGATCAGCCACACTGGGACTGAGACACGGCCCAGACTCCTACGGGAGGCAGCAGTGGGGAATATTGCACAATGGGCGCAAGCCTGATGCAGCCATGCCGCGTGTATGAAGAAGGCCTTAGGGTTGTAAAGTACTTTCAGCGGGGAGGAAGGTGATAAGGTTAATACCCTTATCAATTGACGTTACCCGCAGAAGAAGCACCGGCTAACTCCGTGCCAGCAGCCGCGGTAATACGGAGGGTGCAAGCGTTAATCGGAATTACTGGGCGTAAAGCGCACGCAGGCGGTCAATTAAGTCAGATGTGAAAGCCCCGAGCTTAACTTGGGAATTGCATCTGAAACTGGTTGGCTAGAGTCTTGTAGAGGGGGGTAGAATTCCATGTGTAGCGGTGAAATGCGTAGAGATGTGGAGGAATACCGGTGGCGAAGGCGGCCCCCTGGACAAAGACTGACGCTCAGGTG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TGTAAACGATGTCGATTTAGAGGTTGTGGTCTTGAACCGTGGCTTCTGGAGCTAACGCGTTAAATCGACCGCCTGGGGAGTACGGCCGCAAGGTTAAAACTCAAATGAATTGACGGGGGCCCGCACAAG
5 Enterococcus avium No-22-1의 16S rRNA 염기서열 TGCAGTCGAACGCTTTTTCTTTCACCGGAGCTTGCTCCACCGAAAGAAAAGGAGTGGCGA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ATCAGAAGGGGATAACACTTGGAAACAGGTGCTAATACCGTATAACAATCGAAACCGCATGGTTTCGGTTTGAAAGGCGCTTTTGCGTCACTGATGGATGGACCCGCGGTGC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AACGATGCATAGCCGACCTGAGAGGG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GGCAATGGACGCAAGTCTGACCGAGCAACGCCGCGTGAGTGAAGAAGGTTTTCGGATCGTAAAACTCTGTTGTTAGAGAAGAACAAGGATGAGAGTAAAATGTTCATCCCTTGACGGTATCT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CTTAAGTCTGATGTGAAAGCCCCCGGCTCAACCGGGGAGGGTCATT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GAGTGGAAT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GGAACACCAGTGGCGAAGGCGGCTC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AGTGCTAAGTGTTGGAGGGTTTCCGCCCTTCAGTGCTGCAGCTAACGCATTAAGCAC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CTTTGACCACTCTAGAGATAGAGCTTCCCCTTCGGGGGCAAA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GTTAGTTGCCATCATTTAGTTGGGCACTCTAGC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GAAGTACAACGAGTCGCGAAGTCGCGAGGCTAAGCTAATCTCTTAAAGCTTC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C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TGGAGCCAGCCGCCTAAG
6 Enterococcus avium HJ-N6의 16S rRNA 염기서열 ACGCTTTTTCTTTCACCGGAGCTTGCTCCACCGAAAGAAAAGGAGTGGCGA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ATCAGAAGGGGATAACACTTGGAAACAGGTGCTAATACCGTATAACAATCGAAACCGCATGGTTTCGATTTGAAAGGCGCTTTTGCGTCACTGATGGATGGACCCGCGGTGCATTAGCTAGTTGGTGAGGTAACGGCTCACCAAGGCAACGATGCATAGCCGACCTGAGAGGG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GGCAATGGACGCAAGTCTGACCGAGCAACGCCGCGTGAGTGAAGAAGGTTTTCGGATCGTAAAACTCTGTTGTTAGAGAAGAACAAGGATGAGAGTAGAATGTTCATCCCTTGACGGTATCT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CTTAAGTCTGATGTGAAAGCCCCCGGCTCAACCGGGGAGGGTCATT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GAGTGGAAT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GGAACACCAGTGGCGAAGGCGGCTC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AGTGCTAAGTGTTGGAGGGTTTCCGCCCTTCAGTGCTGCAGCTAACGCATTAAGCAC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CTTTGACCACTCTAGAGATAGAGCTTCCCCTTCGGGGGCAAA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TGTTAGTTGCCATCATTTAGTTGGGCACTCTAGCG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GAAGTACAACGAGTCGCGAAGTCGCGAGGCTAAGCTAATCTCTTAAAGCTTC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C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TGGAGCCAGCCGCCTAAG
16S rRNA 염기서열 분석결과, 장수풍뎅이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인 JS-N6B4는 Enterococcus avium 균주, 쌍별귀뚜라미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인 L-G7은 Proteus sp. 균주, 갈색거저리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인 No-22-1은 Enterococcus avium 균주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인 HJ-N6은 Enterococcus avium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식용곤충 유래 GABA 생성균주의 GABA 생성능 비교
쌍별귀뚜라미, 갈색거저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를 준비하였다. MRS 배지에 1%(v/v) L-글루타민산나트륨(monosodium L-glutamate; MSG)를 첨가한 배양액 10 mL에 1%(v/v)을 접종한 후 O.D 600 nm가 1.0이 될 때까지 전배양을 하였다. 이후 MRS 배지에 1% MSG를 첨가한 배양액 20 mL에 균주를 1%(v/v) 접종한 후, 37℃에서 96시간 동안 본배양을 한 후, TLC 정성분석 및 HPLC 정량분석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5, 6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lane 1, authentic 1%(w/v) MSG 대조군;
lane 2, authentic 1.25 mg/ml GABA 대조군;
lane 3, MRS+1%(w/v) MSG medium;
lane 4, GABA-production from Gryllus bimaculatus(쌍별귀뚜라미);
lane 5, GABA-production from Tenebrio molitor(갈색거저리 유충);
lane 6, GABA-production from Protaetia brevitarsis(흰점박이꽃무지 유충);
lane 7, GABA-production from Allomyrina dichoroma(장수풍뎅이 유충)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4종의 분리 균주로부터의 GABA 생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 및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4종의 식용곤충(쌍별귀뚜라미, 갈색거저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중 장수풍뎅이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GABA 생성균주, Enterococcus avium JS-N6B4의 GABA 생산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유래 식용곤충 쌍별귀뚜라미 갈색거저리 유충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세포성장(600 nm) 1.11 1.19 1.00 0.97
GABA 생산(mg/mL) 0.47 0.32 0.23 3.24
실시예 4: 장수풍뎅이 유충 유래의 GABA 생성균주, 엔테로코커스 아비움 JS-N6B4의 GABA 생성에 대한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기본배지로서 탄소원 10 g/L,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 10 g/L, MSG 10 g/L, K2HPO4 1 g/L로 설정하였다. 탄소원 종류로는 글루코스(Glucose), 프럭토스(Fructose), 갈락토스(Galatose), 자일로스(Xylose), 말토스(Maltose), 수크로스(Sucrose), 락토스(Lactose), 만니톨(Mannitol)를 이용하였다. 각 배지 20 mL에 1%(v/v)를 접종한 후 37℃에서 96시간 동안 본배양하였다. 본배양 종료 후, HPLC 정량분석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7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탄소원은 수크로스, 만니톨, 프럭토스, 글루코스 순이나,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 저렴하고 이용하기 용이한 글루코스를 최적 탄소원으로 선정하였다.
탄소원 세포성장(600 nm) GABA 생산(mg/mL)
글루코스 1.53 5.41
프럭토스 1.36 5.44
갈락토스 1.13 4.32
자일로스 0.58 0.14
말토스 1.71 5.47
수크로스 1.74 5.98
락토스 1.38 0.29
만니톨 1.39 5.74
탄소원 불포함 0.51 0.19
실시예 5: 장수풍뎅이 유충 유래의 GABA 생성균주의 질소원에 따른 GABA 생성 영향
기본배지로서 글루코스 10 g/L, 질소원 10 g/L, MSG 10 g/L, K2HPO4 1 g/L로 설정하였다. 질소원의 종류로는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 쇠고기추출물(beef extract), 맥아추출물(malt extract),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소이톤(soytone), 프로테오스 펩톤(proteose peptone) No.3, 카제인(casein), 우레아(urea),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를 이용하였다. 각 배지 20 mL에 1%(v/v)를 접종한 후 37℃에서 96시간 동안 본배양한 후, HPLC 정량분석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8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로, 최적 질소원으로 이스트 추출물을 선정하였다.
질소원 세포성장(600 nm) GABA 생산(mg/mL)
이스트 추출물 1.83 5.73
쇠고기 추출물 0.93 6.40
맥아추출물 0.18 0.07
펩톤 0.56 0.07
트립톤 0.57 0.04
소이톤 0.87 0.04
프로테오스 펩톤 No.3 1.50 4.65
카제인 0.30 0.04
우레아 0.03 0.06
암모늄 클로라이드 0.07 0.06
질소원 불포함 0.06 0.03
실시예 6: GABA 생산 유산균 제재를 이용한 갈색거저리 유충 내의 GABA 함유량 증진
갈색거저리 유충 사육 시, GABA 생성균주인 Enterococcus avium JS-N6B4의 공급에 의한 갈색거저리 유충 내 GABA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플레이트에 20마리의 갈색거저리 유충을 준비하였다. 하기와 같이 각각 영양원을 달리한 후, 1.5%(w/v)의 한천을 첨가하여 갈색거저리 유충 사육 시 공급하였다.
1) 물;
2) 6.21%(w/v) MSG;
3) MRS 배지;
4) Entercoccus avium JS-N6B4를 도말한 MRS 배지;
5) 6.21%(w/v) MSG를 포함한 MRS 배지;
6) Entercoccus avium JS-N6B4를 도말한 6.21%(w/v) MSG를 포함한 MRS 배지;
7) Entercoccus avium JS-N6B4의 최적배지(glucose 7 g/L, yeast extract 45 g/L, MSG 6.21%(w/v), K2HPO4 1 g/L);
8) Entercoccus avium JS-N6B4를 도말한 Entercoccus avium JS-N6B4의 최적배지
갈색거저리 유충은 27℃, 습도 70%에서 7 일 동안 사육하였고, 사육종료 후, 동결건조한 갈색거저리 유충을 1.5 g/10 mL 증류수로 3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TLC 정성분석과 HPLC 정량분석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9, 10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Lane 1, 1% (w/v) MSG control;
lane 2, 0.5% (w/v) GABA control;
lane 3 내지 10, 영양원 1) 내지 8)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확립된 균주를 활용한 갈색거저리 유충 내에서 GABA가 생성되었다.
GABA 생산 (g/L) E. avium JS-N6B4
미첨가구
E. avium JS-N6B4
첨가구
water 0.00 (Lane 3) -
MSG 0.00 (Lane 4) -
MRS 0.07 (Lane 5) 0.96 (Lane 6)
MRS + MSG 1.47 (Lane 7) 2.46 (Lane 8)
Optimized medium 1.50 (Lane 9) 1.97 (Lane 10)
도 10 및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GABA 생성균주인 E. avium JS-N6B4을 영양원과 같이 공급하였을 경우, 갈색거저리 유충 내의 GABA 생성은 상기 균주를 공급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GABA 생산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059BP 20191205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Chonnam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GABA using microorganisms, method for producing GABA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content of GABA in insects <130> PN180296P <150> KR 10-2018-0158549 <151> 2018-12-10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s <400> 1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tificial Sequences <400> 2 ggttaccttg ttacgactt 19 <210> 3 <211> 1410 <212> DNA <213> Enterococcus avium JS-N6B4 <400> 3 agtcgaacgc tttttctttc accggagctt gctccaccga aagaaaagga gtggcgaacg 60 ggtgagtaac acgtgggtaa cctgcccatc agaaggggat aacacttgga aacaggtgct 120 aataccgtat aacaatcgaa accgcatggt ttcggtttga aaggcgcttt tgcgtcactg 180 atggatggac ccgcggtgca ttagctagtt ggtgaggtaa cggctcacca aggcaacgat 240 gcatagccga cctgagaggg tgatcggcca cattgggact gagacacggc ccaaactcct 300 acgggaggca gcagtaggga atcttcggca atggacgaaa gtctgaccga gcaacgccgc 360 gtgagtgaag aaggttttcg gatcgtaaaa ctctgttgtt agagaagaac aaggatgaga 420 gtaaaatgtt catcccttga cggtatct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480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g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540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cccggctcaa ccggggaggg tcattggaaa 600 ctgggaaact tgagtgcaga agaggagagt ggaattccat gtgtagcggt gaaatgcgta 660 gatatatgga ggaacaccag tggcgaaggc ggctctctgg tctgtaactg acgctgaggc 720 tcgaaagcgt ggggagca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780 gtgctaa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tgcag ctaacgcatt aagcactccg 840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900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tt 960 tgaccactct agagatagag cttccccttc gggggcaaag tgacaggtgg tgcatggttg 1020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tgt 1080 tagttgccat catttagttg ggcactctag cg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1140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1200 gaagtacaac gagtcgcgaa gtcgcgaggc taagctaatc tcttaaagct tctctcagtt 1260 cggattgtag gctgcaactc gcctacatga agc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1320 ac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cgagagttt 1380 gtaacacccg aagtcggtga ggtaaccttt 1410 <210> 4 <211> 841 <212> DNA <213> Proteus sp. L-G7 <400> 4 cgagcggcgg acgggtgagt aatgtatggg gatctgcccg atagaggggg ataactactg 60 gaaacggtgg ctaataccgc ataatgtcta cggaccaaag caggggctct tcggaccttg 120 cactatcgga tgaacccata tgggattagc tagtaggtgg ggtaaaggct cacctaggcg 180 acgatctcta gctggtctga gaggatgatc agccacactg ggactgagac acggcccaga 240 ctcctacggg aggcagcagt ggggaatatt gcacaatggg cgcaagcctg atgcagccat 300 gccgcgtgta tgaagaaggc cttagggttg taaagtactt tcagcgggga ggaaggtgat 360 aaggttaata cccttatcaa ttgacgttac ccgcagaaga agcaccggct aactccgtgc 420 cagcagccgc ggtaatacgg agggtgcaag cgttaatcgg aattactggg cgtaaagcgc 480 acgcaggcgg tcaattaagt cagatgtgaa agccccgagc ttaacttggg aattgcatct 540 gaaactggtt ggctagagtc ttgtagaggg gggtagaatt ccatgtgtag cggtgaaatg 600 cgtagagatg tggaggaata ccggtggcga aggcggcccc ctggacaaag actgacgctc 660 aggtgcgaaa gcgtggggag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tgtaaacg 720 atgtcgattt agaggttgtg gtcttgaacc gtggcttctg gagctaacgc gttaaatcga 780 ccgcctgggg agtacggccg caaggttaaa actcaaatga attgacgggg gcccgcacaa 840 g 841 <210> 5 <211> 1431 <212> DNA <213> Enterococcus avium No-22-1 <400> 5 tgcagtcgaa cgctttttct ttcaccggag cttgctccac cgaaagaaaa ggagtggcga 60 acgggtgagt aacacgtggg taacctgccc atcagaaggg gataacactt ggaaacaggt 120 gctaataccg tataacaatc gaaaccgcat ggtttcggtt tgaaaggcgc ttttgcgtca 180 ctgatggatg gacccgcggt gcattagcta gttggtgagg taacggctca ccaaggcaac 240 gatgcatagc cgacctgaga gggtgatcgg ccacattggg actgagacac ggcccaaact 300 cctacgggag gcagcagtag ggaatcttcg gcaatggacg caagtctgac cgagcaacgc 360 cgcgtgagtg aagaaggttt tcggatcgta aaactctgtt gttagagaag aacaaggatg 420 agagtaaaat gttcatccct tgacggtatc taaccagaaa gccacggcta actacgtgcc 480 agcagccgcg gtaatacgta ggtggcaagc gttgtccgga tttattgggc gtaaagcgag 540 cgcaggcggt ttcttaagtc tgatgtgaaa gcccccggct caaccgggga gggtcattgg 600 aaactgggaa acttgagtgc agaagaggag agtggaattc catgtgtagc ggtgaaatgc 660 gtagatatat ggaggaacac cagtggcgaa ggcggctctc tggtctgtaa ctgacgctga 720 ggctcgaaag cgtggggagc aaacaggatt agataccctg gtagtccacg ccgtaaacga 780 tgagtgctaa gtgttggagg gtttccgccc ttcagtgctg cagctaacgc attaagcact 840 ccgcctgggg agtacgaccg caaggttgaa actcaaagga attgacgggg gcccgcacaa 900 gcggtggagc atgtggttta attcgaagca acgcgaagaa ccttaccagg tcttgacatc 960 ctttgaccac tctagagata gagcttcccc ttcgggggca aagtgacagg tggtgcatgg 1020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at 1080 tgttagttgc catcatttag ttgggcactc tagcgagact gccggtgaca aaccggagga 1140 aggtggggat gacgtcaaat catcatgccc cttatgacct gggctacaca cgtgctacaa 1200 tgggaagtac aacgagtcgc gaagtcgcga ggctaagcta atctcttaaa gcttctctca 1260 gttcggattg taggctgcaa ctcgcctaca tgaagccgga atcgctagta atcgcggatc 1320 agcacgccgc ggtgaatacg ttcccgggcc ttgtacacac cgcccgtcac accacgagag 1380 tttgtaacac ccgaagtcgg tgaggtaacc ttttggagcc agccgcctaa g 1431 <210> 6 <211> 1422 <212> DNA <213> Enterococcus avium HJ-N6 <400> 6 acgctttttc tttcaccgga gcttgctcca ccgaaagaaa aggagtggcg aacgggtgag 60 taacacgtgg gtaacctgcc catcagaagg ggataacact tggaaacagg tgctaatacc 120 gtataacaat cgaaaccgca tggtttcgat ttgaaaggcg cttttgcgtc actgatggat 180 ggacccgcgg tgcattagct agttggtgag gtaacggctc accaaggcaa cgatgcatag 240 ccgacctgag agggtgatcg gccacattgg gactgagaca cggcccaaac tcctacggga 300 ggcagcagta gggaatcttc ggcaatggac gcaagtctga ccgagcaacg ccgcgtgagt 360 gaagaaggtt ttcggatcgt aaaactctgt tgttagagaa gaacaaggat gagagtagaa 420 tgttcatccc ttgacggtat ctaaccagaa agccacggct aactacgtgc cagcagccgc 480 ggtaatacgt aggtggcaag cgttgtccgg atttattggg cgtaaagcga gcgcaggcgg 540 tttcttaagt ctgatgtgaa agcccccggc tcaaccgggg agggtcattg gaaactggga 600 aacttgagtg cagaagagga gagtggaatt ccatgtgtag cggtgaaatg cgtagatata 660 tggaggaaca ccagtggcga aggcggctct ctggtctgta actgacgctg aggctcgaaa 720 gcgtggggag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cgtaaacg atgagtgcta 780 agtgttggag ggtttccgcc cttcagtgct gcagctaacg cattaagcac tccgcctggg 840 gagtacgacc gcaaggttga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agcggtggag 900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cctttgacca 960 ctctagagat agagcttccc cttcgggggc aaagtgacag gtggtgcatg gttgtcgtca 1020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ttgttagttg 1080 ccatcattta gttgggcact ctagcgagac tgccggtgac aaaccggagg aaggtgggga 1140 tgacgtcaaa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atgggaagta 1200 caacgagtcg cgaagtcgcg aggctaagct aatctcttaa agcttctctc agttcggatt 1260 gtaggctgca actcgcctac atgaagccgg aatcgctagt aatcgcggat cagcacgccg 1320 cggtgaatac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caccacgaga gtttgtaaca 1380 cccgaagtcg gtgaggtaac cttttggagc cagccgccta ag 1422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수탁번호 KCTC 14059BP로 기탁된 엔테로코커스 아비움(Enterococcus avium) JS-N6B4 균주를 곤충에 공급하는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곤충의 가바(GABA) 함량 증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은 곤충의 유충 또는 성충인 것인,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계는 곤충에 탄소원 또는 질소원을 포함하는 균주 배양용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수행되는 것인,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글루코스(Glucose), 프럭토스(Fructose), 갈락토스(Galatose), 자일로스(Xylose), 말토스(Maltose), 수크로스(Sucrose), 락토스(Lactose) 및 만니톨(Mann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 쇠고기추출물(beef extract), 맥아추출물(malt extract),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소이톤(soytone), 프로테오스 펩톤(proteose peptone) No.3, 카제인(casein), 우레아(urea)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16. 삭제
KR1020190163055A 2018-12-10 2019-12-09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KR102274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8549 2018-12-10
KR1020180158549 2018-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030A KR20200071030A (ko) 2020-06-18
KR102274943B1 true KR102274943B1 (ko) 2021-07-08

Family

ID=7114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055A KR102274943B1 (ko) 2018-12-10 2019-12-09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1805B2 (en) 2020-03-20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501078B (zh) * 2020-12-18 2022-06-24 山东大学 一株人源性产生γ-氨基丁酸的鸟肠球菌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6915B2 (ja) 2009-06-01 2014-11-19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
KR101836918B1 (ko) 2017-09-01 2018-03-09 (주)남도농산 밀웜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곤충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09588B2 (en) * 2005-11-07 2011-07-28 Hiroshima University Method of producing gaba-containing fermented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6915B2 (ja) 2009-06-01 2014-11-19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
KR101836918B1 (ko) 2017-09-01 2018-03-09 (주)남도농산 밀웜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곤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030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436B1 (ko) 우수한 초산 생성능을 가지는 신규한 아세토박터속 slv-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74943B1 (ko) 가바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 이를 포함하는 가바 생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바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가바 함량 증진 방법
JPWO2007097374A1 (ja) γ−アミノ酪酸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
Simova et al. Effect of aeration on the production of carotenoid pigments by Rhodotorula rubra-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co-cultures in whey ultrafiltrate
RU220924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l-метионина, штамм бактерии escherichia coli вкпм в-8125 - продуцент l-метионина
KR101957828B1 (ko) 장류 내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억제 및 항균 활성의 특징을 갖는 테트라제노코커스 균주
KR102107414B1 (ko)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저해능 및 유기산 생성 저해능을 갖는 테트라제노코커스 할로필러스 균주
Mondragón-Parada et al.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from whey
CN1054031C (zh) 发酵食品产品的生产
KR101481791B1 (ko) 오르니틴 생산력이 우수한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dm-9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청국장의 제조방법
CN108251343B (zh) 寡发酵乳杆菌菌株sh-y15及其应用
KR20140087518A (ko) Gaba 생산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 균주 및 이의 발효 배양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15389B1 (ko) 신규 아세토박터 파스퇴리아누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 식초 제조 방법
JP2004180672A (ja) リボフラビン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リボフラビンの生産方法
KR102438706B1 (ko) 가바 생산용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바의 제조방법
KR102239073B1 (ko) 멸치 발효액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l2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젓
KR102243418B1 (ko) 신규한 초산발효균주 및 이를 이용한 콤부차 음료의 제조방법
CN108531523B (zh) 一种提高米茶中γ-氨基丁酸含量的方法
KR101859679B1 (ko) 내산성,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 유산균
KR101366577B1 (ko) 히스타민 분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b-s1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스타민이 감소된 어분의 제조방법
JP2010246398A (ja) 新規抗菌性ペプチド
KR20090060510A (ko) 항균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젠1 및 이를포함하는 미생물제제
JP2004180671A (ja) リボフラビン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リボフラビンの生産方法
Nikiforova et al. Optimization of bacterial concentrate media for Lactobacillus Sakei
KR102624205B1 (ko) 발효식품 제조용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 브이에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