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89B1 -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4889B1 KR102274889B1 KR1020190141779A KR20190141779A KR102274889B1 KR 102274889 B1 KR102274889 B1 KR 102274889B1 KR 1020190141779 A KR1020190141779 A KR 1020190141779A KR 20190141779 A KR20190141779 A KR 20190141779A KR 102274889 B1 KR102274889 B1 KR 102274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layer
- wrinkle
- heat
- inner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하는 광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열부가 형성된 내면층,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은 표면층을 준비하고, 상기 내면층, 상기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표면층을 층별로 배치하여 의류원단을 형성하는 원단 형성 단계, 상기 의류원단을 서로 대응하며 결합하는 두 개의 지그 사이로 투입하는 원단 투입 단계, 상기 두 개의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지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 결합홈이 서로 맞물리어 결합하여 상기 의류원단을 고정하는 원단 고정 단계, 상기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의류원단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 형성 단계, 상기 돌출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를 상기 외측면에 결합하는 탄성층이 덮고 가압하는 주름 가압 단계 및 상기 탄성층에 결합되는 가열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탄성층이 상기 돌출부를 열융착 및 상기 주름을 열성형하는 주름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의류원단의 타단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에 의해 발열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심미성을 부여하며 소정의 무늬를 얻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주름이 형성된 원단을 사용하여 의류를 제조한다.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상이 구비된 포대에 원단을 밀어 넣고 고열의 스팀이나 고온의 물로 주름을 고착시키는 방법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원단에 주름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고, 주름이 쉽게 펴지고, 대량생산이 불가하며,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성형롤러와 칼날을 이용하여 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주름원단 제조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공급되는 원단에 칼날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주름을 형성한 후, 내부에 히팅장치가 구비된 성형롤러들 사이로 원단을 통과시키면 원단이 가압 및 가열되면서 형성된 주름이 성형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가열에 의해 원단을 열화시켜 주름 형태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원단은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하는 고농도의 폴리에스테르 원단으로 한정된다.
고농도의 폴리에스테르 원단은 경량성 및 보온성이 부족하여 날씨가 추워지는 가을 겨울철 의류용 원단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기온이 낮아지는 날씨에 보온성을 가지는 원단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기술은 주름이 성형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원단 전체가 가열되며 주름 형태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보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원단이 두꺼워지는 경우 원단 전체가 열화의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좋은 품질의 주름을 성형하기 위하여 장시간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 원단 전체에 열화가 발생하여 주름원단의 품질이 저하되고,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단시간 저온으로 가열하는 경우 주름원단에 주름이 잘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된 주름이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온성을 가지는 주름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원단이 열화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주름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은 일면에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하는 광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열부가 형성된 내면층,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은 표면층을 준비하고, 상기 내면층, 상기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표면층을 층별로 배치하여 의류원단을 형성하는 원단 형성 단계, 상기 의류원단을 서로 대응하며 결합하는 두 개의 지그 사이로 투입하는 원단 투입 단계, 상기 두 개의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지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 결합홈이 서로 맞물리어 결합하여 상기 의류원단을 고정하는 원단 고정 단계, 상기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의류원단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 형성 단계, 상기 돌출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를 상기 외측면에 결합하는 탄성층이 덮고 가압하는 주름 가압 단계 및 상기 탄성층에 결합되는 가열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탄성층이 상기 돌출부를 열융착 및 상기 주름을 열성형하는 주름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의류원단의 타단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소표면층들로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소표면층들의 각 측면이 서로 접하여 접면을 형성하고, 저온에서 상기 소표면층들의 수축에 상응하여, 상기 접면이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표면층들 각각은 상기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으며 상기 주름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내면층과 동일한 수축율을 가지며 상기 주름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사가, 서로 교차하며 직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열부는 상기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내면층의 상면에 줄무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면은 상기 태양광 발열부의 중앙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성형 단계 이후에 상기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분출구로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분출하여 발포하는 날염호료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염호료 처리 단계 이후에 주름이 부여된 상기 의류원단을 수세가공하여 상기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제거하는 원단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지그의 외측면과 상기 탄성층 사이에 인쇄필름을 투입하는 인쇄필름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름원단의 태양광 발열부가 포함된 내면층의 상측에,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은 표면층을 배치함으로써, 저온에서 표면층의 벌어진 사이로 비춰지는 태양광에 의해 태양광 발열부가 발열하여 보온성이 강화되는 주름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과 내면층의 사이에 투명수지 필름층을 배치함으로써, 저온에서 수축된 표면층의 벌어진 사이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성이 강화되는 주름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성의 지그가 의류원단의 주름이 성형되는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열화에 의해 주름원단의 품질 저하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의해 주름이 성형된 돌출부에 주름을 한번 더 성형함으로써, 성형되는 주름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필름으로 의류원단의 주름에 무늬를 입힘으로써, 주름원단에 입체적인 무늬를 연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을 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단 투입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름 가압 단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의류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소표면층의 접면이 서로 벌어진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소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태양광 발열부와 소표면층 간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염호료 처리 단계에 포함되는 분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날염호료 처리 단계 이후의 원단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필름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단 투입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름 가압 단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의류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소표면층의 접면이 서로 벌어진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소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태양광 발열부와 소표면층 간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염호료 처리 단계에 포함되는 분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날염호료 처리 단계 이후의 원단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필름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형성되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에서 요소들의 형상, 개수 및 비율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을 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단 투입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름 가압 단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의류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은 원단 형성 단계(S110), 원단 투입 단계(S130), 원단 고정 단계(S150), 주름 형성 단계(S170), 주름 가압 단계(S190), 주름 성형 단계(S210) 및 원단 제거 단계(S230)를 포함한다.
원단 형성 단계(S110)는 주름원단을 제조하기 위해 소재가 되는 의류원단(10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일면에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하는 광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열부(111)가 형성된 내면층(11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내면층(111)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은 표면층(130)을 준비하고, 내면층(11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표면층(130)을 층별로 배치한다.
주름원단은 소재가 되는 의류원단(100)에 주름을 성형하여 의류의 소재로 사용되는 원단일 수 있다. 수축률은 원단이 온도에 의해서 줄어드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다라는 것은 특정 온도(예를 들어, 0도이하)에서부터 다른 층보다 수축률이 현저하게 높아져 원단 또는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축이 많이 발생하거나, 상온에서는 다른 층과 수축률의 차이가 거의 없으나 온도가 낮아질수록 다른 층보다 수축률이 현저하게 높아져 원단 또는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축이 많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내면층(110)은 주름원단으로 의류를 제조할 때 사용자와 맞닿는 원단이고, 표면층(130)은 의류의 외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와 맞닿는 원단이고, 투명수지 필름층(150)은 표면층(130)과 내면층(110)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이다.
내면층(110)을 형성하는 성분은 열전도율이 낮으며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면층(110)은 상온 또는 저온에서도 수축률이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등이 사용된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내면층(110)은 투명수지 필름층(150)과 접면하는 내면층(100)의 상면에,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하는 광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열부(111)를 포함한다.
내면층(110)은 투명수지 필름층(150)을 투과하여 인입되는 태양광에 의해 태양광 발열부(111)로부터 발열이 일어나게 된다.
태양광 발열부(111)에 포함되는 광발열 물질에 관하여는 공지된 다양한 광발열 물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바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광발열 물질을 함유되어 내면층(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면층(100)의 일면 표면의 전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1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내면층(100)의 일면 표면의 전면에 형성될 경우 발열효과가 가장 높지만 필요에 따라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내면층(100)의 일면 표면의 10%미만으로 형성되면 발열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발열부(111)는 내면층(100)의 일면 표면의 10%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광발열 물질을 함유한다. 광발열 물질은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러한 물질로는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물질, 티탄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4족 금속물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ATO(Antimon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광발열 물질은 탄소계 물질, ATO(Antimon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4족 금속산화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광발열 물질을 함유한 필름을 내면층(100)의 상면에 접합시키거나 또는 광발열 물질과 바인더와 함께 혼합되어 도포할 수 있으나, 광발열 물질을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 발열부(111)는 탄소계 물질, ATO(Antimon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4족 금속산화물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의 광발열 물질과 바인더와 혼합하여 내면층(110)의 일면에 프린팅, 라미네이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인더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발열 물질과 바인더와의 혼합율은 중량비 30:70~70:30으로 혼합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가 형성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광발열 물질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열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관계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줄무늬 형태, 도트 형태 또는 육각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가 형성된 내면층(110)은 후술할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표면층(130)의 특성에 의해 태양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도록 내면층(1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낮은 온도에서도 효율적으로 발열효과를 가짐으로써 보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기후 변화에 따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투명수지 필름층(150)은 후술하는 표면층(130)의 특성에 따라 투과되어 인입되는 태양광이 내면층(11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수지 필름층(150)은 외부의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의 온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층(130)은 저온에서 수축되며, 수축에 의해 하측에 배치된 투명수지 필름층(15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소표면층(131)이 복수개로 서로 접면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면층(130)을 형성하는 성분은 내면층(110) 및 투명수지 필름층(150)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면층(110) 및 투명수지 필름층(150)은 상온 이상에서 유리전이온도가 형성되고 표면층(130)은 약 0도에서 수축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외부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표면층(130)은 수축하게 되고 내면층(110)과 투명수지 필름층(150)은 수축이 거의 없이 원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130)을 형성하는 성분은 저온에서 수축률이 큰 물질이 사용된 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층(130)은 분자설계를 통하여 투명수지 필름층(150)과 내면층(110)보다 열 수축률이 큰 고분자를 선택하여 사용된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약 0도의 저온에서부터 수축이 발생하도록 설계된 물질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온에서 고수축되는 성분으로 형성된 섬유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표면층(130)은 다수의 형상이 구현되는 형상기억고분자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약 0도의 저온에서부터 고수축되도록 구현된 섬유일 수 있다.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저온 고수축 섬유로 표면층(130)을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바다.
의류원단(100)은 내면층(11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표면층(130)의 순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층은 봉착하거나 재봉사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서로 접면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의류원단의 일단이 후술하는 주름 성형 단계(S210)에서 열융착될 수 있다.
원단 투입 단계(S130)는 내면층(110), 투명수지 필름층(150), 표면층(130)으로 형성된 의류원단(100)에 주름을 성형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며 결합하는 두 개의 지그 사이로 의류원단(100)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의류원단(100)은 원단 공급부 등에 놓여진 후 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원단 공급명령이 입력되면 원단 공급부 등에 놓여진 의류원단(100)이 미리 설정된 속도로 이송되어 두 개의 지그 사이로 투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두 개의 지그는 의류원단(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지그(301)와 의류원단(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지그(303)일 수 있다.
원단 고정 단계(S150)는 두 개의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맞물리어 결합하여 상기 의류원단(10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서로 대응하는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 사이로 의류원단(100)이 놓여지면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가 서로 결합한다. 제1 지그(301)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311)와 제2 지그(303)에 형성된 제2 결합홈(333)이, 제2 지그(303)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313)와 제1 지그(301)에 형성된 제1 결합홈(331)이 서로 대응하여 맞물리며 의류원단(100)을 고정시킨다.
이 때 각각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결합돌기는 톱니모양으로 각각의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홈은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된 개구와 지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홈(331)은 제1 지그(301)의 제1 내측면(351)에 형성된 제1 개구(431)와 제1 지그(301)의 제1 외측면(371)에 형성된 제2 개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홈(333)은 제2 지그(303)의 제2 내측면(353)에 형성된 제3 개구(435)와 제2 지그(303)의 제2 외측면(373)에 형성된 제4 개구(437)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 형성 단계(S170)는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의해 가압된 의류원단의 일단이 결합홈을 관통하여 외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주름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돌기(313)의 말단부인 제2 말단부(393)는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 사이에 투입된 의류원단의 일단을 가압하여 밀어올리며 제1 결합홈(331)과 맞물리며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돌기(311)의 말단부인 제1 말단부(391)는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 사이에 투입된 의류원단의 일단을 가압하여 밀어올리며 제2 결합홈(333)과 맞물리며 결합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313)의 제2 말단부(393)와 함께 의류원단의 일단은 제1 결합홈(331)의 제1 개구(431) 및 제2 개구(433)를 통과하여 제1 외측면(371)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다.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의류원단의 일단은 주름이 형성되는 부분이므로, 주름 성형시 열화되는 것을 감안할 때 최소한의 높이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높이는 5mm일 수 있다.
의류원단의 일단은 제1 결합홈(331)과 제2 결합돌기(313)에 의해 의류원단(100)이 고정되며 제2 말단부(393)에 의해 밀어지며 주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의류원단(100)은 맞물리며 결합한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에 의해 주름 형태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주름 가압 단계(S190)는 돌출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를 외측면에 결합하는 탄성층이 덮고 가압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의류원단(100)은 제2 결합돌기(313)에 의해 밀려 제1 지그(301)의 제1 외측면(371)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210)를 형성하고, 동시에 제1 탄성층(451)이 돌출부(210)를 덮고 가압할 수 있다.
탄성층은 내열성의 소재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탄성층은 제1 지그(301)과 결합하는 제1 탄성층(451)과 제2 지그(303)와 결합하는 제2 탄성층(453)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 성형 단계(S210)는 탄성층에 결합되는 가열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탄성층이 돌출부(210)를 열융착 및 주름을 열성형하는 단계이다.
가열층은 내부에 열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탄성층에 전달할 수 있고, 열을 전달받은 탄성층은 돌출부(210)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층은 제1 탄성층(451)과 결합하는 제1 가열층(471)과 제2 탄성층(453)과 결합하는 제2 가열층(47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층(451)은 제1 가열층(471)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전달받아 돌출부(210)를 약 140도에서 1분정도 가열하여 돌출부(210)의 영역에 위치하는 내면층(11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표면층(130) 영역을 서로 열융착시키며 주름 형태를 열화시켜 주름을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름 성형을 위해 의류원단(100)에 가해지는 온도와 시간은 의류원단(100)의 성분과 두께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원단 제거 단계(S230)는 주름이 성형된 의류원단(100)을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투입되었던 의류원단(100)은 주름 성형이 완료되면 제1 지그(301)와 제2 지그(303)가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지그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의류원단의 타단(230)을 커버하여 탄성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돌기(313)에 의해 제2 개구(433)로 돌출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는 제1 탄성층(451)에 덮여 가열되어 열융착 및 열화에 의해 주름 성형이 진행되는 반면, 제2 개구(433)로 돌출되지 않고 제2 결합돌기(313)와 제1 결합홈(331)의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일단의 타단(230)은 제1 탄성층(451)과 맞닿지 않아 제1 탄성층(451)으로부터 열을 직접 전달받지 못하며, 제1 지그(301)가 단열성 소재로 구성되어 제1 탄성층(451)으로부터 전달되는 간접열 또한 차단되어 의류원단의 타단(230)이 열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원단(100)은 주름이 성형되는 부위만 가압 및 가열되므로, 의류원단(100)의 전체적인 열화를 우려하여 주름형성에 충분한 가열을 하지 못하던 경우와 달리, 의류원단(100)에 충분한 시간으로 가열하여 주름을 성형함으로써, 주름원단의 열화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도 고품질의 주름이 성형된 양질의 주름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소표면층의 접면이 서로 벌어진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원단(100)에 있어서, 표면층(130)은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소표면층(131)들로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소표면층(131)들의 각 측면(137)이 서로 접하여 접면(139)을 형성하고, 저온에서 상기 소표면층(131)들의 수축에 상응하여, 상기 접면(139)이 벌어질 수 있다.
소표면층(131)은 저온에서 수축함에 따라, 서로 인접한 소표면층(131)들의 접면(139)이 서로 벌어져 생기는 공간으로 외부로부터 비치는 태양광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수지 필름층(150)을 통과하여 내면층(110)의 상면에 형성된 태양광 발열부(111)의 광발열 물질에 접촉하여 발열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원단 투입 단계(S130)에서 의류원단(100)은 표면층(13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내면층(110)의 접착없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층별로 접면(139)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다음으로, 주름 성형 단계(S210)에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만 가열되어 돌출부(210)에 포함되는 표면층(13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내면층(110)이 서로 열융착되고, 주름이 성형되지 않은 의류원단의 타단(230)에 포함되는 표면층(130),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내면층(110)은 종래의 상태로 서로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주름원단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 후, 기온이 저하되어 저온으로 내려가는 경우, 소정 온도(예를 들어 0도)에 다다르면 제작된 주름원단은 주름원단의 표면층(130)에서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표면층(130)보다 더 많은 수축이 진행되어, 서로 인접한 소표면층(131)의 접면(139)이 벌어져 투명하여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수지 필름층(1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저온에서 외부의 태양광은 표면층(130)을 통과하고, 투명수지 필름층(150)을 투과하여 내면층(110)에 형성된 광발열 물질이 포함된 태양광 발열부(111)에 비치게 된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태양광에 의해 발열되어 내부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태양광 발열부(111)에서 발열되는 열은 투명수지 필름층(150) 방향으로도 열이 발산될 수 있으나 투명수지 필름층(150)이 단열막 역할을 하므로, 발열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효과적인 보온이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도 4의 소표면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면층(130)을 구성하는 소표면층(131)은 저온에서 수축률이 서로 다른 경사(153)와 위사(155)가 서로 교차되며 직조된 원단일 수 있다.
소표면층(131)은 저온에서 내면층(110)보다 높은 수축률을 가지며 주름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133)와, 내면층(110)과 동일한 수축률을 가지며 주름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사(135)가, 서로 교차하며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에서 내면층(110)보다 높은 수축률을 가지는 경사(133)가 주름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면층(110)과 동일한 수축률을 가지는 위사(135)가 주름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교차하며 직조되는 경우, 경사(133)의 수축되는 방향과 돌출부의 열융착된 방향이 일치하여 경사(133)에서 수축이 일어나더라도, 서로 인접한 소표면층(131)간의 측면(137)이 서로 맞닿은 접면(139)이 벌어지는 것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의류원단(100)은 하측의 투명수지 필름층(150) 및 내면층(110)으로 태양광이 유입되도록 기능하기 어렵다.
도 8은 도 1의 의류원단에 포함된 태양광 발열부와 소표면층 간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열부(111)는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도포되어 내면층(110)의 상면에 줄무늬 형태로 형성되고, 접면(139)은 상기 태양광 발열부(111)의 중앙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태양광 발열부(111)는 내면층(110)의 상측의 전체면에 형성되거나 내면층(110)의 일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면층(110)의 상면에 배치된 표면층(130)에 의해 태양광의 유입정도가 한정되는 경우, 표면층(130)에 형성되는 태양광 발열부(111)는 태양광이 유입되는 최대 범위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로 접한 소표면층(131)으로 형성된 표면층(130)은 저온에서 소표면층(131)의 접면(139)이 벌어지는 최대영역의 하측에 태양광 발열부(111)를 형성하여, 태양광에 의한 발열을 극대화 하면서도 불필요한 태양광 발열부(111)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염호료 처리 단계에 포함되는 분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날염호료 처리 단계 이후의 원단 세척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주름 성형 단계(S210) 이후에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분출구로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분출하여 발포하는 날염호료 처리 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돌기(313)의 제2 말단부(393)에 형성된 제2 분출구(413)는 날염호료를 돌출부(210)에 분출하여 발포함으로써 주름을 견고히 성형할 수 있다.
각각의 결합돌기에 형성되는 분출구는 각각의 결합돌기의 내부로부터 날염호료를 공급받아, 각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접면한 의류원단의 일단의 일면에 인날되도록 소정의 양을 분출할 수 있다. 이 때 분출되는 양은 컨트롤러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의류원단(100)은 각각의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맞물리어 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주름 형태로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 하에서 각각의 결합돌기의 말단부와 각각의 탄성층에 의해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의 일면과 타면이 가압된다.
이 후, 각각의 결합돌기에 의해 가압된 의류원단의 일단의 일면에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가 분출되어 인날된다.
이 후,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가 인날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의 타면은 맞닿은 탄성층으로부터 가해지는 열을 전달받는다.
이 때, 열이 일정 온도이상에 이르면,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210)는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함유된 발포제가 발포하며 주름이 성형될 수 있다.
날염호료는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이다.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는 각각의 분출구를 통해 날염호료가 의류원단(100)에 인날된 후, 각각의 탄성층에 의해 가열이 되면,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포함된 발포제가 발포되어 의류원단(100)에 주름을 성형할 수 있다.
의류원단(100)은 각각의 결합돌기와 각각의 탄성층에 의해 주름이 한 번 성형되고,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의해 주름이 한 번 더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의류원단(100)뿐 아니라, 주름이 잘 성형되지 않는 두꺼운 의류원단(100)에도 주름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주름 성형 방법은 시간이 지나면 주름이 쉽게 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의해 형성된 주름은 세탁 후에도 형태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의류원단(100)의 접면에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분출하는 것은 각각의 결합돌기와 각각의 탄성층이 의류원단(100)을 사이에 두고 접하는 주름 가압 단계(S190) 또는 주름 성형 단계(S210)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결합돌기와 각각의 탄성층이 의류원단(100)의 주름 형태를 잡아 준 상태에서, 각각의 분출구가 접하는 소정의 영역에만 인날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는 전체 성분에 대하여,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acid), 말레익산(maleic acid), 아크릴로니트릴, C1~C10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C1~C10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부타디엔, 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인 수지 및 천연수지인 검 담마루(Gum Damar), 송진(Gum Rosin), 코팔검(Copal Gum)의 변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말레익산의 공중합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을 부여하고자 하는 의류원단(100)과 발포제를 100 내지 200사이에서 열처리할 때 적절한 힘으로 접착시켜 줄 수 있어야 하고, 발포제가 발포될 때 부피팽창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수세시 물에 쉽게 제거되어야 함으로 고온의 열처리시 경화되어 수불용성화 되는 종류의 수지는 사용할 수가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에 포함되는 수지는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의 전체 성분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제는 화학발포제, 마이크로 캡슐형 발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발포제는 아조(azo, -N=N-) 계열 화합물, 퍼록사이드(peroxide) 계열 화합물, 테트라졸(Tetrazoles)계열 화합물, 니트로소(Nitroso) 계열 화합물 및 카보자지드(Carbazides) 계열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화학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 dicarbon amide),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p-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지드(p-toluenesulfonyl hydrazide), 벤젠술포닐 하이드라지드(benzenesulfonyl hydrazide),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N,N'-dinitroso pentamethylene tetramine), p-톨루엔술포닐 세미카바지드(p-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5-페닐테트라졸(5-phenyltetraz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아조디카본아미드(azo dicarbon amide)를 사용한다.
마이크로 캡슐형 발포제는 C5~C10의 하이드로카본이 3 내지 7 ㎛ 두께의 쉘(shell)에 둘러 싸여져 있고, 휘발성 가스화가 되는 물질이 내부에 함유되어 있어 고온에서 가스 상태로 되는 휘발성 팽창제로서 공지의 캡슐형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형 발포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고온에서 인날된 의류원단(100)을 발포시켜 주름을 부여함으로써, 원단 본래의 특성은 변질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면서, 원단에 부여되는 주름의 우수한 주름 표면성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으며, 주름 성형에 있어 생산성 증대 및 에너지 효율의 증대도 유도한다.
발포제는 날염호료의 전체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염호료는 팽윤제, 침투제, 점증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팽윤제, 침투제, 점증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인날된 의류원단(100)의 일단에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 주름에 자연스러움 및 부드러운 촉감도를 부여한다.
팽윤제는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하며, 침투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한다. 침투제는 통상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팽윤제 또는 침투제는 섬유 내부에 침투하여 섬유를 더욱 소프트하게 유도해 주는 것으로, 발포제에 대한 주름형성시 자연스러운 주름이 가능하게 한다.
점증제는 CMS, HES, 인산전분, 초산전분,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쿠스트빈 검, 메이프로검, 크리스탈검, 트라가칸트검, 타마린드검, 브리티시검, 알긴산염, 한천, 메틸셀루로스, 아교,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점증제는 원단에 손쉽게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직물 본래의 특성은 변질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사용하여 주름을 성형하는 경우, 주름부여는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발포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는 의류원단(100)의 수축을 방지하고, 고온 발포시 인날된 부분이 부풀어 지면서 주름형성이 자유롭고 수세가공이 용이하게 한다.
날염호료 처리 단계(S220) 이후에 주름이 부여된 의류원단(100)을 수세가공하여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제거하는 원단 세척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는 수용성 수지를 사용하였으므로, 수세가공을 통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원단 세척 단계(S250)는 주름이 성형된 의류원단(100)이 분리되는 원단 제거 단계(S230)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필름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름 형성 단계(S170) 이후에 지그의 외측면과 탄성층 사이에 인쇄필름을 투입하는 인쇄필름 배치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류원단(100)이 일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 단계(S170) 이후에, 제1 지그(301)의 제1 외측면(371)과 제1 탄성층(451)의 사이에는 의류원단(100)에 성형되는 주름에 인쇄하고자 하는 다양한 무늬가 포함된 인쇄필름을 투입될 수 있다. 투입된 인쇄필름은 제1 탄성층(451)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돌출부(210)에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조로운 주름에 심미성 및 다양성을 높일 수 있는 무늬를 부가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입된 인쇄필름은 원단 제거 단계(S230)의 전후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의류원단 110: 내면층
111: 태양광 발열부 130: 표면층
131: 소표면층 133: 경사
135: 위사 150: 투명수지 필름층
210: 돌출부 301: 제1 지그
303: 제2 지그 311: 제1 결합돌기
313: 제2 결합돌기 331: 제1 결합홈
333: 제2 결합홈 431: 제1 개구
433: 제2 개구 435: 제3 개구
437: 제4 개구 451: 제1 탄성층
453: 제2 탄성층 471: 제1 가열층
473: 제2 가열층
111: 태양광 발열부 130: 표면층
131: 소표면층 133: 경사
135: 위사 150: 투명수지 필름층
210: 돌출부 301: 제1 지그
303: 제2 지그 311: 제1 결합돌기
313: 제2 결합돌기 331: 제1 결합홈
333: 제2 결합홈 431: 제1 개구
433: 제2 개구 435: 제3 개구
437: 제4 개구 451: 제1 탄성층
453: 제2 탄성층 471: 제1 가열층
473: 제2 가열층
Claims (7)
- 일면에 태양광을 받으면 발열하는 광발열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열부가 형성된 내면층,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은 표면층을 준비하고, 상기 내면층, 상기 투명수지 필름층 및 상기 표면층을 층별로 배치하여 의류원단을 형성하는 원단 형성 단계;
상기 의류원단을 서로 대응하며 결합하는 두 개의 지그 사이로 투입하는 원단 투입 단계;
상기 두 개의 지그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지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구비한 결합홈이 서로 맞물리어 결합하여 상기 의류원단을 고정하는 원단 고정 단계;
상기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의류원단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 형성 단계;
상기 돌출된 의류원단의 일단인 돌출부를 상기 외측면에 결합하는 탄성층이 덮고 가압하는 주름 가압 단계; 및
상기 탄성층에 결합되는 가열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기 탄성층이 상기 돌출부를 열융착 및 상기 주름을 열성형하는 주름 성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는,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의류원단의 타단을 커버하여 상기 탄성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소표면층들로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소표면층들의 각 측면이 서로 접하여 접면을 형성하고,
저온에서 상기 소표면층들의 수축에 상응하여, 상기 접면이 벌어지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표면층들 각각은,
상기 내면층보다 저온에서 수축률이 더 높으며 상기 주름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내면층과 동일한 수축율을 가지며 상기 주름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사가, 서로 교차하며 직조된 것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열부는 상기 주름의 수직방향으로 도포되어 상기 내면층의 상면에 줄무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면은 상기 태양광 발열부의 중앙 상측에 위치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성형 단계 이후에,
상기 결합돌기의 말단부에 형성된 분출구로 수용성 수지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분출하여 발포하는 날염호료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염호료 처리 단계 이후에,
주름이 부여된 상기 의류원단을 수세가공하여 상기 주름 형성용 날염호료를 제거하는 원단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형성 단계 이후에,
상기 지그의 외측면과 상기 탄성층 사이에 인쇄필름을 투입하는 인쇄필름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779A KR102274889B1 (ko) | 2019-11-07 | 2019-11-07 |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779A KR102274889B1 (ko) | 2019-11-07 | 2019-11-07 |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5392A KR20210055392A (ko) | 2021-05-17 |
KR102274889B1 true KR102274889B1 (ko) | 2021-07-08 |
Family
ID=7615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1779A KR102274889B1 (ko) | 2019-11-07 | 2019-11-07 |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48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0034A (ko) | 2022-08-29 | 2024-03-07 | 강기옥 |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4663Y1 (ko) | 2000-10-30 | 2001-05-15 | 이상원 | 이중 칼날부를 갖는 직물지 주름형성장치 |
KR101679843B1 (ko) * | 2014-04-23 | 2016-11-28 | 벤텍스 주식회사 | 감온변색 보온원단 |
KR20180092028A (ko) * | 2017-02-08 | 2018-08-17 | 엄기환 |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11-07 KR KR1020190141779A patent/KR102274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0034A (ko) | 2022-08-29 | 2024-03-07 | 강기옥 |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5392A (ko) | 2021-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88629A (en) | Embossed fabrics to give contrasting colors | |
US20020009571A1 (en) |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 |
JP2004504913A (ja) | 半製品の靴,衣類及び装身具の防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よる半製品製造物 | |
KR102274889B1 (ko) |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 |
AU2002249810A1 (en) |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 |
KR101670301B1 (ko) |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 |
KR102187466B1 (ko) |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 |
CN104831548A (zh) | 一种双面条码印刷商标带及其制备工艺 | |
CN104309187B (zh) | 一种天丝、棉纤维复合材料 | |
KR101585496B1 (ko) | 레이스 원단과 접착심지가 합포된 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 |
US3464876A (en) | Method of forming a fusible interlining material | |
KR20060090354A (ko) | 원단의 입체문양 가공방법 | |
KR101647964B1 (ko) | 중공사 결합을 통한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CN207808725U (zh) | 一种热转移印花二次渗透装置 | |
KR20150125304A (ko) | 차량 시트용 쿠션 커버지의 제조방법 | |
JP4430138B2 (ja) | 回転印用無端印字ベルトの製造方法 | |
US10618347B2 (en) | Film three-dimensional mesh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55519B1 (ko) | 합성피혁 원단 제조방법 | |
KR102109389B1 (ko) | 경량보온성 주름직물 제조방법 | |
CN109228599A (zh) | 拉舍尔地毯及其制造方法 | |
KR102458960B1 (ko) |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685484B1 (ko) | 퍼커링 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 |
CN104608544B (zh) | 一种剪布画产品的制作方法及剪布画产品 | |
KR101977180B1 (ko) | 인조잔디매트 제조과정에서 기포지 재활용을 위한 회수방법 | |
KR200227996Y1 (ko) | 부채살대가 없는 부직포 선면판의 부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