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028A -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028A
KR20180092028A KR1020170017283A KR20170017283A KR20180092028A KR 20180092028 A KR20180092028 A KR 20180092028A KR 1020170017283 A KR1020170017283 A KR 1020170017283A KR 20170017283 A KR20170017283 A KR 20170017283A KR 20180092028 A KR20180092028 A KR 2018009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rooves
mold
protrusions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환
Original Assignee
엄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환 filed Critical 엄기환
Priority to KR102017001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028A/ko
Publication of KR2018009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이송되는 주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주름원단을 향하는 저면에는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돌기와 홈이 반복 형성되는 상금형과, 상기 주름원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히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하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금형은 가로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금형이 상기 하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원단이 서로 맞물리는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될 때 마주하는 상기 상금형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 홈과 돌기의 중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Fabric wrinkles forming die and a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
본 발명은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금형과, 그러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의한 만들어지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원단은 원단이나 나염된 원단에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주름을 주어 각종 의류 등을 제조함에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원단은 통상의 주름성형기에 의해 주름이 만들어지며, 원단을 가열하는 가열공정에 의해 주름을 형성하거나, 원단을 작업선반에 놓은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주름을 주기 위한 주름작업을 행한다.
이렇게 주름을 수작업으로 접은 상태의 원단은 보조로울러와 가열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는 수단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접은 원단부분에 주름을 주는 방법에 의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가열로울러 내에는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름부분을 열처리하는 효과를 발생시켜 주름을 완전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름원단은 단순히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는 것, 즉 나염된 원단이나 나염이 안된 원단에 단순히 주름만을 형성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또한, 종래의 주름원단은 항상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비자 개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살려주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자기만의 개성이 뚜렷하고 패션을 통해 독특함을 연출하고 싶어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7347호(2015.07.21.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주하는 내면에 요철부가 구비되며 상금형과 하금형 내부로 주름원단이 인입되고, 상금형과 히팅수단을 가지는 하금형의 맞물림을 통해 주름원단에 입체형태의 무늬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며, 주름원단과 함께 인쇄필름이 함께 인입되는 경우 색상을 가지는 입체형태의 무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제공을 통해 주름원단의 활용도를 높이고,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이송되는 주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주름원단을 향하는 저면에는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돌기와 홈이 반복 형성되는 상금형과,
상기 주름원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히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하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금형은 가로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금형이 상기 하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원단이 서로 맞물리는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될 때 마주하는 상기 상금형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 홈과 돌기의 중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술한 상금형과 하금형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가 중심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금형의 히팅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개방단계와,
주름원단의 주름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금형과 이격되어 있는 상기 하금형의 상면에 근접되어 수평하게 이송되는 주름원단 투입단계와,
상기 주름원단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금형이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금형의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의 중심이 어긋나도록 조절되는 상금형 조절단계와,
상기 상금형이 이동된 상태에서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1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상단계와,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분리단계와,
이송이 중지된 상기 주름원단이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후, 다시 중지된 다음 상승된 상기 상금형이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다른 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2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술한 상금형과 하금형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금형과 히팅수단을 갖춘 하금형의 마주하는 내면의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는 과정에서 요부와 철부의 중심이 불일치되어 요부와 철부가 어긋나게 맞물리도록 성형 금형이 구성되고, 그러한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로 연속 이동되는 주름원단이 어긋나게 맞물리는 성형 금형을 통해 주름원단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눌림부가 형성되면서 주름원단이 입체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로 주름원단과 함께 인쇄필름을 인입하여 성형하게 되면 주름원단에 색상을 가지는 눌림부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색상을 가지는 입체형상의 주름원단을 만들 수 있어, 주름원단의 상품성을 높이고,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예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성형 금형은 상금형과 하금형으로 구성되며,
먼저, 상금형은 이송되는 주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주름원단을 향하는 저면에는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돌기와 홈이 반복 형성된다.
그리고 하금형은 상기 주름원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히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금형은 가로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금형이 상기 하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원단이 서로 맞물리는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될 때 마주하는 상기 상금형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 홈과 돌기의 중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어 주름원단에 인쇄필름의 인쇄물이 주름원단에 인쇄됨에 따라 주름원단의 입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가 중심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금형의 히팅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개방단계가 진행되며,
이후, 주름원단의 주름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금형과 이격되어 있는 상기 하금형의 상면에 근접되어 수평하게 이송되는 주름원단 투입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상기 주름원단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금형이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금형의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의 중심이 어긋나도록 조절되는 상금형 조절단계가 진행되며,
이후, 상기 상금형이 이동된 상태에서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1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상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분리단계가 진행되며,
이후, 이송이 중지된 상기 주름원단이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후, 다시 중지된 다음 상승된 상기 상금형이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다른 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2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어 주름원단에 인쇄필름의 인쇄물이 주름원단에 인쇄됨에 따라 주름원단의 입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주름원단에 제조되면, 주름원단이 금형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고, 인쇄필름과 함께 성형되는 경우 명암이나 색상을 가지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100)(100a)(100b)(100c)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다양한 주름원단

Claims (5)

  1. 이송되는 주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주름원단을 향하는 저면에는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돌기와 홈이 반복 형성되는 상금형; 및
    상기 주름원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히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홈과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하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금형은 가로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금형이 상기 하금형에 결합되어 상기 주름원단이 서로 맞물리는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될 때 마주하는 상기 상금형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 홈과 돌기의 중심이 서로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성형 금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성형 금형.
  3. 청구항 1 에 따른 상금형과 하금형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가 중심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금형의 히팅장치가 작동되고,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개방단계;
    주름원단의 주름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금형과 이격되어 있는 상기 하금형의 상면에 근접되어 수평하게 이송되는 주름원단 투입단계;
    상기 주름원단의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금형이 상기 주름원단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가로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금형의 돌기와 홈의 중심과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의 중심이 어긋나도록 조절되는 상금형 조절단계;
    상기 상금형이 이동된 상태에서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1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상단계;
    상기 하금형으로부터 상기 상금형이 상승되어 서로 이격되는 금형 분리단계;
    이송이 중지된 상기 주름원단이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후, 다시 중지된 다음 상승된 상기 상금형이 하강 되고, 상기 상금형의 돌기와 홈이 상기 하금형의 홈과 돌기에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주름원단의 다른 부분이 상기 돌기와 홈에 의해 가압가열되어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2차 주름원단 입체무늬 형성단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주름원단의 저면에는 인쇄필름이 겹쳐진 상태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
KR1020170017283A 2017-02-08 2017-02-08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283A KR20180092028A (ko) 2017-02-08 2017-02-08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283A KR20180092028A (ko) 2017-02-08 2017-02-08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028A true KR20180092028A (ko) 2018-08-17

Family

ID=6340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283A KR20180092028A (ko) 2017-02-08 2017-02-08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0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45A1 (ko) * 2018-11-01 2020-05-07 주식회사 플리츠미 경량보온성 주름직물 제조방법
KR102187466B1 (ko) * 2019-11-06 2020-12-07 (주)플리츠미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10055392A (ko) * 2019-11-07 2021-05-17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47B1 (ko) 2015-05-18 2015-07-21 김현하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47B1 (ko) 2015-05-18 2015-07-21 김현하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45A1 (ko) * 2018-11-01 2020-05-07 주식회사 플리츠미 경량보온성 주름직물 제조방법
KR20200050116A (ko) * 2018-11-01 2020-05-11 (주)플리츠미 경량보온성 주름직물 제조방법
KR102187466B1 (ko) * 2019-11-06 2020-12-07 (주)플리츠미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10055392A (ko) * 2019-11-07 2021-05-17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8202A (en) Method of producing edge-printed fabric garment pieces
KR20180092028A (ko)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는 주름원단과 그 성형 금형 및 그 제조방법
US9011308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forming of paper containers
TWI633221B (zh) 布料端卷邊矯正裝置
KR101230408B1 (ko) 엠보 성형장치
KR100591858B1 (ko) 칼라 입체문양 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101527375B1 (ko) 장식문양을 갖는 인조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제품
KR101532360B1 (ko) 주름원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름원단
KR20100133563A (ko)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KR101946558B1 (ko) 엠보디자인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1795314B1 (ko) 친환경 신축성 무봉재 원단의 제조방법
KR101922236B1 (ko) 칼라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0277090Y1 (ko) 원단의 굴곡무늬 형성기
US369957A (en) Thomas j
KR200392726Y1 (ko) 로토큐어를 이용하여 고무테이프를 엠보싱 성형함에 있어서엠보싱면에 미세돌기의 동시 성형장치
JP2002371459A (ja) プリーツ製品及びプリーツ製品の製造方法
US1699288A (en) Method of embossing plaiting and the like
KR101484061B1 (ko) 직물의 주름무늬형성장치.
KR102059295B1 (ko) 기모직물지의 입체무늬 성형장치
KR200273866Y1 (ko) 주름가공 원단
KR20010069278A (ko) 주름직물지 및 그 주름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1282890B1 (ko) 입체 물결무늬를 갖는 합성수지시트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60090507A (ko) 성형롤러를 이용한 주름형성장치 및 직물
KR100462280B1 (ko) 섬유원단의 주름 성형장치
KR200352433Y1 (ko) 직물 주름 성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