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034A -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034A
KR20240030034A KR1020220108560A KR20220108560A KR20240030034A KR 20240030034 A KR20240030034 A KR 20240030034A KR 1020220108560 A KR1020220108560 A KR 1020220108560A KR 20220108560 A KR20220108560 A KR 20220108560A KR 20240030034 A KR20240030034 A KR 2024003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per
washing
wrinkle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옥
Original Assignee
강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옥 filed Critical 강기옥
Priority to KR102022010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034A/ko
Publication of KR2024003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03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5Brushing or beating of fabrics for finishing but not fo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리가미 방식으로 형성된 동일한 주름을 갖는 한 쌍의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종이 사이에 직물을 삽입하여 종이-직물-종이로 구성된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 하여 직물에 종이의 주름과 동일한 주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를 제거하여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주름이 접어지도록 직물을 묶는 단계; 및 상기 묶인 직물을 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제공하여, 직물 표면에 다양한 질감, 색감, 입체감, 및 문양을 표현하여 심미감 및 신비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cessing a surface of fabric}
본 개시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소정의 무늬를 얻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주름이 형성된 원단을 사용하여 의류를 제조하고 있다.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름 형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원단에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직물 표면의 질감, 입체감 등을 개선하기 위해 쟈카드(Jacquard) 제직에 의한 무늬 성형방법과 자수에 의한 무늬 성형방법 등이 있다.
아울러, 직물에 질감 및 문양을 도입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색 후, 직물 표면을 모래 등으로 세밀하고 강하게 타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샌딩처리법, 직물에 구멍을 뚫는 펀칭법, 폴리필름을 이용하여 미리 형성된 무늬를 직물에 부착 형성하는 포일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외에도, 직물의 표면을 엠보싱하여 입체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종래의 직물에 엠보싱 작업만을 할 뿐이며, 특히, 데님(denim)과 천연직물(면, 레이온 등)과 같은 것은 조직이 약하여 엠보싱 후, 세탁 및 마찰을 일으키면 음양각으로 엠보싱된 무늬가 원형을 잃게 되어 민무늬가 되어 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가 섞이지 않은 천염섬유 (면100%, 비스코스류)의 경우, 직물 제직시 형성된 엠보싱 형태는 착용 시기가 오래되면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데님은 면 100% 혹은 80% 이상의 면 혼률로 제직된 직물이다. 데님의 제직 후 추가 가공에 의해 형성된 주름 또는 엠보싱은 내구성이 없으며, 습도가 높은 날이나 비가 오는 날에 물에 젖을 경우, 주름 또는 엠보싱의 형태가 사라질 수 있다.
KR 2022-0107365 A KR 2016-0090507 A KR 10-2274889 B1
본 개시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오리가미 방식으로 형성된 동일한 주름을 갖는 한 쌍의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종이 사이에 직물을 삽입하여 종이-직물-종이로 구성된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 하여 직물에 종이의 주름과 동일한 주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를 제거하여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주름이 접어지도록 직물을 묶는 단계; 및 상기 묶인 직물을 워싱하는 단계(washing)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직물을 묶는 단계는 주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정해진 간격으로 감기, 꿰매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감기는 금속사, 케이블 타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꿰매기는 20수 4합의 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워싱하는 단계는 바이오 워싱, 스톤 워싱, 아이스 워싱, 원 워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상기 워싱 단계 후에 핸드 브러싱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직물 표면에 다양한 질감, 색감, 입체감, 및 문양을 표현하여 심미감 및 신비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물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오리가미 방식으로 형성된 주름을 갖는 종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주름이 접어지도록 묶인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워싱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산된 의류 샘플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개시의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직물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공정 흐름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오리가미(종이 접기) 방식으로 형성된 동일한 주름을 갖는 한 쌍의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도 1a 및 1b 참조); 상기 한 쌍의 종이 사이에 직물을 삽입하여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도 1c 내지 1e 참조) ;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 하여 직물에 종이의 주름과 동일한 주름을 형성시키는 단계(도 1f 참조); 종이를 제거하여 기계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는 단계(미도시); 기계 주름이 접어지도록 직물을 묶는 단계(미도시); 및 상기 묶인된 직물을 워싱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오리가미 방식으로 형성된 주름을 갖는 종이들을 나타낸 사진이다. 오리가미는 일본어로 종이접기를 의미하며, 본 개시에서 오리가미와 종이 접기는 동일한 의미를 갖고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오리가미에 의해 종이에 형성된 주름, 패턴 등의 형상을 직물 또는 원단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리가미(종이접기) 주름을 직물의 바이어스(사선)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바이어스 결을 사용함으로써 입체적인 표현이 용이하고, 꺽임선이 없이 A라인 또는 플레어형의 의류가 매끄럽게 제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리가미(종이접기) 주름을 직물의 식서(세로 결)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박스형의 H라인의 의류가 제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오리가미(종이접기) 주름을 직물의 푸서 (가로 결)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워싱 후에 표현되는 결의 표현은, 같은 방법 및 같은 시간의 워싱 작업에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직물의 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직물, 원단 등의 섬유는 종이의 오리가미 패턴이 구현되는 대상으로서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본 개시에 따르면, 오리가미 패턴이 뭉개지지 않도록 정밀하게 종이에 접혀져야 한다. 오리가미 패턴을 직물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같은 패턴을 갖는 적어도 두장의 종이가 필요하다. 한장은 바닥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한장은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닥 종이 위에 원단을 배치한다. 원단은 종이와 달리 접어도 각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닥 종이 위에 최대한 정확히 패턴의 사이 사이에 껴들어갈수 있도록 원단을 놓고 뚜껑 종이를 겹쳐놓아 원단이 바닥 종이와 뚜껑 종이 사이에서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잡아주고 풀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부 종이-직물-하부 종이는 고정되어 샌드위치 형상의 적층체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오리가미 방식으로 종이 또는 원단에 형성된 주름, 패턴, 등의 용어는 원단에 형성되는 3차원 형상으로서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원단은 데님 원단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워싱 단계 후에 오리가미주름이 뭉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님 원단은 스판사가 없는 넌스트레치 원단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데님 원단은 스판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중량% 내지 10 중량%, 2 중량% 내지 8 중량%, 4 중량% 내지 6 중량%, 또는 4.5 중량% 내지 5.5 중량%, 및 이들 사이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의 스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 하여 직물에 종이의 주름과 동일한 주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f 참조). 본 개시에서,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 후 원단에 남게된 주름은 기계 주름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는 100℃ 이상 내지 220℃ 이하, 120℃ 이상 내지 210℃ 이하, 130℃ 이상 내지 200℃ 이하, 140℃ 이상 내지 190℃ 이하, 150℃ 이상 내지 180℃ 이하, 또는 이들 사이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100℃보다 미만이면, 직물에 기계 주름이 덜 형성될 수 있고, 220℃를 초과하면 원단이 손상될 수 있다.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는 30분 이상, 40분 이상, 50분 이상, 60분 이상, 70분 이상, 또는 이들 사이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시간이 30분보다 미만이면 증기의 적용 기간이 부족하여 직물에 기계 주름이 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 후에, 직물에는 드라이 클리닝에도 풀리지 않는 기계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 후 오리가미용 종이는 제거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주름이 접어지도록 묶인 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워싱 단계 전에, 기계 주름이 형성된 직물은 기계 주름이 접어지도록 묶어, 강한 워싱에도 주름이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직물을 묶는 단계는 주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정해진 간격으로 감기, 꿰매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기는 금속사, 케이블 타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금속사는 금사, 은사, 철사, 알루미늄사, 구리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금속사의 굵기는 0.5 mm 내지 8 mm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굵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 mm, 1 mm, 1.5 mm, 2 mm, 2.5 mm, 3 mm, 4 mm, 5 mm, 6 mm, 7 mm, 8 mm 및 이들 사이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의 굵기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모든 금속사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케이블 타이는 2.5 mm 내지 9 mm 범위 내에서 다양한 넓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모든 케이블 타이의 사용이 가능하다.
케이블 타이 또는 금속사를 이용할 경우, 1회 또는 여러번 직물을 묶음으로써 묶음 부분을 넓게할 수 있다.
꿰매기는 주름이 접혀진 직물의 측면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꿰맬 때, 직물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직물에 구멍을 생기게 하지 않는 실의 굵기가 고려된다. 데님은 높은 온스(OZ)를 갖는 두께운 직물이다. 워싱시에는 직물에 생긴 작은 구멍도 수압에 의하여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워싱시, 얇은 실은 끊어질 수 있고, 두꺼운 실은 직물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꿰매기는 대바늘을 사용하여 60수 3합, 30수 3합, 또는 20수 4합의 실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 직물을 관통하여 주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재료 및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사 및 케이블 타이에 의해 묶인 부분은 워싱이 되지 않는 부분이므로, 그 부분은 워싱 단계 후 진한 자리를 남길 수 있다. 디자인에 따라서, 워싱 후에 자리 남음이 디자인적으로 필요하다면 금속사나 케이블 타이를 사용할 수 있다.
워싱 후에 실을 사용한 부분은 점으로서, 금속사 또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한 부분은 선으로서 나타나서, 나염을 한 것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디자인에 따라, 의도적으로 워싱을 통해 직물에 선을 표현할 수 있다. 점의 크기는 워싱 시간과 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컬러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워싱후에 점과 점 사이, 선과 선 사이, 및/또는 점과 선 사이에 그라데이션을 주도록 꿰매기 및 감기를 수행할 수 있다.
직물은 시각적 변화를 주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탈색시키는 워싱에 도입될 수 있다. 워싱은 일반 세제와 호발제를 사용해 세척하며, 유연제를 병용하기도 한다.
본 개시의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다음의 워싱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직물을 워싱할 수 있다.
스톤 워싱(Stone Washing)은 호발 후 부석(Stone) 세척을 추가하여 헌옷과 같이 마모된 특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스톤 블리치(Stone Bleach)는 부석으로 마모 세척 후 차아염소산소다/과산화 표백제 등으로 표백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탈색 효과를 낼 수 있다.
바이오 워싱(Bio Washing)은 부석을 사용치 않고, 면섬유 분해요소인 셀루레이스 엔자임만 사용하여 면섬유 표면을 분해시켜 직물의 표면을 부드럽게할 수 있다.
아이스 워싱은 표백제에 미리 침지시켰던 스톤을 이용하는 워싱을 지칭할 수 있다.
노말 워싱은 원 워싱(one washing), 레귤러 워싱이라고도 하며, 일반 세제와 호발제를 넣고 세탁하는 워싱일 수 있다. 노말 워싱은 섬유에 함유된 풀기와 섬유에 흡착되지 않은 염료,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며, 유연제를 사용하여 섬유를 부드럽게 만들고, 섬유 천연의 색상을 살려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워싱 단계의 전 또는 후에 핸드 브러싱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핸드 브러싱은 표백제를 주름의 마루(코)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1차 워싱을 한 후 핸드 브러싱을 하면 데님에 바닥 컬러를 갖게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1차 워싱 및 핸드 브러싱 후 2차 워싱을 다시하여 데님의 색상을 더 연하게 하여, 데님이 아이스워싱컬러를 갖게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 쌍의 종이에 도 2(h)에 나타낸 오리가미 주름을 형성시켰다 (도 1a 및 1b 참조). 상기 한 쌍의 종이 사이에 데님 직물을 삽입하여 종이-직물-종이로 구성된 적층체를 형성시켰다 (도 1c 내지 도 1e 참조).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약 150℃ 증기로 약 30분 동안 열처리 하였다 (도 1f 참조). 그 오리가미용 종이는 제거되어, 기계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었다 (도 3b 참조). 기계 주름이 형성된 데님 직물의 주름을 접기 위해 표 1에 나타낸 방법으로 묶었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기계 주름이 접어지도록 묶인 데님 직물을 나타낸다. 그 다음에, 상기 데님 직물은 스톤, 바이오, 및 유연제가 포함된 물로 약 100 ℃에서 약 30분 동안 워싱되었다. 워싱 후에 표면이 가공된 직물을 얻었다 (도 5 참조)
묶는 위치 묶는 방법 워싱 후 묶인 부분의 모양
1 케이블 타이 굵은 모양의 홀치기 선이 생겼다
2 1mm 철사 케이블 타이와 다른 모양의 홀치기 선이 생겼다
3 2수 4합 면 100% 실 접은 주름 가운데를 대바늘 및 2수 4합 면 100% 실을 사용하여 꿰매는 방법이다. 위의 홀치기와는 다른, 대바늘이 들어 간 자리에 동그란 모양이 나타났다.
4 2수 4합 면 100% 실 3번과 동일한 묶음 방법이다. 위의 홀치기와는 다른, 대바늘이 통과한 자리에 약간 흐려진 동그란 모양으로 나타났다.
5 2수 4합 면 100% 실 3번과 동일한 묶음 방법이다. 4번과는 다르게, 대바늘이 통과한 자리에 아주 흐린 모양의 검은 색이 나타난다.
6 2수 4합 면 100% 실 3번과 동일한 묶음 방법이다. 5번에서 보여지는 검은 색의 모양보다 더 흐린 검은 색이 대바늘이 통과한 자리에 나타났다.
7 2수 4합 면 100% 실 3번과 동일한 묶음 방법이다. 6번에서 보여지는 것과는 다르고, 4번에서 보여지는 정도의 검은색 동그라미가 대바늘이 통과한 자리에서 나타났다.
8 2수 4합 면 100% 실 3번과 동일한 묶음 방법이다. 대바늘이 통과한 자리에 색상과 문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9 1mm 철사 약간 흐린 검정 선이 나타났다.
10 1mm 철사 약간 흐린 검정 선이 나타났다.
11 1mm 철사 약간 흐린 검정 선이 나타났다.
12 케이블 타이 1번과 같은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주름 묶음 작업을 진행하였다. 홀치기 형태의 선이 진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묶은 세기에 따라 생지의 바탕 컬러(검정)를 유지할 수 있는 부분이 커지므로 진하고 넓고 굵은 선이 나타났다.
워싱 작업 후에 나타나는 모양은 수압과 워싱 시간에 따라, 워싱 기계가 회전될 때 데님 직물이 서로 얽히거나, 또는 놓여지는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워싱 작업 후 직물에 표현되는 데미지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 2
샘플 의류 생산
작업 1 : 오리가미 기계 주름 작업
1.5 야드 길이의 데님 소재 3장을 각각 직각 형태의 양변인 식서 약 140cm와 푸서 약 135cm를 옷의 바깥 방향이 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아스로 재단하였다. 변이 만나는 꼭지점에서 상의의 목 둘레를 고려하여 10인치를 내려, 방사선 형태의 꺾임 1회 V형 주름을 접었다. 주름을 접은 증기로 열처리(찜처리)를 하였다.
작업 2 : 묶음 작업
주름을 강한 힘으로 모아 최소한의 두께로 잡은 후, 철사로 8번 나눠 묶어 레귤러 워싱을 견딜 준비를 하였다.
작업 3 : 워싱
데니막스사(社)의 워싱 장치를 사용하여 레귤러워싱(중탈), 스톤 워싱, 및 바이오 워싱을 진행하였다. 워싱은 작업 2를 마친 3개의 원단 덩어리를 워싱 기계에서 60도씨 정도의 물로 20분간 돌림으로써 수행되었다. 작업 후 주름이 모여있는 윗단의 앞면에 주름선이 입체적으로 표현 될 수 있도록 수작업으로 표백제를 사용한 핸드 브러싱 작업을 하였다.
작업 4 : 샘플 생산
워싱된 컬러와 수축분을 패턴과 비교하여 패턴 수정을 한 후 작업대에 고정핀으로 고정해 놓고 주름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건조시켰다. 22개의 주름 선이 바이아스 결에 놓이도록 앞, 뒤 두장을 만들었으며, 소매 부분은 워싱 후 기계 주름 선의 형태만 보여지도록 의도적으로 다림질을 하여 평면화시켜 입체감의 착시감을 주는 샘플 의류를 생산하였다. 도 6은 실시예 2에 의해 생산된 샘플 의류를 나타낸다.
이상 본 개시를 구체적인 구현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구현예는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개시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개시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7)

  1. 오리가미 방식으로 형성된 동일한 주름을 갖는 한 쌍의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종이 사이에 직물을 삽입하여 종이-직물-종이로 구성된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 하여 직물에 종이의 주름과 동일한 주름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종이를 제거하여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는 단계;
    상기 주름이 접어지도록 직물을 묶는 단계; 및
    상기 묶인 직물을 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직물-종이 적층체를 증기로 열처리하는 단계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동안 수행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묶는 단계는 주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정해진 간격으로 감기, 꿰매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기는 금속사, 케이블 타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꿰매기는 20수 4합의 실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싱 단계는 바이오 워싱, 스톤 워싱, 아이스 워싱, 원 워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싱 단계 후에 핸드 브러싱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KR1020220108560A 2022-08-29 2022-08-29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KR2024003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60A KR20240030034A (ko) 2022-08-29 2022-08-29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560A KR20240030034A (ko) 2022-08-29 2022-08-29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034A true KR20240030034A (ko) 2024-03-07

Family

ID=9027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560A KR20240030034A (ko) 2022-08-29 2022-08-29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03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507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성형롤러를 이용한 주름형성장치 및 직물
KR102274889B1 (ko) 2019-11-07 2021-07-08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20107365A (ko)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바른피앤티 주름이 형성되는 의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507A (ko) 2015-01-22 2016-08-01 (주)플리츠미 성형롤러를 이용한 주름형성장치 및 직물
KR102274889B1 (ko) 2019-11-07 2021-07-08 (주)플리츠미 태양광 보온성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220107365A (ko)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바른피앤티 주름이 형성되는 의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97895A (ja) フリース生地、フリース生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フリース生地で製造された物品。
KR100189269B1 (ko) 호제처리되지 않은 예비수축 데님의 제조방법
KR20240010444A (ko) 완충용 변사를 갖는 벨벳
US3766872A (en) Textured embroidered fabric
Kalaoglu et al. Finishing of jeans and quality control
KR20240030034A (ko) 직물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
US4863775A (en) Garment wash finish for denim
CN104664639A (zh) 无刺痒感的纯麻针织内衣面料及其加工方法
KR100856750B1 (ko) 벨루어 섬유의 제조방법
JP4066063B2 (ja) 多重布帛よりの布製品形成方法
KR100389283B1 (ko)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US3343242A (en) Warp printing method
CN108239818A (zh) 一种仿毛皮织物及其制作方法
KR20220107365A (ko) 주름이 형성되는 의류의 제조방법
EP1088926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ibori clothes
EP1357217A2 (en) Fabric finishing range and process for fabric finishing
DE69818765T2 (de) Verfahren zum Bemustern von Kleidungsstücken
US6523196B1 (en) Shibori clothes manufacturing method, etc. and shibori clothes made by said manufacturing method
JPH04327259A (ja) 立体模様を有する布帛の製造方法
WO2017221042A1 (en) Method for finishing a fabric and a felted fabric obtained by this method
JPH11256466A (ja) 透かし模様の刺繍方法
KR101276428B1 (ko) 방염 처리된 담요의 제조방법
KR100450237B1 (ko) 원단주름방지방법
JPS6214670B2 (ko)
KR20160115108A (ko) 벨벳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벨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