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729B1 -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 Google Patents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729B1
KR102273729B1 KR1020190086048A KR20190086048A KR102273729B1 KR 102273729 B1 KR102273729 B1 KR 102273729B1 KR 1020190086048 A KR1020190086048 A KR 1020190086048A KR 20190086048 A KR20190086048 A KR 20190086048A KR 102273729 B1 KR102273729 B1 KR 10227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ratchet
angle
base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251A (ko
Inventor
김혁
신재광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7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43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부품들을 단일품목으로 정형화시켜 등받이 측면에 설치한 후, 아암레스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100)로, 전면 모듈 커버(110)와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아암레스트(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어 다수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하나의 아암레스트 조절키트(100)로 이루어져 자동차 등받이 측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ANGLE ADJUSTMENT KIT FOR ARM REST}
본 발명은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부품들을 단일품목으로 정형화시켜 등받이 측면에 설치한 후, 아암레스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는 팔걸이의 앞쪽 끝단에 있는 노브를 조작하면 로드가 당겨지거나 또는 밀려나면서 록커 기어와 섹터 기어 간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줌에 따라 팔걸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는 구성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하는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불리한 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내 특허등록 제10-0217640호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가 발명되었다.
상기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상의 팔걸이축(10)에 팔걸이(1)의 후단을 관통 결합하여 팔걸이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상기 팔걸이축(10)에는 전체 외주구간 중에서 적어도 1/2이상의 치형부(11)를 갖는 섹터기어(12)와 록커기어(13)의 위치복귀를 안내하는 록커가이드(14)를 축설하며, 상기 섹터기어(12)의 치형부(11)에 상시 맞물리는 록커기어(13)와 이것을 항상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을 팔걸이(1)의 내부에 일체 설치하여 팔걸이(1)를 직접 움직임에 따라 상기 록커기어(13)가 요동되면서 치형부(11)의 임의의 위치에 맞물릴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어의 일부 외주구간에는 아래쪽으로 걸림방향을 갖는 톱니형태의 치형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이곳에 록커기어(13)가 맞물림에 따라 팔걸이(1) 전체가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치형부(11)의 반대쪽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어 팔걸이(1)를 완전히 수직으로 세웠을 때 록커핀(21)이 이곳에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팔걸이(1)가 뒷쪽으로는 젖혀지지 않게 된다.
또한, 팔걸이 전체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록커기어(13)가 치형부(11)에 한 단계씩 윗쪽으로 물리면서 고정되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아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부품들이 팔걸이(1)에 집중 설치되어 있어서, 오동작 시 수리함에 있어 팔걸이 전체를 갈아 끼워야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있으며, 전체를 폐기처리시 이로 인하여 2차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여 지구 환경오염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에는 일체로 결합된 팔걸이를 해체하여 금속만 추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사용됨과 이에 대한 해체시간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폐기처분되고 있다.
또한, 팔걸이 자체에 일일이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 또한 많이 걸리는 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들이 팔걸이에 집중적으로 설치됨으로써, 팔걸이에 미치는 하중과 이를 견디기 위해 팔걸이 축의 강도도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12635호 (2000.11.24 공보)
1. 한국 등록특허 제 10-0217640호 (1999.06.05 공보)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428호(2010.03.18 공보)
1. 한국 등록특허 제10-1589043호 (2016.01.21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팔걸이(이하, '아암레스트'라 칭함)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속품들을 하나의 키트로 정형화시켜 부품교체 및 수리시 키트만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한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전면 모듈 커버(110)와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아암레스트(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어 다수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하나의 조절키트(100)로 이루어져 자동차 등받이 측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아암레스트(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같이 동작하며 일측 외주면에 다수의 래칫기어(211a)가 형성된 래칫부재(210)와, 상기 래칫부재(210)와 이 맞물림되어 래칫부재(210)의 회전을 일측 방향으로만 유도하여 단계별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동축(240)에 의해 축지지된 폴부재(220); 및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을 제약하며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230); 및
상기 랫치부재(210)를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모듈 커버(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아암지지축(250); 및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돌출형성되는 제1 스토퍼(122); 및
상기 제1 스토퍼(122)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어 랫치부재(210)의 회동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토퍼(123); 및
상기 아암지지축(250)의 일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아암(1);
로 구성된다.
본 발명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속품들을 하나의 키트로 정형화시킴으로써, 조립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둘째, 고장 및 교체시 키트만 교환 및 수리함으로써, 기존에 아암레스트 전체를 폐기처리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을 줄일 수가 있다.
셋째, 각도조절 키트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아암레스트의 무게 및 설계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넷째, 종래에는 차종에 따라 아암레스트를 각각 설계 제작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별도로 제작된 각도조절 키트를 이용함으로서, 차종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가 있어 설계변경 등에 따른 비용과 시간 등의 번거러운 작업을 없앨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만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에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에 아암레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아암레스트가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아암레스트가 상단으로 대략 30°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아암레스트가 프리 구간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때, 각도는 대략 110°정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e)는 아암레스트가 프리 상태로 있다가 하방으로 대략 125°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d)는 아암레스트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아암레스트가 사용자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 8의 각도조절장치 중 일부 발췌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전면 모듈커버(110), 베이스플레이트(120),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200)(이허, 각도조절장치라 칭함), 아암지지축(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모듈커버(110)은 아암지지축(250)이 설치되기 위한 관통구멍(111)이 정 중앙에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볼트구멍(112)이 형성되어 볼트(15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11) 주위 외면은 돌출형성되어 있고 반대로 안쪽은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도조절장치(200)가 수납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압공간은 각도조절장치(2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가능할 것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20)은 중앙에 상기 아암지지축(250)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구멍(121a)이 형성된 축결합부(121)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모서리 근방 즉, 상기 전면 모듈커버(110)에 형성된 볼트구멍(112)과 같은 위치에 체결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121) 주변은 약간 돌출된 형태를 이루어져 각도조절장치(200)의 활동을 원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121)의 하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장치(200)의 부품 중 하나인 회동축(240)이 설치되기 위한 관통구멍(121a)이 형성되고, 이 구멍(121a)의 근접 위치에 밴딩 작업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게 꺾어져서 형성된 제1 스토퍼(122)가 있고, 상기 제1 스토퍼(122)와 대각선 방향에 관통구멍(126)이 형성되어 제2 스토퍼(123)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각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구멍(121)과 동일한 위치에 부싱(132)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멍(121) 사이에 끼워 맞춤되고, 중앙에는 상기 전면 모듈커버(110)와 베이스플레이트(120)를 통과한 회동축(240)이 통과되어 너트(151)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장치(2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레스트(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같이 동작하며 일측 외주면에 다수의 래칫기어(211a)가 형성된 래칫부재(210)와, 상기 래칫부재(210)와 이 맞물림되어 래칫부재(210)의 회전을 일측 방향으로만 유도하여 단계별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동축(240)에 의해 축지지된 폴부재(220)와,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을 제약하며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230)와, 상기 랫치부재(210)를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모듈 커버(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아암지지축(250)과,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돌출형성되는 제1 스토퍼(122) 및 상기 제1 스토퍼(122)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어 랫치부재(210)의 회동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토퍼(123)와, 상기 아암지지축(250)의 일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아암(1)을 포함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래칫부재(210)는 판형상으로 정 중앙에는 상기 아암지지축(250)이 설치되기 위한 육각형상의 걸림구멍(2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멍(210a)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 외주면은 반호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래칫기어(211a)가 형성된 제1 걸림돌기(211)가 돌출형성되고, 또, 상기 제1 걸림돌기(211)와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쪽으로에는 제2 걸림돌기(21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부재(220)는 평판을 대략 "〈" 형상으로 가공하되, 일측이 상기 래칫부재(210)에 형성된 래칫기어(211a)와 이맞물림되기 위한 래칫기어(221a)를 가지는 제1 걸림부(221)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래칫부재(210)의 래칫기어 열 일단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래칫부재(21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걸림부(222)가 대략 "L"형상으로 꺽여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221,222) 사이 중앙에는 회동축(240)이 고정되기 위한 구멍(220a)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221)가 형성된 쪽에는 스프링 걸림구멍(220b)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30)의 일단이 걸어맞춤된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폴부재(220)의 회동에 대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아암레스트(1)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래칫부재(210)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래칫부재(210)와 이맞물림되어 있던 폴부재(220)는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대항하며 제1 스토퍼(122)까지 밀려나 갔다가 상기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는 역할과 상기 폴부재(220)를 래치부재(210) 쪽으로 강하게 밀어내어냄으로써, 래치부재(210)와 폴부재(220)가 더 견고하게 이맞물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0은 각종 와셔로 아암지지축(250) 설치시 나사 풀림 및 지속되는 마찰에 의한 마모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270은 부싱부재로 베이스플레이트(120) 중앙에 형성된 축결합부(121)에 삽입되어 각도조절장치(30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100)의 설치방법에 대해서 도 3 또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암레스트(1)를 시트 등받이(2)에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을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2) 프레임 안쪽에 위치시킨다.
이때, 등받이(2) 프레임에는 본 발명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100)에 형성된 볼트구멍(112)과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면 모듈커버(110)에 설치된 볼트(150)를 상기 등받이(2)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시킨 후,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에 형성된 너트(132)의 나선을 따라 조임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100)가 등받이(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레스트(1)를 상기 아암지지축(200)에 결합한 후,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도 8의 (a)는 아암레스트가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아암레스트가 상단으로 대략 30°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아암레스트가 프리 구간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때, 각도는 대략 110°정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e)는 아암레스트가 프리 상태로 있다가 하방으로 대략 125°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d)는 아암레스트가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처음 상태로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9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동작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레스트(1)가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로 있을 때, 각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래칫부재(210)와 폴부재(220)가 이 맞물림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암레스트(1)를 도 8의 (b)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아암레스트(1)를 들어 올리게 되면, 래칫부재(210)가 폴부재(220)로부터 이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되어 대략 30도 정도 각도로 회전되는 데 이때, 래칫부재(210)는 폴부재(220)에 의해 5°씩 단계별로 탁탁탁 소리를 내며 회전된다. 물론 폴부재(220) 역시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회동축(240)을 지지점으로 하여 왕복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폴부재(220)의 최대 회전반경은 제1 스토퍼(12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암레스트(1)를 도 8의 (c) 또는 도 9의 (c)와 같이, 수직으로 세우게되면, 상기 래칫부재(210)가 폴부재(220)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대략 110°각도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도 9의 (c)와 같이, 상기 래칫부재(210)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211)가 베이스플레이트(120)에 돌출되게 설치된 제2 스토퍼(123)에 의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폴부재(220)는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아암레스트(1)를 아래쪽으로 당겨 내리게 되면, 도 8의 (c) 상태에서 (d)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래칫부재(210)의 끝단 즉 기어가 없는 아래쪽 단이 폴부재(220)의 제2걸림부(222)를 밀어내는 동작에 의해 폴부재(220)에 형성된 래칫기어(221a)가 래칫부재(210)에 형성된 래칫기어(211a)로 부터 해방된 상태로 되며, 아암레스트(1)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아암레스트(1)가 완전하게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폴부재(220)가 탄성부재(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래칫부재(210)에 형성된 래칫기어(211a)와 이맞물리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부재들은 대부분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 가능하며 제작시 이들의 구성 중 일부가 본 발명과 상이할 수는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아암레스트 2 : 등받이
100 :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110 : 전면 모듈커버
111,121a,126 : 관통구멍 112 : 볼트구멍
120 : 베이스플레이트 121 : 축결합부
122 : 제1 스토퍼 123 : 제2 스토퍼
130 :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
131 : 축결합부 150 : 볼트
151 : 너트 200 : 아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210 : 래칫부재 211a : 래칫기어
220 : 폴부재 230 : 탄성부재
240 : 회동축 250 : 아암지지축

Claims (4)

  1. 전면 모듈 커버(110)와 후면 모듈 마운트브래킷(130)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베이스플레이트(120)를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 아암레스트(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어 다수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되도록 함에 있어서,
    아암지지축(250)이 설치되기 위해 정중앙에 형성된 걸림구멍(210a); 및
    상기 걸림구멍(210a)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 외주면은 반호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래칫기어(211a)가 형성된 제1 걸림돌기(2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211)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걸림돌기(212)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레스트(1)의 회전 동작에 따라 같이 동작하며 일측 외주면에 다수의 래칫기어(211a)가 형성된 래칫부재(210)와,
    상기 래칫부재(210)와 이 맞물림되어 래칫부재(210)의 회전을 일측 방향으로만 유도하여 단계별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동축(240)에 의해 축지지된 폴부재(220)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장치(200); 및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을 제약하며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230); 및
    상기 래칫부재(210)를 베이스플레이트(12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 모듈 커버(110)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아암지지축(250); 및
    상기 폴부재(220)의 회동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20)에 돌출형성되는 제1 스토퍼(122); 및
    상기 제1 스토퍼(122)와 대각선 방향에 설치되어 랫치부재(211)의 회동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스토퍼(123); 및
    상기 아암지지축(250)의 일단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아암(1);을 포함하여 하나의 아암레스트 조절키트(100)로 이루어져 자동차 등받이 측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220)는;
    일측이 상기 래칫부재(210)에 형성된 래칫기어(211a)와 이맞물림되기 위한 래칫기어(221a)가 형성되는 제1 걸림부(221)와, 타측은 상기 래칫부재(210)의 래칫기어 열 일단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래칫부재(21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제2걸림부(222); 및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221,222)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240);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KR1020190086048A 2019-07-16 2019-07-16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KR10227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48A KR102273729B1 (ko) 2019-07-16 2019-07-16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48A KR102273729B1 (ko) 2019-07-16 2019-07-16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51A KR20210009251A (ko) 2021-01-26
KR102273729B1 true KR102273729B1 (ko) 2021-07-07

Family

ID=7431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48A KR102273729B1 (ko) 2019-07-16 2019-07-16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424B1 (ko) * 2021-07-05 2023-03-1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암레스트
KR102549498B1 (ko) * 2021-07-09 2023-06-30 (주)현대공업 시트용 암 레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6054A (ja) * 2004-03-05 2007-09-13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回転軸を中心に回転可能な部品、特に車両のアームレストの角度を調整する角度調節装置。
KR101482030B1 (ko) *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US20160347215A1 (en) 2015-05-28 2016-12-01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armrest assembly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56U (ja) * 1982-07-20 1984-0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ムレスト付シ−ト
KR100217640B1 (ko) 1997-07-02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
KR200212635Y1 (ko) 1997-11-14 2001-02-15 오태환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9990030886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시트용 팔걸이의 틸트 구조
KR100554450B1 (ko) * 2003-05-07 2006-03-03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암레스트
KR20100030428A (ko)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레버를 이용한 시트 팔걸이 각도 조절장치
KR101589043B1 (ko) 2015-05-26 2016-01-28 (주)서연인테크 차량시트용 회동고정식 팔걸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6054A (ja) * 2004-03-05 2007-09-13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回転軸を中心に回転可能な部品、特に車両のアームレストの角度を調整する角度調節装置。
KR101482030B1 (ko) * 2013-11-13 2015-01-13 대원강업주식회사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US20160347215A1 (en) 2015-05-28 2016-12-01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armrest assembly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251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729B1 (ko)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US8998322B2 (en) Reaction force mechanism for backrest of chair and chair mounted with the same
JP4714212B2 (ja) 回転軸を中心に回転可能な部品、特に車両のアームレストの角度を調整する角度調節装置
JP4094421B2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WO2012073273A1 (ja) アームレスト装置
GB2532100A (en) Disassembly and assembly regulating device used for drawer panel
CN107415785B (zh) 一种汽车座椅无级调节扶手机构
JP2000138467A (ja) 機器用調整脚
CN201700758U (zh) 可调倾仰力的座椅底盘
JP2009012548A (ja) リフターの操作部構造
US2070387A (en) Theater seat
JPH1182881A (ja) 機器用調整脚
KR200436641Y1 (ko) 일체형 등판프레임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CN108162814B (zh) 内锁式汽车座椅滑轨
JP2018514341A (ja) 高さ調節機構を有する着座装置
CN209521581U (zh) 一种新型座椅靠背调节装置
JP5578668B2 (ja) 椅子
KR200429188Y1 (ko) 중량물의 높이 조절용 다리
DE2341790C3 (de) Bürodrehstuhl
RU134205U1 (ru) Наружная ручка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058378B1 (ko) 야외 설치용 의자
JP4964499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CN104964413A (zh) 格栅固定卡扣、格栅固定装置和空调器
CN113183838B (zh) 一种汽车座椅调角器
US20240188772A1 (en) Quick assembly and disassembly structure of a toilet seat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