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498B1 - 시트용 암 레스트 - Google Patents

시트용 암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498B1
KR102549498B1 KR1020220035158A KR20220035158A KR102549498B1 KR 102549498 B1 KR102549498 B1 KR 102549498B1 KR 1020220035158 A KR1020220035158 A KR 1020220035158A KR 20220035158 A KR20220035158 A KR 20220035158A KR 102549498 B1 KR102549498 B1 KR 10254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arm rest
toothed portion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805A (ko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윤대환
안성철
김민수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ublication of KR2023000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는 바디;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용 암 레스트{ARM REST FOR SEAT}
본 발명은 시트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동물(Verterbrate)인 인간의 신체 구조상 의자에서 장시간 앉은 자세로 생활하는 것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동일 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은 척추의 고착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상체와 하체 사이의 혈액순환을 저해하여 체내 균형을 깨트리고, 건강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장시간 차량에 탑승하는 상황에서 탑승자는 오랫동안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차량 운행 중 반복되는 상하 진동은 앉아 있는 탑승자의 척추에 동하중을 가중시킨다. 그에 따라, 탑승자의 신체적 피로도 누적된다.
탑승자의 피로를 경감하기 위해, 척추로 집중되는 신체 하중을 분산시켜주기 위한 기술들도 소개되고 있다. 일 예로, 시트에 팔을 받쳐줄 수 있는 암 레스트가 마련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암 레스트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춤형으로 이용되어야 하기에, 그의 경사각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암 레스트는 경사각을 무단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실린더와 같은 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암 레스트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제조 단가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잡하고 고가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경사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트용 암 레스트는, 시트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는 바디;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 유닛, 상기 이동 유닛, 및 상기 스톱핑 유닛을 내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핑 유닛은,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3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톱니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1 톱니부; 및 상기 제3 톱니부와 치합되고, 상기 제2-1 톱니부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2-2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톱니부와 상기 제2-2 톱니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심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 방향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상기 바디에 오목 형성되고, 상기 중심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 유닛은, 휘어진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톱니부와 상기 스톱핑 유닛 간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규제 상태와,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스톱핑 유닛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해제 상태 간에 전환되는 트리거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어, 상기 중심 샤프트가 상기 레일 중 상기 스톱핑 유닛과 가까운 단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규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스톱핑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리거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제1 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트리거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제2 접촉부까지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 샤프트에 대한 상기 바디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트리거를 회전시키는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바디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전환 돌기; 및 상기 바디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전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돌기와 상기 제2 전환 돌기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암 레스트에 의하면, 연결 샤프트에 대해 바디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 고정 유닛의 제1 톱니부에 치합되는 제2 톱니부를 갖는 이동 유닛은 바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 및 위치 이동하여 바디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스톱핑 유닛에 맞물려 바디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암 레스트의 경사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을 간단한 톱니 구조로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암 레스트에 고가의 실린더 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암 레스트의 구성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암 레스트(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하우징(125)이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암 레스트(100')의 구체적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암 레스트(100')가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암 레스트(100')가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암 레스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암 레스트(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암 레스트(100)는, 연결 샤프트(110), 바디(120), 고정 유닛(130), 이동 유닛(140), 그리고 스톱핑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110)는 시트(미도시)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다. 연결 샤프트(110)는 도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바디(120)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케이싱(121)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121)은 사용자의 팔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채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것이다. 케이싱(121)은 대체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되며, 가죽 등의 외피로 마감된 것일 수 있다.
케이싱(121)은 연결 샤프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21)의 일 단부측 영역에 연결 샤프트(1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케이싱(121)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25)에도 연결 샤프트(1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샤프트(110)는 하우징(125)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5)은 금속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5)에는 레일(129)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9)은 스톱핑 유닛(150)을 향해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구체적으로 연장 방향(E, 도 3 참조)을 따라 형성된다. 레일(129)은 하우징(125)에 오목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오목한 형태는 하우징(125)을 관통하도록 슬롯이 개구된 형상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연결 샤프트(110)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에 따라, 고정 유닛(130)은 바디(120)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의 몸체의 외주면에는 제1 톱니부(131)가 형성된다. 제1 톱니부(131)는 고정 유닛(130)의 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대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 중 일부 구간에 대해서만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동 유닛(140)은 바디(120)에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동 유닛(140)은 연결 샤프트(110)와 이격된 채로, 제1 톱니부(131)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유닛(140)은 제1 톱니부(131)와 치합되는 제2 톱니부(141)를 가진다.
제2 톱니부(141)는 이동 유닛(140)의 플레이트부(14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부(143)는 원판 형상을 갖고, 제2 톱니부(141)는 플레이트부(143)의 외주면 전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43)의 중심에서는 중심 샤프트(1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샤프트(145)는 플레이트부(143)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심 샤프트(145)는 레일(129)에 삽입되어 그의 연장 방향(E, 도 3 참조)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샤프트(145)는 연결 샤프트(110)와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스톱핑 유닛(150)은 정지 위치에서 이동 유닛(14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스톱핑 유닛(150)은 레일(129)을 따라 위치 이동하는 이동 유닛(14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스톱핑 유닛(150)은 정지 위치에서 이동 유닛(140)의 제2 톱니부(141)가 걸리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는 제2 톱니부(141)와 치합되는 제3 톱니부(151)가 채용될 수 있다. 제3 톱니부(151)는 스톱핑 유닛(150)의 몸체의 저면에 몇 개의 톱니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바디(120)가 회전하고 또한 정지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하우징(125)이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1의 상태에서 바디(120)를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들어 올릴 수 있다.
그 경우, 제1 톱니부(131)는 연결 샤프트(110)에 고정되어 있지만, 바디(1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톱니부(131)에 치합된 제2 톱니부(141)는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톱니부(141)의 회전에 따라 이동 유닛(140)은 회전하면서, 스톱핑 유닛(15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중심 샤프트(145)가 레일(129)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톱니부(141)는 스톱핑 유닛(150)의 제3 톱니부(151)와 이격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2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추가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이동 유닛(140)의 회전 및 위치 이동은 계속된다. 그에 따라, 이동 유닛(140)의 제2 톱니부(141)는 스톱핑 유닛(150)의 제3 톱니부(151)와 확실히 이격된 상태가 된다.
제2 톱니부(141)와 제3 톱니부(151) 간의 맞물림이 없기에, 바디(120)가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서 추가로 회전하는데는 제약이 없게 된다. 바디(120)는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서 360° 회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바디(120)를 적절히 들어 올렸다고 판단하여 그 자리에 고정하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바디(12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다소 회전시키면 된다. 이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를 거쳐서 도 1의 상태로 이르는 결과를 불러온다.
구체적으로, 바디(12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제1 톱니부(131)는 제1 회전 방향(R1)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경우, 제2 톱니부(141)는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하면서 스톱핑 유닛(150)을 향해 위치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톱니부(141)는 제3 톱니부(151)와 맞물려서, 도 1에서와 같이 이동 유닛(140)의 회전 및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이 경우에, 이동 유닛(140)이 회전하지 못함에 의해, 바디(120)는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바디(120)에 팔을 얹은 채로 바디(120)를 하방으로 누르거나 역시 같은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바디(120)는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암 레스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암 레스트(100')는 규제 구간(①)과 해제 구간(②, ③)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규제 구간(①)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100)에서와 같이, 이동 유닛(140)이 고정 유닛(130)과 작용하여 스톱핑 유닛(15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바디(120)의 제1 회전 방향(R1)을 따른 회전을 허용하나, 그 반대로 이동 유닛(140)이 고정 유닛(130)에 맞물림에 따라서는 바디(120)의 제2 회전 방향(R2)을 따른 회전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그와 달리, 해제 구간(②, ③)에서는 이동 유닛(140)은 구조적으로 스톱핑 유닛(150)과 맞물리지 않아서, 바디(120)는 제1 회전 방향(R1)뿐 아니라 제2 회전 방향(R2)으로도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규제 구간(①) 내에서 바디(120)의 경사각을 원하는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필요 이상으로 바디(120)의 경사각이 높아진 경우에는, 사용자는 바디(120)를 해제 구간(②)과 다른 해제 구간(③)을 순차로 거치게 하여, 다시 규제 구간(①)의 하단에 바디(1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규제 구간(①) 내에서 새롭게 바디(1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암 레스트(100')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도 4의 암 레스트(100')의 구체적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암 레스트(100)에서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암 레스트(10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 샤프트(110), 바디(120), 고정 유닛(130), 이동 유닛(140), 및 스톱핑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들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바디(120)의 하우징(125)은 전면부(126)와 배면부(127)를 갖는다. 전면부(126)와 배면부(127)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고정 유닛(130), 이동 유닛(140), 및 스톱핑 유닛(150)이 수용될 수 있다. 그들과 달리, 연결 샤프트(110)는 하우징(125)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유닛(140)의 제2 톱니부는 제2-1 톱니부(141)와 제2-2 톱니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1 톱니부(141)가 제1 톱니부(131)와 치합되는 것이라면, 제2-2 톱니부(142)는 제3 톱니부(151)와 치합되는 것이다. 제2-1 톱니부(141)와 제2-2 톱니부(142)는 적층되어서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그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톱니부(141)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가 작은 직경을 갖는 원판일 때, 제2-2 톱니부(14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는 큰 직경을 갖는 원판일 수 있다.
암 레스트(100')는 이상의 구성에 더하여, 조절 유닛(160)과 탄성지지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 유닛(160)은 제2 톱니부, 구체적으로 제2-2 톱니부(142)와 제3 톱니부(151) 간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규제 상태와, 맞물림을 허용하지 않는 해제 상태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규제 상태는 앞서의 규제 구간(①)에 대응되고, 해제 상태는 앞서의 해제 구간(②, ③, 도 4 참조)에 대응된다.
조절 유닛(160)은, 구체적으로 트리거(161)와 전환 부재(165)를 가질 수 있다.
트리거(161)는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되어, 중심 샤프트(145){및 제2-2 톱니부(142)}를 제3 톱니부(151)에서 이격된 위치로 밀어내거나, 제2-2 톱니부(142)와 제3 톱니부(151) 간의 맞물림을 허용한다. 전자의 경우는 해제 상태로서 중심 샤프트(145)는 레일(129) 중 스톱핑 유닛(150)과 가까운 단부에서 이격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는 규제 상태로서 중심 샤프트(145)가 상기 단부와 접촉하도록 허용된다.
트리거(161)는 바디(120), 또는 스톱핑 유닛(150)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트리거(161)는 대체로 삼각형 형태인 것으로 예시되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트리거(161)의 저면에는 제1 접촉부(162)와 제2 접촉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중심 샤프트(145)의 원주면을 수용하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촉부(162)는 규제 상태에서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된다. 이와 달리, 제2 접촉부(163)는 해제 상태에서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된다. 이를 위해, 제1 접촉부(162)와 제2 접촉부(163)의 위치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트리거(161)의 몸체의 회전 중심(164)로부터 제1 접촉부(162)까지의 거리는 제2 접촉부(163)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전환 부재(165)는 트리거(161)를 회전시켜서, 트리거(161)가 규제 상태와 해제 상태 간에 전환되게 하는 구성이다. 전환 부재(165)는 연결 샤프트(110)에 고정 결합되어, 연결 샤프트(110)에 대한 바디의 상대 회전시에 트리거(161)를 밀어서 회전키는 것이다.
전환 부재(165)는 트리거(161)와 접촉되는 제1 전환 돌기(166)와 제2 전환 돌기(167)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환 돌기(166)는 바디(12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에 트리거(161)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킨다. 그와 달리, 제2 전환 돌기(167)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에 트리거(161)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킨다. 제1 전환 돌기(166)와 제2 전환 돌기(167)는 연결 샤프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탄성지지 유닛(170)은 이동 유닛(140)을 스톱핑 유닛(150)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탄성지지 유닛(170)은 스프링, 구체적으로는 휘어진 판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지지 유닛(170)은 바디(120)에 설치되어 이동 유닛(140)을 지지하게 된다.
바디(120)가 규제 구간(①)을 거쳐 해제 구간(②)으로 진행하는 과정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암 레스트(100')가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바디(12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트리거(161)의 제1 접촉부(162)가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하다가 제2 접촉부(163)가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하도록 트리거(161)가 전환된다. 이는 전환 부재(165)의 제1 전환 돌기(166)가 트리거(161)의 몸체를 밀어서, 트리거(161)가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됨에 따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구간은 규제 구간(①)으로서, 바디(120)의 경사각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디(120)는 해제 구간(②)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중심 샤프트(145)는 제2 접촉부(163)과 접촉한 채로 레일(129)의 상단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이동 유닛(140)의 제2-2 톱니부(142)는 구조적으로 제3 톱니부(151)와 맞물리지 못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암 레스트(100')가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할 때의 암 레스트(100')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의 개념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120)는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되어, 전환 부재(165)는 상대적으로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 회전 중에, 전환 부재(165)의 제2 전환 돌기(167)는 트리거(161)의 몸체를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트리거(161)의 제1 접촉부(162)가 다시 중심 샤프트(145)와 접촉하게 되면서, 제2-2 톱니부(142)는 제3 톱니부(151)와 맞물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작동은 해제 구간(③) 내에서 일어나는 것임과 동시에, 다시 규제 구간(①)이 시작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용 암 레스트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시트용 암 레스트 110: 연결 샤프트
120: 바디 130: 고정 유닛
140: 이동 유닛 150: 스톱핑 유닛
160: 조절 유닛 170: 탄성지지 유닛

Claims (15)

  1. 시트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는 바디;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유닛; 및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가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정지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 상대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 유닛이 상기 제2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정지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 유닛, 상기 이동 유닛, 및 상기 스톱핑 유닛을 내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시트용 암 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핑 유닛은,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3 톱니부를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톱니부는,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1 톱니부; 및
    상기 제3 톱니부와 치합되고, 상기 제2-1 톱니부와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2-2 톱니부를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톱니부와 상기 제2-2 톱니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인, 시트용 암 레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심 샤프트를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은,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시트용 암 레스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바디에 오목 형성되고, 상기 중심 샤프트가 삽입되는 장홀을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유닛을 상기 스톱핑 유닛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른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정지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이동되는, 시트용 암 레스트.
  11. 시트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는 바디;
    제1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제1 톱니부와 치합되는 제2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및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유닛;
    상기 바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핑 유닛; 및
    상기 제2 톱니부와 상기 스톱핑 유닛 간의 맞물림을 허용하는 규제 상태와, 상기 제2 톱니부가 상기 스톱핑 유닛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해제 상태 간에 전환되는 트리거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톱니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어, 상기 중심 샤프트가 상기 레일 중 상기 스톱핑 유닛과 가까운 단부에서 이격되게 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규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바디 및 상기 스톱핑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리거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제1 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트리거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제2 접촉부까지의 거리 보다 짧은, 시트용 암 레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연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연결 샤프트에 대한 상기 바디의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트리거를 회전시키는 전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트용 암 레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바디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전환 돌기; 및
    상기 바디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트리거를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전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환 돌기와 상기 제2 전환 돌기는,
    상기 연결 샤프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시트용 암 레스트.
KR1020220035158A 2021-07-09 2022-03-22 시트용 암 레스트 KR10254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561 2021-07-09
KR20210090561 2021-07-09
KR1020210137083 2021-10-15
KR20210137083 2021-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805A KR20230009805A (ko) 2023-01-17
KR102549498B1 true KR102549498B1 (ko) 2023-06-30

Family

ID=8511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58A KR102549498B1 (ko) 2021-07-09 2022-03-22 시트용 암 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4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63Y1 (ko) * 2007-05-18 2007-12-17 임종열 컴퓨터를 구비하는 의자
JP2010125219A (ja) 2008-11-28 2010-06-10 Inoac Corp アームレスト
JP2015131519A (ja) * 2014-01-10 2015-07-23 備前発条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角度調節機構
KR102031263B1 (ko) * 2019-04-19 2019-10-11 주식회사 우보테크 암레스트 틸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949A (ja) * 1984-08-04 1986-02-28 Horiba Ltd 螢光x線測定装置
KR970012843U (ko) * 1995-09-28 1997-04-25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조정장치
KR970031764U (ko) * 1995-12-31 1997-07-24 자동차시트의 암레스트 회동구조
KR19980042554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차량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구조
KR19980055202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각도조절장치
KR102273729B1 (ko) * 2019-07-16 2021-07-07 대원산업 주식회사 아암레스트 각도조절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63Y1 (ko) * 2007-05-18 2007-12-17 임종열 컴퓨터를 구비하는 의자
JP2010125219A (ja) 2008-11-28 2010-06-10 Inoac Corp アームレスト
JP2015131519A (ja) * 2014-01-10 2015-07-23 備前発条株式会社 アームレスト角度調節機構
KR102031263B1 (ko) * 2019-04-19 2019-10-11 주식회사 우보테크 암레스트 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805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518B2 (ja) 椅 子
JP3742017B2 (ja) 事務椅子
US8313143B2 (en) Chair back with lumbar and pelvic supports
CA2816224C (en) Resistive support mechanism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9990022310A (ko) 경사제어 기구를 가진 의자
JPS63240806A (ja) 特にひざ型傾動椅子のための傾動機構
FI103754B (fi) Tuoliin liittyvä laite
KR102549498B1 (ko) 시트용 암 레스트
TW200940001A (en) Chair with back portion and armrest which can be leaned
KR102084357B1 (ko) 의자의 요추받침대
US20210204702A1 (en) Resistive support mechanism
US6513879B1 (en) Chair adjustment mechanism
KR20060120965A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102521635B1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CN212815352U (zh) 靠背椅调节结构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KR200385118Y1 (ko)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레인지 조절장치
KR101823120B1 (ko) 경사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용 암 핏 레스트
KR102541521B1 (ko) 의자 등받이용 요추받침 조정장치
KR200329536Y1 (ko)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장치
CN218791383U (zh) 一种同步抬升座椅
JP2519167B2 (ja) 椅子の背もたれのロッキング強さ調節装置
JP4132718B2 (ja) 椅子のロ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