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965A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965A
KR20060120965A KR1020050043225A KR20050043225A KR20060120965A KR 20060120965 A KR20060120965 A KR 20060120965A KR 1020050043225 A KR1020050043225 A KR 1020050043225A KR 20050043225 A KR20050043225 A KR 20050043225A KR 20060120965 A KR20060120965 A KR 2006012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backrest
support memb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303B1 (ko
Inventor
안기봉
Original Assignee
(주)체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체어텍 filed Critical (주)체어텍
Priority to KR102005004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3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3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시트부재(330)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등받이(300);
상기 프레임(310)에 양단이 볼트(410)로서 연결되면서 시트부재(3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400); 및,
상기 지지부재(400)에 거리조절수단(450)을 개재하여 연결되면서 지지부재(400)를 승,하강하는 승하강수단(470)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형상과 일치토록 밀착면(430)이 구비되는 허리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높낮이 및 거리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허리지지대를 사용자의 체형에 일치시킴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함은 물론 허리통증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허리지지대, 좌판부, 다리부, 밀착면, 지지부재

Description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a chair having the back of a chair with a variable}
도1a,b는 각각 종래의 요추지지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등받이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의 등받이 연결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캐스터 113...실린더
200...좌판부 300...등받이
310...프레임 330...시트부재
400...지지부재 475...볼
500...허리지지대
본 발명은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시트부재가 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와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면 서 시트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거리조절수단및 승하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허리부에 항상 밀착되는 상태로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는 좌석부, 등받이부와 팔걸이부 등으로 구성되어지며, 좌석부 및 등받이부에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 사무를 보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장시간 업무를 보게 되므로 허리의 통증을 많이 호소하게 된다.
이것은 인간 척추의 하부가 아주 완만한 'C'자 형태를 취하기 때문이며, 상기의 구부린 자세와 같이 허리에 좋지 않은 자세로 장시간 있게 되면 척추 하부가 비교적 곧은 직선의 상태로 되면서 상체의 하중이 척추 전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상기 척추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은 기본적인 구성에서 상기 등받이를 젖혀 지도록 하여 착석자가 허리를 펴기 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세를 착석자 스스로 교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등받이를 요추 지지가 되도록 볼록하게 형성 또는 쿠션을 장착하여 요추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받이가 젖혀지는 의자는 착석자가 자각하지 않는 한 요통을 예방할 수 없으며, 요추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의자는 요추지지부가 고정되어 있어 체형에 따른 요추지지부위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요추지지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79971호에 요추지지 의자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b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등받이(10)에 천공부(11)가 형성되어 그 내측에 요추지지부(50)가 연결되는 지지대(20)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20)는 삽입부(32)에 너트(34)를 갖는 회전손잡이(30)가 설치되어 요추지지대(50)에 형성되는 볼트부(41)와 치합되고, 상기 천공부에 형성되는 요철부(12)에 볼로서 탄성밀착되며, 상기 회전손잡이(30)는 돌기(33)로서 삽입공(25)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전,후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요추지지 의자는, 지지대(20)의 전방에 연결되는 요추지지부(50)가 회전손잡이(3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 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볼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요추지지 의자는, 상기 지지대(20)및 이에 연결되는 요추지지부(50)가 등받이(10)에 천공부(11)를 관통한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의자 자체의 강도저하 문제가 따르게 되고, 요추지지부(50)가 등받이에만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될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적은, 착석자의 요추에 정확하게 지지되는 허리지지대를 통하여 요추의 휨들을 방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항상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등에서의 열발산을 원활함은 물론 마찰시 촉감을 높일수 있도록 하고, 결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시트부재가 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볼트로서 연결되면서 시트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거리조절수단을 개재하여 연결되면서 지지부재를 승,하강하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형상과 일치토록 밀착면이 구비되는 허리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300)와 지지부재(400)및 허리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의자는, 이동가능하게 캐스터(111)가 연결되면서 실린더(113)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하는 다리부(100)가 저면에 연결되는 좌판부(200)와 상기 좌판부(200)에 프레임(310)을 통하여 연결되는 등받이(300)로 이루어 진다.
상기 등받이(30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시트부재(330)가 프레임(310)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부재(330)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망상부재로 이루어 진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프레임(310)에 양단이 볼트(410)로서 연결되면 서 시트부재(3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허리지지대(500)는, 상기 지지부재(400)에 거리조절수단(450)을 개재하여 연결되면서 지지부재(400)를 승,하강하는 승하강수단(470)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형상과 일치토록 밀착면(430)이 구비된다.
상기 거리조절수단(450)은,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요부(457a)가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편(457)과 상기 고정편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면서 내측에 나사산(453a)이 구비되는 구동부재(453)과 상기 구동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451a)이 형성되는 종동부재(451)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승하강수단(470)는, 상기 지지부재(400)의 요홀(410a)에 장착되면서 요철(473a)을 갖는 가이드홀(473c)이 형성되어 볼트(473b)로서 결합되는 작동판(473), 상기 종동부재(451)에 돌출되는 이송돌기(475b)와 스프링(475a)으로서 탄성연결되는 볼(475)로서 연결되는 지지판(471)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자는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113)의 조정에 의해 좌판부(200)의 높낮이가 조절됨은 물론 상기 다리부(100)에 설치되는 다수의 캐이터(110)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200)에 연결되는 등받이(300)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장자리에만 위치하는 프레임(310)을 소정의 강도를 갖는 망상의 시트부재 (330)가 씌워지는 형상으로 사용자의 등에 시원한 느낌을 주게됨은 물론 프레임(310)에 의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310)의 높이방향 중앙부에는 호형상을 이루어 시트부재(33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부재(400)가 볼트(410)로서 연결되어 그 공간에 허리지지대(500)의 연결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허리지지대(500)는,소정의 인장력으로 프레임(310)에 지지되는 시트부재(330)에 의해 지지되는 사용자의 등에 하중이 실리게 되면 상기 시트부재(330)의 후방에 밀착되면서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사용자의 요추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착면(430)에 의해 허리부를 지지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불편함이 없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허리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밀착면(430)을 갖는 허리지지대(500)는 그 일측에 지지부재(400)에 연결될 때 그 전방으로 전,후진 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허리지지대(500)을 전,후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리조절수단(450)및 승하강수단(470)의 동작은 손잡이의 역활을 하는 구동부재(453)및 지지부재(400)본체를 승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동된다.
먼저, 상기 거리조절수단(450)을 설명하면, 요부(457a)를 통하여 지지부재(400)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고정편(457)을 턱이나 베이링등을 통하여 구동부재(453)에 연결하여 구동부재(453)가 자유롭게 회전토록 하고, 이때 상기 구동부재(453)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453a)이 종동부재(45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 사산(451a)과 치합되어 구동부재의 회전시 종동부재가 전,후진하여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수단(470)의 동작의, 상기 종동부재(451)의 일단에 돌출되는 이송돌기(475b)가 허리지지대(500)의 요홀(410a)에 고정되는 작동판(473)의 가이드홀(473c)을 관통하여 지지판(471)과 결합됨으로써 종동부재(451)가 허리지지대(500)에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허리지지대(500)가 종동부재(451)를 중심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부재(451)의 일측에 탄성연결되는 볼(475)이 작동판(473)에 형성되는 요철(473a)에 마찰되어 일정위치에서 위치결정되어 그 움직임이 방지토록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일정위치에 이동시 시트부재(330)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종동부재(451)의 밀착력에 미끄럼이 방지토록 되고, 구동부재(453)의 회전에 의해 거리이동이 가능토록 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에 항상 일정하게 위치되어 요추를 지지함으로써 요추의 무리로 인한 변형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자의 요추에 정확하게 지지되는 허리지지대를 통하여 요추의 휨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항상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등에서의 열발산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마찰시 촉감을 높이고, 결고한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4)

  1. 이동가능하게 캐스터(111)가 연결되면서 실린더(113)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하는 다리부(100)가 저면에 연결되는 좌판부(200)와 상기 좌판부(200)에 프레임(310)을 통하여 연결되는 등받이(300)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시트부재(330)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등받이(300);
    상기 프레임(310)에 양단이 연결되면서 시트부재(33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일정 강도를 유지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400); 및,
    상기 지지부재(400)에 거리조절수단(450)을 개재하여 연결되면서 지지부재(400)를 승,하강하는 승,하강수단(470)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형상과 일치토록 밀착면(430)이 구비되는 허리지지대(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수단(450)은,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요부(457a)가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편(457)과, 상기 고정편이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면서 내측에 나사산(453a)이 구비되는 구동부재(453)와, 상기 구동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451a)이 형성되는 종동부재(451)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470)는, 상기 지지부재(400) 의 요홀(410)에 장착되면서 수직방향에 가이드홀(473c)이 형성되는 작동판(473), 상기 종동부재(451)의 일단에 돌출되는 이송돌기(475b)에 결합되는 지지판(471)으로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470)은, 상기 작동판(473)에 요철(473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판(473)에 밀착되는 종동부재(451)에 스프링(475a)으로서 탄성연결되는 볼(475)이 돌출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0050043225A 2005-05-23 2005-05-23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25A KR100708303B1 (ko) 2005-05-23 2005-05-23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25A KR100708303B1 (ko) 2005-05-23 2005-05-23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29U Division KR200394227Y1 (ko) 2005-06-09 2005-06-09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65A true KR20060120965A (ko) 2006-11-28
KR100708303B1 KR100708303B1 (ko) 2007-04-17

Family

ID=3770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2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303B1 (ko) 2005-05-23 2005-05-23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3857A (zh) * 2012-10-31 2014-05-14 山东申安照明科技有限公司 椅子
KR102314380B1 (ko) * 2021-05-18 2021-10-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요추받침대
KR20230023848A (ko) * 2021-08-10 2023-02-20 이종만 복합 기능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01B1 (ko) 2018-08-31 2019-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요추받이부 굴곡조절모듈이 구비된 의자
WO2023239262A2 (ru) * 2022-06-10 2023-12-14 Амир ФАТКУЛЛИН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WO2024232782A1 (ru) * 2023-05-11 2024-11-14 Амир Анварович ФАТКУЛЛИН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WO2025034161A1 (en) * 2023-08-07 2025-02-13 Razer (Asia-Pacific) Pte. Ltd. Back-support assembly and chair with back-suppor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2190B2 (en) * 2001-06-15 2003-06-03 Hon Technology Inc. Lumbar support for a chair
KR20030021087A (ko) * 2001-09-05 2003-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JP4149755B2 (ja) * 2002-07-22 2008-09-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396260Y1 (ko) 2005-07-01 2005-09-20 (주)거성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3857A (zh) * 2012-10-31 2014-05-14 山东申安照明科技有限公司 椅子
KR102314380B1 (ko) * 2021-05-18 2021-10-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요추받침대
KR20230023848A (ko) * 2021-08-10 2023-02-20 이종만 복합 기능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303B1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8250C (en) Invalid's chair construction
US5704689A (en) Chair having separable back
US6485443B1 (en) Seating products with self powered dynamic massage units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CN213820632U (zh) 座椅
KR102277397B1 (ko)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KR101198520B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708303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KR20150060230A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KR200394227Y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JP4838452B2 (ja) 傾動椅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KR102241748B1 (ko)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0743937B1 (ko) 가변 등받이형 의자
KR100795528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KR102541521B1 (ko) 의자 등받이용 요추받침 조정장치
CN218008958U (zh) 一种后背结构可调的办公椅
KR102341830B1 (ko)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