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61B1 - 음식물 쿨링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쿨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61B1
KR102273561B1 KR1020200082730A KR20200082730A KR102273561B1 KR 102273561 B1 KR102273561 B1 KR 102273561B1 KR 1020200082730 A KR1020200082730 A KR 1020200082730A KR 20200082730 A KR20200082730 A KR 20200082730A KR 102273561 B1 KR102273561 B1 KR 10227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ousing body
food
hol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아
Original Assignee
조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아 filed Critical 조은아
Priority to KR102020008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7Table-war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8Table-ware with means for influencing 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람을 통해 이유식과 같은 뜨거운 음식물을 식히는 쿨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배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공간의 하단에 설치되고, 냉각부 및 발열부가 상하로 배치된 펠티어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의 상단에는 바람을 냉각시키도록 냉각판이 배치된 냉각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펠티어소자 및 냉각판을 구비함으로써,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냉각 후 배출시켜 음식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쿨링장치{APPARATUS FOR COOL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뜨거운 음식, 특히 뜨거운 이유식을 식히기 위해 사용되는 음식물 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경우 혼자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없으므로, 보호자가 이유식과 같은 조리된 음식물을 데운 후 수저에 떠서 먹여주게 된다.
이때, 음식물을 유아에게 먹이기 전 보호자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 데워진 음식물을 식힌 후 먹이게 되는데, 식히는 과정에서 음식물을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보조자의 입술에 수저의 음식물을 닿게 해서 온도를 확인하거나, 손등에 수저 또는 음식물을 닿게 하여, 음식물의 뜨거운 정도를 보호자가 확인 한 후 유아에게 먹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호자가 음식물의 온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이물질이나 세균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피부를 통해 음식물의 온도를 확인하게 되므로 균일한 온도의 측정이 어려워 제대로 식히지 않은 음식물을 유아에게 먹여 입안이 데이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0702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뜨거운 음식물, 특히 뜨거운 이유식을 적당한 온도로 식혀 음식 취식 시 입이 데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유아가 혼자서도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쿨링장치는, 바람을 통해 이유식과 같은 뜨거운 음식물을 식히는 쿨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배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공간의 하단에 설치되고, 냉각부 및 발열부가 상하로 배치된 펠티어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의 상단에는 바람을 냉각시키도록 냉각판이 배치된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이 단열팽창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송풍구의 전방에 배치된 음식물의 온도 및 외형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된 수냉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의 하단에 상기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순환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냉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수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송풍팬 미작동 시 상기 송풍구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방 중 상기 송풍구와 인접하는 일측에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송풍구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홀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제1 핀이 결합되며, 제2 홀에는 제2 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위치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쿨링장치에 따르면,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펠티어소자 및 냉각판을 구비함으로써,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냉각 후 배출시켜 음식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구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단열팽창에 의해 냉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쿨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람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음식물 쿨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쿨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람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쿨링장치는 뜨거운 음식물, 특히 뜨거운 이유식을 신속하게 식힐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쿨링장치(100)는 하우징본체(110), 송풍팬(120), 냉각수단(130) 및 수냉수단(1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10)는 내부 송풍공간(111)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송풍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구(112)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는, 상기 송풍구(112)를 통해 바람이 배출 시 상기 송풍구(112) 내에서 단열팽창이 발생되도록 하여 배출되는 바람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하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의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때 패드는 흡착판으로 형성되어 아이가 상기 하우징본체(110)를 손이나 발로 치더라도 상기 하우징본체(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흡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전방 일측에는 적외선 센서(113)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113)는 상기 송풍구(112)의 전방에 배치된 음식물의 온도 및 외형을 검출하여 측정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센서(113)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은 온도값과 외형값을 말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적외선 센서(113)와 연결되어, 상기 적외선 센서(113)로부터 측정된 온도값과 외형값을 전달받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적외선 센서(113)로부터 온도값을 전달받아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보다 클 경우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뜨거운 음식물을 적정 온도까지 떨어뜨리기 위해 상기 적외선 센서(113)를 통해 온도를 측정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외형검사 방식으로 음식물의 점성을 파악하며, 저온 공기접촉 시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딥러닝을 통해 자동적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적정 온도는 대략 37.5도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신호는 후술될 송풍팬(1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적신호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는 전원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115)는 상기 하우징본체(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시키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일측에는 액정이 구비된 디스플레이(116)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16)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표시된다.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송풍구(112)를 통해 바람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전원부(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배기되는 바람의 온도는 대략 25도이다.
또한,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제어부(114)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4)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전달된 온도값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에 따른 세기값이 포함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풍팬의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송풍팬(120)은 바람의 세기가 1단 내지 5단으로 순차적으로 RPM이 빨라지는 세기를 가지며, 음식물의 온도가 80도 내지 100도일 경우 5단의 세기로 작동되며, 음식물의 온도가 40도 이하일 경우 1단의 세기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송풍팬(120)의 후방에 형성된 흡기구(미도시)에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필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흡기구를 따라 외부 이물질이 유입 시 상기 송풍구(112)를 따라 음식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냉각수단(130)은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부(1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송풍공간(111)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단(130)에는 냉각부(131a) 및 발열부(131b)가 상하로 배치된 펠티어소자(131)(Peltier素子)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펠티어소자(131)는 다른 종류의 두 금속을 접합한 후, 전류를 통할 때에 그 접합부가 냉각되는 현상을 이용한 냉각 방식을 말한다.
상기 냉각부(131a)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냉각시키도록 냉각판(131c)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냉각판(131c)은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배기되는 바람의 흐름을 방지하지 않도록 바람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단(130)은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배기되는 바람의 온도가 대략 -10도 내지 -15도가 되도록 냉각시키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냉수단(140)은 상기 냉각수단(130)의 발열부(131b)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냉각수가 저장된 수냉탱크(141)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131b)의 하단에 상기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된 순환관(1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냉탱크(141)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냉온도센서(143)가 구비된다.
상기 수냉온도센서(143)는 상기 수냉탱크(141)의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116)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수냉탱크(141)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배출구(117) 및 주입구(118)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전방에는 상기 송풍팬(120)의 미 작동 시 상기 송풍구(112)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15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본체(110)의 전방 중 상기 송풍구(112)와 인접하는 일측에는 이동홈(119)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19)에는 이동부재(119a)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119a)의 단부에는 암나사산(119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19)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119a)와 연결된 스프링(119c)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19c)은 상기 이동부재(119a)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진다.
상기 덮개(150)는 상기 송풍구(112)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19)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홀(15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제1 홀(151)과 직교되도록 연통된 제2 홀(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홀(151)에는 제1 핀(153)이 결합되고, 제2 홀(152)에는 제2 핀(154)이 결합된다.
상기 제1 핀(153)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암나사산(119b)과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153a)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2 홀(152)과 직교되는 위치에 제1 베벨기어(153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핀(154)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153b)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54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쿨링장치에 따르면,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펠티어소자 및 냉각판을 구비함으로써,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냉각 후 배출시켜 음식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바람이 배출되는 송풍구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단열팽창에 의해 냉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쿨링장치 110: 하우징본체
111: 송풍공간 112: 송풍구
113: 적외선 센서 114: 제어부
115: 전원부 116: 디스플레이
117: 배출구 118: 주입구
120: 송풍팬 130: 냉각수단
131: 펠티어소자 131a: 냉각부
131b: 발열부 131c: 냉각판
140: 수냉수단 141: 수냉탱크
142: 순환관 143: 수냉온도센서

Claims (5)

  1. 바람을 통해 이유식과 같은 뜨거운 음식물을 식히는 쿨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송풍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바람을 배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공간의 하단에 설치되고, 냉각부 및 발열부가 상하로 배치된 펠티어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의 상단에는 바람을 냉각시키도록 냉각판이 배치된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구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이 단열팽창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송풍구의 전방에 배치된 음식물의 온도 및 외형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원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된 수냉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의 하단에 상기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순환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냉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수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송풍팬 미작동 시 상기 송풍구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방 중 상기 송풍구와 인접하는 일측에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에는 이동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된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송풍구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1 홀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홀과 직교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제1 핀이 결합되며, 제2 홀에는 제2 핀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제2 홀과 직교되는 위치에 제1 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핀은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도록 제2 베벨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쿨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2730A 2020-07-06 2020-07-06 음식물 쿨링장치 KR10227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30A KR102273561B1 (ko) 2020-07-06 2020-07-06 음식물 쿨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30A KR102273561B1 (ko) 2020-07-06 2020-07-06 음식물 쿨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561B1 true KR102273561B1 (ko) 2021-07-06

Family

ID=7686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30A KR102273561B1 (ko) 2020-07-06 2020-07-06 음식물 쿨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41B1 (ko) * 2022-10-17 2023-03-16 영농조합법인 금봉산농원 스마트 장독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57A (ko) * 1999-12-04 2001-07-02 박수복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탱크의 온도 제어장치
KR20020013883A (ko) * 2000-03-14 2002-02-21 델타 티, 엘엘씨 과일 냉각기
KR200429178Y1 (ko) * 2006-07-26 2006-10-18 이상진 푸드쿨러
KR20180122227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이지티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기용 냉각장치
KR102070293B1 (ko) 2019-02-01 2020-03-02 조은아 온도검출을 통한 음식물 자동쿨링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57A (ko) * 1999-12-04 2001-07-02 박수복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탱크의 온도 제어장치
KR20020013883A (ko) * 2000-03-14 2002-02-21 델타 티, 엘엘씨 과일 냉각기
KR200429178Y1 (ko) * 2006-07-26 2006-10-18 이상진 푸드쿨러
KR20180122227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이지티앤에스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풍기용 냉각장치
KR102070293B1 (ko) 2019-02-01 2020-03-02 조은아 온도검출을 통한 음식물 자동쿨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41B1 (ko) * 2022-10-17 2023-03-16 영농조합법인 금봉산농원 스마트 장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561B1 (ko) 음식물 쿨링장치
US8663979B2 (en) Culture apparatus
JP2017219308A (ja) 電気機器
JP2014137890A (ja) 充電装置
CN103932609B (zh) 一种全自动多功能料理器
JP5495769B2 (ja) 電気炊飯器
CN104352241B (zh) 一种红外线指纹显示仪
JP2018534582A (ja) ポータブル血液粘度測定装置
CN105492829A (zh) 加热烹调器
CN105727807A (zh) 教学实验用远红外搅拌加热装置
JP5800622B2 (ja) 加熱調理器
WO2014190475A1 (zh) 一种暖奶器
CN208043677U (zh) 基于透光法的鸡蛋熟度检测装置
CN105378388A (zh) 电气设备
CN207604863U (zh) 一种电烤炉
CN210894315U (zh) 一种药理研究用给药检测装置
CN205352579U (zh) 感温探测器成品检测设备
CN204360242U (zh) 自动恒温器
CN207219061U (zh) 一种pid电烤炉
CN208598189U (zh) 一种调奶、暧奶器
CN111096341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月饼全自动烘烤设备及方法
CN206931162U (zh) 一种医疗存储漏气检测装置
CN219540107U (zh) 临床试验加速试管内药物溶解装置
CN110720843A (zh) 一种热风式加热器
CN205720546U (zh) 一种用于热老化测试的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