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59B1 -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 Google Patents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59B1
KR102271859B1 KR1020200156908A KR20200156908A KR102271859B1 KR 102271859 B1 KR102271859 B1 KR 102271859B1 KR 1020200156908 A KR1020200156908 A KR 1020200156908A KR 20200156908 A KR20200156908 A KR 20200156908A KR 102271859 B1 KR102271859 B1 KR 10227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einforcing member
upper tray
lower tra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주열
이충환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곡
공주열
이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곡, 공주열, 이충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곡
Priority to KR102020015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부품적재포켓(130)이 함몰 형성되며 테두리영역에 복수개의 상부리벳결합공(140)이 형성된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가 상부에 적층되며 테두리영역에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에 대응되는 하부리벳결합공(270)이 형성된 하부트레이(2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에 부품이 적재되었을 때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300,350)와;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과 상기 하부리벳결합공(270)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리벳(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Reinforcement Wafer Load Tray}
본 발명은 부품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강도가 보강되어 중량이 무거운 부품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부품적재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생산현장에서 생산된 각 산업부품들은 생산현장으로 오염없이 안전하게 이송되기 위해 부품트레이가 사용된다. 부품트레이는 복수개의 부품을 함께 적재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부품트레이의 일례로 기판을 적재하는 기판 적재용 트레이가 등록특허 10-0819172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판 적재용 트레이는 상면에 복수개의 기판이 적재되는 기판적재포켓이 판면에 대해 함몰되게 형성된다. 종래 기판 적재용 트레이는 합성수지를 진공성형 또는 사출성형하여 홑겹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기판이 부품적재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부품처리를 위해 이송로봇이 부품적재트레이의 양측을 들어올리게 되면 기판적재트레이가 기판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렇게 기판적재트레이가 휘어지는 경우 기판이 기판포켓으로부터 낙하되거나, 외부의 오염물질과 닿아 부품 표면이 오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운 다양한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부품트레이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부품이 적재되더라도 부품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는, 복수개의 부품적재포켓(130)이 함몰 형성되며 테두리영역에 복수개의 상부리벳결합공(140)이 형성된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가 상부에 적층되며 테두리영역에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에 대응되는 하부리벳결합공(270)이 형성된 하부트레이(2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에 부품이 적재되었을 때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300,350)와;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과 상기 하부리벳결합공(270)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리벳(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트레이(100)가 적층되었을 때 상기 하부트레이(200)에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을 접촉지지하는 복수개의 포켓지지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판면과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가운데 영역을 지지하는 중앙보강언덕(230)과,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테두리영역에 이웃하는 부품적재포켓(130) 사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테두리영역을 지지하는 테두리지지돌기(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300,350)는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보강부재(300)와, 상기 가로보강부재(300)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세로보강부재(35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보강언덕(230)에는 상기 가로보강부재(300)가 삽입되는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강언덕(230)과 상기 테두리지지돌기(240)에는 상기 세로보강부재(350)가 삽입되는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은 상기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 보다 깊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는 강도 보강을 위해 상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를 위아래로 적층하고, 이들 사이에 보강부재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종래 홑겹으로 형성되던 부품적재트레이에 비해 강도가 현저히 보강되어 부품이송시 부품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트레이가 휘어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부품적재트레이(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부품적재트레이(1)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1)는 상면에 다양한 종류의 부품(A)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품적재트레이(1)에 적재되는 부품(A)은 다양한 기계부품, 배터리팩, 기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1)는 강도보강을 위해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가 적층된 후 결합되어 제조된다. 즉, 종래 홑겹으로 제조되었던 것과 비교할 때 두 겹이 적층되므로 강도를 일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부재(300,350)를 배치하여 강도를 이차적으로 보강하여 부품(A)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트레이(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트레이(100)는 상면에 부품이 적재된다. 상부트레이(100)는 상부트레이본체(110)와, 상부트레이본체(110)의 테두리영역에 일정높이 단차지게 형성된 상부결합면(120)과, 상부트레이본체(110)의 판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부품(A)이 적재되는 부품적재포켓(130)과, 상부결합면(120)과 상부트레이본체(1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부리벳결합공(140)을 포함한다.
상부트레이(100)는 합성수지를 진공성형 또는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부품적재포켓(130)은 적재되는 부품(A)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부트레이본체(110)에 대해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부품적재포켓(130)은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리벳결합공(140)은 상부트레이본체(110)와 상부결합면(120)의 판면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부리벳결합공(140)은 부품적재포켓(13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하부트레이(200)는 상부트레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트레이(100)의 강도를 보강하고 부품(A)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하부트레이(200)는 상부트레이(100)의 상부트레이본체(1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하부트레이본체(210)와, 하부트레이본체(21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부결합면(120)과 접촉되는 하부결합면(220)과, 하부트레이본체(210)의 가운데 영역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트레이(100)의 가운데 영역을 접촉지지하는 중앙보강언덕(230)과, 하부결합면(2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부트레이(100)의 테두리영역을 접촉지지하는 테두리지지돌기(240)를 포함한다.
하부트레이본체(210)는 하부결합면(220)에 대해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본체(210)는 부품적재포켓(130)의 함몰깊이보다 더 깊이 함몰되어 부품적재포켓(130)을 지지한다. 이 때, 하부트레이본체(210)의 바닥면에는 부품적재포켓(130)의 배치위치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포켓지지돌기(211)가 돌출형성된다. 포켓지지돌기(211)는 부품적재포켓(130)과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부품적재포켓(130)의 하부를 받친다.
이에 의해 부품적재포켓(130)에 적재된 부품(A)의 무게가 포켓지지돌기(211)에 의해 분산지지될 수 있다.
하부결합면(220)은 상부결합면(120)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부결합면(120)과 접촉되며 결합된다. 하부결합면(220)과 하부트레이본체(210)의 판면에는 상부리벳결합공(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리벳결합공(270)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부리벳결합공(140)과 하부리벳결합공(270)에는 리벳(400)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400)은 상부리벳결합공(140)과 하부리벳결합공(270)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상부리벳결합공(140)과 하부리벳결합공(270)은 부품적재포켓(130)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수로 형성되는 것이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의 결합구속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의 가운데 영역, 테두리영역, 그리고 상부결합면(120)과 하부결합면(220)의 둘레영역을 따라 복수개의 리벳결합공(140,270)이 형성된다.,
중앙보강언덕(230)은 하부트레이본체(210)의 가운데 영역의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트레이본체(110)을 접촉지지한다. 테두리지지돌기(240)는 하부트레이본체(210)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부트레이본체(110)의 테두리영역을 접촉지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상부트레이(100)는 상부트레이본체(110)의 가운데 영역을 제외하고 좌우에 5개의 부품적재포켓(130)이 형성된다.
중앙보강언덕(230)은 상부트레이본체(110)의 가운데영역의 하부를 접촉지지하고, 복수개의 테두리지지돌기(240)는 복수개의 부품적재포켓(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트레이본체(110)를 지지한다. 복수개의 부품적재포켓(130)은 이웃하는 부품적재포켓(130) 사이에 하부결합면(220)과 접하게 돌출형성된다.
이에 의해 부품적재포켓(130)에 적재된 부품(A)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포켓(130)이 하강되지 않도록 테두리지지돌기(240)가 무게를 분산지지하며 강도를 보강한다.
중앙보강언덕(230)에는 가로보강부재(300)가 삽입되는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이 형성된다.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에는 가로보강부재(300)가 안착된다.
중앙보강언덕(230)과 테두리지지돌기(240)에는 세로보강부재(350)가 삽입되는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이 형성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과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에 삽입된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의 깊이가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 보다 깊게 형성된다.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는 하부트레이(200)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가 적층되었을 때 부품(A)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트레이(1)가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돌록 강도를 보강한다.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는 금속와이어 또는 플라스틱와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로보강부재(300)와 두 개의 세로보강부재(350)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이들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앙보강언덕(230)과 테두리지지돌기(240)에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하부트레이본체(210)의 바닥면에도 보강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의 배치위치와 배치개수는 적재되는 부품(A)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1)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를 각각 진공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준비한다.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를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과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에 안착시킨다.
준비된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를 서로 적층하고, 복수개의 상부리벳결합공(140)과 하부리벳결합공(270)이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리벳(400)을 각각의 상부리벳결합공(140)과 하부리벳결합공(270)에 체결하여 상부트레이(100)와 하부트레이(200)를 고정한다.
이렇게 제조가 완료된 부품적재트레이(1)의 부품적재포켓(130)에는 부품(A)을 안착시킨다. 이렇게 부품(A)이 안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적재포켓(130)의 하부에 배치된 포켓지지돌기(211)가 부품적재포켓(130)의 하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중앙보강언덕(230)과 테두리지지돌기(240)가 부품(A)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한다.
부품적재트레이(1)를 부품이송로봇이 들어올릴 경우, 내부에 수용된 가로보강부재(300)와 세로보강부재(350)가 강도를 보강하여 부품(A)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트레이(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이해 부품적재트레이(1)가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품(A)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적재트레이는 강도 보강을 위해 상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를 위아래로 적층하고, 이들 사이에 보강부재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종래 홑겹으로 형성되던 부품적재트레이에 비해 강도가 현저히 보강되어 부품이송시 부품의 무게에 의해 부품적재트레이가 휘어지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부품적재트레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부품적재트레이 100 : 상부트레이
110 : 상부트레이본체 120 : 상부결합면
130 : 부품적재포켓 140 : 상부리벳결합공
200 : 하부트레이 210 : 하부트레이본체
211 : 포켓지지돌기 220 : 하부결합면
230 : 중앙보강언덕 240 : 테두리지지돌기
250 : 가로보강부재결합홈 260 : 세로보강부재결합홈
270 : 하부리벳결합공 300 : 가로보강부재
350 : 세로보강부재 400 : 리벳
A : 부품

Claims (4)

  1. 복수개의 부품적재포켓(130)이 복수개의 행과 열로 함몰 형성되며 테두리영역과 가운데 영역에 복수개의 상부리벳결합공(140)이 형성된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가 상부에 적층되며 테두리영역과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에 대응되는 하부리벳결합공(270)이 형성된 하부트레이(200)와;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에 부품이 적재되었을 때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300,350)와;
    상기 상부리벳결합공(140)과 상기 하부리벳결합공(270)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와 상기 하부트레이(20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리벳(40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트레이(200)는,
    상기 상부트레이(100)가 적층되었을 때 상기 하부트레이(200)에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부품적재포켓(130)을 접촉지지하는 복수개의 포켓지지돌기(211)와;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판면과 접촉되도록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가운데 영역을 지지하는 중앙보강언덕(230)과;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테두리영역에 이웃하는 부품적재포켓(130) 사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트레이(100)의 테두리영역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테두리지지돌기(240)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300,350)는 상기 하부트레이(200)의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 형태의 가로보강부재(300)와; 상기 가로보강부재(300)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와이어 형태의 세로보강부재(350)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보강언덕(230)에는 상기 가로보강부재(300)가 삽입되는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보강언덕(230)과 상기 테두리지지돌기(240)에는 상기 세로보강부재(350)가 삽입되는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보강부재결합홈(260)은 상기 가로보강부재결합홈(250) 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56908A 2020-11-20 2020-11-20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KR10227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908A KR102271859B1 (ko) 2020-11-20 2020-11-20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908A KR102271859B1 (ko) 2020-11-20 2020-11-20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59B1 true KR102271859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908A KR102271859B1 (ko) 2020-11-20 2020-11-20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53U (ko) * 1989-11-14 1991-06-28 구광실업 주식회사 팰리트
JP2001072173A (ja) * 1999-09-03 2001-03-21 Daiwa Shinku:Kk 物品搬送容器
KR101442084B1 (ko) * 2014-02-26 2014-09-23 주식회사 성곡 보강트레이
JP3223389U (ja) * 2019-07-23 2019-10-03 ムツミ産業株式会社 嵌め替え式トレ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53U (ko) * 1989-11-14 1991-06-28 구광실업 주식회사 팰리트
JP2001072173A (ja) * 1999-09-03 2001-03-21 Daiwa Shinku:Kk 物品搬送容器
KR101442084B1 (ko) * 2014-02-26 2014-09-23 주식회사 성곡 보강트레이
JP3223389U (ja) * 2019-07-23 2019-10-03 ムツミ産業株式会社 嵌め替え式トレ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771A (en) Spacer trays for stacking storage trays with integrated circuits
JP4261411B2 (ja) 積重ね可能な集積回路用トレイ
CN112203942B (zh) 具可移动支撑块的可修复塑胶托盘及相关方法
US6612442B2 (en) Tray for storing semiconductor chips
US5794784A (en) Tray for integrated circuits
JP5951978B2 (ja) 収納トレー
KR20070117455A (ko) 웨이퍼 수납 용기
KR200464274Y1 (ko) 기판 적재용 트레이
KR20090113268A (ko) 집적 회로 칩들을 위한 지지대 포킷 트레이 격납용기 시스템
US7163104B2 (en) Tray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874434B2 (en) Substrate carrying tray
JP2005178839A (ja) 基板収納用トレイ
KR102271859B1 (ko) 강도보강 부품적재트레이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4106225B2 (ja) 電子部品等の収納トレー
JPH0632384A (ja) 集積回路用トレイ
KR100819172B1 (ko) 플레이트 적재 트레이
CN106169438B (zh) 半导体芯片托盘
JP4215622B2 (ja) 基板収納用トレイ
JP4591679B2 (ja) 半導体チップ収容トレイ、半導体チップの収容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搬送体
TWI830554B (zh) 承載盤穩固機構
JP6917614B2 (ja) 運搬用容器およびパレット
KR101389273B1 (ko) 곤포재
EP4106506A1 (en) Substrate tray
KR20190066168A (ko) 적재 트레이 및 적재 트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