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219B1 -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219B1
KR102271219B1 KR1020197010904A KR20197010904A KR102271219B1 KR 102271219 B1 KR102271219 B1 KR 102271219B1 KR 1020197010904 A KR1020197010904 A KR 1020197010904A KR 20197010904 A KR20197010904 A KR 20197010904A KR 102271219 B1 KR102271219 B1 KR 10227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using
screw compressor
seal
baff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945A (ko
Inventor
길레스 헤브라르드
장-밥티스테 마레스콧
요에르그 멜라
토마스 바인홀드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07General arrangements of parts; Frames and 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8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for other than working fluid, i.e. the sealing arrangements are not between working chambers of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0Fluid working
    • F04C2210/1005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04C2210/22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6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10)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20b) 및 적어도 하나의 로터 하우징(20a)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100),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체(104)를 포함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 내에 오일 저류부가 존재하며,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밀봉체(104)는, 하우징 커버(20b)와 로터 하우징(20a)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오일 저류부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밀봉체(104)는, 하우징 커버(20b)의 내부공간을 로터 하우징(20a)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스크루 압축기(10)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및 오일 저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인,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로터 하우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체를 포함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내에 오일 저류부가 존재하는,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들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루 압축기들은, 예를 들어 상용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해 필요한 압축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관련해서, 오일 온도를 조절하는 과제가 부여되는, 특히 오일로 채워진 압축기들이, 특히 스크루 압축기들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온도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오일로 채워진 압축기 및 오일 회로에 연결되는, 외부 오일 냉각기에 의해 실행된다. 오일 냉각기는, 압축기 오일이 제공되는 고온 액체를 위한 제1 회로 및 냉각 유체를 위한 제2 회로인, 서로 분리된 2개의 회로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이다. 냉각 유체로서, 예를 들어, 공기, 부동제 또는 다른 오일을 포함하는 물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냉각기는, 튜브 또는 호스를 통해, 압축기 오일 회로에 연결되어야만 하며, 그리고 오일 회로는 누출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외부 체적은 또한 오일로 채워져야 하며, 따라서 오일의 총량도 증가하게 된다. 이는, 시스템 관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오일 냉각기는, 둘러싸는 브라켓들에 의해 또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용되고 고정되어야만 하고, 이는 부가적인 고정 수단은 물론 조립 공간을 필요로 한다.
US 4,780,061 호로부터, 통합된 오일 냉각부를 갖는 스크루 압축기가 이미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압축된 공기로부터의 오일의 제거가 개선되며 그리고 간단해질 수 있도록, 전술한 타입의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를 유리한 방식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와 적어도 하나의 로터 하우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체를 포함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오일 저류부가 존재하며,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밀봉체는, 하우징 커버와 로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오일 저류부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밀봉체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부공간을 상기 로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스크루 압축기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및 상기 오일 저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상기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인,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또는 여러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체형은 특히, 하우징이 하우징 커버와 로터 하우징으로 결합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은, 밀봉체 및 배플 플레이트와 같이 오일을 부분적으로 통과시키는 부재들을 배치함으로써, 스크루 압축기 내에서 오일의 이동을 제한하는 개념에 기초하게 된다.
그로 인해, 오일 저류부가 주행 중에도 배플 플레이트의 "아래"에서 이동하며, 그리고 오일 저류부 밖으로 돌출하는 밀봉체에 의해 수평 서지(surge) 이동 또한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오일 분리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압축된 공기로부터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대응하는 요소들 내로의, 오일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특히 복수의, 오일 관통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일 관통 개구는, 예를 들어, 세장형의, 라운드형 슬롯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오일이, 오일 저류부로부터, 예를 들어 오일 증기 형태 또는 오일 에어로졸 형태로 상승하는 것을 그리고 스크루 압축기의 내부공간 내에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배플 플레이트와 밀봉체는, 스크루 압축기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결된 복수의 격실로 분할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스크루 압축기 내부공간 내의 해당 격실들 내에 오일을 유지하는 것을, 또는 실질적으로 특정 격실들 내에 오일 증기를 제공하며 그리고 특정 격실들 내에 오일 저류부 또는 액체 오일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밀봉체는 하우징 내부공간을 비대칭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제공되고, 이 경우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작다. 이로써 예를 들어, 작은 오일 액적, 오일 에어로졸 또는 오일 증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특정 영역들이 더 양호하게 달성되고, 제2 영역보다 작은 제1 영역에는 작은 오일 액적, 오일 에어로졸 또는 오일 증기가 덜 공급되는 것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크루 압축기는, 공기 오일 분리기 및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는, 상기 스크루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개방되며, 밀봉체의 관통 개구들이,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로써, 공기 오일 분리기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밀봉체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공기 오일 분리기 내로의 오일 유입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의 근처에 밀봉체의 관통 개구들이 배치됨으로써,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 내로 그리고 공기 오일 분리기 내로의 오일 유입이 감소한다.
또한,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는 하우징 커버 내에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또한, 이로써,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 및,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와 로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체의 배치 또한 비교적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다. 특히,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는, 하우징 내부공간의 제1 영역 내로 개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분리기 유입구는, 제2 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공간의 영역 내로 개방되고, 이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밀봉체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또한,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스크루 압축기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및 오일 저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밀봉체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밀봉체에서 포착되는 오일의 오일 저류부 내로의 복귀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러한 오일은, 중력으로 인해 간단하게 다시 오일 저류부 내로 역류할 수 있다.
관통 개구들은 실질적으로 라운드형으로, 특히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개구들의 이러한 설계는, 밀봉체의 간단한 제조 및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 관통 개구들의 모든 다른 형태 또한 가능하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작은 오일 액적, 오일 증기 또는 오일 에어로졸에 의한 오일의 이동의 제한이 개선되는 추가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공간에 위치한 영역들을 동반하는 밀봉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밀봉체의 간단한 제조와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밀봉체의 안정성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특히 긍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밀봉체가 다공판으로서 형성되는 영역들 내에서의 구멍들의 균일한 배치에 의해, 밀봉체를 전체적으로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관통 개구들에 양호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밀봉체는 추가로, 배플 플레이트 관통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배플 플레이트 관통 개구는, 조립된 상태에서 대략 오일 저류부의 표면의 레벨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와 밀봉체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 관통 개구의 형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밀봉체와 배플 플레이트의 간단한 설계와 조립이 가능해진다.
배플 플레이트의 제공은, 스크루 압축기의 작동 시 및 특히 상용차의 주행 시에도, 오일 저류부의 주요 부분들을 스크루 압축기의 낮게 위치한 영역들에서 유지하는 것 및 오일의 전후 방향 출렁거림(sloshing)에 대해 균형을 잡지 않아도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밀봉체는, 스크루 볼트들의 통과를 위해 제공되는, 스크루 볼트 관통 개구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스크루 볼트들에 의해, 밀봉체, 하우징 커버 및 로터 하우징이, 서로 나사 결합된다. 이는, 하우징 커버와 로터 하우징 사이에서의, 밀봉체의 간단하고 확실하며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조립을, 허용한다.
또한, 밀봉체 및 배플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삽입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스크루 압축기와 밀봉체 및 배플 플레이트의 조립과 제조를 간단하게 한다.
밀봉체 및 배플 플레이트는, 서로 십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크루 압축기 내부공간의 격실들은 물론, 대응하는 영역들의 간단하고 명확한 규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밀봉체 및 배플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스크루 압축기의 내부공간의 바람직한 분할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수평 서지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해, 오일 저류부의 방향으로 밀봉체를 따르는 배출(drain)을 허용하는 가운데, 가능한 한 최대의 방해 효과를 구축하기 위해, 밀봉체를 수직 "배플 플레이트"로서의 배플 플레이트와 조합으로 사용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과 장점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 압축기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2는, 스크루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공간에 대한 모습을 동반하는, 스크루 압축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관점에서의 스크루 압축기(1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크루 압축기(10)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대한 스크루 압축기(10)의 기계적 장착을 위한, 장착 플랜지(12)를 갖는다.
입력 샤프트(14)가 도시되고, 상기 입력 샤프트를 통해 전기 모터로부터의 토크가, 스크루들(16, 18) 중 하나에, 말하자면 스크루(16)에, 전달된다.
스크루(18)는, 스크루(16)와 맞물리며 그리고 이것에 의해 구동된다.
스크루 압축기(10)는, 스크루 압축기(10)의 주요 부품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는, 하우징(20)을 갖는다.
하우징(20)은 오일(22)로 채워진다.
공기 유입 측에, 유입 포트(24)가, 스크루 압축기(10)의 하우징(20) 상에 제공된다. 유입 포트(24)는, 공기 필터(26)가 자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기 유입구(28)가, 공기 유입 포트(24) 상에 방사 방향으로 제공된다.
유입 포트(24)와 유입 포트(24)가 하우징(20)에 부착되는 지점 사이의 영역에, 여기에서 축방향 밀봉체로서 설계되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밸브 삽입체(30)가 제공된다.
이러한 밸브 삽입체(30)는, 체크 밸브로서 역할을 한다.
밸브 삽입체(30)의 하류에, 2개의 스크루(16, 18)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채널(32)이 제공된다.
2개의 스크루(16, 18)의 배출 측에, 공기 배출관(34)이, 상승관(36)과 함께 제공된다.
상승관(36)의 단부 영역에, 온도 센서(38)가 제공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오일 온도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오일 분리기(42)를 위한 홀더(40)가, 공기 배출 영역 내에 제공된다.
공기 오일 분리기를 위한 홀더(40)는, 조립된 상태에서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향한 영역에, 공기 오일 분리기(42)를 갖는다.
또한, 공기 오일 분리기(42)의 내부공간 내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적절한 필터 스크린, 또는 공지의 필터 및 오일 분리 장치(44)가 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되고 작동 준비된 상태와 관련해서, 공기 오일 분리기를 위한 홀더(40)는, 중앙 상부 영역에, 체크 밸브(48)와 최소 압력 밸브(50)로 이어지는, 공기 배출 개구(46)를 갖는다. 체크 밸브(48)와 최소 압력 밸브(50)는 또한, 공통의 결합된 밸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체크 밸브(48)에 이어서, 공기 배출구(51)가 제공된다.
공기 배출구(51)는, 일반적으로, 적절하게 공개된 압축 공기 소비 장치에 연결된다.
공기 오일 분리기(42) 내에서 분리되어 그리고 그 내부에 놓이는 오일(22)을 다시 하우징(20) 내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승관(52)이 제공되고, 하우징(20) 내로 들어가는 공기 오일 분리기(42)를 위한 홀더(40)의 배출구가, 필터 및 체크 밸브(54)를 갖는다.
필터 및 체크 밸브(54)의 하류에서, 노즐(56)이, 하우징 보어 내에 제공된다. 오일 복귀 라인(58)은, 다시 오일(22)을 공급하기 위해, 스크루(16) 또는 스크루(18)의 대략 중앙 영역으로 이어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바닥 영역 내에, 오일 배출 플러그(59)가 제공된다. 오일 배출 플러그(59)에 의해, 대응하는 오일 배출 개구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오일 배출 개구를 통해 오일(22)이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하부 영역에 또한 돌출부(60)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에 오일 필터(62)가 장착된다.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되는 오일 필터 유입 채널(64)을 통해, 오일(22)이 먼저 온도 조절 밸브(66)로 안내된다.
온도 조절 밸브(66) 대신 제어 장치 및/또는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 의해,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하는 오일(22)의 오일 온도가 모니터링되며 그리고 설정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온도 조절 밸브(66)의 하류에, 중앙 복귀 라인(68)을 통해 오일(22)을 다시 스크루(18) 또는 스크루(16)로 그리고 샤프트(14)의 오일 윤활식 베어링(70)으로도 안내하는, 오일 필터(62)의 오일 유입구가 제공된다. 베어링(70)의 영역에 또한, 복귀 라인(68)과 연결 상태로 하우징(20) 내에 제공되는, 노즐(72)이 제공된다.
냉각기(74)가, 돌출부(60)에 접속된다.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하우징(20)의 상부 영역에, 안전 밸브(76)가 배치되고, 상기 안전 밸브에 의해, 하우징(20) 내의 과도한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최소 압력 밸브(50) 이전에, 릴리프 밸브(80)로 이어지는, 바이패스 관(78)이 배치된다. 공기 공급 채널(32)과의 연결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러한 릴리프 밸브(80)를 통해, 공기가, 공기 유입구(28)의 영역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 영역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환기 밸브 및 노즐(공급 채널의 직경 감소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하우징(20)의 외벽 내의 대략 배출관(34)의 높이에, 오일 레벨 센서(82)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오일 레벨 센서(82)는, 예를 들어, 광학 센서일 수 있으며, 그리고 작동 도중에 오일 레벨이 오일 레벨 센서(82)의 위에 있는지 여부, 또는 오일 레벨 센서(82)가 노출되어 있는지 여부 및 그에 따라 오일 레벨이 상응하게 낮아졌는지 여부가, 센서 신호에 의해 파악될 수 있도록 구성 및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과 관련해서,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오류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 또는 전달하는, 알람 유닛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크루 압축기(1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공기가, 공기 유입구(28)를 통해 공급되며 그리고 체크 밸브(30)를 통과하여 스크루(16, 18)에 안내되고, 이곳에서 공기가 압축된다. 5배 내지 16배의 압축률로 상승한 압축된 공기-오일 혼합물은, 스크루들(16, 18) 이후에 배출관(34)을 지나 상승관(36)을 통해, 온도 센서(38)로 직접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전히 부분적으로 오일 입자들을 보유하는 공기는 이어서, 홀더(40)를 통해 공기 오일 분리기(42) 내로 안내되며 그리고, 상응하는 최소 압력이 도달되면, 공기 배출구(51)로 안내된다.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하는 오일(22)은, 오일 필터(62)를 통해 그리고 필요 시 열 교환기(74)를 통해 작동 온도에서 유지된다.
냉각이 필요 없는 경우, 열 교환기(74)는, 사용되지 않으며 그리고 스위치 온 되지 않는다.
상응하는 연결은, 온도 조절 밸브(66)를 통해 이루어진다. 오일 필터(62)에서의 정화 이후에, 오일이, 복귀 라인(68)을 통해 스크루(18) 또는 스크루(16)는 물론, 베어링(70)에도 공급된다. 스크루(16) 또는 스크루(18)는, 상승관(52) 및 복귀 라인(58)을 통해서도 오일(22)을 공급받게 되고, 이 경우, 공기 오일 분리기(42)에서 오일(22)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순차로 스크루(18)와 맞물리는 스크루(16)로 샤프트(14)를 통해 자체의 토크를 전달하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의해, 스크루 압축기(10)의 스크루들(16, 18)이, 구동된다.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릴리프 밸브(80)에 의해, 공급 채널(32)의 영역에서, 작동 상태에서 예를 들어 스크루들(16, 18)의 배출 측에서 우세한 고압이, 차단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압축기의 시동 시, 공급 채널(32)의 영역에서, 항상 낮은 유입 압력, 특히 대기압이 존재하는 것이, 보장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압축기의 시동과 더불어, 구동 모터에 과부하를 가할 수 있는, 매우 높은 압력이, 스크루들(16, 18)의 출력 측에 초기에 발생할 것이다.
도 2는, 스크루 압축기(10)의 하우징(20)의 내부공간의 모습을 동반하는, 도 1에 따른 스크루 압축기(10)의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하우징(20)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오일(22)의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배플 플레이트(100)가 배치된다. 이 경우, 조립된 상태 및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의 수평 배치가 전제된다.
하우징(20)은, 하우징 커버(20b)와 로터 하우징(20a)을 갖는다.
하우징 커버(20b) 내에, 오일 공기 분리기(42)에 연결되는,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가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20b)와 로터 하우징(20a) 사이에, 밀봉체(104)가 제공되고, 상기 밀봉체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20b)와 로터 하우징(20a)의 에지들 사이에서 둘레를 따라 안내되며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밀봉 방식으로 고정되고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밀봉체(104)는, 스크루 볼트들에 의한 상응하는 나사 결합구들이 그를 통과할 수 있는, 스크루 볼트 관통 개구들(106)을 구비하고, 따라서, 밀봉체(104), 하우징 커버(20b) 및 로터 하우징(20a)은,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조립된 상태에서 함께 나사 결합된다.
스크루 압축기(10)의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밀봉체(104)는, 하우징 커버(20b)와 로터 하우징(20a)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오일(22)의 오일 저류부 밖으로 돌출한다.
밀봉체(104)는, 밀봉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복수의 관통 개구(108)를 갖는다.
관통 개구들(108)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오일 저류부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밀봉체(104)의 영역에서, 다공판 방식으로, 서로 규칙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밀봉체(104)는, 하우징 내부공간을 비대칭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B1) 및 제2 영역(B2)으로 분할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실질적으로 하우징 커버(20b)의 내부 영역들과 관련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실질적으로 나머지 하우징(20)의, 즉 로터 하우징(20a)의 내부공간과 관련된다. 이 경우 제1 영역(B1)은 제2 영역(B2)보다 작다.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는, 제1 영역(B1) 내로 개방되며 그리고 밀봉체(104)의 관통 개구들(108)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체(104)는,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스크루 압축기(10)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및 오일(22)의 오일 저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 시,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한, 밀봉체(104)는, 오일(22)의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의 높이에, 배플 플레이트(100)를 위한 관통 개구(11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100)는 복수의 오일 관통 개구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관통 개구들은 세장형 슬롯들로서 형성된다.
배플 플레이트(100) 및 밀봉체(104)는, 스크루 압축기(10)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결된 복수의 격실(K1, K2, K3 및 K4)로 분할한다.
이 경우, 격실들(K2, K3)은, 오일(22)의 오일 저류부가 위치하게 되는, 격실(K2, K3)이다. 격실(K1)은 영역(B1) 내에 놓이며 그리고 격실(K4)은 영역(B2) 내에 놓인다.
밀봉체(104) 및 배플 플레이트(100)는, 서로에 대해 삽입되며 그리고 서로 십자형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밀봉체(104)와 배플 플레이트(100)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밀봉체(104) 및 그의 관통 개구들(108)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작동 시 스크루들(16, 18)은 오일 저류부의 오일(22)의 가압 오일에 의해 윤활되고, 따라서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 위에, 오일 증기, 작은 오일 액적 또는 오일 에어로졸이, 존재한다. 상용차의 주행 이동으로 인해, 추가적인 오일 이동이 강제되며, 따라서 배플 플레이트(100)와 밀봉체(104)에 의해, 오일(22)의 이동 및 오일(22)의 이동 가능성이 제한된다. 동시에, 배플 플레이트(100)와 밀봉체(104) 양자 모두의 관통 개구들(108)을 통해, 충분한 오일(22)이, 작은 오일 액적, 오일 증기 또는 오일 에어로졸 형태로, 스크루 압축기(10)의 전체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공기 오일 분리기(42) 내로의 오일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 내로의 오일 유입이, 감소된다. 이는, 밀봉체(104)의 관통 개구들(108)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밀봉체(104)의 다공판 형상의 구조로 인해, 더 적은 오일(22)이,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공기 오일 분리기(42) 내로의 오일 유입이, 감소된다.
이는, 공기 오일 분리기(42)가 더욱 작은 양의 오일에 대해 설계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그 이유는, 이미 밀봉체(104)의 설계에 의해, 상당한 양의 오일이, 유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관통 개구들(108)의 에지들에서 포획된 다음 다시 밀봉체(104)의 벽으로 다시 오일(22)의 오일 저류부 내로 다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밀봉체(104)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배치는 또한, 수평 서지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또는 감소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배플 플레이트(100)와 밀봉체(104)는 그에 따라, 특히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의 방향으로의, 수평 서지 이동에 대한 차단부로서 작용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공기 오일 분리기(42) 내로의 오일 유입을 제한한다.
10: 스크루 압축기 12: 장착 플랜지
14: 입력 샤프트 16: 스크루
18: 스크루 20: 하우징
20a: 하우징 바디/로터 하우징 20b: 하우징 커버
22: 오일 24: 유입 포트
26: 공기 필터 28: 공기 유입구
30: 밸브 삽입체 32: 공기 공급 채널
34: 공기 배출관 36: 상승관
38: 온도 센서 40: 공기 오일 분리기를 위한 홀더
42: 공기 오일 분리기
44: 필터 스크린 또는 공개된 필터 또는 오일 분리 장치
46: 배출 개구 48: 체크 밸브
50: 최소 압력 밸브 51: 공기 배출구
52: 상승관 54: 필터 및 체크 밸브
56: 노즐 58: 오일 복귀 라인
59: 오일 배출 플러그 60: 돌출부
62: 오일 필터 64: 오일 필터 유입 채널
66: 온도 조절 밸브 68: 복귀 라인
70: 베어링 72: 노즐
74: 냉각기, 열교환기 76: 안전 밸브
78: 바이패스 관 80: 릴리프 밸브
82: 오일 레벨 센서 100: 배플 플레이트
102: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 104: 밀봉체
106: 스크루 볼트 관통 개구 108: 관통 개구들
110: 관통 개구 B1: 제1 영역
B2: 제2 영역 K1: 격실
K2: 격실 K3: 격실
K4: 격실

Claims (14)

  1.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10)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커버(20b)와 적어도 하나의 로터 하우징(20a)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0),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100),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체(104)를 포함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 내에 오일 저류부가 존재하며,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밀봉체(104)는, 상기 하우징 커버(20b)와 상기 로터 하우징(20a)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오일 저류부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밀봉체(104)는, 상기 하우징 커버(20b)의 내부공간을 상기 로터 하우징(20a)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스크루 압축기(10)의 수평 배향 시 및 상기 오일 저류부의 수평 배향 시, 상기 오일 저류부의 상부 레벨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 및 상기 밀봉체(104)는, 상기 스크루 압축기(10)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결된 복수의 격실(K1, K2, K3, K4)로 분할하며, 상기 밀봉체(104)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서로 십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인, 스크루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 관통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10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비대칭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B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B2)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B1)은 상기 제2 영역(B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압축기(10)는, 공기 오일 분리기(42) 및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는, 상기 스크루 압축기(10)의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개방되며, 그리고 상기 밀봉체(104)의 관통 개구들이, 상기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는, 상기 하우징 커버(20b)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10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비대칭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B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B2)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B1)은 상기 제2 영역(B2)보다 작으며,
    상기 공기 오일 분리기 유입구(102)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상기 제1 영역 (B1) 내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와 관련해서, 상기 스크루 압축기(10)의 수평 배향 시 및 상기 오일 저류부의 수평 배향 시, 상기 밀봉체(104)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영역들을 동반하는 상기 밀봉체(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판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104)는, 배플 플레이트 관통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104)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서로에 대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104)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루 압축기.
  13. 삭제
  14. 삭제
KR1020197010904A 2016-09-21 2017-09-19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KR102271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11393.6 2016-09-21
DE102016011393.6A DE102016011393A1 (de) 2016-09-21 2016-09-21 Schraubenkompressor für ein Nutzfahrzeug
PCT/EP2017/073550 WO2018054865A1 (de) 2016-09-21 2017-09-19 Schraubenkompressor für ein nutz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945A KR20190045945A (ko) 2019-05-03
KR102271219B1 true KR102271219B1 (ko) 2021-06-30

Family

ID=6000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904A KR102271219B1 (ko) 2016-09-21 2017-09-19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68513B2 (ko)
EP (1) EP3516226B1 (ko)
JP (1) JP6733057B2 (ko)
KR (1) KR102271219B1 (ko)
CN (1) CN109906316B (ko)
BR (1) BR112019005072A2 (ko)
DE (1) DE102016011393A1 (ko)
WO (1) WO20180548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418B1 (ko) * 1999-12-30 2001-12-22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6668A (en) 1972-02-18 1973-12-04 Borg Warner Oil separator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US4174196A (en) * 1976-07-28 1979-11-13 Hitachi, Ltd. Screw fluid machine
JPS5848756B2 (ja) * 1976-07-28 1983-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リユ−流体機械
US4478054A (en) * 1983-07-12 1984-10-23 Dunham-Bush, Inc. Helical screw rotary compresso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improved oil management
US4780061A (en) 1987-08-06 1988-10-25 American Standard Inc. Screw compressor with integral oil cooling
US5199858A (en) 1990-08-31 1993-04-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Oil injection type screw compressor
DE19621603A1 (de) * 1996-05-30 1997-12-04 Mtu Friedrichshafen Gmbh Ölwanne für Brennkraftmaschinen
IT1309299B1 (it) * 1999-06-23 2002-01-22 Samputensili Spa Compressore rotativo a vite per gas refrigerante da utilizzare in unimpianto di condizionamento o refrigerazione di piccola potenza.
JP4502347B2 (ja) 2000-11-06 2010-07-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02295383A (ja) * 2001-03-30 2002-10-09 Hokuetsu Kogyo Co Ltd スクリュ圧縮機
KR100421288B1 (ko) * 2001-10-27 2004-03-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스크류 냉매 압축기의 오일 분리기
JP2003269356A (ja) * 2002-03-18 2003-09-25 Sanyo Electric Co Ltd 横型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106280B2 (ja) 2002-09-30 2008-06-25 北越工業株式会社 液冷式圧縮機の気液分離装置
US7234926B2 (en) * 2004-10-15 2007-06-26 Ingersoll-Rand Company Air compressor assembly
US7891955B2 (en) * 2007-02-22 2011-02-22 Vilter Manufacturing Llc Compressor having a dual slide valve assembly
JP2010223145A (ja) * 2009-03-25 2010-10-07 Hitachi Appliances Inc スクリュー圧縮機
DE102010015147A1 (de) 2010-04-16 2011-10-20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Ölschwappdämpfungseinrichtung für einen Schraubenverdichter
EP2538118B1 (en) * 2011-06-20 2015-02-25 Turner Powertrain Systems Limited Gearbox split sump and lubricant flow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418B1 (ko) * 1999-12-30 2001-12-22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10475A1 (en) 2021-01-14
JP2019529800A (ja) 2019-10-17
KR20190045945A (ko) 2019-05-03
DE102016011393A1 (de) 2018-03-22
JP6733057B2 (ja) 2020-07-29
US11268513B2 (en) 2022-03-08
CN109906316A (zh) 2019-06-18
CN109906316B (zh) 2020-09-15
EP3516226A1 (de) 2019-07-31
WO2018054865A1 (de) 2018-03-29
BR112019005072A2 (pt) 2019-06-04
EP3516226B1 (de)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032B1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KR20190045944A (ko)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
JP6877554B2 (ja) 共通の冷却装置を有するスクリュコンプレッサならびに電気モータを含む、商用車のためのシステム
KR102271219B1 (ko) 상용차용 스크루-타입 압축기
KR20190045946A (ko)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 시스템
US7115149B2 (en) Cast separator tank
KR20190045936A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시스템
JP6835974B2 (ja) スクリュコンプレッサおよび電気モータを含む、商用車用のシステム
KR20190049861A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CN109937301B (zh) 用于商用车的螺杆式压缩机
CN109937302B (zh) 用于商用车的螺旋式压缩机的系统
JP6991222B2 (ja) 商用車用のスクリュコンプレッサ
CN109964037B (zh) 用于商用车的螺杆式压缩机系统
JP6775689B2 (ja) コンプレッサおよび電気モータを含む、商用車のためのシステム
KR20190047064A (ko)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
KR20210008166A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CN107191416B (zh) 过滤装置及压缩机和旋转机械设备
KR20190044682A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시스템
KR20190045356A (ko)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 시스템
KR20190044676A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