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469B1 -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 Google Patents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469B1
KR102270469B1 KR1020200115774A KR20200115774A KR102270469B1 KR 102270469 B1 KR102270469 B1 KR 102270469B1 KR 1020200115774 A KR1020200115774 A KR 1020200115774A KR 20200115774 A KR20200115774 A KR 20200115774A KR 102270469 B1 KR102270469 B1 KR 10227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sta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대원
Original Assignee
공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대원 filed Critical 공대원
Priority to KR102020011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OUTER ROTOR TYPE IN-WHEEL MOTOR}
본 발명은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모터 내부 구성에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아우터 로터 인휠 모터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 및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활상의 변화에 따라, 이동수단의 주 동력원으로서 전기모터가 내연기관보다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 모터가 이동수단의 주 동력원으로써 이용됨에 따라 내연기관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시도하지 못했던 구동계 구조 변경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인휠 모터는 휠의 내부 공간에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구동 모터의 동력을 바퀴에 직접 전달하는 모터로서, 이동수단의 동력원을 휠 내부로 이동시켜 이동수단의 내부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연구되고 있다.
인휠 모터는 대표적인 이동수단인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으며, 퀵보드와 전동 휠체어와 같은 휴대용 이동수단에도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휠 모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로서 동작되도록 안정적이지 못하며, 수분 침투로 인한 베어링의 부식이 문제가 되고 있다.
KR 10-2020-0075126 A (2020.06.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의 구동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씰링부재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가진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터 내부에 대한 외부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는,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 외경부와,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져 고정되되 제1 외경부의 외경과 다른 외경을 갖는 제2 외경부를 갖는 다단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불소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되, 일측면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의 폐쇄면을 갖고, 타측면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이 연결되지 않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두께는 상기 외주면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내주면은 상기 씰링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캡은, 원판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자 내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베어링의 상기 외륜이 상기 결합부와 강제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씰링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면과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씰링면은 상기 씰링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가 마련되어 상기 씰링면과 레비린스 씰(Labyrinth Seal)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캡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타이어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는 상기 휠캡에 요철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의 구동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내부에 대한 외부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원 B가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에서 영구자석과 권선코일을 제외한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원 B가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에서 영구자석과 권선코일을 제외한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100)는 이동 수단의 바퀴 휠을 상기 이동 수단의 구동원으로도 이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회전자(110), 고정자(120), 샤프트(130), 한 쌍의 베어링(140), 한 쌍의 휠캡(150) 및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110)는 하우징(111) 및 영구자석(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1)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112)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자(120)는 권선코일(121) 및 고정자 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 축(122)은 회전자(110)의 하우징(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권선코일(121)은 고정자 축(122)을 중심으로 고정자 축(122)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고정자 축(122)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고정자 축(122), 권선코일(121), 영구자석(112), 하우징(111) 순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130)는 고정자 축(122)의 내부에 마련되며, 고정자 축(122)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130)는 외주면 일부가 연장 형성된 고정부(131)와 고정자 축(122)의 내주면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140)은 회전자(110)를 샤프트(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고정자(120)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140)의 내륜은 샤프트(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베어링(140)의 외륜은 휠캡(150)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휠캡(150)은 회전자(110)의 개방된 양측면을 덮어 회전자(11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회전자(110)의 개방된 양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한 쌍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휠캡(150)은 하우징(111)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휠캡(150)에는 샤프트(13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51)의 내주면은 베어링(140)의 외륜과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140)의 외륜측과 결합된 휠캡(150) 및 회전자(110)는 베어링(140)의 내륜측과 결합된 샤프트(130) 및 고정자(120)와 서로 상대회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회전자(110)가 회전하면, 회전자(110)의 하우징(111)과 결합된 한 쌍의 휠캡(150)이 같이 회전하며, 휠캡(150)의 관통홀(151)과 결합한 베어링(140)의 외륜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고정자(120) 및 샤프트(130)는 베어링(140)의 내륜과 고정되어, 회전자(110)의 회전에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휠캡(150)은 요철부(156)가 마련될 수 있다. 요철부(156)는 하우징(111)에 장착되는 타이어(10)와 하우징(111)과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1)과 휠캡(150)이 형성하는 단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160)는 하우징(111) 내부로의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샤프트(130)와 휠캡(150)의 관통홀(151)의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극에 배치될 수 있다. 씰링부재(160)는 한 쌍의 휠캡(15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샤프트(130)는 제1 외경부(132), 제2 외경부(133) 및 제3 외경부(134)를 가지는 다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경부(132), 제2 외경부(133) 및 제3 외경부(134)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3 외경부(134)는 고정자(120)가 위치한 부분으로서, 제1 외경부(132) 및 제2 외경부(13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경부(132) 및 제2 외경부(133)은 제3 외경부(134)의 좌우측으로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경부(133)는 베어링(140)의 내륜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제3 외경부(134)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제1 외경부(132)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경부(133)의 폭(w1)은 베어링(140)이 제1 외경부(132)에 넘어가지 않고 제2 외경부(133)에 들어맞도록 베어링(140)의 폭(w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40)은 제2 외경부(133)에 끼워질 때, 제2 외경부(133) 및 제3 외경부(134)의 외경 차이로 형성된 제1 단차(135)에 걸리며 제2 외경부(133)와 끼움결합할 수 있다.
제1 외경부(132)는 씰링부재(160)의 내주면(161)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제1 외경부(132)는 제2 외경부(133)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휠캡(150)은 원판(152)으로부터 관통홀(151)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결합부(153)가 회전자(11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53)는 회전자(110)와 결합된 휠캡(150)을 샤프트(130)와 상대회전하도록 베어링(140)의 외륜에 끼우기위한 구조로서, 돌출된 결합부(153)의 내주면(153a)에는 베어링(140)의 외륜이 강제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휠캡(150)의 관통홀(151)의 입구(154)의 내경은 결합부(153)가 형성하는 내경보다 작도록 관통홀(15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돌출되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1)의 입구(154)의 내경이 결합부(153) 내경보다 작은 휠캡(150)의 구조는 결합부(153)에 끼워진 베어링(1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씰링부재(160)가 봉인할 휠캡(150)과 샤프트(130)간의 간극을 좁게 할 수 있다. 관통홀(151)의 입구(154)의 내주면, 즉, 휠캡(150)의 내주면은 휠캡(150)과 샤프트(130)간의 간극을 봉인하는 씰링부재(160)와 맞닿아 접촉하는 씰링면(155)이 형성될 수 있다. 씰링면(155)은 씰링부재(160)의 외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씰링부재(160)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을 하며 외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캡(150)의 내주면은 씰링부재(160)의 중심축선(C)에 대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160)의 중심축선(C)에 대해 경사진 휠캡(150)의 내주면 형상은 씰링면(155)과 씰링부재(160)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씰링부재(16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16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160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휠캡(150)의 씰링면(155)와 접촉하는 씰링부재(160)의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씰링면(155)과 레비린스 씰(Labyrinth Seal)을 형성할 수 있다. 씰링부재(160)가 씰링면(155)에 대해 레비린스 씰이 형성됨으로써, 베어링(140)에 대한 외부의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씰링부재(16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16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씰링부재(160)의 일측면은 씰링부재(160)의 내주면(161)과 씰링부재(160)의 외주면(162)을 연결하는 환형의 폐쇄면을 가질 수 있다(도 4b 참조). 씰링부재(160)의 타측면은 씰링부재(160)의 내주면(161)과 씰링부재(160)의 외주면(162)이 연결되지 않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4c 참조).
씰링부재(160)의 내주면(161)은 씰링부재(160)의 중심축선(C)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씰링부재(160)의 내주면(161)의 두께(t1)는 씰링부재(160)의 외주면(162)의 두께(t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160)는 과불화탄성체(Perfluoroelastomer, FFKM), FKM(fluorocarbon) 등과 같은 불소 수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형의 씰링부재(160)는 샤프트(130)에 끼워져 고정되며, 베어링(140)에 대한 외부의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대형 이동 수단 또는 퀵보드, 또는 전동 휠체어와 같은 소형 휴대용 이동 수단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와의 마찰을 최소화한 씰링부재의 구조로 인해 씰링부재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에 대한 외부 수분 등 이물질의 침투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타이어 100: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110: 회전자 120: 고정자
130: 샤프트 140: 베어링
150: 휠캡 160: 씰링부재

Claims (10)

  1.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로서,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씰링부재의 내주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 외경부와,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끼워져 고정되되 제1 외경부의 외경과 다른 외경을 갖는 제2 외경부를 갖는 다단 형상인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불소 고무로 형성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되, 일측면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환형의 폐쇄면을 갖고, 타측면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이 연결되지 않는 개방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상기 내주면의 두께는 상기 외주면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내주면은 상기 씰링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인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캡은, 원판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자 내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베어링의 상기 외륜이 상기 결합부와 강제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씰링면이 형성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8.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로서,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휠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씰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씰링면과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씰링면은 상기 씰링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진 형상인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9.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로서,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휠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씰링면이 형성되며,
    상기 씰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가 마련되어 상기 씰링면과 레비린스 씰(Labyrinth Seal)을 형성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10. 아우터 로터(Outer Rotor) 타입 인휠 모터로서,
    양측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권선코일이 마련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자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자를 상기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자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내륜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한 쌍의 휠캡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한 쌍의 휠캡;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와 상기 휠캡의 상기 관통홀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는 한 쌍의 환형 씰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휠캡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타이어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이어와 접촉하는 상기 휠캡에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인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KR1020200115774A 2020-09-09 2020-09-09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KR10227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774A KR102270469B1 (ko) 2020-09-09 2020-09-09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774A KR102270469B1 (ko) 2020-09-09 2020-09-09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469B1 true KR102270469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774A KR102270469B1 (ko) 2020-09-09 2020-09-09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79A (ko) 2022-10-18 2024-04-25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인휠 모터용 씰 및 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282A (ja) * 2001-12-28 2003-07-11 Kayaba Ind Co Ltd モータ
JP2011519544A (ja) * 2008-04-18 2011-07-07 クリエーション アンド モータ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ッド アウターローター型モーター及びこの構造を適用したアウターローター型インホイールモーター
JP2017093165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ミツバ 回転機、回転電動機、およ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200075126A (ko) 2018-12-12 2020-06-26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이륜차용 인휠 모터 및 개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282A (ja) * 2001-12-28 2003-07-11 Kayaba Ind Co Ltd モータ
JP2011519544A (ja) * 2008-04-18 2011-07-07 クリエーション アンド モータ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ッド アウターローター型モーター及びこの構造を適用したアウターローター型インホイールモーター
JP2017093165A (ja) * 2015-11-10 2017-05-25 株式会社ミツバ 回転機、回転電動機、およ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
KR20200075126A (ko) 2018-12-12 2020-06-26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이륜차용 인휠 모터 및 개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879A (ko) 2022-10-18 2024-04-25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인휠 모터용 씰 및 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287B2 (ja) ベアリングシール
US20150063733A1 (en) Bearing with magnetic fluid seal
JPH09196072A (ja) シール装置付転がり軸受
JPH02225823A (ja) クリップ留めセンサ付減摩軸受
KR102270469B1 (ko) 아우터 로터 타입 인휠 모터
JP2005083537A (ja) 密封装置
JP6737660B2 (ja) 磁性流体シール付き軸受ユニット、及び、そのような軸受ユニットを備えた駆動モータ
JP4115419B2 (ja) シール装置
JP2020133706A (ja) ハブユニット軸受
JPH011677A (ja) 軸受の非接触形シール装置
CN107222052A (zh) 驱动电机的轴承单元
JP2010014143A (ja) 密封装置
JP2003097725A (ja) 密封装置
JP2006325345A (ja) ロータ及びウォータポンプ
JP2002328133A (ja)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
JP2005233248A (ja) 過給機用転がり軸受
JP2980351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240062726A (ko) 인 휠 모터 및 인 휠 모터의 조립 방법
JP2005233249A (ja) 過給機用転がり軸受
JPS6233073Y2 (ko)
KR102659419B1 (ko) 외전형 인휠 모터
KR20240053879A (ko) 인휠 모터용 씰 및 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WO2023188902A1 (ja) モータ及び回転翼装置
JP3386965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軸受構造
US11761539B2 (en) Seal assembly for a vehicle motorized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