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292B1 -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292B1
KR102269292B1 KR1020167025975A KR20167025975A KR102269292B1 KR 102269292 B1 KR102269292 B1 KR 102269292B1 KR 1020167025975 A KR1020167025975 A KR 1020167025975A KR 20167025975 A KR20167025975 A KR 20167025975A KR 102269292 B1 KR102269292 B1 KR 10226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eight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osition
over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026A (ko
Inventor
실뱅 티모니에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6013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34Coating brittle material,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29C48/155Partial coat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08F25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on to ethene-prop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9/00Use of rubber derived from conjugated diene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09/06SB polymers, i.e. 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703/00 - B29K2707/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9/0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 유리 기판 상에 엘라스토머를 오버몰딩하기 위한 열가소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a)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TPE-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50 내지 70 중량%, (b)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PP), 에틸렌 단독중합체 (PE) 및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20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 중량%, 및 (c) 관능성 알콕시실란 적어도 7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 특히 9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이 백분율은 성분 (a), (b) 및 (c)의 합에 대해 표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유리 패널 상에 그러한 조성물을 사출 오버몰딩하는 방법 또는 압출 오버몰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ENCAPSULATION}
본 발명은 사전 프라이밍(priming) 단계 없이 자동차 글레이징의 캡슐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함량의 커플링제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기재로 하는 캡슐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글레이징 산업 분야에서, "캡슐화"라는 용어는 글레이징의 둘레를 둘러서 중합체 물질을 오버몰딩하는 방법 또는 단계를 나타낸다. 글레이징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누출방지 프레임을 형성하는 금형 안에 중합체 물질을 유체 상태로 사출한다. 중합체 물질을 중합 및/또는 가교 반응에 의해 (열경화성 중합체의 경우) 또는 냉각에 의해 (열가소성 중합체의 경우) 경화한 후, 금형을 열고 제거하여 글레이징의 주변부에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2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종종 글레이징의 두 면 모두와 접촉하는 프로파일링된 스트립을 남긴다.
프로파일링된 스트립을 형성하는 중합체는 종종 글레이징과 차체 사이에서 밀봉재로서 작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이다. 그러나, 또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엘라스토머가 아닌 중합체를 캡슐화에 의해 오버몰딩할 수 있다. 그래서, 얻은 프로파일링된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병존하는 엘라스토머 성분 및 비엘라스토머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복합 스트립이다.
일반적으로, 캡슐화 단계에 앞서, 글레이징의 주변부의 오버몰딩될 표면의 세정 및 활성화 단계가 선행하고, 그 다음, 종종, 오버몰딩된 프로파일링된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활성화된 영역에 프라이머가 도포된다.
자동차 글레이징의 캡슐화, 다시 말해서, 글레이징의 둘레의 적어도 부분을 덮는 엘라스토머 밀봉재의 사출에 의한 오버몰딩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특히, 스티렌 기재 TPE (TPE-S)가 오랫동안 이용되었다.
밀봉재와 글레이징의 충분한 접착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출에 의한 오버몰딩 단계 전에 글레이징에 얇은 프라이머 층을 침착시키는 것이 본질적이다 (예를 들어, EP 0570282, US 6 348 123 및 EP 2162487을 참조한다).
이 프라이머 층 도포 단계는 문제가 있다. 그것은 자동화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러해서 대부분 수작업으로 수행되며, 이것은 제조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고반응성 독성 인화성 생성물,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작업자에 의한 취급이 후드 아래에서 수행되어야 하고, 명백한 건강, 안전 및 환경 문제를 드러낸다.
게다가, 수작업으로 도포된 프라이머 층은 캡슐화 단계 전에 유리를 예비가열하는 후속 단계를 종종 요구한다.
이러해서, 이 프라이밍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고, 사실은, 심지어 프라이밍 단계를 없애고, 그것 때문에 밀봉재와 글레이징의 접착이 손상되는 것이 발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인 회사는 이 목적을 달성하는 것, 다시 말해서, 프라이머 층의 사전 도포 없이 조성물을 글레이징 상에 바로 오버몰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글레이징, 특히 자동차 글레이징 상에 엘라스토머 밀봉재의 오버몰딩을 위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러해서, 본 특허 출원의 주제는 성분 (a), (b) 및 (c)의 합에 대해 표시되는 백분율로
(a)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TPE-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50 내지 70 중량%,
(b)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PP), 에틸렌 단독중합체 (PE) 및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20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 중량%,
(c) 관능성 알콕시실란 적어도 7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 특히 9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기판 상에의 엘라스토머의 오버몰딩을 위한 열가소성 조성물이다.
이러해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3가지 본질적 요소를 포함한다:
- 탄성 특성에 기여하는 스티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 최종 오버몰딩된 물질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주역할인 폴리올레핀 (성분 b), 및
- 캡슐화 조성물에 보통 이용되는 것보다 높은 농도의 관능성 실란 (성분 c).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TPE-S는 주로 다음 계열을 포함한다:
- S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2개의 폴리스티렌 블록에 의해 테가 둘러진 중앙 폴리부타디엔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 SEBS: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SBS의 수소화에 의해 얻은 공중합체,
- SEP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2개의 폴리스티렌 블록이 양옆에 있는 중앙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 SE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수소화에 의해 얻은 공중합체.
이 중합체들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등급으로서 뿐만 아니라 무충전제 물질 형태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제가 본질적으로 없거나 또는 5% 미만의 무기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TPE가 이용될 것이다.
그것은 예를 들어 다음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하다: 드라이플렉스(Dryflex) (헥스폴(Hexpol) TPE), 에보프렌(Evoprene) (알파게리(AlphaGary)), 소프프렌 (Sofprene) (에스오.에프.티이알(SO.F.TER)), 라프렌(Laprene)(에스오.에프.티이알), 아사프렌(Asaprene)(아사히 카세이(Asahi Kasei)) 또는 닐플렉스(Nilflex)(타로플라스트(Taroplast)).
이 제품들은 본 특허 출원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의 TPE-S 분획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는 특정 분율의 유기 윤활제, 점도 감소제 또는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TPE-S의 융점은 180℃ 내지 210℃, 특히 190℃ 내지 200℃이다.
이들은 사출 성형될 수 있도록 용융 상태에서 충분히 유동성이어야 한다. 그러나, 점도는 온도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중합체가 받는 전단력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용융 상태에서의 그의 점도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공급업체는 "사출 성형용" 등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 (a), (b) 및 (c)의 합에 대한 백분율로 5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8 중량%, 이상적으로는 60 내지 65 중량%의 TPE-S를 포함한다.
자동차 글레이징 밀봉재로서 만족스럽게 기능할 수 있기 위해, 본 발명의 오버몰딩 방법 종료시에 얻는 오버몰딩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특히 60 내지 75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TPE-S를 관능성 실란 단독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은 이 경도 값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TPE-S와 상용성인 폴리올레핀을 TPE-S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60000 g/mol이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의 예로는 호스탈렌(Hostalen), 사빅(Sabic), 이네오스(Ineos) 또는 보레알리스(Borealis)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폴리프로필렌을 언급할 수 있다. 이 제품들에는 무기 충전제가 본질적으로 없지만, 이 제품들은 소량, 일반적으로 5 중량% 미만의 가소제 및/또는 윤활제 및 1 중량% 미만의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세 번째 본질적 성분은 관능성 실란, 즉,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가수분해성 유기 기, 전형적으로 알콕시기, 및 오버몰딩될 기판 및/또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성분 (a) 및 (b)에 대해 반응성인 관능기를 담지하는 적어도 1개의 비가수분해성 유기 기, 전형적으로 알킬기에 결합된 규소 원자로 형성된 유기 분자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알콕시실란, 특히 트리에톡시실란 및 트리메톡시실란이 이용될 것이고, 트리메톡시실란이 트리에톡시실란보다 더 반응성이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기에 의해 담지되는 반응성 관능기는 바람직하게는 비닐,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에폭시, 메르캅토 또는 아미노 관능기이다. 물론, 알킬기는 1개 초과의 반응성 관능기를 담지한다.
이러해서, 관능성 알콕시실란은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 비닐실란, 메르캅토실란 및 (메트)아크릴로일실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실란, 비닐실란 및 에폭시실란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실란의 혼합물이다.
가장 유리한 관능성 실란으로는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11-아미노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언급할 수 있다.
관능성 실란은 수십 년 동안 잘 알려진 커플링제이다. 중합체 물질과 무기 물질, 예컨대 광물 유리 사이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 관능성 실란은 일반적으로 소량으로, 다시 말해서 3 중량% 미만의 비율로, 일반적으로 2 중량% 미만의 비율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값비싼 이 분자를 현 기술 수준에서보다 상당히 높은 농도로 이용한다. 많은 양의 커플링제의 이용이 오버몰딩용으로 의도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원가를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이 추가 비용은 수작업 프라이밍 단계 및 그와 관련된 임금계산서를 없앨 가능성에 의해 대부분 보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제는 순수한 형태로, 다시 말해서 유기 또는 수성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채로, 열가소성 조성물에 포함되고, 이렇게 해서 오버몰딩용으로 의도된 열가소성 조성물에 휘발성 유기 용매가 없다.
게다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위에서 서술된 관능성 실란과 상이한 말레산 무수물(MAH)로 그라프팅된 유기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커플링제는 관능성 실란 또는 실란들의 양보다 낮은 양으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a)+(b)+(c) 합에 대해 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MAH)로 그라프팅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유기 무수물-그라프팅된 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TPE-S/폴리올레핀 블렌드와 상용성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TPE-S 및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TPE-S 또는 폴리올레핀의 중합체 부분과 동일한 중합체 부분을 갖는 MAH로 그라프팅된 유기 중합체가 이용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TPE-S가 SBS일 때는 바람직하게는 MAH로 그라프팅된 SBS가 이용될 것이고, 폴리올레핀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일 때는 바람직하게는 MAH로 그라프팅된 폴리프로필렌이 이용될 것이다.
이 MAH로 그라프팅된 중합체는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예를 들어 앰플리파이(Amplify) (더 다우 케미칼 컴퍼니 (The Dow Chemical Company)) 및 스코나(Scona) (비와이케이(Byk))라는 명칭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오버몰딩 방법 직전에 부피 계량 기구에 의해서 적당한 양의 요소를 사출 스크류 또는 압출기에 도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다양한 요소를 적당한 혼합기에서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그 다음, 이용되기 전에는 바람직하게는 저온 조건 하에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그러한 열가소성 조성물을 특히 유기 또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특히, 광물 유리로 제조된 기판 상에 오버몰딩하는 두 가지 방법이다.
이 방법들은 특히 광물 유리로 제조된 또는 중합체로 제조된 자동차 글레이징의 주변부에 밀봉재를 형성하기 위해 실시된다.
"오버몰딩 방법"이라는 용어는 고온 유동화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열가소성 조성물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기판의 부분이 삽입된 금형 캐비티에 사출하는 사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 및 또한, 고온 가소화된 열가소성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물질의 튜브 형태로 기판과 접촉하게 압출되는 압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해서, 압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에서는, 조성물이 금형에 사출되지 않고, 압출 후 경화 전에 금형 부품에 의해서 열가소성 조성물이 형상화되는 일부 압출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사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은 다음 연속하는 세 단계를 포함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을 1000 Pa.s-1 미만의 점도를 얻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2)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기판, 바람직하게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기판의 부분, 특히 글레이징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금형 캐비티에 사출하는 단계, 및
(3) 금형으로부터 글레이징-오버몰딩 어셈블리를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의 압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은 다음 연속하는 두 단계를 포함한다:
(1) 압출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을 1000 Pa.s-1 미만의 점도를 얻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2)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기판, 바람직하게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기판, 특히 글레이징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압출하는 단계.
이하에서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을 가열하고 그것을 유리로 제조된 기판의 표면과 접촉하게 하는 것은 특정 반응 기간 후에 중합체 상과 기판 사이에 만족스러운 접착을 얻기에 충분하다.
이러해서, 아무것도 안 덮인 기판을 예비처리하거나 또는 결과적으로 얻은 생성물을 후처리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이러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버몰딩 방법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기판의 표면은 어떠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예비처리로도 처리되지 않는다. 특히, 기판의 표면은 오버몰딩되는 중합체와 기판 사이의 접착을 개선하도록 의도된 임의의 프라이밍 코팅을 수용하지 않는다. 이러해서, 열가소성 조성물과 접촉하는 기판의 부분에 유기 프라이밍 층이 없고, 사출 또는 압출 단계 (2) 동안에,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이 기판,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을 형성하는 광물 유리와 직접 접촉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접착을 개선할 목적으로, 오버몰딩될 표면의 활성화 또는 준비를 위한 일부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구상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버몰딩 방법은 오버몰딩될 기판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방전,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플라즈마로 물리적 예비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오버몰딩될 표면을 관능성 실란의 도포 및/또는 유기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접착 촉진제의 도포에 의해 화학적 예비처리하는 단계가 이용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관능성 실란은 열가소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표면의 이 화학적 예비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유기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는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예를 들어 도르프 케탈(Dorf Ketal)로부터 타이조르(Tyzor)®라는 상표명(티타네이트 및 지르코네이트) 및 맨켐(Manchem)®이라는 상표명(지르코알루미네이트)으로 입수가능하다.
오버몰딩 방법 전 또는 후에 열 처리는 본질적인 것은 아니지만, 유리하게는 열 처리는 중합체 상의 경화 및 중합체 상과 기판의 접착의 원인이 되는 화학 반응을 가속할 수 있다.
이러해서, 유리하게는,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금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또는 압출하는 단계 후에, 또는 그 밖에, 열가소성 조성물을 사출하는 단계 또는 압출하는 단계 전에, 기판 또는 중합체에 의해 오버몰딩된 기판의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예비가열 또는 후가열은 50℃ 초과, 특히 60 내지 150℃, 이상적으로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실시예
부피 계량 기구를 이용해서 사출 스테이션에서 다음 열가소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63 중량부의 SBS 공중합체,
25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 중량부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부의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 중량부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폴리프로필렌, 및
1 중량부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SEBS.
이 요소들을 블렌딩하고 200℃ 내지 250℃의 온도(스크류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용융된 물질을 어떠한 예비처리로도 처리되지 않은 글레이징이 삽입된 오버몰딩 금형에 사출하였다. 금형도 글레이징도 독립적으로 가열하지 않았다.
대략 1 분 후, 밀봉재로 오버몰딩된 글레이징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하고, 23℃의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7일 동안 보관하였고, 그 기간 동안 커플링제의 반응이 계속되었다.
7일 동안 보관한 후, 밀봉재와 글레이징의 접착을 90°박리 시험 (당김 속도: 100 mm/분)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어서, 오버몰딩된 글레이징을 습포 에이징 (wet poultice aging)을 수행하였고 (70℃ 및 95% 상대 습도에서 14일 동안, 그 다음, -20℃에서 2시간 동안의 냉각에 의한 열충격), 접착 시험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
다음 변형을 실시하면서 상기 절차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조성물을 오버몰딩하는 단계 전에 글레이징을 80℃로 예비가열하였다.
실시예 3: 열가소성 조성물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글레이징의 영역을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로 처리하였다.
실시예 4: 오버몰딩된 글레이징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한 후 80℃에서 1 시간 동안 후경화 단계에서 후경화시켰다.
실시예 5: 글레이징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기 전에, 이소프로판올 중의 2%의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1,2-에탄디아민 및 2%의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판-1-티올의 용액을 포함하는 화학적 활성화 조성물 (다우 오토모티브(Dow Automotive)로부터의 베타와이프(Betawipe) VP 04604)을 수작업으로 도포하였다.
실시예 6: 글레이징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기 전에, 유기 용매의 혼합물 중의 2%의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1,2-에틸렌디아민 및 2%의 트리스(도데실벤젠술포네이토-O)(프로판-2-올레이토)티탄의 용액 (시카 액티베이터(SiKa Aktivator))을 수작업으로 도포하였다.
습포 에이징 단계 전 및 후의 실시예 1 내지 6에 관해 기록된 실패 유형 및 박리 강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Figure 112016091356599-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오버몰딩 조성물이 어느 기간의 고온 에이징 후에 더 좋은 결과를 준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중합체/유리 접착의 원인이 되는 반응이 금형으로부터 제거 후 아마도 심지어 주위 온도에서 7일 동안의 첫 보관 기간 후에도 충분히 계속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에이징 기간 후, 모든 불량은 "응집성" 유형이고 (중합체/유리 접착이 중합체 물질의 내부 응집보다 큼), 이것은 접착 프라이머로 얻기에는 매우 어려운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반복하지만, 실란의 양의 1/5, 다시 말해서, 1 중량부의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1 중량부의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이용할 때, 하기 표 2에 나타낸 접착 결과를 얻었다.
<표 2> (비교예)
Figure 112016091356599-pct00002
모든 불량은 접착성 유형이고, 박리 강도(30 N/cm 미만)가 부적당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Claims (11)

  1. 성분 (a), (b) 및 (c)의 합에 대해 표시되는 백분율로
    (a)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TPE-S)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50 내지 70 중량%,
    (b)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PP), 에틸렌 단독중합체 (PE) 및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20 내지 35 중량%,
    (c) 관능성 알콕시실란 적어도 7 중량%, 또는 8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광물 유리로 제조된 기판 상에의 엘라스토머의 오버몰딩을 위한 열가소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b)+(c) 합에 대해 0.5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말레산 무수물 (MAH)로 그라프팅된 유기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유기 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TPE-S 및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능성 알콕시실란이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 비닐실란, 메르캅토실란 및 (메트)아크릴로일실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발성 유기 용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다음 연속하는 단계:
    (1) 제1항의 열가소성 조성물을 1000 Pa.s-1 미만의 점도를 얻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2)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기판의 부분이 삽입된 금형 캐비티에 사출하는 단계, 및
    (3) 금형으로부터 글레이징-오버몰딩 어셈블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의 열가소성 조성물의 사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
  7. 다음 연속하는 단계:
    (1) 압출기에서 제1항의 열가소성 조성물을 1000 Pa.s-1 미만의 점도를 얻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2)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기판과 접촉하게 압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 상에의 열가소성 조성물의 압출에 의한 오버몰딩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또는 압출하는 단계 후에 기판 또는 중합체에 의해 오버몰딩된 기판의 부분을 50℃ 초과, 또는 60 내지 150℃, 또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과 접촉하는 기판의 부분에 유기 프라이밍 층이 없고,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이 기판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가열된 열가소성 조성물을 사출하는 단계 또는 압출하는 단계 전에, 기판 또는 기판의 오버몰딩된 부분을 50℃ 초과, 또는 60 내지 150℃, 또는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오버몰딩될 기판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방전으로 물리적 예비처리하는 단계, 또는 오버몰딩될 표면을 관능성 실란의 도포 및/또는 유기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및 지르코알루미네이트로부터 선택된 접착 촉진제의 도포에 의해 화학적 예비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25975A 2014-03-26 2015-03-16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2269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580 2014-03-26
FR1452580A FR3019180B1 (fr) 2014-03-26 2014-03-26 Composition d'elastomere thermoplastique pour encapsulation
PCT/FR2015/050634 WO2015145021A1 (fr) 2014-03-26 2015-03-16 Composition d'élastomère thermoplastique pour encaps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026A KR20160138026A (ko) 2016-12-02
KR102269292B1 true KR102269292B1 (ko) 2021-06-25

Family

ID=5087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75A KR102269292B1 (ko) 2014-03-26 2015-03-16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669415B2 (ko)
EP (1) EP3137545B1 (ko)
JP (1) JP6608841B2 (ko)
KR (1) KR102269292B1 (ko)
CN (1) CN105143343B (ko)
BR (1) BR112016020826B1 (ko)
CA (1) CA2941336A1 (ko)
EA (1) EA032567B1 (ko)
ES (1) ES2683862T3 (ko)
FR (1) FR3019180B1 (ko)
MX (1) MX2016012230A (ko)
PL (1) PL3137545T3 (ko)
PT (1) PT3137545T (ko)
WO (1) WO2015145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46013A1 (en) * 2016-12-10 2018-06-1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Polyolefin elasto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R3063254B1 (fr) * 2017-02-27 2019-03-22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ncapsulation
DE102017122314A1 (de) * 2017-09-26 2019-03-28 Kraiburg Tpe Gmbh & Co. Kg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 auf Styrol-Blockcopolymer-Basis mit niedriger Dichte und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0667A1 (en) 2002-10-02 2006-02-09 Selim Yalva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viscosity, homogeneously branched ethylene alpha-olefin extender
EP2623526B1 (en) 2010-09-29 2017-07-26 Zeon Corporati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having alkoxysilyl group, and us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0364C1 (en) * 1985-08-24 1987-01-02 Dynamit Nobel Ag Moulding composition based on polyolefins
US4822857A (en) 1987-12-22 1989-04-18 Shell Oil Company Method of grafting silane compounds to block copolymers
FR2691112B1 (fr) 1992-05-14 1995-07-21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ede d'encapsulation d'un vitrage et vitrage ainsi obtenu.
JP4002010B2 (ja) 1998-08-21 2007-10-31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材料の接着方法
FR2828191B1 (fr) * 2001-08-06 2003-11-14 Saint Gobain Procede de traitement d'un vitrage feuillete et application
US7465764B2 (en) * 2004-06-18 2008-12-16 Ocv Intellectual Captial, Llc Epoxy sizing composition for filament winding
JP4901106B2 (ja) * 2005-01-27 2012-03-2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車両モールディング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付きガラス板
JP4820569B2 (ja) * 2005-04-08 2011-11-24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付きガラス板
JP5228041B2 (ja) * 2007-06-20 2013-07-03 ピルキントン ノース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部材をガラス基材に接着させる方法
US10023776B2 (en) * 2007-12-21 2018-07-1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Preparation of a self-bonding thermoplastic elastomer using an in situ adhesion promoter
EP2489070A1 (en) * 2009-10-14 2012-08-22 Adco Products, Inc. Use of calcium oxide as a water scavenger in solar module applications
US20120199199A1 (en) * 2009-10-14 2012-08-09 Adco Products, Inc. Edge sealant composition with reactive or unsaturated polyolefins
US8129471B2 (en) * 2009-12-30 2012-03-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ether-ester) copolymer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from
JP5558889B2 (ja) * 2010-03-31 2014-07-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着性シール部材
CN103249746B (zh) * 2010-09-29 2015-05-06 日本瑞翁株式会社 具有烷氧基甲硅烷基的嵌段共聚物氢化物及其利用
JP2012079849A (ja) * 2010-09-30 2012-04-19 Sumitomo Bakelite Co Ltd 太陽電池封止材用フィルム
US20120107614A1 (en) * 2010-10-29 2012-05-03 Yigal Dov Blum Method of coating a substrate surface, and coated substrates prepared thereby
FR2978525B1 (fr) * 2011-07-29 2018-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lumineux de meuble
TWI424014B (zh) * 2011-11-08 2014-01-21 Kenner Material & System Co Ltd 阻燃導熱塑膠組成物
JP2013207006A (ja) * 2012-03-28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貫通電極付き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0667A1 (en) 2002-10-02 2006-02-09 Selim Yalva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viscosity, homogeneously branched ethylene alpha-olefin extender
EP2623526B1 (en) 2010-09-29 2017-07-26 Zeon Corporati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having alkoxysilyl group, and us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137545T (pt) 2018-10-08
CA2941336A1 (fr) 2015-10-01
PL3137545T3 (pl) 2018-10-31
WO2015145021A1 (fr) 2015-10-01
CN105143343A (zh) 2015-12-09
EP3137545B1 (fr) 2018-05-16
US20170130043A1 (en) 2017-05-11
FR3019180B1 (fr) 2016-03-25
US10669415B2 (en) 2020-06-02
KR20160138026A (ko) 2016-12-02
BR112016020826B1 (pt) 2021-08-17
EA032567B1 (ru) 2019-06-28
CN105143343B (zh) 2017-09-15
FR3019180A1 (fr) 2015-10-02
EP3137545A1 (fr) 2017-03-08
EA201691932A1 (ru) 2017-01-30
ES2683862T3 (es) 2018-09-28
MX2016012230A (es) 2017-01-11
JP6608841B2 (ja) 2019-11-20
JP2017512856A (ja)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6813B2 (en) Cura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269292B1 (ko) 캡슐화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7560157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glass plate with thermoplastic elastomer molding
EP2162487A1 (en) Method of adher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member to a glass sheet
JPH0150255B2 (ko)
JP5375357B2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AU2016260185A1 (en) Moisture curable hot melt adhesive with high adhesion strength and fast set time
JP5343408B2 (ja) 塩水接着性に優れた金属・オレフィン系樹脂接着剤組成物
EP1632540A1 (de) Zum Verkleben geeignete thermisch gehärtete Silikonbeschichtung
EP3765564B1 (en) High performance single-component hot melt sealant composition
JP2017512856A5 (ko)
US20040138356A1 (en) Primer composition
EP3585581B1 (fr) Procede d&#39;encapsulation
KR20190034871A (ko) 자동차 내장재용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JP4617649B2 (ja) タイヤとタイヤ用部材との接着用プライマー組成物およびタイヤとタイヤ用部材との接着方法
JP2008285612A (ja) 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
CN113956826B (zh) 一种粘结组合物、保护膜及其应用
CN113621343A (zh) 硅烷改性自粘丁基胶以及含有硅烷自粘丁基胶的防水卷材
JP2001049183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