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52B1 -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52B1
KR102267052B1 KR1020200164846A KR20200164846A KR102267052B1 KR 102267052 B1 KR102267052 B1 KR 102267052B1 KR 1020200164846 A KR1020200164846 A KR 1020200164846A KR 20200164846 A KR20200164846 A KR 20200164846A KR 102267052 B1 KR102267052 B1 KR 10226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long
composite sheet
water
reinforc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구
Original Assignee
이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구 filed Critical 이만구
Priority to KR102020016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지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지붕, 건축구조물에서 방수는 물론 표면 보강을 부여하되 도막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수단열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냉난방비 절감에 기여하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Composite sheet waterproof reinforcement method}
본 발명은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지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지붕, 건축구조물에서 방수는 물론 표면보수와 균일보수, 구조물 탈락방지 기능을 부여하되, 도막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수단열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냉난방비 절감에 기여하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도로 진행되는 산업화로 인해 인구의 밀집현상과 주거, 상업 공간 및 공공시설 등의 증가로 인해 특히 대도시의 도심부에는 인공적인 열과 각종 대기오염 물질의 증가로 인해 자연 상태의 태양 에너지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여름철 도심부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열섬(Heat Island)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 여름철 태양열 에너지는 1일 평균 5,900㎉/㎡에 달하고, 상기 태양열 에너지는 한낮의 철판지붕의 표면온도를 80℃ 전후까지 상승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건축물의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더운 여름철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비 증가를 초래하므로 건축물이 태양광선을 미리 반사하거나 건물 외부 표면에 흡수된 적외선에 의한 열에너지의 건물 내부로의 이동을 차단(단열)하도록 하여 건축물 표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그를 통해 건축물 내의 냉방 등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종래 이러한 건축물의 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차례에 걸친 단열강화조치를 취하여 건물의 에너지소비 절약을 해왔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개발되어 건축물에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재의 경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두께의 증가가 필연적이고, 결국 벽체 두께의 증가를 초래하여 건축물의 사용면적 감소 및 건축비용의 증가 등과 같은 단점이 있기에 최근에는 이러한 단열재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하절기 건물의 표면온도를 낮춰 냉방부하를 줄일 수 있는 차열도료, 단열도료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기한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다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단열 및 차열도료에는 차광재로서 무기 산화물들을 사용하지만, 대부분 결합제인 수지들과 중합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단순 혼합으로 인한 치밀하지 못한 구조로 인하여 내오염성 및 내구성 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료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도막 방수공법)의 한계로 상부에 도막형성이 너무 얇거나 두껍게 형성되면 건조단계 또는 기온의 변화과정에서 도장면의 크랙이 발생하거나 기공이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a)는 슁글지붕의 탈락, 누수예를 보여주며, (b)는 돌출단부로서 균열에 의해 낙하 위험이 큰 예를 보여주고, (c)는 옥상슬라브의 균열예를 보여 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의 경우, 도막 형성과정이 여러 단계로 구성되다 보니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져 시공단축을 요청하는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015465호(2019.08.22.)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보강공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슬라브지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지붕, 건축구조물에서 방수는 물론 표면보수와 균일보수, 구조물 탈락방지 기능을 부여하되, 도막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수단열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냉난방비 절감에 기여하며,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도막 형성단계, 중도막 형성단계,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 상도막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막 형성단계는 아크릴우레탄을 도포하여 고내후성 하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중도막 형성단계는 하도막 위에 우레탄 2액형 실란트를 도포하여 흡유성을 유지시키면서 부직포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도록 중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는 220데니어/40가닥이 4합된 폴리에스테르사를 부직하여 만들어진 장섬유 형태의 부직포를 중도막 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상도막 마감단계는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방수재를 장섬유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장섬유부직포의 공극으로 침투 고정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라브지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지붕, 건축구조물에서 방수는 물론 표면보수와 균일보수, 구조물 탈락방지 기능을 부여하되, 도막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방수단열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냉난방비 절감에 기여하며,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탈락, 누수 등 보강이 필요한 부위의 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을 지붕에 적용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종래 [선행기술문헌]과 달리 도장횟수를 줄이면서도 원하는 방수특성 확보, 보강 기능 구현 등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시공면 표면에 잔류된 먼지, 유분, 낙엽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척된 상태, 들뜬 부위나 균열 부위 혹은 낡거나 파손된 부분은 부분적으로 보수 보강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열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장섬유부직포를 5 내지 10cm 겹침시공하면서 상도를 침투되게 도포하여 마무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도가 건조 경화되면서 자동적으로 이음매가 일체화되어 부착력이 우수하고 재료분리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방수기능도 함께 갖추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은 하도막 형성단계, 중도막 형성단계,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 상도막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수보강공법은 옥상 슬리브, 경사파라펫, 각종 형태의 지붕에 적용되어 그 우수한 시공성과 장수명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하도막 형성단계는 아크릴우레탄을 도포하여 고내후성 하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중도막 형성단계는 하도막 위에 우레탄 2액형 실란트를 도포하여 흡유성을 유지시키면서 부직포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도록 중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중도막 형성전에 하도막에 수성라텍스와 폴리부텐과 물이 1: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을 분무하여 중도막 형성시 도막의 계면에서의 균열을 억제하여 계면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이때, 폴리부텐은 라텍스를 부드럽게 하여 고무성분의 연화를 높이고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며 계면 부착력을 강화시켜 계면 분리를 억제하게 된다.
아울러,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는 중도막의 크랙, 부분탈락을 막고, 충격저항, 마모저항성을 확보하며, 치수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장섬유 형태의 부직포를 중도막 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장섬유부직포는 부직포 자체적으로 방수성 및 발수성을 갖도록 220데니어/40가닥이 4합된 폴리에스테르사를 부직하여 만들어지며; 발수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장섬유부직포는 발수처리제에 딥핑된 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발수처리제로는 물 1ℓ를 기준으로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100g, 올레아미드 15g, 트리메틸아민 50g, 글리콜-2-에틸헥사놀 10g, 무수 디클로로메탄(anhydrous dichloromethane) 20g을 투입한 후 50℃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디페닐포스포릴 아자이드(diphenylphosphoryl azide) 55g을 천천히 투입하여 15분간 더 교반한 후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50g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카르복실산과, 올레아미드와, 트리메틸아민와, 글리콜-2-에틸헥사놀 및 무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은 특히, 물에 대한 접촉각과 내수성을 강화시켜 발수성 및 점착성을 증대시킨다.
특히, 올레아미드(Oleamide)는 슬립성을 강화시키고 균일 분산성을 좋게 하며, 글리콜-2-에틸헥사놀은 거품성을 억제하여 처리효율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카르복실산과 트리메틸아민은 표면의 미세 구조와 낮은 표면 에너지를 지니는 소수성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무수 디클로로메탄과 디페닐포스포릴 아자이드는 폴리우레탄수지와 교합되면서 내수압특성도 증대시킨다.
아울러, 상도막 마감단계는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방수재를 장섬유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장섬유부직포의 공극으로 침투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다.
덧붙여, 상기 하도막 형성단계에서 하도막을 구성하는 아크릴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0중량부, 메틸실리코네이트 5중량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하도액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TCPP는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메틸실리코네이트는 강한 발수력을 제공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는 접합면에서의 연화 기능 증대에 기여하여 접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도막 형성단계에서 중도막을 구성하는 우레탄 2액형 실란트 100중량부에 대해, PEBAX(Polyether-block-amide) 15중량부, 에테닐 아세테이트(CH2CHCOOCH3) 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중도액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PEBAX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우수한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에테닐 아세테이트(CH2CHCOOCH3)는 수지의 스티프니스(stiffness)와 인장강도 조절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상도막 마감단계에서 상도막을 구성하는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방수재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미드아민 15중량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상도액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은 내열, 내한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는 열팽창을 억제하고 함침액의 접착고정력을 극대화시켜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은 산소의 흡습 침투를 막아 코팅층의 크랙과 파단을 막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방수보강공법을 이용하여 단열 및 차열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콘크리트블럭 표면을 상술한 공법에 따라 처리하여 발명시료(15cm×15cm×4cm)를 만들고, 그 표면에서의 온도 변화를 적외선 반사율 측정기(SPECTROMETER)로 측정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해 그냥 단순 콘크리트 블럭만으로 된 것을 비교재로 하고, 상기 블럭 시료를 발명재로 하였다.
측정방식은 밀폐된 하우징 내에 상기 발명시료와 비교시료를 각각 배치한 다음 상부에 광원을 설치하여 3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였고, 그 표면 온도변화를 스펙트로메터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발명시료는 37.7℃까지 상승했으나, 비교재는 57.2℃까지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이 단열, 차열 효과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수성 및 발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발명시료를 염수에 3일간 침지시킨 후 -10℃까지 냉각했다가 해동한 후 30℃까지 가열하기를 15회 반복한 후 표면 크랙여부와 변색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아무런 변화가 없었고, 표면에서 물방울이 맺혔으며, 크랙도 발생하지 않았고, 코팅층의 탈락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은 발수성 및 방수성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하도막 형성단계, 중도막 형성단계,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 상도막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막 형성단계는 아크릴우레탄을 도포하여 고내후성 하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중도막 형성단계는 하도막 위에 우레탄 2액형 실란트를 도포하여 흡유성을 유지시키면서 부직포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도록 중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장섬유부직포 포설단계는 220데니어/40가닥이 4합된 폴리에스테르사를 부직하여 만들어진 장섬유 형태의 부직포를 중도막 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상도막 마감단계는 수용성 우레탄아크릴 방수재를 장섬유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장섬유부직포의 공극으로 침투 고정되게 하는 단계이되,
    상기 중도막 형성전에 하도막에 수성라텍스와 폴리부텐과 물이 1:1: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을 분무하여 중도막 형성시 도막의 계면에서의 균열을 억제하여 계면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부직포는 발수처리제에 딥핑된 후 사용되되, 상기 발수처리제는 물 1ℓ를 기준으로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100g, 올레아미드 15g, 트리메틸아민 50g, 글리콜-2-에틸헥사놀 10g, 무수 디클로로메탄(anhydrous dichloromethane) 20g을 투입한 후 50℃에서 30분 동안 교반시킨 후 디페닐포스포릴 아자이드(diphenylphosphoryl azide) 55g을 천천히 투입하여 15분간 더 교반한 후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250g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3. 삭제
KR1020200164846A 2020-11-30 2020-11-30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KR10226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46A KR102267052B1 (ko) 2020-11-30 2020-11-30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46A KR102267052B1 (ko) 2020-11-30 2020-11-30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52B1 true KR102267052B1 (ko) 2021-06-17

Family

ID=7660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46A KR102267052B1 (ko) 2020-11-30 2020-11-30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28B1 (ko) * 2012-09-10 2013-04-16 오배행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28B1 (ko) * 2012-09-10 2013-04-16 오배행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896B1 (ko) 수용성 아크릴 우레탄 방수제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복합시트 시공방법
CA2834225C (en) An improved roof tile
KR100640073B1 (ko)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101936730B1 (ko) 아스팔트 슁글 지붕의 단열 차열 방수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 차열 방수공법
JP2014522722A (ja) 太陽放射を反射するための防水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並びに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白色装飾及び反射層を形成するための水性コーティング
KR101201850B1 (ko) 금속 및 아스팔트 슁글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KR102409959B1 (ko) 수용성 방수재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2267052B1 (ko)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KR102213597B1 (ko) 열 차단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방수제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수 시공방법
CN106891592B (zh) 一种具有隔音、隔热、防水功能的自粘卷材
CN105089290A (zh) 一种屋面维修的方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2570896B1 (ko) 친환경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방수도장방법
CN202644767U (zh) 防水保温一体化板
KR101960738B1 (ko) 수성 아크릴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붕 슁글의 날림 방지 및 방수시공공법
JP2014529517A (ja) 太陽放射を反射するための防水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並びに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いて装飾及び反射層を形成するための水性コーティング
KR102402710B1 (ko) 쿨루프형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방법
KR20130023000A (ko)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KR101219532B1 (ko) 콘크리트 또는 슬레이트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CN109025075B (zh) 波纹沥青防水板
KR102124805B1 (ko) 복합방수방근공법
PL166494B1 (pl) Material do izolacji cieplnej i dzwiekowej, sposób wytwarzania materialu cieplnie oraz dzwieko-izolacyjnego, zwlaszcza budowy przewietrzanych fasad PL PL
CN113756605A (zh) 一种铁路混凝土屋面防水翻新的施工方法
SK500272012U1 (sk) A sandwich damp-proofing and method of it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