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000A -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000A
KR20130023000A KR1020110086433A KR20110086433A KR20130023000A KR 20130023000 A KR20130023000 A KR 20130023000A KR 1020110086433 A KR1020110086433 A KR 1020110086433A KR 20110086433 A KR20110086433 A KR 20110086433A KR 20130023000 A KR20130023000 A KR 2013002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resin
materials
defect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우
Original Assignee
신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우 filed Critical 신영우
Priority to KR102011008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3000A/ko
Publication of KR2013002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81Repairing or restoring roofing or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슬라브 구조, 철판, 슬레이트, 아스팔트싱글)의 방수층누수 하자로 인해 천정으로 물기가 스며들어 내부에 습기가 차고 겨울철 단열성능 문제로 인한 결로현상이 생겨 내부 천정이나 벽에 습기가 차고 얼룩과 곰팡이가 발생하는 하자문제 별로
콘크리트 슬라브가 계절적인 온도 차이로 수축 팽창에 의해 크랙이발생하여 갈라진 틈으로 누수가되고, 단열 불량으로 결로가 발생하며, 실내 기온이 여름철에는 상승하고 겨울철에는 추위지는 슬라브 시공의 하자,
철판으로 구성된 체육관 강당, 공장 등의 대형 구조물의 마감재인 경우 시공 미숙과 단열자재 선택 사용이 부적합하여 결로가 발생하고 태양열에 의해 철판의 뒤틀린 현상이 발생하여 틈새로 누수가 되고 고정 피스 구멍이 넓어져 누수가 되는 문제
주거 및 군내무반용 지붕에 아스팔트 싱글이나 기와 지붕의 경우 바람에 싱글이 꺾인 틈새로 누수가 되어 합판이 부식되고, 기와의 경우 자외선에 삭아 크랙이 생기는 현상으로 인하여 누수가 되고, 단열시공 불량으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
슬레이트 지붕재인 탄약고나 특수창고인 경우 슬레이트가 자외선에 부식되어 크랙이 발생하고 단열불량으로 결로가 발생하며, 탄약고 내부가 고온으로 위험한 탄약보관창고 이글루 탄약고인 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가 온도 차이로 크랙이 발생하고 장마철 흙의 슬라이딩 현상으로 방수층도 함께 쓸리며 파손되어 누수가 되는 문제
이와 같이 지붕 마감재가 복합적인 건축물의 다양한 구조와 형태에서 오는 방수, 결로, 단열 하자를 원인별 철저한 진단과 재보수에 대한 구조물 별 적합한 자재를 선택하여 재보수 시공이 3차원적 시스템으로 문제의 진단, 자재선택, 완벽한 시공과 보수로 기능, 용도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콘크리트 슬라브, 철판 지붕재, 슬레이트 지붕재, 목재 위 아스팔트 싱글, 단열,방수,결로, 크랙 발생,경질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에폭시 프라이머,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방수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omitted}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물의 지붕재가 자외선에 의한 부식, 계절적 온도차에 의한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크랙이 발생하고 방수층 누름 몰탈이 깨지고 들떠 하부 방수층이 찢기고, 노출 도막방수인 경우(폴리우레탄, 에폭시)크랙으로 갈라진 틈으로 누수되어 침투한 수분에 의해 에어포켓이 발생하는 방수하자와, 아스팔트 싱글이 비, 바람에 꺾이거나 파손으로 누수가 되어 합판의 부식으로 지붕판 목재가 처지거나 물이 새고, 철판 지붕재의 부식, 고정핀의 커진 틈새로 누수가 되고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
탄약고의 슬레이트 지붕재가 자외선으로 인한 부식과, 단열 불량으로 인한 창고내부 온도의 상승으로 위험 요인이 생길 수 있는 탄약창고, 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의 이글루 탄약고인 경우 흙의 슬라이딩 현상으로 누수와 결로가 발생하는 등 건축물의 종류, 구성 별로 다음과 같이 방수, 결로 하자가 발생하며 종류 및 하자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콘크리트 슬라브 지붕
건축물의 지붕이 콘크리트 슬라브인 경우 하자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계절의 온도차에 의한 수축 팽창으로 누름몰탈 층이 들뜨는 현상과 크랙이 발생하여 습기와 빗물이 크랙 틈으로 스며들어 누수되는 문제와 노출방수(폴리우레탄 방수, 케미칼 방수)인 경우 자외선의 부식으로 인하여 갈라지거나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2) 철구조, 철판 지붕재(공장, 체육관, 창고, 강당)
철판으로 형성된 지붕재는 뜨거운 태양광에 의해 철판이 뒤틀리거나 철판 고정핀 틈새와 방수용 캡이 노화되어 수축 팽창으로 인해 물이 새고 단열성이 떨어져 실내 온도의 기온 차가 심한 현상이 발생한다
철판 지붕재의 경우 마감 페인팅재 부실로 산성비, 자외선에 의해 훼손되어 녹이 발생하고 철판의 부식으로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3)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
비바람에 싱글 지붕재가 꺾이거나 태양열에 의해 아스팔트 레진이 녹아 틈새로 빗물이 들어가 목재가 부식되어 천정판이 처지며 누수가 되고 결로가 발생하는 하자
(4) 슬레이트 지붕재(군부대 탄약고, 창고)
이 경우 오랫동안 자외선에 슬레이트가 삭아 크랙이 발생하고 석면이 노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공해가 유발되며, 단열시공이 안되어서 탄약고 내부가 여름철 온도 상승으로 폭발사고 위험과 결로에 의한 습기로 탄약에 녹이 발생하여 불발탄이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다른 경우 땅 속이나 반 지하 구조로 반원 형태의 이글루 탄약고는 위장 과 은폐를 위해 탄약고 위에 흙을 복토하여 폭격 시 흙으로 인해 완충역할을 하도록 조성되어 있으나 봄 해빙기와 여름 장마 때에 흙이 흘러내려 하부에 시공된 방수시트가 훼손되거나 단열성능 저하로 탄약 내, 외부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로 탄약의 아래 부분과 윗부분 자리를 바꾸거나 습기를 피해 저장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1)(2)(3)(4) 의 누수, 결로, 단열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시공하여야 한다
A :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탑 코팅재(Top Coating)로 시공해야 내구성 및 자외선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B : 결로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 고분자 레진으로 시공하여 내, 외부 온도 차이가 적도록 하여야 결로 방지를 할 수 있다
C :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된 반원형 이나 평 슬라브 형태의 구조물, 건축물은 크랙에 견디는 수축 율이 좋은 재료로 시공하고, 접착 성이 좋아 부착 성능이 좋은 재료를 선택하여 시공한다.
또한 습기 제거용 에어 밴트 를 설치하여 습기 분출구를 구성하여 기화된 수증기가 빠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글루 탄약고와 같은 반원형 콘크리트슬라브는 장마철 흙의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방수층이 훼손되지 않는 구조체와 접착성이 양호한 고분자 방수재(폴리우레아)로 시공해야 하고 흙의 슬라이딩을 막을 수 있는 지지대 장치를 해야 한다
D : 철판 구조물, 건축물의 경우, 자외선이나 습기에 녹이 발생하여 부식되어 구멍이 생기고 코팅된 페인트가 갈라지고 벗겨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철판 지붕재에 칠해진 페인트가 용해되지 않는 재료로 보강 후 위에 단열성이 좋은 단열 고분자 레진(열 전도율 0.018~0.02 Kcal/℃)으로 30~50mm 시공하고 상부에 수축과 팽창, 부착성이 우수한 방수재 시공 후 자외선에 양호한 (아크릴 + 폴리우레탄)레진 탑코팅으로 시공하면 완벽한 방수, 단열 시공이 된다.
E : 목재 위 아스팔트 싱글 보수 시 아스팔트 레진에 접착이 좋고 단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로 단열, 방수 시공을 한다.
현대의 건축물, 구조물의 경우 다양한 형태, 자재로 구성되어 복잡한 여러가지 마감에 따라 방수, 단열 시공도 여러 가지 종류로 구성되며 건축물, 구조물의 다기능 조건에 적합하고 하자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구성과 자재성분에 친화적인 재료를 선정, 시공 시 완벽한 작업을 하여야 하고 신축 건축물, 구조물인 경우 설계 전에 마감재 구성 별로 콘크리트 슬라브, 철판, 싱글 지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계절적 온도 변화에 대비하여 마감재 종류별 익스팬션 조인트나 연결구조에 대한 건축물, 구조물의 수축 팽창에 대한 자재 선별, 시공방법 별로 건축물, 구조물의 신축, 보수 시공을 하여야 건축물의 내구성과,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발생 요인을 아래 표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건축물 구성, 자재, 하자발생의 요인
Figure 112011502557943-PAT00001
상기 표에서 제시된 건축물, 구조물의 구성형태나 재료선정, 시공방법이 여러 종류로 형성 시공 됨으로 하자발생 원인과 시공방법, 환경적 요인, 구조물의 대, 소에 따라 여러 형태의 하자가 발생하게 되고, 단열재 폴리우레탄 발포재를 이용한 1991년 본인이 안출한 실용신안 등록 제 070196호 단열 방수 슬레이트(슈퍼루핑)의 현장 적용 시 부분적 문제(압축 강도가 약함, 부풀음 발생, 박리현상)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규 발포방법과 방수방법으로 성능, 내구성의 향상 보강을 위하여 본 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건축물, 구조물 마감재의 온도 차에 의한 수축 팽창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 누름 몰탈 들뜸 현상에 의한 누수, 결로 발생으로 내부에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서식하고, 강한 태양 열에 마감재가 훼손되는 등 구조물의 위치(바닷가, 습한 음지, 공단 유해가스 지역)에 의해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방수, 단열 하자와 건축물, 구조물의 마감재와 시공자재의 호환성, 자외선 차단 방법, 내 염분 성을 갖는 고분자화합물 자재 선택과 시공방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 하자 발생의 원인
* 유해 가스(Gas) 유발지역 내 위치(유해가스 유무, 바닷가)
* 지역적 자외선 조사량 유무(양지, 음지)
* 건축물, 구조물의 사용시 진동 유무(원자력 발전소, 공장 진동 파악, 바람 세기)
* 옥상 사용 정도와 이용 종류(식물재배, 훈련용, 체육시설, 보행 정도)
상기에서 명시된 구성과 하자 발생 요인을 파악하고 적합한 마감재료 선별 및 시공방법으로 하자발생과 재 보수가 없도록 완벽한 시스템으로 시공해야 한다
○ 문제 해결을 위한 원인별 시공 방법
Figure 112011502557943-PAT00002
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의 경우 슬라브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가성소다(NaOH) 성분을 약산성 (PH 3~4) 희석제로 중화시켜 건조 후 콘크리트에 부착성이 좋은 프라이머 레진(Primer Resin)인 무용제 에폭시, 무용제 폴리우레아 프라이머 시공 후 2차 단열 시공 시 난연성 단열 고분자 인 경질 폴리우레탄 30~50mm 두께로 단열 시공을 한다. 보수 시공 시는 몰탈 들뜸과 파손부위를 보완 후 3차 방수 시공을 한다.
이때, 접착성과 방수성이 좋은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으로 시공 하며 마감재로 자외선 방지를 아크릴 레진+ 폴리우레탄 탑코팅 레진으로 시공 해준다
철판 지붕재 시공의 경우 철판에 도포 되어있는 페인트의 종류(소부에나멜, 소부아크릴)에 따라 부착이 가능한 프라이머(무용제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로 시공을 한 후 고분자 단열 화합물인 난연성 폴리우레탄으로 단열 시공을 30~50mm 두께로 한다. 이때 1차 단열시공 두께는 10mm가 넘지 않아야 밀림 현상이나 쭈그러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고 부착이 양호하여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슬레이트 지붕재인 경우, 자외선에 파손, 부식된 시멘트 가루를 청소한 후 미세한 크랙을 막을 수 있는 부착성이 좋은 단열 고분자 레진인 난연성 폴리우레탄 30~50mm 단열 시공을 해준 후 방수재로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으로 0.7~2mm 정도 방수시공을 하고 탑코팅재로 자외선에 강한 아크릴 레진+폴리우레탄 혼합형 레진으로 시공한다.
목재 위 아스팔트싱글 지붕은 아스팔트 레진이 용제에 용해됨으로 수용성 에폭시나 무용제 폴리우레아 프라이머로 시공한 후 결로방지와 단열시공을 한 후 자외선에 강한 탑코팅(아크릴레진+폴리우레탄레진 혼합형)으로 시공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인 이글루 탄약고의 경우 흙이 슬라이딩 될 때 방수층, 단열층이 찢어지거나 파손이 안되는 부착성, 단열성이 좋은 고분자 화합물로 시공해야 하고 흙의 슬라이딩을 막기 위하여 비금속 봉을 설치하여 흙의 흘러내림(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시공을 보완해 준다
건축물, 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지붕 마감재의종류와 구조, 형태,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친환경적 요인까지 분석하여 구조물 지붕 시공재와 호환성이 좋은 자재를 선정하여 시공 작업시 유의해야 하는 문제까지 검토하여 하자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건축물, 구조물의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방수, 단열성이 좋은 단열 고분자 레진인 폴리우레탄[열 전도율0.018 Kcal/℃-0.02]으로 단열시공을 할 때 건축, 구조물의 수축, 팽창, 결로를 막을 수 있고 위에 시공하는 방수재를 고분자화합물인 폴리우레아 방수재로 시공 시 접착성, 신축율이 매우 좋아 건축,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재 시공 하자가 생기지 않는 영구적인 건축, 구조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한 건축, 구조물 마감재의 구성, 건축물의 진동 유무, 건축 구조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각각 적합한 고분자 화합물 마감 레진 의 종류와 시공방법, 두께, 미관을 고려한 마감 층 시공으로 신축, 재 시공 시 시공자재 종류 선정 후 시공방법 별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콘크리트 슬라브 류
도 1 에 도시한 콘크리트 슬라브(1)와 반원 형 콘크리트 슬라브(1a)의 건축, 구조물의 노출 형 방수, 단열, 결로방지 시공을 예시한 도면으로 시공 순서 및 자재, 시공방법 별로 분류하면
a) 콘크리트 슬라브(1) 청소(산 PH -2 -3으로 세정)
b) 몰탈 부위 크랙, 들뜸(1000) 현상 파악
c) 콘크리트 슬라브(1) 건조 확인(85% 이상 건조 확인)
반원 형 콘크리트슬라브(1a ) 마감 구조물 훼손원인 파악
상기에서 예시된 공정 순으로 문제 발생의 원인과 재료 선택 시공방법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차 콘크리트 슬라브(1) 표면에 발생하기 쉬운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가성소다(NaOH)가 함유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슬라브를 형성할 때 강한 가성소다 성분이 콘크리트 슬라브(1) 표면에 생성되기 때문에 PH 2~3정도의 산성 희석물로 세정하여 중화시키고 크랙, 들뜸 부위(1000)는 폴리우레탄 코킹재나 시멘트 페이스트를 수용성 아크릴(Acrylic)레진 혼합 미장재(1001)로 평탄 작업을 하고
2차 슬라브의 세척이나 수분을 85~90%이상 건조를 확인하고 프라이머(2) 작업을한다. 프라이머 (Primer)(2)재료로 고분자 화합물인 에폭시 레진(Epoxy Resin)이나 폴리 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엠 디 아이(MDI) 레진의 혼합물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프라이머(Primer)(2)를 콘크리트 슬라브(1)와 상부 단열재 강화 시공을 하고 10~12월 시공시 에는 타설 콘크리트 슬라브(1)의 완전 건조가 불가능하므로 이때 에멀존 에폭시 레진이나 수분 경화형 단열 성분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니트 레진과 MDI 혼합형 단열 레진 으로 프라이머 시공을 해야 습기로 인한 생기지 않는다.
상부 층 단열, 방수용으로 보행과 압축강도 증강용 단열 고분자레진(3) 시공자재로 분자량 100~1000 중[700사용] 관능지수 2.2~2.5의 폴리올(Polyols)75% 중 [관능지수 2~4의 폴리올 45%]와 소포제 1.5g, 촉매 1g의 경화부 조성 레진과 발포반응 상승용 H2O 0.5%와 MDI 50% 비의 A액 1 : B액 1의 혼합비로 완전 믹싱 하기 위해 순간믹싱 건의 고압에서 레이스로 스프레이 시공이 가능하고 이때 슬라브에 시공된 프라이머와 접착성능 강화를 위해 1회 시공 두께가 10mm가 넘지 않도록 하여야 발포시 주름,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완전한 접착 발포가 되며 10mm 시공 시 표면에 고분자 단열 피막층(30)이 형성되어 1차 방수재 역할도 한다.
콘크리트 슬라브(1) 시공 시 사용 용도에 따라 단열 고분자 레진(3)을 2~3회 스프레이 하여 30~50mm 두께로 발포시켜 결로방지가 되고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시공하고 단열층 시공이 완성되면 방수, 단열층 보호용 방수재,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레진 [분자량 140~300] KR등록번호 "10-0723775"종류의 시중에 판매되는 타입의 속 경화성 폴리 우레아 레진(5)[분자량140~300]중 강도와 보행 신축성을 고려한 고분자 화합물 방수 재를 선택하여 0.7~2mm두께로 시공해준다
이때 선행기술 KR 등록번호 "10-0473730" 타입의 일반수지 제조의 고분자 레진의 분자량과 수축 압축 강도 별로 적정 레진을 선택하여 단열 고분자 레진(3) 위에 고르게 고압 에어레이스로 스프레이 방수 재를 형성한다
상기 방수재의 일반적인 성능이 자외선에 약하기 때문에 크랙, 노화, 색바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탑 코팅 재(4)로 강한 태양열에 수축 팽창이 좋은 투명 아크릴레진+폴리우레탄 레진(6)의 중합체 고분자를 사용하여 방수층 보호용 탑 코팅 재(4)를 시공 하여야 영구적 변색,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닥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단열시공을 한 후 옥상 층의 사 용목적에 따라 3~5cm의 와이어메쉬[#13]+보강 몰탈(10)로 누름 몰탈층 시공을 하므로 [체육시설, 훈련장] 중보행 옥상을 활용하기 위한 공법으로 30~50mm 경질 우레탄 스프레이(Insuro Spray)의 경우 도 2 의 단열 시공을 참고로 하고 마감층 와이어 메쉬[#13]+보강 몰탈(10)미장 후 콘크리트 친화와 접착성이 좋은 폴리우레아 타입 프라이머 0.3~0.5mm 시공 후 방수층으로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레진(5) 1~2mm시공 후 탑코팅재(4) 레진으로 아크릴레진+폴리우레탄 레진(10) 코팅 함으로써 완벽한 노출 슬라브의 결로방지, 단열, 방수층이 된다
도 3 에 도시된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의 경우 흙의 슬라이딩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에어벤트와 흙 고정 지지장치(300)를 설치하고 도1 의 시공 방법 자재로 시공한다. 만약 보수시공인 경우 흙 고정 지지장치(300) 시공 후 도1 의 시공 순서에 의한 시공방법으로 시공한다.
(2) 철판, 철구조물 지붕재
도 4 의 예는 철판 지붕재(80) 보수인 경우 창고, 공장으로 사용되며 길고 넓은 면적으로 내 외부 온도 차이와 지붕에 자외선 조사량이 많아 시설물 수축 팽창이 크므로 조인트 시공이 부정확하면 그 틈새로 겨울에는 눈이 녹아 들고 팽창계수가 큰 여름에는 철판(80)이 뒤틀리고 빗물이 스며들어 결로발생, 페인트 벗겨짐과 같은 철판 부식현상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단열재 시공과 재료선정이 적합하지 않으면 넓은 실내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에너지 사용을 하게 되므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된다.
철판 지붕재의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열재 선택과 마감 페인트 종류의 내구성, 접착성이 좋은 재료 선정으로 시공해야 자외선에 견디고 녹이 슬지 않아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시공부위에 하자가 발생하여 재 시공해야 할 때에는 녹으로 훼손된 부위를 찾아 보수하고 마감 페인트시공이 어떠한 재질(에나멜 소부코팅, 아크릴계 소부코팅)이 자외선에 훼손되어 문제가 발생 하였는지 점검하여 프라이머 시공 시 용제에 기페인트가 용해 되지 않는 프라이머 레진 으로 접착성, 내구성이 좋은 재료를 선별하여 시공하고 경화 후 단열시공의 경우 단열 고분자 레진(3)의 분자량 100-1000 중[700사용] 관능지수 2.2~2.5의 폴리 올 75%와 소포 제1.6g 촉매 1.2g의 경화부 조성 레진과 반응상승제인 H2O 1.5%와 MDI 50%의 비로 A 액 1: B액 1의 혼합비율 순간 믹싱 방법으로 A액: B액 을 혼합 후 50초 1분이 경과하면 발포되어 시공이 불가하므로 5~10초 사이에 순간 믹싱 공법의 에어레이스로 스프레이 하면 혼합된 수지가 발포하며 접착이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이때 1차 발포의 두께가 10mm이상이 되면 밴딩 되며 레진이 서로 밀려드는 시공불량이 발생하므로 2차~3차 시공의 전체 두께 30~50mm가 되도록 용도에 따라 조정 시공 해야 한다
시공 시기가 9월~12월 계절적으로 서리가 내리고 기온이 내려갈 때에는 발포 촉진제의 %를 증가시키고 에어레이스 온도도 10~20℃ 이상 상승시켜 시공하여야 크랙,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 층 발포 경화[1시간]가 완료되면 단열 고분자 레진(3)층 누수방지 및 방수층의 시공 두께 0.5~2mm 상온 속 경화용 폴리우레아 분자량[200] 과 지방 폴 리이소시아네이트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1.6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속 경화 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5)을 선택적으로 압축강도, 인장강도에 적합한속 경화 성 고분자 레진(5) 화합물을 에어레이스로 고르게 스프레이 시공한다. 속 경화 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 은 자외선에 크랙, 변색이 발생하기 때문에 탑 코팅 재(6)를 반드시 시공하여 방수 재를 보호 아크릴 레진+ 폴리우레탄 혼합형 레진 (6)을 시공하여야 내구성이 강하고 칼라의 변색을 방지하고 수명이 길어진다.
(3) 슬레이트 지붕 재
도 5 의 예는 슬레이트 지붕 재(60)로 주택, 군부대 탄약고등 다양하게 사용 되고 있다. 슬레이트 지붕재의 경우 석면+시멘트+접착제로 고온 고압에서 성형된 자재로 오랫동안 사용하면 시멘트의 부식으로 석면가루가 밖으로 노출되어 인체에 심각한 발병 요인이 되고 오랫동안 보수하지 않고 방치된 지붕 재는 크랙 현상과 단열이 되지 않아, 여름철에는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에 부적합한 자재로 군부대 탄약고의
경우 70%이상이 슬레이트 지붕 재(60)로 실내에 보관해 둔 탄약이 상승된 실내 온도에 폭발위험까지 안고 있는 실정이고, 겨울철에는 내 외부의 기온 차이로 결로 현상으로 탄약으로 물기가 떨어져 탄약에 녹이 발생하여 불발탄약이 되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고온, 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레이트 크랙 이나 표면에 접착이 양호한 에폭시 프라이머나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로 시공 후 1차 10mm정도 폴리이 소시아네이트 + MDI 고분자 레진 을 접착 발포시켜주고 2차 15~25mm 정도 발포시켜 단열층을 형성시킨 후 위에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5)을 0.7~3mm 내외로 에어레이스로 스프레이 한 후 탑 코팅 재(4)를 시공하면 분진의 확산 방지, 단열층 형성, 결로방지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해진다.
(4) 아스팔트 싱글 지붕재
도 6 의 예는
목재 위 아스팔트 싱글지붕(70) 마감의 도면으로 주택, 군부대 내무반에 사용되어 있으나 오랜기간 바람에 꺾이고 꺾인 부위로 빗물이 스며들어 목재가 부식되어 누수 하자가 발생하고 부적합한 단열로 인한 결로가 생겨 내부에 습기가 생기고 곰팡이가 발생하여 유해 곰팡이에 의해 인체에 해로운 증세가 생기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려면
목재틀을 보수하고 싱글 지붕재의 아스팔트와 칼라샌드(Colour Sand)를 접합시킨 자재로 토루엔, 키시렌 용제의 프라이머가 혼합된 레진을 사용하면 아스팔트가 용해되어 칼라샌드가 떨어져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5)이나 단열 고분자 레진(3) 분자량[100-1000] 관능지수 2.2-2.5의 폴리올 75% 와 소포제 2g 경화 촉진용 H2O 0.5%의 폴리이소시네이트 레진과 MDI 의 A액 1 : B액 1로 혼합된 레진을 10mm 정도 고압 에어레이스로 발포 시킨 후
25~50mm 되도록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결로방지가 되고 방수, 단열이 되도록 시공 후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레진(5) 방수재 시공 후 탑코팅을 할 때 아크릴 레 진+폴리우레탄 혼합형 레진(6)으로 탑코팅 시공하면 자외선에 의한 변색, 부식을 차단할 수 있어 재 시공이 필요 없는 연구적 사용이
○ 입체 시스템 시공 방법
Figure 112011502557943-PAT00003
집행부서나 설계 사무소에서 전문적인 시공 계획 수립을 위한 지붕시공 방법과 보수 방법을 분류하여 하자가 없는 시공 실시를 위해 발명 고안한 것으로 재 시공이 없음으로 건축물, 구조물 수명은 길어지고 경제적으로 이익이 된다
도 1은 콘크리트 슬라브 위 고분자 화합물 단열, 방수 시공 단면도
도 1a 는 콘크리트 슬라브가 부풀고 들뜸을 나타낸 단면도
도 1b 는 슬라브가 부풀고 들뜬 부위 평탄작업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단열 고분자 레진 시공 윗부분, 미장(4~5cm) 후 고분자 화합물 방수, 시공 단면도
도 3은 반원 형 콘크리트 슬라브의 이글루 구조물 복토 구조의 고분자 시공 단면도
도 4는 슬레이트 지붕 재 구조의 고분자 화합물 시공 단면도
도 5는 철판 지붕 재에 고분자 화합물 시공 단면도
도 6은 목재 위 아스팔트 싱글 마감재 위 고분자 화합물 시공 단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슬라브 1a: 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 2: 프라이머
3: 단열 고분자 레진 3a: 폴리 인슈로 프라이머
5: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
6: 아크릴 레진 + 폴리우레탄 혼합형 레진 (탑 코팅재)
10: 와이어 메쉬 + 보강 몰탈(30~50mm)
30: 고분자 단열 피막층 60: 슬레이트 지붕재
70: 목재 위 아스팔트 싱글 80: 철판, 철판지붕재
100: 복토 흙 200: 물 홈통 300: 흙 지지장치 400: 에어벤트
1000: 몰탈 크랙, 들뜸 1001: 혼합 미장재

Claims (5)

  1. 건축물, 구조물의 형태 별로, 콘크리트 계 건축물, 구조물의 하자발생 원인, 철재 철판구조물, 건축물의 하자발생 요인, 스레이트 지붕재의 건축,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아스팔트 싱글 지붕 재 하자 발생 요인 별로 용도별, 마감재 구성을 파악 한후 마감재와 시공자재의 호환성, 내구성을 진단하는 단계와
    구조물의 구성 별로 콘크리트, 철판, 슬레이트, 아스팔트 싱글 종류의 하자발생 원인을 분석 하여 콘크리트 슬라브(1)의 크랙,
    철구조물의 철판 지붕 재(80) 뒤틀림으로 유격 발생,자연훼손(녹, 코팅 재 벗겨짐), 특수용도인 이글루 탄약고의 흙의 복토(100) 훼손 유무, 건축물 진동 유무를 진단하는 단계,
    건축물,구조물에 발생한 하자요인과 구조물 마감자재 와 시공자재의 상호 호환성,에 적합한 자재로 시공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을 파악한 후
    접착 강화용 프라이머(2) [에폭시계, 에멀전 에폭시, 우레탄,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레진]를 선별 시공 후 단열 고분자 레진(3)으로 단열 성능 보완 후 방수 재로 속 경화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방수 레진(5) 으로 시공 하였을 때, 방수성, 내구성 등이 적합한지 구분하여 완벽한 시공이 되도록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시 발생 할수 있는 하자 요인이 없는지 진단 하고,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시 하자 발생 요인이 없는지 확인한 후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시공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계 건축물, 구조물 하자보수 시공방법
    콘그리트 구조물(1)이 계절적 온도차에 의한 수축 팽창시 크랙으로 인한 누수, 결로 발생 하자인 경우
    ◎ 크랙부위에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우레탄 코킹 레진으로 충진 후 수축 팽창에 견디는 조인트 코킹재로 보강 작업
    ◎ 콘크리트 재질과 호환성으로 접착이 양호한 폴리우레탄 계 프라이머(2), 나 에폭시 프라이머 시공
    ◎ 구조물 자체가 온도 차에 견디도록 단열 시공을 하여 수축 팽창의 차이를 줄이고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 고분자 레진(3)으로 단열 작업을 해준다
    ◎ 복토 흙(100)의 슬라이딩 현상을 없애기 위해 반원형 콘크리트 슬라브(1a)에 지지장치(300)를 설치하여 지지 력을 높여 복토 흙(100)이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하고 슬라이딩 시 접착 성이 좋은 속 경화 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5)으로 시공하여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의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시공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철판 철재 건축, 구조물 시공 및 하자 보수 별 시공방법
    ◎ 크랙 부위는 폴리우레탄 코킹 재, 시공후 폴리우레아 코팅, 접합 보강시 공
    ◎ 철판 위에 도포된 페인트의 성분을 분석하여 종류 별(소부에나멜, 소부아크릴계)로 구분하여 접착성이 양호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프라이머로 보수 보강 시공한다
    ◎ 단열 고분자 레진인 분자량 100-1000, 관능지수 2.5의 폴리올 75%와 소포제 2g 경화 후 진동 H2O 0.5%의 MDI 레진 발포단열 를 30-50mm 시공하여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용도의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시공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스레이트 지붕 재에 대한 시공 별 하자 보수 시공방법
    경질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시공 후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 고분자 레진(3), 분자량 100-1000[700사용] 관능지수 2.2~2.5 의폴리올 45%중[관능지수2.4 폴리올 50] 소포제 1.5g 촉매 1g 의 경화부 물성과 0.6% 중량비 관능 상승용 H2O 0.5% MDI 50%로30-40 mm단열시공
    ◎ 방수층 시공 시 속 경화 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5) 분자량[200]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1.4, 데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의 레진은 신율 탄성강도에 적합한 레진 을 선택하여 고압 분사기로 스프레이 하여 0.7~2mm 시공
    ◎ 방수층 시공 후 탑 코팅 재(4) 레진 으로 태양열, 자외선에 강한 폴리우 레탄 레진에 아크릴 레진이 혼합된 칼라 탑 코팅 시공을 하여 자외선 에 변색, 크랙 방지
  5. 제 1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싱글(6)지붕 재 보수 시공은, 부식된 목재 부위 보강 보수 후 아스팔트 싱글 꺾임, 들뜸 부위 보강후 경질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고분자 레진(50) 화합물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MDI 프라이머 층 시공, 단열 고분자 레진(3) 현장 스프레이 시공으로 고분자 원자량100-1000[700사용] 관능지수2.2~2.5[2.4 사용] 1.5g 촉매 경화부 조성물 0.6% 반응 상승제 H2O 0.5%인 이소시아네이트 + 50% MDI 분자화합물인 경질 우레탄 으로 30~50mm 단열시공
    ◎ 속 경화 성 폴리우레아 고분자 레진(6) 분자량[200]과 지방 족 이소시아네이트 1.4, 데트라메틸렌 디 이소시아네이트 1.6,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의 레진 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신율 탄성강도에 적합한 레진을 선택적으로 방수재로 사용 가능
    ◎ 톱 코팅 으로 자외선에 강한 아크릴 레진 과 폴리우레탄 혼합형 레진(5)을 투명, 지정 칼라로 자외선 방지 코팅 시 변색, 부식을 방지하는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용도의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시공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 방법
KR1020110086433A 2011-08-26 2011-08-26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KR20130023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33A KR20130023000A (ko) 2011-08-26 2011-08-26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33A KR20130023000A (ko) 2011-08-26 2011-08-26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000A true KR20130023000A (ko) 2013-03-07

Family

ID=4817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33A KR20130023000A (ko) 2011-08-26 2011-08-26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30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7777A (ja) * 2017-10-24 2019-05-23 三井化学産資株式会社 一液発泡ウレタン接着剤
KR102338631B1 (ko) 2021-03-23 2021-12-14 주식회사 인더바인종합건설 건축물의 하자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및 동작 방법
CN114961329A (zh) * 2022-07-08 2022-08-30 江苏朗科建材科技有限公司 混凝土屋面老防水修缮采用聚脲防护的施工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7777A (ja) * 2017-10-24 2019-05-23 三井化学産資株式会社 一液発泡ウレタン接着剤
KR102338631B1 (ko) 2021-03-23 2021-12-14 주식회사 인더바인종합건설 건축물의 하자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및 동작 방법
KR20220132408A (ko)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인더바인종합건설 건축물의 누수 및 방수와 관련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CN114961329A (zh) * 2022-07-08 2022-08-30 江苏朗科建材科技有限公司 混凝土屋面老防水修缮采用聚脲防护的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4399B (zh) 卷材防水屋面渗漏修缮的施工方法
KR100640073B1 (ko)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CN103774862B (zh) 一种旧硬质防水屋面的翻新改造的施工方法
CN101250928A (zh) 屋面防水结构及其制造方法
US20110094169A1 (en) Light weight molded roof tile
CN106988489A (zh) 一种屋面系统结构的实现方法
US20180298225A1 (en) Efficient waterborne nano-silicon rubber sealing waterproof agent
KR20140116038A (ko) 자기 수평 모르타르와 단열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220006727A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Chew Building facades: a guide to common defects in tropical climates
CN104100102A (zh) 平顶防水综合处理方法
KR20130023000A (ko) 건축, 구조물의 구성, 사용 용도에서 발생하는 하자 원인 별, 재료선정, 합리적인 보수의 3차원적 입체 시스템 시공방법
KR101623081B1 (ko) 건축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CN105089290A (zh) 一种屋面维修的方法
CN110512808B (zh) 坡屋面檐沟的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Sriravindrarajah et al. Waterproofing practices in Australia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028953B1 (ko) 표면 처리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식 방수 처리 공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방수 구조와 그 조성물
KR101219532B1 (ko) 콘크리트 또는 슬레이트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KR100271421B1 (ko)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KR20020076212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
KR200445758Y1 (ko) 전천후 시공이 간편하고 완벽한 단열,방수 Al패널
Ksit et al. Liquid plastic films as a solution in terms of tightness problems and roofs aesthetics improvement–review
KR102267052B1 (ko) 복합시트 방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