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463B1 -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 Google Patents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463B1
KR102266463B1 KR1020200141597A KR20200141597A KR102266463B1 KR 102266463 B1 KR102266463 B1 KR 102266463B1 KR 1020200141597 A KR1020200141597 A KR 1020200141597A KR 20200141597 A KR20200141597 A KR 20200141597A KR 102266463 B1 KR102266463 B1 KR 10226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anufacturing
insulation
temperature
insulat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숙
김석
한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to KR102020014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원료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되어 높은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심재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만드는 단열재 제작방법, 위의 방법을 통하여 제작된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단열심재의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 상기 원료 투입단계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원료 이송단계; 상기 이송단계를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적층하여 원료가 적층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단계; 상기 적층단계에서 형성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단열심재 형성단계; 단열심재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단열심재를 설계된 형상으로 자르는 커팅단계; 커팅단계에서 커팅된 단열심재를 표피재로 감싸 단열재를 만드는 패키징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Insulation core manufacturing method, Insulation manufacturing method,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원료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되어 높은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심재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작하는 단열재 제작방법, 위의 방법을 통하여 제작된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스티로폼이나 글라스울로 제작된 단열재를 내장한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잔량의 발포성 접착제가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줄홈을 만들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접착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샌드 위치패널 제작용 단열재 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화학섬유, 탄소섬유와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 펠트를 분쇄하여 부직포 상태의 얇은 섬유막인 부직포막을 제작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작된 얇은 부직포막에 비용제형 유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공정과; 상기 비용제형 유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직포막에 실리카 에어로젤(silica aerogel) 분말을 흡착시켜 단열재 층을 제작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포장재의 잉여면적을 진공단열재의 양단 측면에 밀착시키는 제 1 가이드부와, 진공단열재의 양단 측면에 밀착 된 잉여면적을 진공단열재 상부 수평면에 밀착시키는 제 2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제 1 가이드부는 진공단열재 유도가이드 및 제 1 잉여면적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진공단열재 유도가이드는 진공단열재의 측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포장재의 잉여면적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잉여면적 가이드는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은 경사면 형상으로 제작되어 포장재의 잉여면적이 제 1 잉여면적 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진공단열재의 양단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진공단열재 포장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단열재 블록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에서 적어도 일방향의 전, 후 방에 면적확장수단을 돌출시키고, 면적확장수단을 포함한 각각의 측면에 고온용 세라믹 접착제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보강부재로 조여 단열재 블록을 박스형상으로 제작하여 단열재 블록들의 결합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노 내부로 금속재료 삽입 시 발생되는 단열재 블록들의 분리가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이에 따 라 노 내부 분진을 극소량으로 줄일 수 있는 단열재 블록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20-0268299 Y1 (2002년03월16일) KR 10-2010-0083543 A (2010년07월22일) KR 10-2014-0113552 A (2014년09월24일) KR 10-1998-083941 A (1998년12월05일)
본 발명은 원료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되어 높은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심재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작하는 단열재 제작방법, 위의 방법을 통하여 제작된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단열심재의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1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원료 이송단계(S200); 상기 이송단계(S200)를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단계(S300);
상기 적층단계(S300)에서 형성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송풍공기를 만드는 이송경로 형성단계(S21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에서 투입되는 원료의 양에 대응하여 송풍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송풍속도 조절단계(S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는 송풍공기를 타고 이동한 원료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플레이트에 쌓이는 적층단계(3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는 적층체를 가압하는 프레스를 가열하는 프레스 가열단계(S410); 가열된 프레스로 적층체를 가압하는 압축단계(S4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에서 형성된 단열심재를 설계된 형상에 맞춰 자르는 커팅단계(S5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 제작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커팅단계(S500)에서 커팅된 단열심재를 표피재로 감싸 단열재를 만드는 패키징단계(S6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단열재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단열재는 중앙에 위치되는 단열심재(100); 상기 단열심재(100)의 표면을 감싸는 표피재(2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단열심재의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1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원료 이송단계(S200); 상기 이송단계(S200)를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단계(S300);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에서 형성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는 뭉쳐진 원료를 풀어 스트링 형태로 만드는 원료 분리단계(S110); 스트링 형태로 분리된 원료를 지정된 시간동안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료 공급단계(S120);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상기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 송풍장치를 통해 생성된 송풍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단계(S250);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의 온도를 난류 발생을 저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단계(S260); 상기 온도 조절단계(S260)는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와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온도 조절 필요성을 판단하는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 상기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온도조절장치를 가동하여 온도를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에 포함되는 수치로 조절하는 냉각단계(S26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열심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원료가 서로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게 배치되므로, 단열심재의 단열능력을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열심재를 구성하는 원료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면 단열심재의 단열능력이 극대화되므로, 원료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게 정렬하여, 원료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풍공기가 층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원료가 특정 영역에 뭉치지 않고 순차 적층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풍공기의 습도 및 온도를 단열심재 제작에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므로, 제작되는 단열심재의 단열능력 및 신뢰성을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은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를 이용하여 단열재의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제작된 단열재가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의 세부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단열심재의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1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원료 이송단계(S200); 상기 이송단계(S200)를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단계(S300); 상기 적층단계(S300)에서 형성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 를 포함한다.
종래의 단열심재는 원료를 니들펀칭 방식으로 서로 엉키게 만들어, 원료가 플레이트 형상의 단열심재를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니들펀칭 방식으로 제작된 단열심재는, 서로 엉키는 원료 사이에 위치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일정 이상의 단열능력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원료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일 경우 전도, 대류를 통한 열전도가 차단되어 높은 단열능력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니들펀칭 방식으로 단열심재를 제작하면, 원료 사이에 공기가 위치되어 전도와 대류를 통한 열전도가 일어나므로, 높은 단열 능력을 가질 수 없었던 것이다.
이때,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원료 사이에 공기가 위치되는 것은, 뒤엉킨 원료 사이에 위치된 공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에서 투입되는 원료를 송풍공기를 통하여 이송함으로써,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에서 원료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일방향 정렬을 통하여 원료가 뒤엉키지 않고 적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정렬된 원료(1)가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에서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로 가압되어, 원료(1) 사이에 위치된 공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는 뭉쳐진 원료를 풀어 스트링 형태로 만드는 원료 분리단계(S110); 스트링 형태로 분리된 원료를 지정된 시간동안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료 공급단계(S1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에서 투입되는 원료는 미네랄울, 그라스울, 스티로폼, EPS, 미네랄울 또는 그라스울 상에 접착성을 높이는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하여 투입되는 원료(1)는 스트링 형태로, 투입되는 원료가 뭉쳐있을 경우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에서 원료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에서 원료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료 분리단계(S110)를 통하여 원료가 뭉치지 않고 호퍼(H)를 통해 주입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료 공급단계(S120)에서의 원료 공급은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하며, 상기 호퍼(H)에서 공급되는 원료(1)의 양을 조절 가능하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송풍공기를 만드는 이송경로 형성단계(S21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에서 투입되는 원료의 양에 대응하여 송풍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송풍속도 조절단계(S220); 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하여 투입된 원료(1)는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에서 송풍장치(B)에서 생성하는 송풍공기를 통하여 적층장치(3)로 이송된다.
이때, 적층장치(3)에서 원료(1)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되기 위해서는 송풍장치(B)가 생성하는 송풍공기의 풍속이 상기 호퍼(H)를 통하여 투입되는 원료(1)의 양에 적합한 속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속도 조절단계(S220)에서 송풍장치(B)가 생성하는 송풍공기 풍속이 원료(1)의 투입양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상기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 송풍장치를 통해 생성된 송풍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단계(S230); 상기 습도 측정단계(S230)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반으로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단계(S2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단계(S240)는 상기 습도 측정단계(S230)에서 측정된 습도와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습도 정보를 비교하여 습도 조절 필요성을 판단하는 습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41); 상기 습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41)에서 습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습장치를 가동하여 습도를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습도 정보에 포함되는 수치로 조절하는 제습단계(S242); 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에서의 적층체(2) 가압은 적층체(2)를 일정 온도로 용융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료(1)가 습기를 머금을 경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의 용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1)의 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도 측정단계(S230)에서 습도를 측정 후, 송풍장치(B)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여, 원료(1)가 송풍공기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습기를 머금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습도 조절단계(S240)에서의 습도 조절은 상기 습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41)에서 습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제습단계(S242)에서 송풍장치(B)로 공급되는 공기 상의 습기를 제거하며, 습도 조절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파단 시 다음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상기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 송풍장치를 통해 생성된 송풍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단계(S250);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단계(S26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단계(S260)는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와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온도 조절 필요성을 판단하는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 상기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온도조절장치를 가동하여 온도를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에 포함되는 수치로 조절하는 냉각단계(S262); 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S400)에서 가압 시 적층체(2)를 형성하는 원료(1)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을 경우, 원료(1) 사이에 위치된 공기가 외부로 잘 빠져나가지 않아 단열심재의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에서 생성되는 송풍공기가 난류 상태일 경우 원료(1)의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1)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며 적층되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조절단계(S260)에서 송풍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송풍공기가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송풍공기의 온도가 주변계 온도와 일정 이상의 차이를 가질 경우 온도차에 의해 대류 운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대류 운동은 난류를 형성하는 원이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에서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가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된 온도가 지정된 수치 이상의 차이를 가질 시, 상기 냉각단계(S262)에서 온도조절장치를 가동하여 송풍장치(B)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송풍장치(B)가 생성하는 송풍공기의 온도를 정상상태 온도로 조절하고, 측정되는 온도가 난류를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조절되면 다음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송풍공기의 속도를 측정하여 송풍공기가 층류상태인지 확인하는 송풍상태 확인단계(S270); 상기 송풍상태 확인단계(S270)에서 송풍공기가 층류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주변계 조건을 조절하여 송풍공기를 층류상태로 만드는 송풍공기 상태 보정단계(S280); 를 포함한다.
송풍공기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료(1)의 이동은 일정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송풍공기는 층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변 구조물에 의한 공기의 유동 변화 또는 주변계 환경조건에 의한 공기의 유동 변화에 의해 송풍공기가 난류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상태 확인단계(S270)에서 송풍공기가 난류상태로 파악되면, 상기 송풍공기 상태 보정단계(S280)에서 주변계 구조물의 위치, 환경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보정하여, 송풍공기가 층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는 송풍공기를 타고 이동한 원료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플레이트에 쌓이는 적층단계(3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는 상기 적층단계(S310)가 이루어지는 중 상기 적층플레이트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흔들어 적층되는 원료의 방향을 보정하는 적층방향 보정단계(S320); 를 포함한다.
상기 적층단계(S310)의 원료(1) 정렬은 원료(1)가 송풍장치(B)가 형성하는 송풍공기를 타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부 원료(1)의 경우 설계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층방향 보정단계(S320)를 통하여, 타 원료(1)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지 못하는 원료(1)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원료(1)를 정렬하는 방향은 다양한 방법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상기 적층장치(3)를 1축으로 왕복운동시켜 원료(1)가 서로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게 정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는 적층체를 가압하는 프레스를 가열하는 프레스 가열단계(S410); 가열된 프레스로 적층체를 가압하는 압축단계(S4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단열심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가열단계(S410)는 설정온도 정보가 입력되는 설정온도 입력단계(S411); 상기 설정온도 입력단계(411)에 대응하여 가열프레스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단계(S412); 가열프레스의 가장자리 온도를 중앙부보다 높은 온도로 조절하는 제2 온도 조절단계(S413); 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는,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에서 형성된 적층체(2)를 가열된 프레스(4)로 압박하여 적층체(2) 상의 공기를 빼내며 압축함과 동시에, 적층체(2)를 구성하는 원료(1)를 녹여 원료(1)가 일체화되게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스(4)의 온도는 250~350도인 것을 권장하나, 프레스(4) 내부에 위치된 열선을 통해 프레스(4) 온도를 250~350도로 조절 시, 프레스(4)의 중앙부 온도는 250~350도로 조절되지만,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자리의 온도는 중앙부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게되므로, 프레스(4)를 통한 적층체(2)의 용융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정온도 입력단계(S411)에서 적절한 프레스(4)의 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온도 조절단계(S412)에서 입력된 온도 정보로 프레스(4)의 전체 온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제2 온도 조절단계(S413)에서 프레스(4)의 중앙부 온도보다 온도가 낮은 가장자리 온도를 높여 온도차를 보상 가능하게 하였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4-1의 단열심재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에서 형성된 단열심재를 설계된 형상에 맞춰 자르는 커팅단계(S5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S500)는 단열심재를 커팅 위치에 정렬하는 정렬단계(S510); 상기 정렬단계(S510)에서 정렬된 단열심재의 가장자리를 잡아 고정하는 고정단계(S520); 고정된 단열심재를 잘라 설계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530); 를 포함한다.
단열재(1000) 제작을 위해서는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를 통하여 제작된 단열심재(100)를 제작하고자 하는 단열재(1000)의 크기에 맞춰 자루는 커팅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커팅 과정에서 단열심재(100)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렬단계(S510)에서 단열심재를 정렬 후, 상기 고정단계(S520)에서 구속장치가 단열심재를 구속하면, 상기 성형단계(S530)에서 커팅장치(C)가 단열심재를 커팅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단열재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S500)에서 커팅된 단열심재를 표피재로 감싸 단열재를 만드는 패키징단계(S6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표피재로 단열심재를 감싸는 포장단계(S610); 표피재를 압착하여 표피재와 단열심재 사이에 위치된 공기를 배출하는 가압단계(S620); 표피재를 단열심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어 플레이트 형상의 단열재를 만드는 폴딩단계(S630); 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단계(S500)에서 커팅된 단열심재(100)는 표피재(200)로 감싸여 외력에 대한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표피재(200)는 상기 포장단계(S610)에서 단열심재(100)의 상측과 하측에 한 쌍이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가압단계(S620)에서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가압장치(P)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표피재(200)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며, 상기 폴딩단계(S630)에서 서로 결합된 표피재(200)의 가장자리가 접힌 후 표피재(200)의 중앙부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실시예 5-1 내지 실시예 6-1의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열재는 중앙에 위치되는 단열심재(100); 상기 단열심재(100)의 표면을 감싸는 표피재(2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인 단열재 제작방법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단열심재(100)를 구성하는 원료는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고 정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1 : 원료 2 : 적층체
100 : 단열심재 200 : 표피재
S100 : 원료 투입단계 S110 : 원료 분리단계
S120 : 원료 공급단계
S200 : 원료 이송단계 S210 : 이송경로 형성단계
S220 : 송풍속도 조절단계 S230: 습도 측정단계
S240 : 습도 조절단계 S241 : 습도 조절유무 결정단계
S242 : 제습단계 S250 : 온도 측정단계
S260 : 온도 조절단계 S261 :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
S262 : 냉각단계 S270 : 송풍상태 확인단계
S280 : 송풍공기 상태 보정단계
S300 : 적층체 형성단계 S310 : 적층단계
S320 : 적층방향 보정단계
S400 : 단열심재 형성단계 S410 : 프레스 가열단계
S411 : 설정온도 입력단계 S412 : 제1 온도 조절단계
S413 : 제2 온도 조절단계
S500 : 커팅단계 S510 : 정렬단계
S520 : 고정단계 S530 : 성형단계
S600 : 패키징단계 S610 : 포장단계
S620 : 가압단계 S630 : 폴딩단계

Claims (7)

  1. 단열능력을 가지는 단열심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단열심재의 원료를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S1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를 통해 투입된 원료를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원료 이송단계(S200);
    상기 이송단계(S200)를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단계(S300);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에서 형성된 적층체를 가압하여 단열심재를 형성하는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는 뭉쳐진 원료를 풀어 스트링 형태로 만드는 원료 분리단계(S110); 스트링 형태로 분리된 원료를 지정된 시간동안 일정하게 공급하는 원료 공급단계(S120);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 송풍장치를 통해 생성된 송풍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단계(S250);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송풍장치로 제공되는 공기의 온도를 난류 발생을 저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단계(S260);
    상기 온도 조절단계(S260)는 상기 온도 측정단계(S250)에서 측정된 온도와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를 비교하여 온도 조절 필요성을 판단하는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 상기 온도 조절유무 결정단계(S261)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면 온도조절장치를 가동하여 온도를 저장되어 있는 정상상태 온도 정보에 포함되는 수치로 조절하는 냉각단계(S262); 를 포함하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 이송단계(S200)는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송풍공기를 만드는 이송경로 형성단계(S210); 상기 원료 투입단계(S100)에서 투입되는 원료의 양에 대응하여 송풍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송풍속도 조절단계(S220); 를 포함하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형성단계(S300)는 송풍공기를 타고 이동한 원료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적층플레이트에 쌓이는 적층단계(310); 를 포함하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는 적층체를 가압하는 프레스를 가열하는 프레스 가열단계(S410); 가열된 프레스로 적층체를 가압하는 압축단계(S420); 를 포함하는 단열심재 제작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선택된 어느 한항의 단열심재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단열재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열심재 형성단계(S400)에서 형성된 단열심재를 설계된 형상으로 자르는 커팅단계(S500); 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작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팅단계(S500)에서 커팅된 단열심재를 표피재로 감싸 단열재를 만드는 패키징단계(S600); 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작방법.
  7. 청구항 5의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중앙에 위치되는 단열심재(100);
    상기 단열심재(100)의 표면을 감싸는 표피재(200); 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20200141597A 2020-10-28 2020-10-28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KR102266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97A KR102266463B1 (ko) 2020-10-28 2020-10-28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97A KR102266463B1 (ko) 2020-10-28 2020-10-28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463B1 true KR102266463B1 (ko) 2021-06-17

Family

ID=7660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97A KR102266463B1 (ko) 2020-10-28 2020-10-28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4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67A (ko) * 1992-01-24 1993-08-26 홍순기 유리면이나 암면을 원자재로한 단열판의 제조방법
KR19980083941A (ko) 1997-05-20 1998-12-05 윤종용 단열재 블록
KR200268299Y1 (ko) 2001-08-30 2002-03-16 정보화 발포성 접착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샌드위치패널제작용 단열재
KR20100083543A (ko) 2009-01-14 2010-07-22 서경카로라이즈공업주식회사 실리카 에어로젤에 부직포 상태의 섬유가 보강된 유연성이 우수한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재
KR20110096658A (ko) * 2010-02-23 2011-08-31 오씨아이 주식회사 연속식 성형틀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내부심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40113552A (ko) 2013-03-15 2014-09-24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포장 장치
KR102053658B1 (ko) * 2019-04-11 2020-01-17 주식회사 정우산업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367A (ko) * 1992-01-24 1993-08-26 홍순기 유리면이나 암면을 원자재로한 단열판의 제조방법
KR19980083941A (ko) 1997-05-20 1998-12-05 윤종용 단열재 블록
KR200268299Y1 (ko) 2001-08-30 2002-03-16 정보화 발포성 접착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샌드위치패널제작용 단열재
KR20100083543A (ko) 2009-01-14 2010-07-22 서경카로라이즈공업주식회사 실리카 에어로젤에 부직포 상태의 섬유가 보강된 유연성이 우수한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재
KR20110096658A (ko) * 2010-02-23 2011-08-31 오씨아이 주식회사 연속식 성형틀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내부심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40113552A (ko) 2013-03-15 2014-09-24 오씨아이 주식회사 진공단열재 포장 장치
KR102053658B1 (ko) * 2019-04-11 2020-01-17 주식회사 정우산업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3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in glass articles
CN105143848B (zh) 片状件的制造方法、脆性片、带元件的脆性片以及电子器件
CN102639949A (zh) 槽式真空绝热材料及其制备方法
JP5742082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CN107001096A (zh) 具有确定的应力分布的玻璃制品及其生产方法
WO2008050606A1 (fr) Appareil de production d'un ruban de verre et procédé de production associé
JP2013122332A (ja) 電極の製造方法
KR20120121877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S5836442A (ja) 段ボ−ル製内装材の製造法
KR102266463B1 (ko) 단열심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 단열재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단열재
CN109071299A (zh) 用于制造玻璃带的马弗炉、玻璃成形设备和方法
CN101281937A (zh) 接合导线向太阳能电池单元的软钎焊方法
KR940005491A (ko) 섬유 집합체의 형 충전방법, 성형 쿠션체의 제조방법 및 그것들을 위한 장치
CN217832204U (zh) 一种用于半导体焊锡的加热轨道
US20060292349A1 (en) An evaporative materi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1753311U (zh) 浮法玻璃退火窑及其冷却装置
JP2530060Y2 (ja) ガラス板の製造装置
TW538162B (en) Fibrous aggregate forming method, fibrous aggregate formed by said method, and fibrous aggregate forming apparatus
JP2006312947A (ja)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並びに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KR101129888B1 (ko) 열반사단열재 제조장치
CN106594458A (zh) 一种双层湿法成型机生产真空绝热板芯材装置
JP5937862B2 (ja) 中空構造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195043B2 (ja) 繊維集合体の成形方法および前記繊維集合体の成形装置
EP1790451B1 (en) Manufacturing a rigid polymeric insulating foam board
CN200985106Y (zh) 热收缩膜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