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012B1 -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 Google Patents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012B1
KR102266012B1 KR1020197021309A KR20197021309A KR102266012B1 KR 102266012 B1 KR102266012 B1 KR 102266012B1 KR 1020197021309 A KR1020197021309 A KR 1020197021309A KR 20197021309 A KR20197021309 A KR 20197021309A KR 102266012 B1 KR102266012 B1 KR 10226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solid fuel
fuel nozzl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2349A (en
Inventor
오사무 오카다
쇼헤이 미토
가츠키 구리스
게이이치로 후쿠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2Vortex burners, e.g. for cyclone-type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30Wea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고체 연료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분출시키는 연료 노즐(21)과 동축상 또한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서포트 슬리브(32)에 대해, 서포트 슬리브(32)의 외주를 덮어 고체 연료의 서포트 슬리브(32)로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42)로서, 연료 노즐(21)에 있어서의 혼합 유체의 반송로의 도중의 굴곡 부분(21b)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서포트 슬리브(32)에 대해 착탈 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42)에 의해, 보호 부재를 충돌판과 일체적으로 교환하는 구성에 비해, 교환시의 부품의 낭비나 비용의 낭비를 억제한다.The support sleeve 32 of the solid fuel cover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3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leeve 32 disposed coaxially and radially inside the fuel nozzle 21 for ejecting a mixed fluid of solid fuel and air. A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42) for protecting against collision with the furnace, which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21b) in the middle of the conveying path of the mixed fluid in the fuel nozzle (21), By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42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detachable cylindrical shape, the waste of parts and waste of cost at the time of replacement is suppressed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replaces the protection member integrally with a collision plate.

Figure R1020197021309
Figure R1020197021309

Description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고체 연료 버너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본 발명은 고체 연료 버너의 연료 노즐 내에 마련되는 오일 버너나 연료 농축기 등의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 슬리브의 보호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한 고체 연료 버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member of a support sleeve for supporting members such as an oil burner and a fuel concentrator provided in a fuel nozzle of a solid fuel burner, and a solid fuel burner having the same.

화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고체 연료 버너에 관련하여, 이하의 특허문헌 1 내지 7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이다.Regarding solid fuel burners used in boilers used in thermal power plants and the like, the technique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7 below are conventionally known.

특허문헌 1(미국 특허 제 6,474,250 호 공보)에는, 버너 노즐(10)에 있어서, 공급 포트(50)로부터 노즐에 석탄과 1차 공기의 혼합류가 공급되고, 공급 포트(50)의 합류 부분에는, 노즐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튜브(86)를 삭마(ablation)로부터 보호하는 슬리브(88)가 설치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6,474,250), in the burner nozzle 10, a mixed flow of coal an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 50 to the nozzle, and at the merging portion of the supply port 50, , a configuration in which a sleeve 88 is provided to protect the tube 86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zzle from ablation is described.

특허문헌 2(한국 특허 공개 제 2002-0024430 호 공보)에는, 고체 연료 버너에 있어서, 고체 연료가 공급되는 경로에서 굴곡되는 엘보 부분에 있어서, 오일 버너(500)의 외주에 통형상의 부재(900)가 지지된 구성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통형상의 부재(900)가 하방으로부터의 미분탄을 포함하는 유체를 오일 버너(500)로부터 외측으로 가이드하도록, 단면이 하방이 뾰족한 유선형으로 형성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0024430), in the solid fuel burner, in the elbow portion bent in the path to which the solid fuel is supplied, a cylindrical member 9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il burner 500 . ) is described as a supported configuration.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ubular member 900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with a pointed downward cross section so that the fluid containing the pulverized coal from below is guided outward from the oil burner 500 .

특허문헌 3(일본 특허 제 3986182 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 특허 제 3344694 호 공보), 특허문헌 5(일본 특허 제 3643461 호 공보), 특허문헌 6(일본 특허 공개 제 평9-318014 호 공보), 특허문헌 7(일본 특허 제 3099109 호 공보)에는, 미분탄 연소 버너에 있어서, 미분탄 노즐(연료 노즐)을 관통하여 버너 기동시 또는 저부하 연소시의 조연(助燃)을 위한 오일 건(오일 버너)을 구비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Literature 3 (Japanese Patent No. 3986182), Patent Literature 4 (Japanese Patent No. 3344694), Patent Literature 5 (Japanese Patent No. 3643461), Patent Literature 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318014) ), Patent Document 7 (Japanese Patent No. 3099109), in a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penetrates a pulverized coal nozzle (fuel nozzle) and provides an oil gun (oil burner) for supporting smoke during burner startup or low-load combustion. ) is provided.

여기에서, 전체의 고체 연료 버너가, 이 오일 건(오일 버너)을 구비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고체 연료 버너의 내부에는, 연료 농축기(특허문헌 3의 장애물(32)) 등의 부재를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일 건을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오일 건의 외통 부재나, 오일 건을 지지하는 부재, 또는 연료 농축기 등을 지지하는 부재는 서포트 슬리브라 불리며, 미분탄 노즐(연료 노즐) 개구부 부근까지 연장되는 기다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He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whole solid fuel burner is equipped with this oil gun (oil burner). However, inside the solid fuel burner, a member (not shown) for supporting a member such as a fuel concentrator (obstacle 32 in Patent Document 3) is disposed. Moreover, a member (not shown) which supports the oil gun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may be provided. The outer cylinder member of the oil gun, the member supporting the oil gun, or the member supporting the fuel concentrator or the like is called a support sleeve and is formed in an elongate cylindrical shape extending to the vicinity of the pulverized coal nozzle (fuel nozzle) opening.

한편, 특허문헌 3 내지 7에는, 미분탄 노즐의 상류측의 엘보(어깨형상의 굴곡부)의 부분에, 오일 건(오일 버너)의 외주를 덮는 짧은 통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부재는 전술의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s 3 to 7 describ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bow (shoulder bent por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ulverized coal nozzle is arranged in a short cylindrical shape cove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il gun (oil burner), and this member is to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upport sleeve described above.

미국 특허 제 6,474,250 호 공보(제 3 란 제 12 행 내지 제 53 행, 도 1)U.S. Patent No. 6,474,250 (Column 3, lines 12 to 53, Fig. 1) 한국 특허 공개 제 2002-0024430 호 공보(도 3 및 도 6 내지 도 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24430 (FIGS. 3 and 6 to 9) 일본 특허 제 3986182 호 공보(도 1, 도 3, 도 7 및 도 8)Japanese Patent No. 3986182 (Fig. 1, Fig. 3, Fig. 7 and Fig. 8) 일본 특허 제 3344694 호 공보(도 1, 도 3, 도 8 내지 도 10)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344694 (FIGS. 1, 3, 8 to 10) 일본 특허 제 3643461 호 공보(도 1, 도 3 내지 도 7, 도 9 및 도 10)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643461 (FIGS. 1, 3 to 7, 9 and 10) 일본 특허 공개 제 평9-318014 호 공보(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Japanese Patent Laid-Open No. 9-318014 (FIGS. 1 to 4, 7 and 8) 일본 특허 제 3099109 호 공보(도 1, 도 3, 도 4 및 도 7)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099109 (FIGS. 1, 3, 4 and 7)

종래의 고체 연료 버너에서는, 공급되는 고체 연료는, 엘보 부분에 있어서 서포트 슬리브에 대해 직경방향으로부터 충돌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고체 연료가 서포트 슬리브에 충돌하여, 표면이 마모되어 가는 문제가 있다. 서포트 슬리브가 마모된 경우, 슬리브 내부로의 미분탄의 침입, 퇴적에 의해 발화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내부에 오일 버너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오일 버너의 마모에 의해 오일의 누설로 발화되어 화재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서포트 슬리브, 오일 버너를 마모로부터 지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내지 7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포트 슬리브, 오일 버너가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통형상의 부재(보호통)가 종래부터 마련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olid fuel burner, the supplied solid fuel flows in the direction which collides from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upport sleeve in an elbow par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support sleeve and the surface is worn. When the support sleeve is wor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cause fire due to intrusion and accumulation of pulverized coal into the sleeve. In addition, when an oil burner is provided insid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support sleeve and the oil burner from abrasion,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il may be ignited due to leakage of oil due to wear of the oil burner and may cause a fire. Therefor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7, a cylindrical member (protective cylinder) that protects the support sleeve and the oil burner from being worn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서포트 슬리브에는 고체 연료가 직접 충돌되지 않게 되지만, 보호통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기 때문에, 보호통이 마모되어 간다. 특히, 고체 연료가 직접 충돌하기 쉬운 상류측의 면(각 도면에서는 하면)에서의 마모가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하면에서의 마모 여유(wear allowance)가 커지도록,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면측이 두께가 두꺼운(뾰족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실행되어 있다.However, in this structure, although solid fuel does not collide directly with a support sleeve, since solid fuel collides with a protection cylinder, the protection cylinder wears out. In particular, the wear on the upstream surface (lower surface in each figure) on which the solid fuel directly collides becomes remarkable. Therefor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 shape in which the lower surface side has a thick (pointed) shape is also performed so that the wear allowance on the lower surface is increased.

도 8은 종래의 엘보부의 보호통의 일 예의 설명도로서, 도 8의 (A)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xample of a protection cylinder of a conventional elbow part, and Fig. 8 (A)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and Fig. 8 (B) is a perspective view.

특허문헌 1 내지 7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보호통은 노즐을 관통하여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종래의 예는, 보호통(01)이 엘보부 경사부의 플랜지(02)를 거쳐서 반원형상으로 마련되는 충돌판(03)과 일체의 주조품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7, the protection cylinder is fixed through the nozzle, but in the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 8, the protection cylinder 01 is semicircular through the flange 02 of the elbow portion inclined portion. It is a casting product integral with the collision plate 03 provided with .

여기에서 마모의 진전은 보호통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이 아닌, 상당히 국부적으로, 특정의 좁은 범위가 집중되어 침식된 것과 같은 형태가 되는 케이스도 보여진다.Here, it is also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wear is not uni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barrel, but rather localized, and has a form such as erosion in a specific narrow area.

그와 같은 경우, 마모되어 있지 않은 충돌판을 포함하여 보호통과 일체로 전체를 교환하는 것은 불필요하기 때문에, 보호통의 마모·침식된 부분에만 슬러리형상의 내마모재를 도포·육성(肉盛)하고, 경화시키는 응급적인 보수를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보호통의 재질 자체가 내마모강이며, 이 슬러리형상의 내마모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이외의 용접 고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에 수반하는 마모 등에 기인하여, 해당 내마모재가 벗겨져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cas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protective barrel integrally, including the impact plate that is not worn out, apply and grow a wear-resistant material in the form of a slurry only on the worn or eroded portion of the protective barrel. In some cases, emergency repairs to harden are performed. However, since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cylinder itself is abrasion-resistant steel, and welding cannot be performed other than a stud for fixing the wear-resistant material in the form of a slurry, the wear-resistant material may peel off due to wear and the like accompanying use. The problem was that it was easy.

본 발명은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충돌판과 일체적으로 교환하는 구성에 비해, 교환시의 부품의 낭비가 없이, 교환의 횟수를 억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problem to reduce the number of replacements without wasting parts at the time of replacement,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integrally replaced with the collision pla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의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고체 연료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분출시키는 연료 노즐과 동축상 또한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서포트 슬리브에 대해,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어 고체 연료의 상기 서포트 슬리브로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에 있어서,A support sleeve protecting member that cover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and protects the support sleeve from collision of the solid fuel with the support sleeve coaxially and radially inside the fuel nozzle for ejecting a mixed fluid of solid fuel and air In

상기 연료 노즐에 있어서의 상기 혼합 유체의 반송로의 도중의 굴곡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It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bent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conveying path of the mixed fluid in the fuel nozzle,

상기 서포트 슬리브에 대해 착탈 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돌 보호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는 상기 연료 노즐과는 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leeve,
It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area where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uel nozzle.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에 있어서,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ccording to claim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축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및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비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cross-s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lee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oint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non-linearly symmetrical in the axial direction.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에 있어서,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축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연료 노즐의 굴곡 부분의 내면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굴곡 부분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멈춤 기능을 가진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tion stop that is formed at the axial end of the support sleeve and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uel nozzle,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to suppress rotation of the support slee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func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의 고체 연료 버너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olid fuel burner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고체 연료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분출시키는 통형상의 연료 노즐로서, 상기 혼합 유체의 반송 경로의 도중에 굴곡 부분이 마련된 상기 연료 노즐과,A cylindrical fuel nozzle for ejecting a mixed fluid of solid fuel and air, the fuel nozzle comprising: the fuel nozzle provided with a curved portion in the middle of a conveying path of the mixed fluid;

상기 굴곡 부분보다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과 동축상 또한 직경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서포트 슬리브와,a support sleev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mixed fluid from the bent portion, coaxially with the fuel nozzle and radially inside;

상기 굴곡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고 또한 상기 서포트 슬리브에 착탈 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체 연료의 상기 서포트 슬리브로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충돌 보호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연료 노즐과 별체로 구성된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cove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tachable from the support sleeve, and protecting the solid fuel from collision with the support sleeve. ,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the area where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and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uel nozzle.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4 항에 기재된 고체 연료 버너에 있어서,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s the solid fuel burner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돌 보호부와,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는 통부를 갖는 충돌 보호 부재와,a collision protection member having a collision protection unit for protecting a region wher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and a cylinder unit cove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상기 충돌 보호 부재의 상기 통부의 외주에 장착된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4 항에 기재된 고체 연료 버너에 있어서,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the solid fuel burner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단부에 접촉하여 위치결정을 실행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osition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axial end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ng member and contacting the end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ng member to perform positioning.

제 1 항 및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충돌판과 일체적으로 교환하는 구성에 비해, 교환시의 부품의 낭비가 없이, 교환의 횟수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recited in claims 1 and 4,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integrally replaced with the collision plate, there is no waste of parts during replacement and the number of replacements can be suppressed.

또한, 제 1 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가 충돌 보호 부재와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교환 시기의 판단이 용이하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recited in claim 1 or 4, it is easier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than when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collision protective member.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한번 분리하고, 대칭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일면측이 마모된 경우에, 대칭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측의 면을 마모가 현저한 측에 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시킬 수 없는 구성에 비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can be detached once and mounted by rotating it around a point of symmetry. Therefore, when the one surface side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is wor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can be opposed to the side with significant wear by rotating it around the symmetry point. Therefore, compared with the non-rotatable structure, the life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can be lengthened.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멈춤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가 고체 연료의 충돌 및 운전시의 진동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t is possible to suppress rotation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due to collision of solid fuel and vibration during opera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does not have a rotation stop function.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가 다른 충돌 보호 부재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와 다른 충돌 보호 부재를 별도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교환할 때에 다른 충돌 보호 부재도 교환하는 구성에 비해, 부품의 낭비를 삭감하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other collision protection member, so that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the other collision protection member can be replaced separately. Therefore, when replacing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other collision protection members are also replaced, waste of parts can be reduced and cost can be suppressed.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위치결정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고정 부품의 최소화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6,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ositioning portion is not provided, so that the number of fixing parts can be minimized.

도 1은 실시예 1의 고체 연료 버너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엘보부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설명도로서, 도 3의 (A)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화살표 Ⅲ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작용 설명도로서, 도 4의 (A)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하면이 마모된 상태의 설명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 상태로부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대칭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변경예 1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도 3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변경예 2, 3의 설명도로서, 도 6의 (A)는 변경예 2의 설명도이며, 도 6의 (B)는 변경예 3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변경예 4의 설명도로서,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엘보부의 보호통의 일 예의 설명도로서, 도 8의 (A)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의 (B)은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solid fuel burner of Example 1. FIG.
Fig. 2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of the elbow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Fig. 3B is a view seen from the arrow IIIB direction in Fig. 3A; to be.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of Example 1, Figure 4 (A) is an explanatory view of a worn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Figure 4 (B) is Figure 4 (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state which rotated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centering on the symmetry point from the state A).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Modification Example 1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Fig. 5 (A)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A), and Fig. 5 (B) is VB- in Fig. 5 (A).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B line.
6 :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ed example 2, 3, FIG. 6(A)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2nd modification, and FIG. 6(B)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3rd modified example.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ourth modification, and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example of a protection cylinder of a conventional elbow part, and Fig. 8 (A)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and Fig. 8 (B) is a perspective view.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lthough an Example as a specific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 있어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using the following drawings, illustration other than the member necessary for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suitably for the ease of understanding.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실시예 1의 고체 연료 버너의 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solid fuel burner of Example 1. FIG.

도 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고체 연료 버너(7)는, 반송 기체 및 고체 연료가 흐르는 연료 노즐(21)을 갖는다. 연료 노즐(21)의 하류단의 개구는 보일러의 화로(22)의 벽면(화로 벽, 수관 벽)(23)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 노즐(21)은 연료 배관(8)이 상류단에 접속된다. 연료 노즐(21)은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료 노즐(21)의 내부에는, 고체 연료(미분탄이나 분쇄된 바이오 매스 연료)와 반송 기체가 흐르는 유로(24)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1, the solid fuel burner 7 of Example 1 has the fuel nozzle 21 through which the carrier gas and the solid fuel flow. The opening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fuel nozzle 21 is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furnace wall, water pipe wall) 23 of the furnace 22 of a boiler. As for the fuel nozzle 21, the fuel pipe 8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The fuel nozzle 21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flow path 24 through which a solid fuel (pulverized coal or pulverized biomass fuel) and a carrier gas flows is formed inside the fuel nozzle 21 .

실시예 1의 연료 노즐(21)은 화로(22)의 벽면(23)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료 노즐(21)의 본체부(21a)와, 연료 노즐(21)의 본체부(21a)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고 연료 배관(8)에 접속되는 엘보부(굴곡부)(21b)를 갖는다. 따라서, 연료 배관(8)으로부터 공급된 고체 연료와 반송 기체를 포함하는 유체는, 엘보부(21b)를 통과하여 본체부(21a)에 유입될 때에, 관성으로 본체부(271a)의 직경방향의 외측으로 편향된다.The fuel nozzle 21 of Example 1 has a body part 21a of the fuel nozzle 21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wall surface 23 of the furnace 22 , and upstream of the body part 21a of the fuel nozzle 21 . It has an elbow portion (bent portion) 21b bent downward from the side and connected to the fuel pipe 8 . Therefore, when the fluid containing the solid fuel and the carrier gas supplied from the fuel pipe 8 passes through the elbow part 21b and flows into the body part 21a, it is inertial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271a. is biased outward.

연료 노즐(21)의 외주에는, 연소용 공기를 화로(22)에 분출되는 내측 연소용 에어 노즐(2차 연소용 에어 노즐)(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연소용 에어 노즐(26)의 외주측에는, 외측 연소용 에어 노즐(3차 연소용 에어 노즐)(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연소용 에어 노즐(26, 27)은 윈드 박스(바람 상자)(28)로부터의 공기를 화로(22) 내를 향하여 분출한다. 실시예 1에서는, 내측 연소용 에어 노즐(26)의 하류단에는, 연료 노즐(21)의 중심에 대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확대)지는 가이드 베인(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연소용 에어 노즐(27)의 하류부에는, 축방향을 따른 스로트부(27a)와, 가이드 베인(26a)에 평행한 확대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연소용 에어 노즐(26, 27)로부터 분출된 연소용 공기는 축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확산되도록 분출된다.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uel nozzle 21 , an air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air nozzle for secondary combustion) 26 that blows combustion air to the furnace 22 is provided. 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air nozzle 26 for inner combustion, the air nozzle (air nozzle for tertiary combustion) 27 for outer side combustion is provided. Each of the combustion air nozzles 26 and 27 blows the air from the wind box (wind box) 28 toward the inside of the furnace 22 .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ternal combustion air nozzle 26, a guide vane 26a inclin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uel nozzle 21 (the diameter increases as it goes downstream) is formed. has been Moreover, the throat part 27a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enlarged part 27b parallel to the guide vane 26a are formed in the downstream of the air nozzle 27 for outer side combustion. Accordingly, the combustion air blown out from the respective combustion air nozzles 26 and 27 is blown out so as to be diffused from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연소용 공기, 연소용 에어 등의 단어를 이용했지만, 엄밀하게 공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와 연소 배기 가스나 산소 등의 혼합 기체가 사용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words such as combustion air and combustion air are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not strictly limited to air, and it does not prevent the use of air, combustion exhaust gas, mixed gas, such as oxygen.

연료 노즐(21)의 하류단의 개구부에는, 보염기(31)가 지지되어 있다. 연료 노즐(21)의 유로 단면의 중심부에는, 서포트 슬리브(오일 버너, 분산기)(32)가 관통되어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 슬리브(32)는 엘보부(21b)를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The flame retainer 31 is supported by the opening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fuel nozzle 21 . A support sleeve (oil burner, disperser) 32 i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passage cross-section of the fuel nozzle 21 . The support sleeve 32 is suppo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bow portion 21b.

연료 노즐(21)의 내벽면에는, 벤튜리(33)가 설치되어 있다. 벤튜리(33)는, 고체 연료의 흐름방향을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연료 노즐(21)의 내경이 오므라든 후,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 venturi 33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uel nozzle 21 . The venturi 33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fuel nozzle 21 contracts and then expands as it go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olid fuel.

따라서, 실시예 1의 벤튜리(33)에서는, 연료 노즐(21)에 공급된 연료와 반송 기체의 혼합 유체가, 내경이 축소되는 영역을 통과할 때에, 직경방향의 내측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연료 노즐(21)의 본체부(21a)의 내벽면 근방으로 편향된 연료를 중심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venturi 33 of Example 1, when the mixed fluid of the fuel and carrier gas supplied to the fuel nozzle 21 passes through the area|region where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it narrows radially inward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ve the fuel deflected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vicinity of the body portion 21a of the fuel nozzle 21 toward the center.

벤튜리(33)의 하류측에는, 연료 농축기(34)가 서포트 슬리브(32)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연료 농축기(34)는, 고체 연료의 흐름방향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연료 농축기(34)의 외형이 확대된 후,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venturi 33 , a fuel concentrator 34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leeve 32 . The fuel concentrator 34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external shape of the fuel concentrator 34 expands and then decreases as it go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olid fuel.

따라서, 실시예 1의 연료 농축기(34)에서는, 연료와 반송 기체의 혼합 유체가, 외형이 확대되는 영역을 통과할 때에, 직경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속도 성분이 부여된다. 따라서, 연료가 연료 노즐(21)의 내벽면을 향하여 농축된다.Therefore, in the fuel concentrator 34 of Example 1, when the mixed fluid of fuel and carrier gas passes through the area|region where the external shape is expanded, the velocity component which goes radially outward is provided. Accordingly, the fuel is concentrated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uel nozzle 21 .

또한, 본 발명은 연료 농축기(34)가 없는 버너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burners without a fuel concentrator 34 .

도 2는 실시예 1의 엘보부의 확대 설명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explanatory view of the elbow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실시예 1의 고체 연료 버너(7)에서는, 서포트 슬리브(32)에 충돌 보호 부재(41)가 지지되어 있다. 충돌 보호 부재(41)는 엘보부(21b)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충돌판 플랜지(충돌판 장착부)(41a)를 갖는다. 충돌판 플랜지(41a)에는, 서포트 슬리브(32)가 내부를 관통하는 통부(41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41b)의 외주측에는, 보호통(42)이 서포트 슬리브(32) 및 충돌 보호 부재(41)와는 별도의 분리 독립된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1 and 2 , in the solid fuel burner 7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leeve 32 .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has a collision plate flange (collision plate mounting part) 41a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the elbow part 21b with a bolt etc. not shown. In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the cylindrical part 41b through which the support sleeve 32 penetrates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ylinder part 41b,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provided as a member separate from the support sleeve 32 and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as an independent member.

또한, 충돌판 플랜지(41a)의 상부에는, 엘보부(21b)의 상측의 내면을 보호하기 위해, 충돌 보호부의 일 예로서의 충돌판(41c)이 형성되어 있다. 충돌판(41c)은, 종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하방이 개방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elbow part 21b, the collision plate 41c as an example of a collision protection par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The collision plate 41c is formed in the semicircular shape with the lower side open similarly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또한, 충돌판 플랜지(41a)에는, 통부(41b)의 외주측에 보호통(42)의 위치결정부의 일 예로서의 위치결정 링(41d)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Further, on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a positioning ring 41d as an example of a positioning part of the protective cylinder 4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ylinder part 41b.

도 3은 실시예 1의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설명도로서, 도 3의 (A)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화살표 Ⅲ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Fig. 3B is a view seen from the arrow IIIB in Fig. 3A. to be.

통부(41b)의 외주에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일 예로서의 보호통(42)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통(42)은 서포트 슬리브(32)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A)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보호통(42)은,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에 있어서, 평행사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보호통(42)은 축방향의 중앙부의 대칭점(42b)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 protection cylinder 42 as an example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portion 41b. The protective cylinder 4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leeve 32 . In FIG.3(A), the protective cylinder 42 of Example 1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WHEREIN: It is formed in the parallelogram shape. Therefore, the protection cylinder 42 of Example 1 is formed in the shape of point symmetry centering on the symmetry point 42b of the central part in an axial direction.

보호통(42)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회전 멈춤부의 일 예로서의 경사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2a)은 엘보부(21b)의 내면(또는 대면하는 충돌판 플랜지(41a))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t both ends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n the axial direction, inclined surfaces 42a as an example of the rotation stopper are formed. The inclined surface 42a is formed in a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r the facing collision plate flange 41a) of the elbow portion 21b.

또한, 보호통(42)의 외경은, 보호통(42)의 단부가 충돌판 플랜지(41a)에 맞닿은 경우에, 통부(41b)와 위치결정 링(41d) 사이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formed in the size which fits between the cylinder part 41b and the positioning ring 41d when the edge part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abuts against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실시예 1의 보호통(42)과 통부(41b) 사이에는, O링(43)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통(42)은, 장착된 상태에서는, O링(43)의 마찰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An O-ring 43 is attached between the protective cylinder 42 and the cylinder portion 41b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protective cylinder 42 is difficult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ring 43 in the attached state.

(실시예 1의 작용)(Operation of Example 1)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고체 연료 버너(7)에서는, 연료 배관(8)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체 연료가, 엘보부(21b)에 대해 서포트 슬리브(32)에 충돌하려고 하여도, 보호통(42)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서포트 슬리브(32)의 마모가 방지된다.In the solid fuel burner 7 of Example 1 provided with the said structure, even if the solid fuel supplied from the fuel pipe 8 tries to collide with the support sleeve 32 with respect to the elbow part 21b, the protection cylinder 42 ) is protected by Thus, wear of the support sleeve 32 is prevented.

여기에서, 실시예 1의 보호통(42)은, 종래 구성과 상이하게, 충돌판 플랜지(41a)나 충돌판(41c)과는 독립된 구성(별체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 연료의 충돌로 보호통(42)이 마모된 경우에, 보호통(42)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보호통(42)은, 충돌판(41c) 등과 일체적으로 교환하는 구성에 비해, 교환할 필요가 없는 부품(충돌판(41c) 등)을 교환하는 불필요함이나 비용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cylinder 42 of Example 1 is a structure (separate structure) independent from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and the collision plate 41c,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worn due to the collision of the solid fuel,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protection cylinder 42 .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ective cylinder 42 of the first embodiment is integrally replaced with the collision plate 41c or the like, it is unnecessary to replace parts (such as the collision plate 41c) that do not need to be replaced, and waste of money. can suppress.

도 4는 실시예 1의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작용 설명도로서, 도 4의 (A)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고체 연료의 충돌에 의해 하면이 마모된 상태의 설명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 상태로부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대칭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of Example 1, FIG. 4 (A)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is abraded by collision of solid fuel, FIG. 4(B) )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rotated about the symmetry point from the state of FIG. 4A .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보호통(42)은 대칭점(42b)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형상인 평행사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체 연료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인 하부가 마모된 경우, 보호통(42)을 서포트 슬리브(32)로부터 분리하고, 대칭점(42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보호통(42)에 장착함으로써, 마모 영역(51)이 상측이 되고, 마모가 거의 없는 면이, 마모가 현저한 하면이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통(42)의 마모시라도, 대칭점(42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다시 장착하는 것에 의해, 보호통(42)을 교환하지 않아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호통(4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서, 부품의 비용, 유지 보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3 and 4, the protection cylinder 42 of Example 1 is formed in the parallelogram shape which is a point-symmetric shape centering on the symmetry point 42b.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lower part, which is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olid fuel, is worn,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sleeve 32, and the protection cylinder is rotated about the symmetry point 42b as a center. By attaching it to (42), it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wear area|region 51 becomes the upper side, and the surface with little wear becomes the lower surface with significant wear. Therefore, even when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worn, it can be reused without replacing the protection cylinder 42 by rotating it around the symmetry point 42b and mounting it again. Therefore, the life of the protective cylinder 42 can be extended, and the cost of parts and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서포트 슬리브(32)는 충돌 보호 부재(41)나 보호통(42)으로 보호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 보호 부재(41)나 보호통(42)은 내마모강으로 제작하고, 서포트 슬리브(32)는 보호통(42) 등보다 비교적 저비용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고체 연료 버너(7)의 전체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sleeve 32 is protected by a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or a protection cylinder 42 . Accordingly,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and the protection cylinder 42 are made of abrasion-resistant steel, and the support sleeve 32 may be made of a member having a relatively lower cost than the protection cylinder 42 or the like. By doing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ost of the solid fuel burner 7 .

또한, 서포트 슬리브(32)는 충돌 보호 부재(41)의 통부(41b)와, 해당 통부와는 독립된 부재인 보호통(42)으로 이중으로 보호된다. 이에 의해,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마모·감육량의 파악, 교환·보수의 시기 판단이 용이해진다. 즉, 보호통(42)은 충돌 보호 부재(41)에 비해 버너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정기 검사시 등에 탈착하여 그 마모·감육량을 측정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정기 검사시 등을 할 때마다, 매회 보호통(42)의 마모·감육량을 측정하지 않아도, 보호통(42)에 구멍뚫림(관통)이 생긴 것으로, 교환·보수의 시기라 판단하는 등의 취급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sleeve 32 is doubly protected by the cylinder part 41b of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and the protection cylinder 42 which is a member independent of the said cylinder part. Thereby, it becomes easy to grasp|ascertain the amount of wear and thinning of a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and to determine the timing of replacement and repair. That is, since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urner compared to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it is easy to measure the amount of wear and thinning by detaching it during periodic inspection or the like. In addition, even if the amount of wear and thinning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not measured every time at the time of periodic inspection, etc., it is determined that a hole (penetration) has occurred in the protection cylinder 42, such as judging that it is the time for replacement and repair. handling becomes possible.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단부의 경사면(42a)이 충돌판 플랜지(41a)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고체 연료의 보호통(42)으로의 충돌로, 보호통(42)이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여도, 경사지는 경사면(42a)이 충돌판 플랜지(41a)에 간섭한다. 따라서, 보호통(42)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보호통(42)이 회전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 규제된다.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42a of the end abuts against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Accordingly, even when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protection cylinder 42 , the protection cylinder 42 tries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clined inclined surface 42a interferes with the collision plate flange 41a.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regulated. Therefore, it is regulated that the protective cylinder 42 rotates and the position changes.

또한, 실시예 1에서는, O링(43)으로 보호통(42)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통(42)의 축방향의 위치가 안정되는 동시에,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고체 연료의 충돌로 보호통(42)이 회전하는 것도 규제된다.Moreover, in Example 1, the movement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restricted by the O-ring 43. As shown in FIG. Therefore, while the axial position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is stabiliz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is not controlled, the rotation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due to the collision of solid fuel is also controlled.

(변경예의 설명) (Explanation of change example)

(변경예 1)(Modification Example 1)

도 5는 실시예 1의 변경예 1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도 3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의 VB-VB선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Modification Example 1 of Embodiment 1, in which Fig. 5A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A, and Fig. 5B is VB- in Fig. 5A.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B line.

도 5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 1의 구성으로 변경하고, 마모가 현저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후육부(42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육부(42c)를 마련한 경우, 고체 연료의 충돌에 수반하는 마모가 현저한 부분에 있어서, 마모 여유를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통(42)을 더욱 장수명화할 수 있다.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o the structure of Example 1 shown in FIG. 3, and to form the thick part 42c centering on the part with remarkable wear. As shown in FIG. 5 , when the thick portion 42c is provided, a sufficient wear margin can be provided in a portion where the wear accompanying the collision of the solid fuel is significant. Therefore, the lifespan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can be further increased.

(변경예 2, 3)(Modifications 2 and 3)

도 6은 변경예 2, 3의 설명도로서, 도 6의 (A)는 변경예 2의 설명도이며, 도 6의 (B)는 변경예 3의 설명도이다.6 :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odified example 2, 3, FIG. 6(A)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2nd modification, and FIG. 6(B)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3rd modified example.

도 6에 있어서, 도 5의 (B)에 도시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고체 연료를 포함하는 유체를 외측으로 안내하는 형상(정류 형상)(42d)을 마련함으로써, 고체 연료가 보호통(42)에 바로 정면으로부터 접촉하기 어렵게 하여, 보호통(42)이 받는 힘을 저감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In Fig. 6, it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5(B), and as shown in Fig. 6(A), a shape ( By providing the rectifying shape) 42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olid fuel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protection cylinder 42 from the front, thereby reducing the force received by the protection cylinder 42 .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as shown in FIG.6(B),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a streamline shape.

(변경예 4)(Modification example 4)

도 7은 변경예 4의 설명도로서,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Fig. 7 is an explanatory view of a fourth modification, and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 1에서는, 충돌 보호 부재(41)에 위치결정부의 일 예로서의 위치결정 링(41d)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의 일 예로서의 위치결정 오목부(41e)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Example 1 shown in FIG. 2,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forms the positioning ring 41d as an example of a positioning part in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was illu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forms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41e as an example of a positioning part.

또한, 도 2의 위치결정 링(41d)과 도 7의 위치결정 오목부(41e)의 양쪽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both the positioning ring 41d of FIG. 2 and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41e of FIG.

또한, 충돌 보호 부재(41)(충돌판 플랜지(41a))와 보호통(42)의 경사면에 의해 회전 멈춤도 이뤄지고 있으며, 또한 축방향의 움직임도 보호통(42) 자중에 의한 마찰력으로 움직임이 구속되어 있으므로, 위치결정부(41d, 41e)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rotation is stopped by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 (collision plate flange 41a)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and the movement in the axial direction is also restricted by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weight of the protection cylinder 42.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ing portions 41d and 41e are not provided.

(변경예)(change exampl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 내지 (H05)를 하기에 예시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 Modifications (H01) to (H0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below.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통(42)의 형상은 점대칭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대칭의 형상이어도 좋으며, 선대칭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점대칭 형상도 단면이 평행사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마름모꼴, 육각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H0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ylinder 42 is preferably a point-symmetric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 asymmetric shape may be sufficient, and a line-symmetric shape may be sufficient. Further, the point-symmetric shape is not limited to a parallelogram in cross section, and it is possible to have an arbitrary cross section such as a rhombic shape or a hexagonal shape.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후육부(42c, 42d)를 마련하는 경우,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H02)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thick portions 42c and 42d are provided,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can be any shape.

(H0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면(42a)으로 구성된 회전 멈춤부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와 키 홈과 같은 형상 등 임의의 회전 멈춤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멈춤부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H03)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rotation stopper constituted by the inclined surface 42a was exemplified,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employ an arbitrary rotation stop structure, such as a key and a keyway-like shape. Moreover,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tation stopper,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is not provided.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부(41d, 41e)를 예시했지만,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결정부(41d, 41e)의 형상도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워맞춤이나 클로 형상, 나사 고정 형상 등 임의의 위치결정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H0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ing portions 41d and 41e are exemplifi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no provision is mad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portions 41d and 41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can be changed to any positioning shape such as a fitting shape, a claw shape, or a screw fixing shape.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O링(43)으로 보호통(42)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클립이나 볼트 고정 또는 유연성을 가진 쿠션재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H05)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ring 43 prevents the protective cylinder 42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as exemplified,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a cushioning material having a clip or bolt fixation or flexibility.

7: 고체 연료 버너 21: 연료 노즐
21b: 굴곡 부분 24: 반송로
32: 서포트 슬리브 41: 충돌 보호 부재
41a: 충돌판 플랜지 41b: 통부
41c: 충돌 보호부 41d, 41e: 위치결정부
42: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 42a: 회전 멈춤부
42b: 중앙부
7: solid fuel burner 21: fuel nozzle
21b: bend part 24: conveyance path
32: support sleeve 41: collision protection member
41a: collision plate flange 41b: barrel
41c: collision protection unit 41d, 41e: positioning unit
42: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42a: rotation stop
42b: central part

Claims (7)

고체 연료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분출시키는 연료 노즐과 동축상 또한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서포트 슬리브에 대해,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어 고체 연료의 상기 서포트 슬리브로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에 있어서의 상기 혼합 유체의 반송로의 도중의 굴곡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에 대해 착탈 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돌 보호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는 상기 연료 노즐과는 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
A support sleeve protecting member that cover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and protects the support sleeve from collision with the support sleeve coaxially and radially with the fuel nozzle for ejecting a mixed fluid of solid fuel and air In
It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bent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conveying path of the mixed fluid in the fuel nozzle,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leeve,
It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area where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wherein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uel nozzl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축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및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비선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In a cross-s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lee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oint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non-linear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축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연료 노즐의 굴곡 부분의 내면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굴곡 부분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멈춤 기능을 가진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A rotation stop that is formed at the axial end of the support sleeve and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fuel nozzle,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to suppress rotation of the support slee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function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고체 연료와 공기의 혼합 유체를 분출시키는 통형상의 연료 노즐로서, 상기 혼합 유체의 반송 경로의 도중에 굴곡 부분이 마련된 상기 연료 노즐과,
상기 굴곡 부분보다 혼합 유체의 흐름방향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과 동축상 또한 직경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서포트 슬리브와,
상기 굴곡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고 또한 상기 서포트 슬리브에 착탈 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체 연료의 상기 서포트 슬리브로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로서,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돌 보호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연료 노즐과는 별체로 구성된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버너.
A cylindrical fuel nozzle for ejecting a mixed fluid of solid fuel and air, the fuel nozzle comprising: the fuel nozzle provided with a curved portion in the middle of a conveying path of the mixed fluid;
a support sleev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mixed fluid from the bent portion, coaxially with the fuel nozzle and radially inside;
A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cove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tachable from the support sleeve, and protecting the solid fuel from collision with the support sleeve, and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area where th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and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uel nozzle
solid fuel bur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노즐의 내면에 고체 연료가 충돌하는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돌 보호부와, 상기 서포트 슬리브의 외주를 덮는 통부를 갖는 충돌 보호 부재와,
상기 충돌 보호 부재의 상기 통부의 외주에 장착된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버너.
5. The method of claim 4,
a collision protection member having a collision protection unit for protecting a region where solid fuel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uel nozzle, and a cylinder unit cover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leeve;
and the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ollision protection member.
solid fuel bur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축방향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슬리브 보호 부재의 단부에 접촉하여 위치결정을 실행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 버너.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ositioning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contacting the end of the support sleeve protective member to perform positioning.
solid fuel burner.
삭제delete
KR1020197021309A 2018-05-17 2018-05-17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KR1022660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9172 WO2019220597A1 (en) 2018-05-17 2018-05-17 Support-sleeve protective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provided with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49A KR20190132349A (en) 2019-11-27
KR102266012B1 true KR102266012B1 (en) 2021-06-16

Family

ID=6853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309A KR102266012B1 (en) 2018-05-17 2018-05-17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632776B1 (en)
KR (1) KR102266012B1 (en)
AU (1) AU2018423543B2 (en)
PH (1) PH12020551887A1 (en)
TW (1) TWI715981B (en)
WO (1) WO2019220597A1 (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522A (en) * 1974-11-01 1976-01-27 The Detroit Edison Company Coal burning system
JPS5811308A (en) * 1981-07-14 1983-01-22 Sumitomo Cement Co Ltd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JPS58193006A (en) * 1982-05-06 1983-11-10 Babcock Hitachi Kk Burner for ground coke
JPH0232527B2 (en) * 1982-06-15 1990-07-20 Babcock Hitachi Kk TAIMAMOSEIOTAKA METABIFUNTANNENSHOSOCHI
JPS58224208A (en) * 1982-06-19 1983-12-26 Babcock Hitachi Kk Uniform dispersion type pulverized coal firing equipment
JPS643461A (en) 1987-06-25 1989-01-09 Noritz Corp Hot water feeder
ATE148546T1 (en) * 1990-06-29 1997-02-15 Babcock Hitachi Kk COMBUSTION SYSTEM
JPH09318014A (en) 1996-05-27 1997-12-12 Hitachi Ltd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JP3344694B2 (en) 1997-07-24 2002-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JP3986182B2 (en) 1998-10-27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and combus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0376619B1 (en) 2000-09-25 2003-03-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Low Nitrogen Oxide Coal Firing Burner
US6474250B1 (en) 2001-05-24 2002-11-05 Babcock Borsig Power, Inc. Nozzle assembly for a pulverized coal burner
JP3099109U (en) 2003-07-08 2004-03-25 株式会社アドバネクス Commutator
US9151434B2 (en) * 2008-12-18 2015-10-06 Alstom Technology Ltd Coal rope distributor with replaceable wear components
JP5811308B1 (en) 2014-12-02 2015-11-11 富士電機株式会社 DC power supply output voltage control method and output voltag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20597A1 (en) 2020-05-28
TW201947158A (en) 2019-12-16
AU2018423543B2 (en) 2022-03-17
AU2018423543A1 (en) 2020-12-17
PH12020551887A1 (en) 2021-07-05
TWI715981B (en) 2021-01-11
WO2019220597A1 (en) 2019-11-21
KR20190132349A (en) 2019-11-27
JP6632776B1 (en)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2451B2 (en) Apparatus for placing an igniter in a liner port of a gas turbine engine
US95066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bustion dynamics in a combustor
JP4559796B2 (en) Combustor dome assembly of a gas turbine engine with a free floating swirler
EP1400756B1 (en) Gas turbine combustor
JP4673419B2 (en) Combustion equipment
CN108700291B (en) Burner tip and maintenance method of burner tip
KR102266012B1 (en) Support sleeve protection member and solid fuel burner having same
JP2009204302A (en) Combustor fuel nozzle structure
US6467272B1 (en) Means for wear reduction in a gas turbine combustor
CN102927591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mbustor
JP4652990B2 (en) Gas turbine combustor
EP3182015B1 (en) Combustor and gas turbine comprising same
KR20200090243A (en) Solid fuel burners and flame retarders for solid fuel burners
US20100068667A1 (en) Demountable burner
JP6284653B2 (en) Burner nozzle tip
FI127294B (en) nose
JP2017044394A (en) Guard protector for heat transfer pipe, boiler with guard protector, additional installation method for guard protector for heat transfer pipe
EP2592341B1 (en) Pulverized fuel burner
US20140060077A1 (en) Combustor
KR100325948B1 (en) nozzle tip assembly of boiler for suppling of pulverized coal
JP2022154412A (en) Burner for powder fuel
JP2007240069A (en) Combustion air supply port
JP2017106720A (en) Structure comprising heat exchange piping having protector
CZ29626U1 (en) Device for reducing erosive effects of fluidized bed layer on submerged heat transfer surface of stationary fluidized bed boiler
AU2002247476A1 (en) Means for wear reduction in a gas turbine combu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