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812B1 -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812B1
KR102265812B1 KR1020200157359A KR20200157359A KR102265812B1 KR 102265812 B1 KR102265812 B1 KR 102265812B1 KR 1020200157359 A KR1020200157359 A KR 1020200157359A KR 20200157359 A KR20200157359 A KR 20200157359A KR 102265812 B1 KR102265812 B1 KR 10226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flexible tube
sink
guide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중희
Original Assignee
연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중희 filed Critical 연중희
Priority to KR102020015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7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space-saving features, e.g. retractable, demou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개수대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대용 샤워기의 위치가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내부의 보일러 제어장치 설치로 인해 후렉시블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불편하더라도 간편하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변경된 위치에서 후렉시블관에 스토퍼와 안내링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을 통하여 간섭받지 않고 복귀되도록 하는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싱크대에 설치한 배수대의 한 부분에 성형홀을 뚫어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샤워기에 연결된 후렉시블관이 호스 연결부를 통하여 호스에 연결하는 수전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렉시블관의 한 부분을 감싸는 체결링의 일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연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서 후렉시블관에 끼워지는 안내링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설치된 안내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후렉시블관을 신축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 스프링과 안내 스프링의 하측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고정되고, 안내 스프링에 비하여 복귀 스프링이 더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handheld device that enables changing of the position of the shower head for the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개수대 상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대용 샤워기의 위치가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내부의 보일러 제어장치 설치로 인해 후렉시블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불편하더라도 간편하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변경된 위치에서 후렉시블관에 스토퍼와 안내링에 각각 연결되는 스프링을 통하여 간섭받지 않고 복귀되도록 하는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는 설거지 또는 행주 등을 세척할 때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라인의 일측에 설치된 수전을 통해 물을 싱크대로 직수되도록 하는 물을 사용하게 된다.
싱크대는 벽면에 고정되어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내부에 위치하는 개수대의 상측에 일정한 공간을 갖도록 하는 턱을 만들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를 설치해 사용하는 과정에서 개수대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배수구가 모서리와 가깝게 설치되어 있어서 설거지를 하는 과정에서 그릇, 수저, 젓가락 등이 배구수 안으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므로 설거지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과, 행주 등의 세척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에서 급수되는 물의 위치에 따라 바닥에 놓고 세탁하는 것이 어려워 손으로만 물조절을 해가며 조물조물하게 되므르 깨끗하게 세탁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설거지와 행주 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급수되는 물 또는 그릇 등에 묻어있는 세재가 쉽게 튀어나가 개수대 상부의 싱크대로 이동하므로 주변이 쉽게 오염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세재와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단막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의 소모가 발생하며, 항상 차단막을 추가로 청소하고 보관 및 유지해야 하는 불편과, 오염된 부분을 추가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설거지와 세탁작업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물이 튀지않는 위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러한 위치의 변경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특히 샤워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곳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해 후렉시블관을 노출시켜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내부의 후렉시블관 한 부분에 무게추를 사용해 이동한 후 다시 복귀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싱크대의 내부에 실내의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보일러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무게추를 사용해 후렉시블관이 복귀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로인하여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한 후 후렉시블관에 무게추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불편을 감내하면서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2102288호(2020. 04. 13.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063927호(2020. 01. 02.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2134554호(2020. 07. 09.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 제0484757호(2017. 10. 16.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싱크대의 개수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한 후 최초 설치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무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수도똑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해 급수되는 물이나 세재가 튀어 개수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설거지와 세척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후렉시블관에 스톱퍼를 고정하고 복귀 스프링을 연결하며, 후렉시블관의 다른 부분에 안내링을 끼우고 안내 스프링을 연결해 샤워기에 연결된 후렉시블관의 길이를 조절한 후 싱크대 내부에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부드럽게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에 설치한 배수대의 한 부분에 성형홀을 뚫어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샤워기에 연결된 후렉시블관이 호스 연결부를 통하여 호스에 연결하는 수전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렉시블관의 한 부분을 감싸는 체결링의 일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연결부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서 후렉시블관에 끼워지는 안내링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설치된 안내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후렉시블관을 신축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 스프링과 안내 스프링의 하측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에 고정되고, 안내 스프링에 비하여 복귀 스프링이 더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위치와 선택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한 후 최초 설치된 부분에서 마감덮개와 실리콘 패킹 및 고정너트의 결합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무리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수도똑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를 변경해 급수되는 물이나 세재가 튀어 개수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개수대로 온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며, 설거지와 세척시 배수구로 들어가거나 주변의 공간을 이용해 빨래하는 것과 같이 세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과정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렉시블관에 스톱퍼를 고정하고 복귀 스프링을 연결하며, 후렉시블관의 다른 부분에 안내링을 끼우고 안내 스프링을 연결함으로써 샤워기에 연결된 후렉시블관의 길이를 조절해 먼 거리에 급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싱크대 내부에 보일러 제어장치와 기타 구조물 등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않고 부드럽게 복귀되므로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당겨진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고정된 스토퍼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고정된 스토퍼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토퍼가 연결된 복귀 스프링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안내링이 연결된 안내 스플링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성형홀에 대한 마감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마감덮개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고정너트에 대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고정너트에 대한 저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고정너트 조임용 공구에 대한 단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당겨진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싱크대(10)의 상판 한 부분에 파이도록 설치된 개수대(11)의 한쪽 코너 또는 원하는 부분에 연결부재(17)를 고정너트(18)로 설치해 상측에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샤워기(13)는 연결부재(17)를 관통하는 후렉시블관(16)이 연결되어 연결부재(17)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노출시켜 급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공급되는 호스(14)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후렉시블관(10)의 한 부분에는 스토퍼(20)가 고정되어 하측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2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귀 스프링(26)의 하측으로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지는 안내링(30)이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링(30)에는 안내 스프링(31)이 연결되어 있으며,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하측 선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구(40)를 통하여 싱크대(10)의 하측에 고정되어 탄성을 갖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고정된 스토퍼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후렉시블관이 고정된 스토퍼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토퍼가 연결된 복귀 스프링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후렉시블관(16)에 고정되는 스토퍼(20)는 얇은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절곡부(21)에서 양쪽으로 절곡되어 겹쳐진 후 한 부분에서 원형으로 체결링(22)이 형성되어 후렉시블관(16)을 감싸도록 하고, 스프링 연결부(23)가 돌출되어 중앙에 구멍(24)이 형성된 후 상기 구멍(24)에 고정스크류(25)를 관통시켜 반대편에서 복귀 스프링(26)의 선단을 연결함으로써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20)에 한쪽이 연결된 복귀 스프링(26)의 반대편은 스프링 고정구(40)에 설치되어 후렉시블관(16)이 당겨질때 탄성력이 작용된 후 다시 복귀되도록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내링이 연결된 안내 스프링에 대한 정면도에 관한 것으로, 안내링(3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지고, 상기 안내링(30)에 선단이 연결되는 안내 스프링(31)의 하측은 스프링 고정구(40)를 통하여 고정된 후 후렉시블관(16)이 당겨질때 탄성력이 작용된 후 다시 복귀되도록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 스프링(31)은 복귀 스프링(26)에 비하여 더 짧게 형성되며, 안내링(30)은 내경의 후렉시블관(16)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여유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성형홀에 대한 마감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마감덮개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너트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너트에 대한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너트 조임용 공구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성형홀(12)은 개수대(11)의 주변에 연결부재(17)를 분리한 부분에 형성되거나 잘못 성형한 경우에 메워 누수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으로, 성형홀(12)의 상측에는 마감덮개(50)가 위치하고 성형홀(12)의 하측에서 고정너트(60)로 결합해 실리콘 패킹(70)을 통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마감덮개(50)는 중앙에 외경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축(52)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축(52)의 상측에서 지름이 더 큰 결합돌기(51)가 돌출된 후 그 상측으로 더 크게 원형의 덮개(5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53)는 전체적으로 호상으로 중앙부분이 더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물에 접촉되는 경우에 녹이 발생하지 않는 서스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너트(6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성형홀(12)의 하측에 돌출되는 고정축(52)과 나사식 고정되는 고정 나사공(62)이 형성되며, 양쪽으로 적어도 2개의 조임구멍(61)이 형성되어 치구를 통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회전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 패킹(70)은 원형으로 얇게 형성되며 성형홀(12)의 상측에 위치하며, 결합돌기(51)의 외측을 감싸며 덮개(53)의 하측에서 조임력으로 수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너트(60)를 회전시키는 고정너트 조임용공구(80)는 하측에 연결구멍(85)이 형성된 손잡이(84)의 상측으로 헤드(81)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81)의 내부에는 장착홀(82)이 형성되어 고정너트(60)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너트(60)의 조임구멍(61)과 결합되는 결합핀(83)이 돌출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너트 조임용공구(80)를 통하여 고정너트(60)의 조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마감덮개(50)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는, 성형홀(12)에 설치된 연결부재(17)에 있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에서 물을 공급받아 설거지 또는 세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위치로 인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연결부재(17)를 분리한 후 연결부재(17)를 설치할 위치를 선택한 후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치구를 사용해 성형홀(12)을 천공하고 연결부재(17)가 외측에 고정너트(18)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고정너트(18)를 회전시켜 연결부재(17)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7)의 상측에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가 연결되고,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에 후렉시블관(16)을 연결시켜 선단에 호스(14)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렉시블관(16)의 한 부분에는 스토퍼(20)를 고정시키고, 스포터(20)의 스프링 연결부(23)에 고정스크류(25)를 통하여 복귀 스프링(26)의 한쪽 선단을 연결하며, 스토퍼(20)의 하측에서 후렉시블관(16)에 안내링(30)을 결합한 후 안내 스프링(31)의 한쪽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반대쪽 선단을 스프링 고정구(40)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하측 선단은 보일러 제어장치와 같은 다양한 구조물이 싱크대(10)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무게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간섭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복귀 구동이 어려워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하측 선단은 스프링 고정구(40)를 통하여 간섭받지 않는 다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를 원하는 중앙 또는 다른 위치로 옮긴 상태에서 물을 공급받아 설거지 또는 행주 등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샤워기(13)를 연결부재(17)로부터 분리해 먼 위치로 이동시켜 물을 분사해 청소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샤워기(13)를 잡아당기면 이와 연결된 후렉시블관(16)이 따라가게 되며, 후렉시블관(16)에 고정된 스토퍼(20)가 함께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스토퍼(20)를 통하여 설정된 길이 만큼만 돌출된 후 정지될 수 있도록 돌출길이를 제어하는 스토퍼(20)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스토퍼(20)의 이동과 함께 복귀 스프링(26)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향상되며 작용되는 것이다.
상기 복귀 스프링(26)의 늘어남과 동시에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진 안내링(30)이 안내 스프링(31)을 당기게 되면,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진 안내링(30)의 이동을 통하여 안내 스프링(31)을 당기며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는 동시에 안내링(30)이 후렉시블관(16)의 이동거리를 모두 따라가지 않고 안내링(30)이 미끄러지면서 후렉시블관(16)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내 스프링(31)을 소정의 길이로 늘어나며 탄성력이 작용되는 것이다.
상기 샤워기(13)에 연결된 후렉시블관(16)이 연결부재(17)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면서 물을 사용한 후에 샤워기(13)를 복귀시켜 연결부재(17)에 다시 꽂아 놓게 되는 경우에는 후렉시블관(16)을 당기는 힘이 제거되므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안내 스프링(31)과 복귀 스프링(26)이 후렉시블관(16)을 당겨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복귀 스프링(26)은 고정된 스토퍼(20)에 연결되어 후렉시블관(16)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도록 하는 것이며, 안내 스프링(31)은 후렉시블관(16)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지 않고 이동을 따라다니며 일부는 안내링(3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안내 스프링(31)을 신축시키는 작용을 통해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상호 작용으로 후렉시블관(16)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10)의 개수대(11)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위치를 선택하여 성형홀(12)을 천공한 후 연결부재(17)를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의 위치를 변경한 후 최초 설치된 부분의 성형홀(12)에서 마감덮개(50)와 실리콘 패킹(70) 및 고정너트(60)를 고정너트 조임용공구(80)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무리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너트 조임용공구(80)의 연결구멍(85)은 드라이버 또는 봉 등을 끼워 손잡이(84)를 힘들이지 않고 회전시키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다.
또한,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13)의 위치를 변경해 급수되는 물이나 세재가 튀어 개수대(11)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개수대(11)로 온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며, 설거지와 세척시 배수구로 들어가거나 주변의 공간을 이용해 빨래하는 것과 같이 세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과정이 물의 튀김없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후렉시블관(16)에 스톱퍼(20)를 고정하고 복귀 스프링(26)을 연결하며, 후렉시블관(16)의 다른 부분에 안내링(30)을 끼우고 안내 스프링(31)을 연결함으로써 샤워기(13)에 연결된 후렉시블관(16)의 길이를 조절해 먼 거리에 급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싱크대(10) 내부에 보일러 제어장치와 기타 구조물 등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않고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탄성력으로 부드럽게 복귀되므로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에 설치된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의 위치로 인하여 설거지와 행주 등의 세척시 물이나 세재가 튀는 결점이 있었으나, 원하는 위치로 변경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위치를 변경한 후에는 후렉시블관이 연결된 샤워기를 연결부재로부터 분리해 원하는 길이로 노출시켜 사용하더라도 후렉시블관을 복귀하는 경우에는 스톱퍼와 복귀 스프링 및 안내링과 안내 스프링의 연결을 통하여 탄성력이 부드럽게 작용해 주변의 보일러 제어장치 등의 장치가 있는 경우라도 간섭받지 않고 후렉시블관이 안전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싱크대 11 : 배수대
12 : 성형홀 13 : 샤워기
14 : 호스 15 : 호스 연결부
16 : 후렉시블관 17 : 연결부재
18, 60 : 고정너트 20 : 스토퍼
21 : 절곡부 22 : 체결링
23 : 스프링 연결부 24 : 구멍
25 : 고정스크류 26 : 복귀 스프링
30 : 안내링 31 : 안내 스프링
40 : 스프링 고정구 50 : 마감덮개
51 : 결합돌기 52 : 고정축
53 : 덮개 60 : 고정너트
61 : 조임구멍 62 : 고정 나사공
70 : 실리콘 패킹 80 : 고정너트 조임용공구
81 : 헤드 82 : 장착홀
83 : 결합핀 84 : 손잡이
85 : 연결구멍

Claims (5)

  1. 싱크대(10)에 설치한 배수대(11)의 한 부분에 성형홀(12)을 뚫어 연결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7)에 연결하는 샤워기(13)에 연결된 후렉시블관(16)이 호스 연결부(15)를 통하여 호스(14)에 연결하는 수전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후렉시블관(16)의 한 부분을 감싸는 체결링(22)의 일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연결부(23)로 이루어진 스토퍼(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연결부(23)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40)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26)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20)의 하측에서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지는 안내링(30)에 한쪽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편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40)에 설치된 안내 스프링(31)으로 이루어져 후렉시블관(16)을 신축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 스프링(26)과 안내 스프링(31)의 하측 선단이 스프링 고정구(40)에 고정되고, 안내 스프링(31)에 비하여 복귀 스프링(26)이 더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는 후렉시블관(16)에 고정되며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부(21)에서 양쪽으로 절곡되어 겹쳐진 후 한 부분에서 원형으로 체결링(22)이 형성되어 후렉시블관(16)을 감싸며, 스프링 연결부(23)가 돌출되어 중앙에 구멍(24)이 형성된 후 상기 구멍(24)에서 고정스크류(25)가 관통되어 반대편에서 복귀 스프링(26)의 선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스프링(31)은 후렉시블관(16)에 끼워지는 안내링(30)의 내경에서 후렉시블관(16)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여유를 갖게 연결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한쪽 선단이 연결되고, 복귀 스프링(26)에 비하여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5. 삭제
KR1020200157359A 2020-11-23 2020-11-23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KR10226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59A KR102265812B1 (ko) 2020-11-23 2020-11-23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59A KR102265812B1 (ko) 2020-11-23 2020-11-23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812B1 true KR102265812B1 (ko) 2021-06-16

Family

ID=766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59A KR102265812B1 (ko) 2020-11-23 2020-11-23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81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62U (ja) * 1993-04-23 1994-11-08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水栓の取付け構造
JPH09215537A (ja) * 1996-02-07 1997-08-19 Sekisui Chem Co Ltd 流し台用スタンド
KR970058610U (ko) * 1996-04-25 1997-11-10 윤창수 콘크리트 크랙 보수용 패카(packer)와 그 조임장치
KR19990012690U (ko) * 1997-09-12 1999-04-15 홍군선 싱크대의 플렉시블 호스용 무게추의 결합구조
JP2002138537A (ja) * 2000-10-31 2002-05-14 Inax Corp ホース収納水栓
JP2003010059A (ja) * 2001-06-28 2003-01-14 Toto Ltd シャワーホース収納構造
KR20090001801U (ko) * 2007-08-20 2009-02-25 최성훈 싱크대에 설치되는 세정용기
KR200484757Y1 (ko) 2017-03-27 2017-10-23 (주)대성금속 주방용 플랙시블 호스
KR20170121510A (ko) * 2016-04-25 2017-11-02 다로스 주식회사 수전금구 조립체
KR102063927B1 (ko) 2019-04-19 2020-01-08 송명훈 싱크대 수전용 샤워기
KR102102288B1 (ko) 2018-03-27 2020-05-29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씽크대용 수전장치
KR102134554B1 (ko) 2020-02-20 2020-07-15 박학수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62U (ja) * 1993-04-23 1994-11-08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水栓の取付け構造
JPH09215537A (ja) * 1996-02-07 1997-08-19 Sekisui Chem Co Ltd 流し台用スタンド
KR970058610U (ko) * 1996-04-25 1997-11-10 윤창수 콘크리트 크랙 보수용 패카(packer)와 그 조임장치
KR19990012690U (ko) * 1997-09-12 1999-04-15 홍군선 싱크대의 플렉시블 호스용 무게추의 결합구조
JP2002138537A (ja) * 2000-10-31 2002-05-14 Inax Corp ホース収納水栓
JP2003010059A (ja) * 2001-06-28 2003-01-14 Toto Ltd シャワーホース収納構造
KR20090001801U (ko) * 2007-08-20 2009-02-25 최성훈 싱크대에 설치되는 세정용기
KR20170121510A (ko) * 2016-04-25 2017-11-02 다로스 주식회사 수전금구 조립체
KR200484757Y1 (ko) 2017-03-27 2017-10-23 (주)대성금속 주방용 플랙시블 호스
KR102102288B1 (ko) 2018-03-27 2020-05-29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씽크대용 수전장치
KR102063927B1 (ko) 2019-04-19 2020-01-08 송명훈 싱크대 수전용 샤워기
KR102134554B1 (ko) 2020-02-20 2020-07-15 박학수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5798B1 (en) Top mount faucet valve body
KR102265812B1 (ko) 싱크대용 샤워기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전장치
JP7298021B2 (ja) 掃除用具
JP6023927B2 (ja) レリースワイヤ挿通固定具
JP4713910B2 (ja) 配管固定具
KR102105499B1 (ko) 위생기구용 원터치 너트
KR200308549Y1 (ko) 벽면 매입형 급수장치
JP2018044280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2004255028A (ja) 洗面化粧台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CN211646590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KR200214249Y1 (ko)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JP3699015B2 (ja) シャワーホースの収納構造
CN211395862U (zh) 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KR20190080401A (ko) 샤워수전
JP3788919B2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支持装置
KR200483305Y1 (ko)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접이식 세면대
CN211646592U (zh) 一种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WO2020221037A1 (zh) 厨卫设施快简安装的连接机构及厨卫设施
JP2004225525A (ja) ホース収納式吐水管及びホース収納式吐水管を備えた水栓
KR102423290B1 (ko) 이동식 반려동물 목욕수 공급장치
JPH0230823A (ja) 洗面化粧台
JP2809099B2 (ja) 洗面化粧台
JP3732786B2 (ja) 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