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071B1 -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071B1
KR102265071B1 KR1020200141827A KR20200141827A KR102265071B1 KR 102265071 B1 KR102265071 B1 KR 102265071B1 KR 1020200141827 A KR1020200141827 A KR 1020200141827A KR 20200141827 A KR20200141827 A KR 20200141827A KR 102265071 B1 KR102265071 B1 KR 102265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ompany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환
Original Assignee
임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환 filed Critical 임승환
Priority to KR102020014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방법은, 전자 장치가,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 및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하는 동승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환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lecting the best emergency company for accidents in multi-use facilities}
본 발명은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환자의 위치까지 얼마나 빠르게 도달하는지, 응급환자를 싣고 얼마나 빠르게 이송이 가능한지 여부가 응급환자의 생존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응급의료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초기 응급처치를 잘할 경우 응급환자 소생률이 20%대에서 50%대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응급 상황 발생으로부터 병원으로 최종 도착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 발생으로부터 응급환자의 위치까지 구급대원이 도착하는 시간 또한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 어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구급대원이 도착하는지 여부가 초기 응급 처치에서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응급상황 발생시 어떠한 인력을 투입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00026호, 2008.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가,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 및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하는 동승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환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이 아닌 경우, 상기 환자의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남성인 경우,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여성이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면, 상기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가 여성이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가 아닌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고 발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승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가 아닌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의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이송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상기 동승업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승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자동차인 경우, 상기 자동차에 감지된 충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상기 자동차의 에어백의 작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GPS 센서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낙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낙하가 종료된 후, 상기 스마트폰의 충격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에 대응되는 차량이 출동중인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환자 이송 가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업체 및 상기 차량에 대한 가중치를 하기 수학식 1을 바탕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업체 또는 상기 차량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1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2
단, x는 출동 준비 시간, y는 도착 예상 시간, z는 업체내의 현재 가용 인원 정보,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3
는 상수
이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사람에게 환자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영상 통화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 장치가 플립되는 조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가 30cm 이상 높아지는 조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이용 시설에 CCTV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CCTV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다중 이용 시설의 혼잡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혼잡도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출력할 알림음의 크기 및 종류를 결정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주변 사람에게 환자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영상 정보 중 배경 및 사람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배경에 포함된 상기 사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장소의 혼잡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및 사람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CCTV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서로 다른 두개의 영상에 대한 복수의 영상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복수의 영상 세트 각각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두개의 영상에 대한 복수의 동일 영역 및 복수의 차이 영역 각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복수의 동일 영역을 바탕으로 배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획득된 배경을 바탕으로 동일 영역 및 차이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차이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사람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응급업체를 출동시킴으로써, 최적의 응급 업체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위한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업체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인성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업체 및 차량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시설에서의 알림음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시설의 CCTV를 이용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위한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이송업체 또는 동승업체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자 장치(200)은 서버(1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200)은 통신부,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WiFi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WiFi 칩, 블루투스 칩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iFi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되어, 제공 가능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자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200)이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 또는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버스를 포함한다. 이때, RAM, ROM,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사고접수 단계에서는, 자동차의 충격감지 센서의 의한 자동 통보, 스마트폰의 낙하 혹은 파손에 의한 자동 통보, 웨어블러 심전도 기기에서의 통보, 본인 혹은 타인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으로 사고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환자의 성별, 연령, 시간과 위치정보의 확인단계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에 저장된 환자의 기본 정보(성별과 연령) 그리고 사고가 일어났을 때의 시간과 장소 정보 추출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심인성의 사고 판단 단계에서는, 심인성(심장자체의 기능이상으로 환자가 발생) 사고, 비심인성(외부충격-쇼크, 혹은 장기들이 기능저하로 심장에 무리가 가 제기능하지 못하는 경우)의 사고에 따라 응급 이송의 포인트가 구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인지 비심인성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심인성의 경우는 응급구조사의 현장 도착이 소생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비심인성의 경우 응급구조사의 현장 도착보다는 의사, 간호사 등의 의한 고도의 의료행위가 소생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웨어블러의 심전도의 통보가 있으면 “Y”, 그 외는 “N”일 수 있다.
이후, 다중이용시설 판단 단계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서, 환자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 거의 동시에 다수의 목격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목격자가 있을 경우, 다수의 목격자(남성이나 여성)에 의한 심폐소생술이나, 자동제세동기에 의한 구명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목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전자 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환자가 남성 또는 여성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한국에서 여성 환자(병원전심정지)에 대한 남성 응급구조사의 심폐소생술(인공호흡과 심장마시지)의 실시율은 남성 환자에 비해 저조하므로, 환자가 여성인 경우를 판단하여, 여성 응급구조사가 출동하는 경우, 소생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지리적 최단거리의 이송업체로 연락 단계에서는, 위치 정보와 서버에 등록(혹은 앱에 이미 업데이트)된 이송업체의 지리정보를 매칭에 가장 가까운 업체의 (자동으로) 연락을 할 수 있다.
이후, 주행거리 1.6Km 안에 여성 응급구조사 동승업체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심기능정지한 경우, 소생률은 1분이 경과할 때마다 약10%씩 떨어지므로 5분이 지나면 소생률은 50%미만이 되고, 따라서 구급차가 시속 20킬로의 속도로 달린다고 가정할 때, 출동요청에서 5분 동안 1.6킬로미터를 달려서 현장에 도착할 수 있다.
이후, 여성 응급구조사 동승업체에 연락을 취하는 단계에서는, 여성 응급구조사가 근무하고 있는 이송업체에 연락을 할 수 있다.
이후, 환자가 5세미만 영유아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비심인성의 경우는 현장 도착시간이 소생률을 좌우하지 않을 확률이 높고 고도의 의료행위가 필요할 확률이 높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소아전문의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서버(100)는 환자가 5세미만 영유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병원의 통상 영업시간내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환자의 병원에서의 수용시간의 영향을 주는 요인 중의 하나는 병원의 개원시간이며, 낮 시간대(오전9시부터 저녁6시)에서는 현장에서 병원 수용까지의 시간이 짧지만, 저녁부터 새벽까지의 시간대에는 현장에서 병원 수용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해당 사항을 고려하여 출동 업체를 선정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후, 응급구조사 동승의 이송업체에 연락하는 단계에서는, 병원이 개원일 때, 그리고 인구 대비 의료종사자가 비율이 높을 경우는 주위에 병원이 많아, 응급환자로서 병원 수용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해서 고도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후, 인구 대비 의료종사자 저비율 판단 단계에서는, 의사의 편재, 고령화 등으로 인해, 지역마다 의료종사자의 비율 차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기준 경북지역의 인구 1000명당 의사수는 1.3명으로, 서울(3명)의 절반에 못 미쳤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명 이상을 고비율, 그 이하를 저비율로 정의한다.
이후, 주행거리 10Km 안에 의사, 간호사 동승업체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10킬로미터는 시속 20킬로로 달려서 30분내로 올 수 있는 거리이므로, 기준을 10Km로 설정하였다.
이후, 의사, 간호사 동승업체에 연락하는 단계에서는, 보통의 응급 이송업체는 의사나 간호사가 근무하지 않으며, 이는 긴급을 요하며 고도의 치료가 필요하기에, 대학(종합) 병원 구급차에 대학(종합)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 혹은 간호사를 태워 현장으로 출동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업체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10에서, 전자 장치(200)가, 사고 발생을 감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는 자동차, 스마트폰, 생체 정보 수집이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황 변화 또는 생체 정보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는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정보는, 환자의 성별 정보, 생체 정보, 사고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0에서, 서버(100)가,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 및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하는 동승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송업체는 응급구조사만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를 의미하고, 동승업체는 응급구조사 이외에 의사 및 간호사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이송업체는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 및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지 않는 이송업체로 분류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서버(100)가, 환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심인성의 사고는, 심장자체의 기능이상으로 환자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하고, 비심인성의 사고는 외부충격-쇼크, 혹은 장기들이 기능저하로 심장에 무리가 가 제기능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사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송업체 및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를 판단하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환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판단 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사고 발생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이송업체 및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사고 발생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다중 이용 시설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일부가 환자의 상태를 살필 수 있으므로, 업체의 종류를 판단하기 보다는 가장 빠르게 이송 가능한 업체를 찾을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이 아닌 경우, 환자의 성별을 판단 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환자가 남성인 경우, 이송업체 및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환자가 여성이고,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면,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여성 환자(병원 도착 전 심정지)에 대한 남성 응급구조사의 심폐소생술(인공호흡과 심장마시지)의 실시율은 남성 환자에 비해 저조하므로, 환자가 여성인 경우를 판단하여, 여성 응급구조사가 출동하는 경우, 소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환자가 여성이고,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송업체 및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환자가 여성인 경우라도,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와의 거리가 너무 멀면, 환자의 소생률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므로, 서버(100)는 환자가 여성이고,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6K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 경우, 사고 발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5세 미만의 영유아이고, 비심인성 사고인 경우, 소생률은 현장 도착 시간보다 병원 도착시간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 경우, 서버(100)는 사고 발생 시간이 병원 영업 시간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 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사고 발생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인 경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이때, 주행거리 10Km는, 차량이 시속 20Km로 주행시 30분 내에 도착 가능한 거리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병원 도착 시간이 30분 이내인 경우 주행 거리는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5세 미만의 영유아는 전자 장치(200)를 소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영유아의 보호자의 전자 장치(200)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고가 발생하면, 보호자 및 영유아 모두가 응급환자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보호자의 정보 및 영유아의 정보)를 수신하면, 보호자 및 영유아 각각에 대한 응급 업체를 별개로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1) 보호자는 심인성 사고, 영유아도 심인성 사고인 경우, 2) 보호자는 심인성 사고, 영유아는 비심인성 사고인 경우, 3) 보호자는 비심인성 사고, 영유아는 심인성 사고인 경우 및 4) 보호자는 비심인성 사고, 영유아도 비심인성 사고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의 경우, 전자 장치(200)를 소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서버(100)는 환자가 영유아인지 여부를 판단하지만, 영유아의 심전도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영유아에게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 사고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존재한다.
다만, 상기 1)의 경우 및 2)의 경우, 서버(100)는 보호자가 심인성 사고임을 기 판단하였으므로, 영유아에 대한 업체보다 보호자에 대한 업체가 더 먼저 도착할 것을 기대할 수 있어 영유아의 소생률 또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4)의 경우, 보호자와 영유아 모두 비심인성 사고이므로, 문제 될 것이 없다.
다만, 3)의 경우, 서버(100)가 영유아의 심인성 사고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나, 보호자가 비심인성 사고이므로, 영유아의 소생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보호자 및 영유아의 사용자 정보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는, 보호자가 비심인성 사고라고 판단되더라도, 심인성 사고에 준하여 이송업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는 경우, 동승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5세 미만 비심인성 사고의 영유아는 동승업체가 이송하는 것이 적절하나, 병원 도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분) 이상이고, 30분 이내에 병원 도달이 가능한 이송업체가 존재하면, 서버(100)는 해당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환자가 5세 미만 영유아가 아닌 경우, 사고 발생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의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을 획득 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지역은, 환자 이송 후 병원 도착 시간이 타 지역보다 길기 때문에, 동승업체의 검색 없이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인구대비 의료 종사자 비율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는지 판단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명 이상을 고비율, 그 이하를 저비율로 정의한다.
단계 S380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0KM 이내에 동승업체가 존재하는 경우, 동승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전자 장치(200)가 자동차인 경우, 자동차에 감지된 충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자동차의 에어백의 작동을 감지 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고 발생 감지를 위해, 충격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20에서, 전자 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GPS 센서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낙하를 감지하고, 감지된 낙하가 종료된 후, 스마트폰의 충격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충격을 감지 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고 발생 감지를 위해, 충격 센서, GPS 센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430에서, 전자 장치(200)가,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생체 정보를 감지 할 수 있다. 사고 발생 감지를 위한 다양한 바이오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인성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전자 장치(200)가,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200)가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를 감지하여 서버(100)로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서버(100)가,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심전도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변하지 않는 경우, 심인성 사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환자 상태 확인을 위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환자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심인성->비심인성, 비심인성->심인성), 변화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동승업체 또는 이송업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가 비심인성에서 심인성으로 변경된 경우, 서버(100)는 환자에게 출동한 동승업체의 차량의 도착시간과, 새로운 이송업체가 새로 출발하여 환자에게 도착하는 시간을 비교하고, 이송업체가 더 빠르게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이송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환자의 상태가 심인성에서 비심인성으로 변경된 경우, 서버(100)는, 환자에게 출동한 이송업체의 차량의 도착시간과, 새로운 동승업체가 새로 출발하여 환자에게 도착하는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송업체의 차량 주변의 또 다른 심인성 환자가 존재하고, 동승업체가 사고 감지 시점으로부터 30분이내에 환자에게 도착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송업체의 차량으로 또 다른 심인성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또 다른 심인성 환자를 이송하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동승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업체 및 차량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610에서, 이송업체 및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에 대응되는 차량이 출동중인 경우, 서버(100)가,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환자 이송 가능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서버(100)가, 어느 하나의 업체 및 차량에 대한 가중치를 바탕으로, 업체 또는 차량 중 하나를 선택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4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5
이때, x는 출동 준비 시간, y는 도착 예상 시간, z는 업체내의 현재 가용 인원 정보,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6
는 상수일 수 있다.
이때,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7
는 업체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감지된 환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8
는 5일 수 있다.
즉,
Figure 112020115143360-pat00009
인 경우, 즉,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감지된 환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환자의 수가 가용 인원보다 많으므로, 최대한 가까운 위치의 환자부터 처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중치 w는 z가 커질수록 증가량이 감소하는
Figure 112020115143360-pat00010
에 비례하고, 도착 예상 시간 y에 반비례할 수 있다.
그러나
Figure 112020115143360-pat00011
인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감지된 환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환자의 위치가 조금 멀더라도, 업체 인원 배분이 용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시설에서의 알림음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전자 장치(200)는, 주변 사람에게 환자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 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전자 장치(200)가, 전자 장치(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 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도록 전자 장치(200)의 위치가 변경되면, 전자 장치(200)가, 서버(100)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영상 통화를 실행 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조건은, 전자 장치(200)가 플립되는 조건 및 전자 장치(200)의 고도가 30cm 이상 높아지는 조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플립되는 조건은, 전자 장치(200)의 자이로 센서에 의한 각도 변화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가 플립되는 조건은, 전자 장치(200)의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량 변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통화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가 사람을 향하고 있어야 하므로, 전자 장치(20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200)의 플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는 고도 센서 또는 기압 센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200)의 고도가 30cm이상 높아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고도가 높아진 경우, 서버(100)는 다른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음과 함께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통화의 수신인은 서버(100)에 저장된 병원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시설의 CCTV를 이용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805에서, 다중 이용 시설에 CCTV가 존재하는 경우, 서버(100)가, CCTV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CCTV는 기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10분, 5분, 1분 등)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캡쳐한 영상 이미지를 영상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서버(100)가,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다중 이용 시설의 혼잡도를 판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CCTV는 배경에 포함된 사람의 숫자를 기준으로 혼잡도 정보를 획득하거나, 배경에 포함된 사람의 부피를 기준으로 혼잡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CCTV는 배경에 포함된 사람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혼잡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는 복수의 사람의 평균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혼잡도 정보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CTV는 복수의 사람의 평균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 내인 경우, 혼잡도 정보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CCTV는 복수의 사람들의 평균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혼잡도 정보를 낮게 설정하나, 복수의 사람들의 평균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이나 새로운 사람이 계속 발견되면, 혼잡도 정보를 높게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15에서, 서버(100)가, 혼잡도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200)가 출력할 알림음의 크기 및 종류를 결정하여 전자 장치(200)로 전송 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전자 장치(200)가, 주변 사람에게 환자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 할 수 있다.
단계 S825에서, 영상 정보 중 배경 및 사람을 분류 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배경에 포함된 사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에 대응되는 장소의 혼잡도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단계 S835에서, CCTV가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획득 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복수의 영상은 기 설정된 기간동안 획득되는 영상일 수 있다. 기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1일일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복수의 영상 중 서로 다른 두개의 영상에 대한 복수의 영상 세트를 획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이 3개인 경우, CCTV는 3개의 영상 세트를 획득하고, 4개인 경우 6개의 영상 세트를 획득하고, 5개인 경우, 10개의 영상 세트를 획득하고, n개인 경우, nC2개의 영상 세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CCTV는 복수의 영상 중 영상이 촬영된 시간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두개의 영상을 영상 세트로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영상 세트에 포함된 영상이 촬영된 시간이 비슷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일 영역이 배경이 아니라, 장시간 멈춰있는 사람일 수도 있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계 S845에서, 획득된 복수의 영상 세트 각각을 분석하여 복수의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두개의 영상에 대한 복수의 동일 영역 및 복수의 차이 영역 각각을 획득 할 수 있다.
즉, CCTV가 고정형 CCTV인 경우, CCTV는 항상 동일한 장소(배경)를 촬영하고 있으므로, CCTV는 두개의 영상 중 동일한 영역을 배경으로, 차이나는 영역을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850에서, 획득된 복수의 동일 영역을 바탕으로 배경을 획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CCTV는 특정 영상에서 획득된 동일 영역과 다른 영상에서 획득된 동일 영역을 합성함으로써, CCTV가 촬영하는 장소의 배경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영상에서 획득된 동일 영역은, 특정 영상에서 동일 영역이 아닌 부분(즉, 사람으로 판단된 부분)에 대한 배경이 가장 적은 영상으로 획득함으로써, 배경 합성에 소요되는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배경은 상술한 방법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로, CCTV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촬영된 영상에 대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55에서, 영상 정보와 획득된 배경을 바탕으로 동일 영역 및 차이 영역을 획득 할 수 있다.
단계 S860에서, 획득된 차이 영역을 분석하여 사람을 획득 할 수 있다.
즉, 동일 영역이 배경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차이 영역은 사람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CTV는 차이 영역 자체를 사람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나, 차이영역이 일반적인 사람의 실루엣과 유사한지에 대한 유사도 판단을 통해 차이 영역이 사람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CCTV를 통해 획득한 혼잡도 정보 및 사람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200)가 출력할 알림음을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 사고 발생시, 주변인의 초기 대처 여부는 소생률에 큰 영향을 미치나, 주변인들의 미숙한 대처 또는 무관심으로 인해 초기 대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는 CCTV 영상을 분석하여 환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사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CCTV로부터 환자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오브젝트의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특징 정보가 포함된 알림음을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의 특징정보는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을 지목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특징정보는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옷 색깔 정보, 옷 스타일 정보, 액세서리 정보, 성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이 감색 정장에 중절모를 쓴 남성인 경우, 서버(100)는, 옷 색깔 정보는 감색으로, 옷 스타일 정보는 정장으로, 액세서리 정보는 중절모로, 성별 정보는 남자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오브젝트 특징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구조 요청을 위한 알림음을 획득하고,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음은 "중절모를 쓰시고 감색 정장을 입으신 남성분 여기 환자를 좀 도와주세요"와 같을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구체적인 사용자를 지목함으로써, 환자의 소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는 도 9에서의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대신, 주변인에게 직접 지시 사항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중절모를 쓰시고 감색 정장을 입으신 남성이 환자를 돕기 위해 접근하면, "기도를 확보해 주세요" "심장 박동을 확인해 주세요"와 같은 기본 응급 처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02)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02)는 프로세서(102)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에는 프로세서(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서버
200 : 전자 장치

Claims (1)

  1.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 및 의사 및 간호사를 포함하는 동승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환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어느 하나의 업체를 판단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가 심인성의 사고인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이 아닌 경우, 상기 환자의 성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남성인 경우,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환자가 여성이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면, 상기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가 여성이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주행거리가 1.6KM 이내에 위치한 여성 응급구조사를 포함하는 이송업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송업체 및 상기 동승업체 중 가장 가까운 업체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위치가, 복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사람에게 환자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영상 통화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CCTV로부터 환자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사람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오브젝트의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특징 정보가 포함된 알림음을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전자 장치가 플립되는 조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고도가 30cm 이상 높아지는 조건이며,
    상기 서버는,
    환자 상태 확인을 위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전달 받으며, 환자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 변화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동승업체 또는 이송업체를 변경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가 심인성에서 비심인성으로 변경된 경우, 환자에게 출동한 이송업체의 차량의 도착시간과, 새로운 동승업체가 새로 출발하여 환자에게 도착하는 시간을 비교할 수 있고,
    이송업체의 차량 주변의 또 다른 심인성 환자가 존재하고, 동승업체가 사고 감지 시점으로부터 30분 이내에 환자에게 도착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송업체의 차량으로 상기 또 다른 심인성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또 다른 심인성 환자를 이송하도록 제어하고, 새로운 동승업체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141827A 2020-01-20 2020-10-29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27A KR102265071B1 (ko) 2020-01-20 2020-10-29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51A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01-20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7A KR102265071B1 (ko) 2020-01-20 2020-10-29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51A Division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01-20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071B1 true KR102265071B1 (ko) 2021-06-15

Family

ID=73249380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51A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01-20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6A KR102265070B1 (ko) 2020-01-20 2020-10-29 사고 발생에 대한 이송업체 또는 동승업체 선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5A KR102265069B1 (ko) 2020-01-20 2020-10-29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7A KR102265071B1 (ko) 2020-01-20 2020-10-29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8A KR102265072B1 (ko) 2020-01-20 2020-10-29 사고 발생에 대한 응급환자를 판단하고,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3A KR102265067B1 (ko) 2020-01-20 2020-10-29 영유아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4A KR102265068B1 (ko) 2020-01-20 2020-10-29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51A KR102174704B1 (ko) 2020-01-20 2020-01-20 최적 응급 업체 선택을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6A KR102265070B1 (ko) 2020-01-20 2020-10-29 사고 발생에 대한 이송업체 또는 동승업체 선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5A KR102265069B1 (ko) 2020-01-20 2020-10-29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28A KR102265072B1 (ko) 2020-01-20 2020-10-29 사고 발생에 대한 응급환자를 판단하고,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3A KR102265067B1 (ko) 2020-01-20 2020-10-29 영유아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00141824A KR102265068B1 (ko) 2020-01-20 2020-10-29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17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9884A (ko)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에 기반하여 응급 환자의 이송 서비스 및 입원환자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19A (ko) * 2004-11-09 2006-05-12 신용균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0800026B1 (ko)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7617A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옴니파트너스 자동심실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시스템
KR101562591B1 (ko) * 2014-06-03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 발생 처리 방법
KR20160111173A (ko) * 2015-03-16 2016-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고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549B1 (ko) * 2011-07-18 2013-05-27 (주)디지파츠 전기자동차 운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6947B1 (ko) * 2011-12-08 2012-08-3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Cctv를 이용한 인파정보 제공시스템
KR20170078110A (ko) * 2015-12-29 2017-07-07 문재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KR101826041B1 (ko) * 2016-01-22 2018-03-23 주식회사 에스원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KR101867693B1 (ko) * 2016-10-11 2018-07-18 현대건설주식회사 차량운행정보의 가중치 및 점수화를 이용한 효율성 측정방법 및 시스템
KR102385245B1 (ko) * 2017-01-10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199B1 (ko) * 2017-03-29 2018-11-07 이호준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9008A (ko) * 2017-07-17 2019-01-28 주식회사 맥스포 차량 내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4004A (ko) * 2019-04-19 2019-09-05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시 차량 운전자 상태인지 및 후속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319A (ko) * 2004-11-09 2006-05-12 신용균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0800026B1 (ko)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7617A (ko) * 2010-09-13 2012-03-22 주식회사 옴니파트너스 자동심실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시스템
KR101562591B1 (ko) * 2014-06-03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 발생 처리 방법
KR20160111173A (ko) * 2015-03-16 2016-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사고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704B1 (ko) 2020-11-05
KR102265069B1 (ko) 2021-06-15
KR102265070B1 (ko) 2021-06-15
KR102265067B1 (ko) 2021-06-15
KR102265072B1 (ko) 2021-06-15
KR102265068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0112B2 (en) Wrist fall detector based on arm direction
US11545015B1 (en) Alert levels for a wearable device
KR101797854B1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낙상을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7049958A1 (zh) 瘫倒监测和预防装置及其处理方法
WO2021036568A1 (zh) 辅助健身的方法和电子装置
US10765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ength of an obje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EP340723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9659030A (zh) 用于确定用户风险的装置、方法及设备可读介质
JP2021507366A (ja) ユーザの健康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547281A (zh) 用于确定救援路径的方法及设备
CN107665232A (zh) 检测类似应用的方法及其适配的电子装置
KR102265071B1 (ko)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80254106A1 (en) Behavior sensing device, behavior sen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De Raeve et al. Bluetooth-low-energy-based fall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in nursing homes
CN113646027A (zh) 电子装置和用于由该电子装置提供用于减压的信息的方法
KR101569880B1 (ko) 영상 신호 생성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
CN112561113A (zh) 危险场景预警方法及终端设备
KR102186688B1 (ko) 간호사 동행 서비스 플랫폼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ngh et al. Implementation of safety alert system for elderly people using multi-sensors
US20220037021A1 (en) Resource tracking and allocation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796282A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Patel et al. Vitafall: Nxtgeuh system for well-being monitoring with fall recognition and real-time vital sign monitoring
KR10157280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그 시스템
US20230343458A1 (en) Timely detection and response to context-specific health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