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319A -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319A
KR20060042319A KR1020040090927A KR20040090927A KR20060042319A KR 20060042319 A KR20060042319 A KR 20060042319A KR 1020040090927 A KR1020040090927 A KR 1020040090927A KR 20040090927 A KR20040090927 A KR 20040090927A KR 20060042319 A KR20060042319 A KR 2006004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ervice
dispatch
emergency dispatch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973B1 (ko
Inventor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균 filed Critical 신용균
Priority to KR102004009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9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9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사업방법은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송출하고,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에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수신하여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방송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출동요청위치를 포함하는 출동지역에 활동 중인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 그룹을 동시 호출하고, 출동지역의 각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긴급 출동요청지점의 위치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수신한다. 따라서,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지점 근처의 지역에 출동지령을 자동적으로 방송함으로써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신속하게 긴급출동 서비스 신호가 전달되어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이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EMERGENCY CALL OUT SERVICE METHOD AND SYSTEM IN USE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자 시스템의 긴급출동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표시 상태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범죄, 화재, 사고 등의 비상 시 조난자의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위치의 최근 거리에 위치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의 신속한 출동하거나, 사회활동, 예컨대 지역 간병 출동사업, 지역 배달사업, 지역 차량견인사업, 박람회 안내사업 등에서 사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요청시 관련 서비스 대원들의 긴급 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폰을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 부가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이용되고 있다. 현재 통신 사업자들을 통해 상용화된 긴급출동 서비스 부가 서비스는 사용자가 휴대폰에 연락번호 예컨대, 부모 또는 집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한 다음에 위급시 긴급 버튼을 조작하여 콜 신호를 송출하여 부모나 집으로 위급 신호가 전달된다. 위급신호를 받은 부모가 직접 찾아 나서거나 아니면 경찰 또는 관련기관에 신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제 출동시 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 다음에 출동하게 되므로 범죄나 기타 긴급 상황의 초기단계에서 구조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항상 사건이 벌어진 사후 단계에서 현장에 출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 지금까지 근거법이 없어 실종 등 위급한 상황에서도 119긴급출 동 서비스 서비스반이 이통사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했던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119긴급출동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사는 생명이 위험할 정도의 극박한 상황에서 119(소방방재청)이 가입자의 기지국 위치정보를 요구할 경우에 이를 시행할 수 있도록 이용약관에 '119긴급출동 위치정보서비스'를 추가하였다.
또한, 최근에 '119긴급출동 서비스 '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친구찾기/미아찾기'처럼 본인이 미리 서비스에 대한 이용신청을 해야만 한다. 만일 본인이 사전에 이 서비스에 대해 동의하지 않으면 아무리 긴급한 상황이라도 '통신비밀보호법'에 걸려 119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은 개인의 통신비밀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수사목적 등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의 휴대폰 위치정보를 본인이 아닌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그동안 119와 같은 긴급출동 서비스 기관은 조난객의 휴대폰 위치정보가 구조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통신사업자는 119에서 가입자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즉시 가입자에게 위치정보 제공사실을 문자메시지(SMS)로 통보하게 된다. 또 위치정보 오남용을 막기 위해 119에 구조신고가 정식으로 접수된 경우에 한해 제공한다. 가입자가 '119 긴급출동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이동통신사 대리점을 방문하거나, 고객센터에 전화로 신청하여야 한다.
그러나, 119 긴급출동 위지청보 제공 서비스는 119구조대에서 가입자 위치정 보를 요구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고가 난후의 사후 대응에는 효과적이나 신속하게 대처하여 사고의 초기진압이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에는 아직 미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시 조난 지점에 신속하게 출동하여 사고의 초기진압이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 개선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 본 발명을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범죄, 화재, 사고 등의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에 응답하여 조난지점의 최근에 위치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을 신속하게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지점에 출동시킬 수 있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죄나 기타 긴급출동 서비스 상황시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출동이 가능한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범죄, 화재, 질병사고, 교통사고, 조난사고 등 위급상황의 종류에 따라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의 출동을 적응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을 통합화하고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도움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RS 통신 시스템을 공공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의 폭을 넓혀서 TRS 통신시장 확대와 신규 거래를 창출할 수 있는 위치정보기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송출하고,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에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수신하여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방송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출동요청위치를 포함하는 출동 지역에 활동 중인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 그룹을 동시 호출하고, 출동지역의 각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긴급 출동요청지점의 위치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는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정보와 사용자 또는 요청자 단말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산출된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 시간정보, 현장 촬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정보는 카메라 폰 등을 통하여 현장상황을 픽업한 정보로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는 페이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휴대폰, PCS 폰, 셀룰라 폰, IMT-2000 폰, 무선 인터넷 폰, TRS 폰 등 상용화된 일반 휴대 가능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선전화기도 가능하다.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로는 범죄, 화재, 교통사고, 조난사고, 질병사고, 도움 요청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요청 중 어느 하나이거나, 사회활동, 예컨대 지역 간병 출동사업, 지역 배달사업, 지역 차량견인사업, 박람회 안내사업 등에서 사용자 또는 이용자들의 요청시 관련 서비스 제공자들의 긴급 출동을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지피에스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통해 산출될 수도 있다. 물론 유선 전화기의 경우 전화국 또는 사업자 서버에서 가입자 또는 등록회원의 주소지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통용화되고 있는 간선전화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 단말기와 같이 일정 지역 동시 그룹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하다. 물론, TRS 이외에도 무선 인터넷, 휴대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등을 통하여 지역 및 그룹 방송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이면 족하다. 여기서 방송이란, 1 : 다수 통화, 즉 사업자 시스템과 복수의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무선으로 방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에는 위치정보, 요청자 전화번호, 현장 촬영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경찰 순찰대원, 방법대원, 소방대원, 응급구조대원, 산악구조대원, 해상구조대원, 자원봉사대원, 행사진행요원 또는 기타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 각각에게 지급될 것이다. 사업자 서버에 각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의 유형에 따라 그룹별 및 지역별 등록 설정을 한다. 따라서, 범죄의 경우 경찰순찰대원 그룹, 방법대원 그룹들에 방송될 것이고, 등반 사고의 경우에는 산악구조대원그룹, 응급구조대원그룹들에 방송되고, 질병사고의 경우에는 응급구조대원그룹, 119 소방대원그룹 등에 방송되어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를 가진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이 즉각적으로 출동요청지점으로 출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는 긴급출동 서비스 사업자의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에 사전에 등록 설정하고, 등록료 및 월 서비스 사용료를 지불함으로써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받은 등록료 및 월 사용료는 사업자의 수익과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구입비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와,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수신하여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출동지역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지역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지역정보에 응답하여 출동지역에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서버와, 방송 서버로부터 송출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는 지피에스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피에스 수신기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에 포함시켜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하며,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정보기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100), 사용자 통신시스템(110),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시스템(130), 사업자 시스템(14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100) 및 사용자 통신 시스템(110)은 통상의 휴대폰 통신 시스템으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2), 기지국(112), 이동통신 교환망(114), 통신사업자(116)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긴급출동 서비스 콜 버튼 및 해제버튼을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102)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현재 시간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의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 발생 및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내부 메모리 등에 탑재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2)는 설치된 폰 카메라를 통하여 픽업된 현장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촬영정보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에 포함시켜서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02)와 사업자 시스템(140) 사이의 통신을 중계 한다. 여기서 중계기술은 이미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 주지된 사항이다. 여기서 휴대폰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존의 유선 통신망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도 당업자에게는 주지의 사실이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 시스템(130)은 특정 지역방송 및 지역내 그룹방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예컨대 TRS 시스템으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122), TRS 기지국(132), TRS 교환망(134)을 포함한다. TRS 기지국(132)은 통신지역(10)내의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들(122)과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통신지역(10) 내의 모든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들에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방송할 수 있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2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탑재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 시스템(130)은 단말기(122)와 사업자 시스템(14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여기서 중계기술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한다.
긴급출동 서비스 사업자 시스템(140)은 통신망(150), 예컨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사용자 통신시스템(110),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시스템(13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100)는 긴급출동 서비스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업자 시스템(140)에 자신의 단말기(102)를 등록 설정한다. 사업자 시스템(140)에서는 등록 설정시 등록비용 또는 월 사용료 등을 과금한다. 사용자는(100)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등록, 유무선 전화를 이용한 전화 등록, 직접 방문을 통한 직접 등록 등을 통하여 등록 설정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에게는 사업자가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22)를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22)는 지급받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의 구조특성에 따라 그룹화되어 사업자 시스템(140)에 등록 설정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20)는 기존 무선 방송 또는 그룹통화가 가능한 단말기, 예컨대 TRS 단말기, 무선 인터넷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자 시스템(14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업자 시스템(140)은 통신 인터페이스(141), 통신서버(142),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143), 방송서버(144), 데이터베이스 서버(145), 데이터 베이스(146)를 포함한다.
사업자 시스템(140)은 기존 인터넷망을 통신망(150)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통신서버(142)를 웹서버로 구성하고, 웹서버(142)는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41)와 연동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41)는 웹서버(142)와 사용자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시스템들(110, 130) 및 사용자(100)의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라우터 및 허브 등으로 구성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143)는 상기 웹서버(142)와 연동되어 사용자(100)들의 단말기(102)의 등록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102)로부터 전송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접수한다.
방송서버(144)는 상기 웹서버(142)와 연동되어,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들의 단말기(122)를 지역별, 그룹별로 등록 설정하고,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143)를 통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가 접수되면 이에 응답하여 특정 지역의 특정 그룹의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구조지령을 방송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145)는 상기 웹서버(142)와 연동되어,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143)를 통하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하고, 방송서버(144)를 통해 등록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6)에 저장한다. 또한,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143), 방송서버(144)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요청하면 요구정보에 따른 답변 자료를 제공한다.
웹서버,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 방송서버, 데이터 베이스 서버 등은 본 발명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세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콜 신호의 프레임은 헤더(302), 시간정보(304),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정보(306), 위치정보(308)를 포함한다. 헤더(302)에는 사용자 식별코드, 사용자 단말번호, 사업자 코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 폰인 경우에는 콜 신호에서 촬영정보가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의 프레임은 헤더(402), 위치정보(404), 그룹정보(406),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정보(408), 요청자 전화번호 (409)를 포함한다. 헤더(402)에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식별코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번호, 사업자 코드 등을 포함한다. 지령신호는 사용자의 촬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업자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46)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a),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b), 지역별 긴급출동 서비스 통계정보 데이터 베이스(146c),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별 통계정보 데이터 베이스(146d)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베이스의 각 레코드들은 신규, 추가, 갱신, 삭제 등이 가능하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a)는 사용자 식별정보, 암호, 성명, 주소, 단말기 번호, 사용횟수, 카드번호, 계좌번호, 마일리지 등으로 사용자 등록 설정에 의해 구축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b)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식별정보, 암호, 성명, 주소, 단말기 번호, 활동지역,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 출동횟수,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 등으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 설정에 의해 구축된다. 여기서, 긴급출동 서비스결과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제공한다.
지역별 긴급출동 서비스 통계정보 데이터 베이스(146c)는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 접수횟수, 출동횟수,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 평가정보, 서비스 요청자 성별, 서비스 요청자 연령대 등으로, 사용자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에 연동하여 구축된다.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별 통계정보 데이터 베이스(146d)는 긴급출동 서비스 지역, 접수횟수, 출동횟수,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 평가정보, 서비스 요청자 성별, 서비스 요청자 연령대 등으로, 사용자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정보에 연동하여 구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단말기 화면표시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2)에서는 전원 투입시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602). 단말기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사용자(100)에 의해 긴급출동 서비스 버튼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고(S604) 아니면, 통상적인 모드를 수행한다(S606).
S604단계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시스템은 단말기 화면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출동 서비스 콜 선택메뉴 화면을 표시한다(S608). 사용자(100)가 커서를 이동하여 원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를 선택하면(S610) 단말기에 탑재된 GPS 수신기로부터 현재 위치정보를 억세스한다(S612). 억세스된 위치정보와, 선택된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발생하고(S614) 단말기 화면에는 도 8과 같은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 발생상태를 표시한다(S616). 여기서, 긴급출동 서비스 콜신호가 발생됨과 동시에 카메라 폰의 경우에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동작시켜서 주변 현장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촬영정보를 송출한다.
S614단계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해제 버튼신호의 입력이 있으면 긴급출동 서비스 콜 모드를 해제하고(S618) S604단계로 복귀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사업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시스템(140)은 시스템 초기화를 실행하고(S902) 동작모드를 체크한다.
현재 사용자 등록모드이면(S904) 접수서버(143)에서 사용자 등록처리 루틴을 수행한다(S906). 사용자 등록처리 루틴에서는 통상적인 사용자 회원등록처리를 통하여 신규 사용자를 데이터 베이스(146)에 등록 설정하거나, 내용 수정 등의 동작을 처리한다.
S904단계에서 현재 사용자 등록모드가 아니면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모드인가를 체크하고(S904) 방송서버(144)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처리 루틴을 수행한다(S906).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처리 루틴에서는 통상적인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회원등록처리를 통하여 신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를 데이터 베이스(146)에 등록 설정하거나, 내용 수정 등의 동작을 처리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은 지급될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및 지급받은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의 활동지역정보 및 긴급출동 서비스 그룹정보를 등록한다.
S908단계에서 현재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등록모드가 아니면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고(S912) 접수서버(143)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 접수처리 루틴을 수행한다(S914).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 접수처리 루틴에서는 사용자 통신 시스템(110)을 통하여 수신된 긴급출동 서비스 신호가 접수서 버(143)를 통하여 접수한 다음에 데이터 베이스(146)를 참조하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방송서버(144)로 제공한다. 방송서버(144)에서는 접수된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의 위치정보와 종류정보에 응답하여 도 8의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촬영정보의 수신이 있는 경우에는 촬영정보를 지령신호에 포함하여 발생한다. 발생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는 통신망(150)을 통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 시스템(130)에 전달되고,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 시스템(130)에서는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에 응답하여 출동요청지역의 기지국을 통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출동요청지역에 특정 그룹에 대해 방송하게 된다. 즉, 범죄 긴급출동 서비스 인 경우에는 순찰대원 및 방범대원들의 단말기들은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접수하게 된다. 그러나, 소방대원, 응급대원들은 긴급출동 서비스 출동요청지역에 위치하지만 해당 긴급출동 서비스의 종류에 대응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그룹이 다르므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접수되지 않는다.
화재 시에는 소방대원, 순찰대원, 응급대원들이 모두 출동하게 된다.
교통사고나 질병사고 시에는 순찰대원 및 응급대원들이 출동하게 된다.
긴급출동 서비스의 특성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그룹의 조합이 가능하다.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지역에 활동 중인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의 단말기들 중에서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단말기들만이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접수하게 된다. 따라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가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최근거리에 위 치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게 된다.
S912단계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 접수모드가 아니면 긴급출동 서비스결과 접수신호의 수신여부를 체크하고(S916) 방송서버(144)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처리 루틴을 수행한다(S918).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처리 루틴에서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 시스템(130)을 통하여 수신된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신호를 방송서버(144)를 통하여 접수한 다음에 데이터 베이스(146)에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정보를 저장시킨다. 방송서버(144)에서는 긴급출동 서비스의 통계 평가를 위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상황이 종료되면 관련된 정보들 및 통계자료를 데이터 베이스에 구축시킨다. 구축된 통계자료들은 긴급출동 대책방향, 서비스 제공 품질이나 서비스 제공자의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S916단계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결과접수가 아니면 일반적인 다른 모드를 수행하고(S920) 시스템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122)는 시스템을 초기화하고(S1002)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S1004).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의 수신이 아니면 통상적인 송수신 동작모드를 수행한다(S1006).
S1004단계에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가 수신되면, 긴급출동 서비스 호출음을 발생시키고(S1005), 단말기(122)의 화면에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정보, 예컨대 출동요청지점 위치,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 발생시간, 지령, 요청자 전화번호 등을 표시한다(S1008). 따라서,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는 구조지령 수신확인을 하여 긴 급출동 서비스 수신을 해제하고(S1010)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에 따라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제공된 서비스 요청자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요청자와 통화가 가능하면 위치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하면서 출동한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이 종료되면,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120)는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보고하고(S1012) 다음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수신하기 위한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보고 내용은 현장상황, 서비스 제공조치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출동요청지점 위치정보는 긴급출동 서비스에 응답하여 사용자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내용을 사업자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통신시스템은 TRS 시스템 이외에 쌍방향 페이저 시스템, 무선 랜 시스템, 휴대 인터넷 통신 시스템 등 이동성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조 종류를 선택하고 이에 응답하여 그룹별 방송기능을 제거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로 단일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긴급출동 서비스의 종류별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제어하는 것이 실제 적용에는 다양한 응용분 야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시 자동적으로 최근거리의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들이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으므로 범죄를 초기 단계에서 사전에 진압이 가능하고, 화재나 급작스런 질병에 의해 분초를 다투는 생명 위독 상황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초기 진압 및 초기 대처가 가능하다.

Claims (15)

  1.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에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수신하여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방송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출동요청위치를 포함하는 출동요청지역에 활동 중인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 그룹을 동시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동지역의 각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지점의 위치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는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정보와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에서 산출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는
    범죄, 화재, 교통사고, 조난사고, 질병사고, 도움요청, 배달요청 또는 이와 유사한 요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지피에스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통해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간선전화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 단말기와 같이 일정 지역 동시 그룹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경찰 순찰대원, 방법대원, 소방대원, 응급구조대원, 산악구조대원, 해상구조대원, 자원봉사대원, 행사진행요원 또는 기타 구조대원들 각각에게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는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에 사전에 등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에 따라 상기 방송서버에 사전에 등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사업방법.
  10.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
    상기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를 수신하여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출동요청지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출동지역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출동지역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출동지역정보에 응답하여 출동지역에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서버; 및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송출된 긴급출동 서비스 지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긴 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는
    지피에스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피에스 수신기를 통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에 포함시켜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콜 신호는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는
    범죄, 화재, 교통사고, 조난사고, 질병사고, 도움요청 또는 이와 유사한 출동요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서버는
    상기 사용자 유무선 단말기의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출동요청지점 위치를 산 출하고,
    산출된 출동요청지점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출동지역정보와 긴급출동 서비스 접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 및 긴급출동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단말기는
    간선전화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의 사업자 통신 시스템과 TRS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90927A 2004-11-09 2004-11-09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0707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27A KR100707973B1 (ko) 2004-11-09 2004-11-09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27A KR100707973B1 (ko) 2004-11-09 2004-11-09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19A true KR20060042319A (ko) 2006-05-12
KR100707973B1 KR100707973B1 (ko) 2007-04-16

Family

ID=371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927A KR100707973B1 (ko) 2004-11-09 2004-11-09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9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654A1 (ko) * 2010-08-17 2012-02-23 주식회사 유비케어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231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응급 구난자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2265071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22033823A (ja) * 2018-01-18 2022-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91875A (ko) * 2020-12-24 2022-07-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찰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07B1 (ko) * 2012-08-21 2013-01-16 주식회사 포커스테크 범죄신고 자동중계시스템
KR101599486B1 (ko) 2013-05-14 2016-03-03 주식회사 크레디프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N106792495A (zh) * 2015-11-25 2017-05-31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移动终端
KR101820603B1 (ko) * 2016-10-26 2018-01-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도어락 장치와 연동하는 IoT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022B1 (ko) * 2002-08-08 2003-12-11 김성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비상구호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KR20040037696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654A1 (ko) * 2010-08-17 2012-02-23 주식회사 유비케어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37588B1 (ko) * 2010-08-17 2012-04-19 주식회사 유비케어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2033823A (ja) * 2018-01-18 2022-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27231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응급 구난자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2265071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다중 이용시설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0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사고 발생에 대한 이송업체 또는 동승업체 선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9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7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영유아 사고에 대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68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65072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사고 발생에 대한 응급환자를 판단하고, 최적의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91875A (ko) * 2020-12-24 2022-07-0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찰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973B1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3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olocation and coordinated communication with emergency responders
JP5279212B2 (ja) 緊急時通信方法、かかる通信のためのサーバ、ネットワーク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9609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promotions over message broadcasting and local wireless systems
US7693938B2 (en) Message broadcasting ad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799354B2 (ja) セキュリティ提供方法
US20120282887A1 (en) Personal protection system with automatic emergency contact notification based on registered events
US20140120863A1 (en) Wireless device emergency services connection and panic button, with crime and safety information system
US20050111630A1 (en) 911 Emergency voice/dat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4933839A (zh) 一种基于手机app的远程处警方法
US20170094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
WO2011060335A1 (en) Wireless device emergency services connection and panic button, with crime and safety information system
KR100707973B1 (ko)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58270A (ko)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US20090016496A1 (en) Communication system
EP2602985A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JP4602877B2 (ja)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US200900178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0227A1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7328490A (ja) 不審者通知システム
US201200725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events
JP2020198511A (ja) 災害情報投稿処理システム、災害情報投稿処理方法及び災害情報投稿処理サーバ装置
JPWO2020129193A1 (ja) 監視制御装置、携帯通信端末、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JP2994339B1 (ja) Phs端末を用いた警備方法
KR20060001932A (ko) 긴급상황(화재, 구급과 침입, 비상신고 등) 발생시에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중계서버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실시간 멀티미디어 송수신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실시간멀티미디어 방범·방재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