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86B1 -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86B1
KR101599486B1 KR1020130054547A KR20130054547A KR101599486B1 KR 101599486 B1 KR101599486 B1 KR 101599486B1 KR 1020130054547 A KR1020130054547 A KR 1020130054547A KR 20130054547 A KR20130054547 A KR 20130054547A KR 101599486 B1 KR101599486 B1 KR 10159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subscri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527A (ko
Inventor
허재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디프
Priority to KR102013005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8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emergency rescue support}
본 발명은 긴급구난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구난 신고를 수신하는 수보대에서 긴급구난 신고자의 긴급 전화 수신과 동시에 또는 실시간으로 긴급구난 신고자의 상세 위치정보와 개인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수보대와 이에 연결된 긴급구난 기관(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 담당자들의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에 관한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VoIP폰, 넷북,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망과 인터넷에 연동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상시에 늘 개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이고, 사용자의 기본적인 개인정보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통신사업자들은 자체의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이에 연결된 부가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문자메시지, 무선 인터넷, 근거리 통신, 내비게이션 등 음성통화 외에도 매우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내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7973호(발명의 명칭: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통신사업자들을 통해 상용화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는 사용자가 휴대폰에 연락번호 예컨대, 부모 또는 집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설정한 다음에 위급시 긴급 버튼을 조작하여 콜 신호를 송출하여 부모나 집으로 위급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위급신호를 받은 부모가 다시 경찰 또는 관련 기관(예를 들어, 지역 소방서/경찰서)에 신고하는 방식으로 긴급 처리한다. 따라서, 긴급구난을 위한 실제 출동시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범죄나 기타 긴급 상황의 초기단계에서 구조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항상 사건이 벌어진 사후 단계에서 현장에 출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2013년 1월 치안정책연구에서 발행한 “치안전망 2013”에 기재된 지난 10년간 112신고 접수현황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2신고 건수는 지난 10년 동안 큰 폭으로 증가하여 왔다. 지난 2002년 총 350만 건이던 접수건수는 2011년 990만 건으로 182%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112신고 건수의 대폭적인 증가에 비하여 수보대 통신근무자를 포함한 소방/경찰인력은 그다지 변동이 없어 긴급상황이나 위급상황의 초기단계에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7973호 (등록일 2007.04.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보대 통신근무자가 긴급구난 신고자와 별도의 통화를 전혀 또는 거의 진행하지 않고도 신고자의 긴급 전화를 받음과 동시에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신고자의 위치정보와 개인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수보대와 이에 연결된 긴급구난 기관(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 담당자들의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이동통신망의 레거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내지 펌웨어와 플랫폼을 전혀 또는 거의 변경하지 않고도 합목적적으로 구축가능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수보대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가입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와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보대 통신근무자가 신고자(특히, 자신이 있는 현재 장소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영유아/어린이)와 별도의 통화를 전혀 또는 거의 진행하지 않고도 신고자의 긴급 전화를 받음과 동시에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신고자의 위치정보와 개인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수보대와 이에 연결된 긴급구난 기관(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 담당자들의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이동통신망의 레거시 시스템의 하드웨어 내지 펌웨어와 플랫폼을 전혀 또는 거의 변경하지 않고도 합목적적으로 구축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의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
도 5 는 치안정책연구에서 발행한 “치안전망 2013”에 기재된 지난 10년간 112신고 접수현황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보대는 전국 단위 또는 각 지차체 내지 지역 단위로 모든 긴급한 범죄, 예를 들어 학교ㆍ여성폭력ㆍ유괴ㆍ납치 신고를 접수하는 기관 내지 통합구난 콜센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112, 119 등의 긴급구난 요청 전화를 수신하는 곳이다. 이러한 수보대는 전국망에 연결된 하나의 일체형 통합시스템일 수도 있고, 개별 응급센터, 경찰서, 소방서 등에 분산 배치된 각 상황실 통신장비 네트워크로 통합된 형태의 시스템이거나 두 형태의 결합형일 수도 있다. 수보대에는 자동전화응답시스템 및/또는 구조 요원이 응대하는 유무선 전화기 내지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신고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나 중간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통신방식의 신고를 접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와,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와, 수보대 시스템(140)와, 각 상황실 통신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는 음성통신과 데이터통신을 포함하여 유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 조작명령 및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수단, 예컨대 숫자키와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터치 패널, 필기체 입력수단, 음성 인식수단을 갖는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엘이디 디스플레이와 같은 터치 인식수단 및 기타 공지의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통신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2G/3G/4G휴대폰, 스마트폰, VoIP폰, 넷북, 태블릿PC 등으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는 상황실 통신 단말기(150)의 경우에도 유사하다.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은 홈위치등록기(HLR), 방문자위치등록기(VLR), 홈위치등록기(HLR)와 방문자위치등록기(VLR) 사이에 접속되어 단말이 어떤 통신 시스템 영역 내에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관리하는 GLR(Global Location Register), 이동통신 교환기(MSC), 이동통신 교환기(MSC)의 관장 하에 있는 복수개의 기지국 제어기(BSC) 및 기지국 제어기(BSC)의 관장 하에 있는 복수개의 기지국(BTS)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의 기본적 구성요소들을 통칭한다.
현대에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IP망)의 이종망 연결 및 와이파이, 블루투스, 와이브로,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또는 개인 통신망이나 WLAN, WAN과 같은 광대역 무선통신망 내지 방송망 등 2G/3G/4G 망 사이의 연동이 원활하므로, 본 발명에서의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은 이와 같이 연동 가능한 모든 종류의 통신 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GLR(Global Location Register)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등록 처리부와, 시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GLR(Global Location Register)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의 상세 위치정보를 저장, 업데이트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의 기본적 동작은, 발신 단말기에서 착신 단말기와 통화를 하기 위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생성하면, 발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는 홈위치등록기(HLR)로 착신 단말기 위치정보를 요청한다(Location Request). 홈위치등록기(HLR)는 착신 단말기의 최종 위치정보를 조회하여 착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Routing Request). 착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는 홈위치등록기(HLR)로 라우팅 정보(즉, TLDN: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제공한다. 홈위치등록기(HLR)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MSC)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는 전송받은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로 호 접속을 요청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상호 통화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동작은 동일하게 구현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긴급 구난에 관련된 전화번호의 호출이 있을 경우, 발신 단말기 측의 교환기(MSC)는 해당 호 연결 요청 신호를 본 발명의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로 전송하도록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부터 발신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즉, 긴급 구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에 미리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는 확인결과 미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 통상적인 방식으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며,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예: GPS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직접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 발신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GLR 등을 통해 조회하여 보다 상세한 위치정보와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보대 시스템(140)은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 및 상황실 통신 단말기(150)와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통상의 수보대 시스템(140)은 신고접수장비, 통합무선장비, 통합출령지령방송장비, AVL(출동차량통대관리장비), 기타 부수장비를 통합운영하는 지령 콘솔 데스크로서 디스패쳐(Dispatcher)라고도 한다. 수보대 시스템(140)은 음성통화와 영상통화를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 카메라모듈이 탑재되고 인터넷으로 영상전화 또는 음성전화가 가능한 PC, 네크워크 서버 등을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보대 시스템(140)은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130)로부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황실 통신 단말기(150)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200)는 크게 통신부(210)와 저장부(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IP망)의 이종망 연결 및 와이파이, 블루투스, 와이브로,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또는 개인 통신망이나 WLAN, WAN과 같은 광대역 무선통신망 내지 방송망 등 2G/3G/4G 망 사이의 연동을 통해 운영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의 통식 방식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향후에 등장할 다양한 통신방식의 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세이프 긴급구난 지원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가입자정보(221)를 저장하며,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의 초기 위치정보(예컨대, GPS정보) 또는 GLR로부터 전송받은 상세 위치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 가입자정보는 가입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이름, 나이, 주소, 주요 이동 경로, 통상의 위치 지역 정보, 가입자 지인들의 연락처, 이-메일 주소, 및 팩스번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신상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이용하여 세이프 긴급 구난 지원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도 2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입자정보 처리부(231)와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23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입자정보 처리부(231)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가입자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110)부터의 통신 호 연결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가입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저장부(220)와 연동하여 판단하고, 각 경우에 따른 지시를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232)에 제공할 수 있다.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232)는 실시예에 따라, 직접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및/또는 단말기 자체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저장부(220)에 저장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거나, 가입자정보 처리부(231)로부터 가입자여부에 대한 지시를 받아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통상의 방식으로 해당 호 연결 요청신호를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바이패스하고,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아래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해당 호 연결 요청신호를 처리한다.
먼저,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232)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신호에 포함된 가입자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초기 위치정보(예: GPS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부(221)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가입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진 수보대 시스템(140)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입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10)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이를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 보내어 GLR(Global Location Register) 등의 위치정보 기록 장치의 조회를 통해 상세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232)는 다른 예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부(221)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직접 또는 가입자 정보 처리부(231)를 통해 간접 조회한 후, 통신부(210)를 통해 곧바로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 가입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를 보내어 GLR(Global Location Register) 등의 위치정보 기록 장치의 조회를 통해 상세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수보대 시스템(140)으로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보대 시스템(140)은 호 연결시부터 가입자의 휴대용 통신단말기(110)의 상세위치정보를 파악한 상태에서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와 수보대 시스템과 상황실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황실은 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을 포함한다.
먼저,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311). 서비스 가입 신청은 사용자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오프라인으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운영자에게 제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수보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거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전용앱을 이용하여 아이콘을 눌러 호 연결을 요청하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인 수보대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12).
단계 S312 이후에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수보대 전화번호인 경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 결과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 가입자 정보와 초기 위치정보(예: GPS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13). 반면에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결과 미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 일반적인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HLR)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MSC)로부터 착신 단말기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Routing Request),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MSC)는 홈위치등록기(HLR)로 라우팅 정보(즉, TLDN: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제공한다. 홈위치등록기(HLR)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MSC)에 전송하고, 발신 교환기(MSC)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MSC)에게 호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여, 수보대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31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진 수보대 시스템으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서비스 가입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S315), 이를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으로 보낸다.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120)은 GLR(Global Location Register) 등의 위치정보 기록 장치의 조회를 통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를 검색하고(S316), 검색된 해당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를 통해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수보대 통신근무자는 신고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황실(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와 가입자 신상정보를 전화 또는 자동 또는 수동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호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S318).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와 수보대 시스템과 상황실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황실은 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을 포함한다.
먼저,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서비스 가입을 신청한다(S411). 서비스 가입 신청은 사용자가 신청서를 작성하여 오프라인으로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운영자에게 제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수보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인 수보대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412).
단계 S412 이후에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수보대 전화번호인 경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호 연결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 결과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한다(S413). 반면에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결과 미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 경우 일반적인 통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단계 S413 이후에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은 GLR(Global Location Register) 등의 위치정보 기록 장치의 조회를 통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를 검색하고(S414), 검색된 해당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달한다(S415).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와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416).
한편,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의 홈위치등록기(HLR)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한 발신 교환기(MSC)로부터 착신 단말기 위치정보 요청에 따라 착신 교환기(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Routing Request), 이에 따라 착신 교환기(MSC)는 홈위치등록기(HLR)로 라우팅 정보(즉, TLDN: Temporary Local Directory Number)를 제공한다. 홈위치등록기(HLR)는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MSC)에 전송하고, 발신 교환기(MSC)는 라우팅 정보를 근거로 착신 교환기(MSC)에게 호접속을 요청하여 상호 통화로를 형성하여, 수보대 시스템과 휴대용 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417).
수보대 통신근무자는 신고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황실(예를 들어, 지역 응급센터/소방서/경찰서 등) 통신 단말기에 신고자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와 가입자 신상정보를 전화 또는 자동 또는 수동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호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S418).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 및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가입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를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 및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수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와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가입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를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5.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수보대 전화번호와 휴대용 통신 단말기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세 위치정보와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긴급구난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
  6.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방법으로,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이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수보대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서비스 가입자정보와 초기 위치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가입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과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방법으로,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이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와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이 상기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수보대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상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 전화번호가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 휴대용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상세 위치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레거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 상세 위치정보와 서비스 가입자정보를 수보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방법.
KR1020130054547A 2013-05-14 2013-05-1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547A KR101599486B1 (ko) 2013-05-14 2013-05-1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547A KR101599486B1 (ko) 2013-05-14 2013-05-1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30211A Division KR20150035907A (ko) 2015-03-04 2015-03-0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27A KR20140134527A (ko) 2014-11-24
KR101599486B1 true KR101599486B1 (ko) 2016-03-03

Family

ID=5245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547A KR101599486B1 (ko) 2013-05-14 2013-05-14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8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73B1 (ko) 2004-11-09 2007-04-16 신용균 위치정보기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출동 지원서비스 사업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4958A (ko) * 2010-08-10 2012-02-2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50265A (ko) * 2010-11-10 2012-05-18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전화를 매개로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527A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695B2 (en) Personal security system
US10163331B2 (en) Alarm system with two-way voice
US10708412B1 (en) Transferring computer aided dispatch incident data between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stations
US10524106B1 (en) Delivering video emergency services using rich communication service (RCS) protocols
JP2005509375A (ja) 発信元電話端局の地理的位置に基づく緊急呼び出しのルーティング
JP2007180685A (ja) 携帯端末から緊急通報先へ通報時の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599486B1 (ko)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35907A (ko) 세이프 긴급구난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4375317B2 (ja) 電話装置
JP2005204118A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6621144B2 (ja) 緊急通報受付システム、装置、ユーザ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36884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9171484A (ja) 通信システム、報知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5713344B2 (ja) ナースコール用端末装置
JP2003289376A (ja) 携帯電話機及び受信制限方法
JP2009130482A (ja) 緊急通報時の位置情報転送システム
JP2009200943A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20025343A (ja) プログラム
US20130230153A1 (en)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non-preemptable calls
US10728387B1 (en) Sharing on-scene camera intelligence
KR20140052316A (ko)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JP2007096591A (ja) 電話装置
WO200611787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50020160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 방법
JP201617420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26

Effective date: 201512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