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110A -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110A
KR20170078110A KR1020150188282A KR20150188282A KR20170078110A KR 20170078110 A KR20170078110 A KR 20170078110A KR 1020150188282 A KR1020150188282 A KR 1020150188282A KR 20150188282 A KR20150188282 A KR 20150188282A KR 20170078110 A KR20170078110 A KR 2017007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wrist
muscle
stiff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길
Original Assignee
문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길 filed Critical 문재길
Priority to KR102015018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110A/ko
Publication of KR2017007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강직도 감지부, 심박동 비교부 및 사용자 음성 인식부를 제공하여 범행자가 눈치챌 수 없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게 위험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Smart band for preventing accident}
본 발명은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며, 사용자의 손목에 끼워 사용되는 스마트 밴드에 근육 강직도 감지부, 심박동 감지부 및 사용자 음성 인식부를 제공하여 스마트 밴드 사용자가 위험에 처하게 되는 경우 위험 상황을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경찰서 또는 부모 또는 친구 등에게 알려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유형의 각종 사고들이 매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신체적으로 나약한 여자가 밤늦게 귀가하는 경우 또는 남자 또는 여자가 취중에 길거리에 쓰러지는 경우, 남녀노소 불구하고 강도, 납치, 성폭력 등 위험한 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CCTV를 도로, 건물, 골목길, 아파트 단지 등에 다수 설치되고 있으나, 설치 비용이 높을 뿐 아니라, 이들 CCTV를 통하여 각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사실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사고들을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종래 기술에 의한 스마트 밴드는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마트 밴드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종래의 스마트 밴드는 사용자가 손목에 끼우는 형식으로 착용할 수 있는 밴드 바디(10)와, 상기 밴드 바디(10)의 양단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라 그 길이를 조종할 수 있는 길이 조정부(20)와, 상기 밴드 바디(10)의 중간 부분 외측에 설치된 표시부(30)와, 상기 표시부(30)와 마주하며, 밴드 바지(10)의 내측에 설치된 심박동 검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스마트 밴드와 연동시켜, 사용자의 심박동수, 수면 시간, 보행 기록, 전화 알람, 문자 알람 등과 같은 단순한 기능만 제공한다. 그러나 보안 관련 기능은 채용하고 있지 않아, 보안 기능들을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누구나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위험한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연락하여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스마트 밴드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쉽게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연락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스마트폰을 통하여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연락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사용자 손목 근육의 강직도, 급격한 심박동 변화, 사용자 음성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인식하기 때문에 오류가 최소화된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연락하여, 강도, 납치, 성폭행 등의 위험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범행자가 전혀 눈치챌 수 없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범행자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날씨,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쉽게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알릴 수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는 손목 시계와 같이 사용자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탄성 수지 등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탄성 밴드 바디(100)와; 상기 밴드 바디(100)의 외부면 일부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무선으로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LED 표시로 소정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와; 상기 표시부(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손목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300)는 사용자 팔목의 근육의 강직도를 검출하기 위한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와 연결되고, 특정 시점에서 다음 특정 시점 사이 동안에 사용자의 심박동을 검출하고, 비교하기 위한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특정 음성의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340)에서 발신된 소정의 신호는 이에 연결된 송신부(4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외부 소정의 정부 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무선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에 따르면, 누구나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남녀노소 누구나 위험한 상황을 쉽게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연락하여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손목 근육의 강직도, 급격한 심박동 변화, 사용자 음성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상 오류가 최소화된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신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범행자가 전혀 눈치챌 수 없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은밀하게 직접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신고를 범행자가 눈치챔으로써 범행자가 저지를 수 있는 2차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 밴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의 센서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마트 밴드(smart band)라 함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으로 연동을 하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시간, 각종 알람, 스마트폰의 전화 및 문자 착신 여부를 진동 또는 LED 발광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이다. 시중에 판매 중인 제품으로는 중국의 샤오미 제품의 미밴드가 있다.
우선 발명에 의한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3도 및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는 손목시계와 같이 사용자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탄성 수지 등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탄성 밴드 바디(100)와; 상기 밴드 바디(100)의 외부면 일부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무선으로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LED 표시로 소정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와; 상기 표시부(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손목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300)는 사용자 팔목의 근육의 강직도를 검출하기 위한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와 연결되고, 특정 시점에서 다음 특정 시점 사이 동안에 사용자의 심박동을 검출하고, 비교하기 위한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특정 음성의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340)에서 발신된 소정의 신호는 이에 연결된 송신부(4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외부 소정의 정부 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무선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에서 참조번호 110은 삽입홈으로서, 표시부(200) 및 센서부(300)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참조번호 600은 체결부로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하며, 밴드 바디(100) 양단을 연결하며, 사용자 손목 굵기에 따라 밴드 바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항에서,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연결되고,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주기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심박동 데이터를 보관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살려달라는 말 등의 특정 말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는 사용자가 주먹을 세게 그리고 갑자기 움켜쥘 때 사용자 손목에서 발생하는 근육의 강한 강직도와 그 순간 사용자 손목뼈의 움직임에 대응한 근육의 강직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방지용 스마트 밴드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위하여 별도로 개발된 어플(application)을 해당 스마트폰과 관련된 인터넷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설치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두운 밤길 또는 보안에 취약한 뒷길 또는 등산길 등을 걷다가 치한, 강도, 성폭행범, 등 각종 위험한 상황에 처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를 착용하고 있는 손의 주먹을 강하게 쥐고, 위험 상황에 가장 흔히 사용하는 말에 해당하는 살려달라고 외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심박동 수는 평상시와 비교하여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 처하는 경우, 사용자 팔목에 휴대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의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는 사용자의 강한 근육 강직도를 검출하고, 심박동 비교부(320)는 평상시 더욱 급격히 높아진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메모리부(500)의 평상시 검출된 심박동 수와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 인식부(33)는 사용자가 지르는 살려달라는 말을 상기 메모리(500)에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일치함을 인식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 비교, 및 인식이 완료되면, 컨트롤러(340)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부(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어플에 사전에 설정한 긴급 연락처로 상기의 위급한 상황을 무선으로 문자 또는 음성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어플은 자동으로 경찰서, 부모, 친구와 같은 긴급 연락처와 통화가 유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위치 설정 등이 끔 상태인 경우, 해당 어플은 사용자 스마트폰의 위치 설정을 강제로 켬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과 범인의 음성이 동시에 특정 긴급 연락처로 전송되고,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및 현재의 상황이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긴급 연락처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행동들은 범행자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게 긴급 연락처로 위험 상황을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범행자가 전혀 눈치챌 수 없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은밀하게 직접 위험 상황을 경찰서, 부모, 친구 등에 무선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비용로 안전하게 위험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바로 상품화할 수 있어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밴드 바디
200: 표시부
300: 센서부
310: 근육 강직도 검출부
320: 심박동 비교부
330: 사용자 음성 인식부
340: 컨트롤러
400: 송신부

Claims (1)

  1. 손목 시계와 같이 사용자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탄성 수지 등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탄성 밴드 바디(100)와;
    상기 밴드 바디(100)의 외부면 일부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무선으로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LED 표시로 소정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0)와;
    상기 표시부(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손목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연결되고,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주기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심박동 데이터를 보관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살려달라는 말 등의 특정 말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300)는 사용자 팔목의 근육의 강직도를 검출하기 위한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와 연결되고, 특정 시점에서 다음 특정 시점 사이 동안에 사용자의 심박동을 검출하고, 비교하기 위한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특정 음성의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와, 상기 근육 강직도 검출부(310)와, 상기 심박동 비교부(320)와, 상기 사용자 음성 인식부(340)의 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340)에서 발신된 소정의 신호는 이에 연결된 송신부(4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외부 소정의 정부 기관 또는 특정인에게 무선을 송출되며, 상기 근육 강직도 감지부(310)는 사용자가 주먹을 세게 그리고 갑자기 움켜쥘 때 사용자 손목에서 발생하는 근육의 강한 강직도와 그 순간 사용자 손목뼈의 움직임에 대응한 근육의 강직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KR1020150188282A 2015-12-29 2015-12-29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KR20170078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82A KR20170078110A (ko) 2015-12-29 2015-12-29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82A KR20170078110A (ko) 2015-12-29 2015-12-29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10A true KR20170078110A (ko) 2017-07-07

Family

ID=5935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82A KR20170078110A (ko) 2015-12-29 2015-12-29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1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069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2161B1 (ko) * 2021-02-26 2021-10-13 주식회사 액센코리아 스마트 워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069B1 (ko) * 2020-01-20 2021-06-15 임승환 심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된 심인성 사고에 대한 최적 응급 업체를 선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2161B1 (ko) * 2021-02-26 2021-10-13 주식회사 액센코리아 스마트 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58447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over emergency pre-warning system
RU2685815C1 (ru)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S2748175T3 (es) Método y aparato para determinar el riesgo de que un paciente abandone un área segura
TW200737056A (en) Emergency device for warning falling-down
US9533743B2 (en) Life saving apparatus
US20190114902A1 (en)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US20150081136A1 (en) Personal Safety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90295398A1 (en)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and user device
US10147304B1 (en)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US20160196736A1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CN108305448A (zh) 一种社区校正人员预警的方法及装置
KR20180132820A (ko) 프로그래밍 가능한 책임 경보 시스템
KR20170078110A (ko)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밴드
US20140340218A1 (en) Personal Safety Device
JP2018530083A (ja) アラームシステム
JP6013660B1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140070356A (ko) 범죄 보호용 장치
KR101970649B1 (ko) 생체인증 형 스마트 수갑을 이용한 도주방지 시스템
US20060006998A1 (en) Activation of personal security alarm in response to detected physiological conditions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JP6719120B2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および、防犯プログラム
KR102661944B1 (ko)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KR101633588B1 (ko) 웨어러블 헬스케어 안전벨트
CN205250460U (zh) 一种可穿戴安全报警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