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882B1 -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882B1
KR102264882B1 KR1020200157130A KR20200157130A KR102264882B1 KR 102264882 B1 KR102264882 B1 KR 102264882B1 KR 1020200157130 A KR1020200157130 A KR 1020200157130A KR 20200157130 A KR20200157130 A KR 20200157130A KR 102264882 B1 KR102264882 B1 KR 10226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guard rail
rail
eccentric
out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철
김은
오재훈
윤병현
박준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철도용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기본레일의 간격을 부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절 할 수 있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시는 상단, 편심중단, 하단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부시)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고, 편심중단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OUTSIDE POINT GUARD RAIL ASSEMBLY WITH BUSH FOR RAILWAY SWITCH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철도용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기본레일의 간격을 부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절 할 수 있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철도용 분기구 및 가드레일의 설치도 및 시공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철도용 분기구는 철도의 본선으로부터 측선으로 진로를 바꾸는 등 하나의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 분기하기 위하여 분기 지점에 설치한 궤도(도상에 설치된 레일과 침목)설비와 선로전환기(전철기)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용 분기구는 도 1a와 같이, 선로가 분기되는 구간에 설치되는 분기구인 포인트부, 선로가 완전히 분리되는 구간에 설치되는 분기구인 크로싱부 및 포인트부의 후단에서 크로싱부의 전단 사이에 형성된 리드부로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부에는 기본레일로부터 열차 차륜이 분기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인 텅레일(30, TONGUE RAIL)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싱부에는 열차 차륜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하여 기본레일(10)과 이격되어 기본레일 내측에 설치되는 가드레일(20,GUARD RAIL)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도 1a의 시공사진과 같이 가드레일(10)은 기본레일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가드레일(10)은 열차 차륜의 대향 및 배향 진입에 따른 마모에 의하여 손상을 입는 등이 하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기본레일(1)과 이격되어 침목 상에 탄성클립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가드레일(3)은 기본레일(1)과 동일한 단면형태로 설치하기도 하지만,
기본레일(1)과 이격되도록 가드레일 홀더부(7)를 설치하고, ㄷ자 단면 형태의 가드레일(3)을 가드레일 홀더부(7) 상단에 기본레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본레일(1)의 궤도비틀림 등에 의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기본레일(1)과 ㄷ자 단면 형태의 가드레일(3)의 간격도 조정해야 한다.
도 1c는 종래 가드레일과 기본레일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가드레일 설치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판(8) 상면에 탄성클립에 의하여 기본레일(11)이 설치되어 있고,
기본레일(11) 측방에 가드레일 홀더(9)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드레일 홀더(9) 상면에는 하부받침구(12)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부받침구(12) 상면에 위치조절블록(13)이 역시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하부받침구(12) 상면의 위치조절블록(13)과 기본레일(11)간의 간격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조절블록(13)의 설치위치를 각각 별도로 세팅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하부받침구(12), 위치조절블록(13)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며, 일일이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장치(7)를 탈착시켜야 하는 시공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종래 가드레일과 기본레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일부 소개되어 있으나 대부분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지는 방법이어서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또한, 최근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텅레일의 마모나 손상으로 열차소음, 진동 등에 대한 고객 불만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텅레일 보호를 위하여 기본레일에 설치되는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의 설치 필요성이 요구되었으나, 달리 국내에서는 설치사례가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706321호(발명의 명칭: 레일 분기기의 가드레일, 공개일자: 2007년04월13일) 대한민국 특허 제10-1774384호(발명의 명칭: 부시형조절톱니와셔가 구비된 철도레일의 방진 체결장치, 공개일자: 2017년09월19일)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철도 선로에 설치되는 철도용 분기구의 기본레일, 텅레일 보호를 위하여 포인트부의 기본레일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을 제공하되,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부와 기본레일과의 간격을 부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설치 시 시공성과 작업성이 뛰어나 유지관리에 효과적인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은 기본레일과 가드레일홀더 사이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드레일부가 부시에 의하여 가드레일홀더에 설치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단, 편심중단, 하단)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부시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고, 편심중단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된, 상기 편심중단이 가드레일부에 형성된 부시홀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가 수평이동하여 기존레일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은, 가드레일부가 부시에 의하여 설치되는 가드레일홀더부, 침목에 설치되는 기본레일, 기본레일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텅레일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판 역할을 하는 상판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시공방법은, (a) 침목 상면에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상판의 일측단에 기본레일과 이격되도록 가드레일홀더부를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b) 부시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부가 가드레일홀더부의 ㄷ자형 삽입부에 수평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c) 부시고정구를 이용하여 부시를 가드레일홀더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의 부시는, 상단, 편심중단, 하단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부시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고, 편심중단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으로 편심되도록 형성시키되, 상기 편심중단이 가드레일부에 형성된 부시홀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가 수평이동하여 기존레일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에 의하면, 철도의 선로에 설치되는 철도용 분기구를 구성하는 텅레일, 기본레일 손상방지를 통해 소음, 진동에 따른 고객 불만에 효과적 대응할 수 있게 되며, 분기기 유지관리비용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부시는 작업자가 상단 회전만으로도 가드레일부와 기본레일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와 운용에 있어 작업성과 시공성이 뛰어난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철도용 분기구 및 가드레일의 구성도 및 시공사진,
도 1b는 종래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
도 1c는 종래 가드레일과 기본레일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가드레일 설치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의 구성사시도 및 시공사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부시 구성사시도 및 가드레일부와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시의 작용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의 설치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의 구성사시도 및 시공예시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부시(130) 구성사시도 및 가드레일부(120)와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시(130)의 작용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의 설치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철도의 분기구를 구성하는 포인트부에 있어,
텅레일(230)과 기본레일(220)을 침목(210) 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면서, 특히 기본레일(220) 외측으로 가드레일홀더부(110)가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가드레일홀더부(110)는 ㄷ자형 삽입부(111)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 수평판 형태의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으로 삽입되면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시(13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시(130)는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가드레일홀더부(110) 상단의 ㄷ자형 삽입부(111)에 형성된 부시홈(114)에 삽입된 하단(133)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도록 하고,
하단(133)과 일체화된 편심중단(132)이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 내측면에 접하도록 끼워져 편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편심중단(132)과 일체화되며 가드레일부(120) 상면에 저면이 접하도록 세팅된 상단(131)을 포함하여,
도 2d와 같이, 상단(131)을 수평회전 시킴에 따라,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에 끼워진 편심중단(132)이 함께 수평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가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와 기본레일(220) 쪽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서,
가드레일부(120)와 기본레일(2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도 3과 같이, 상기 부시(130)의 상단(131)을 회전시키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만으로 상기 기본레일(220)로부터 가드레일부(120)의 간격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있게 된다.
즉,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이 가드레일부(120)에 형성된 부시홀(122)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이동하여 기존레일(220)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은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도 2d와 같이, 가드레일홀더부(110), 가드레일부(120), 부시(130), 상판(140), 부시고정구(15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가드레일홀더부(1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시공되는 다수의 침목(210) 상면에 가드레일부(12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상판(140)의 일측단에 설치된 일종의 브라켓이다.
이에 가드레일홀더부(110)는 수평판 형태의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으로 삽입되면서 기본레일(220)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단에는 ㄷ자형 삽입부(111)가 가드레일부(120)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40) 상면에 상기 ㄷ자형 삽입부(111)를 일정 높이로 수평으로 세팅시키기 위한 몸통부(112)가 다수의 보강판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에는 개략 중앙에 부시홈(114)이 일정 깊이의 홈이 파여져 있어, 부시(130)의 하단(133)이 삽입 고정되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부시홈(114)에는 후술되는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5)이 부시홈(114) 저면으로부터 하부수평판(1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드레일부(12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기본레일(220)과 기본레일(220)의 양 내측면에 설치되는 텅레일(2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에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수평판 형태의 레일부재이다.
즉, 가드레일부(120)는 기본레일(220)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되어 기본레일(220)을 주행하는 열차 차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종래에는 기본레일과 같은 I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기도 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 2a와 같이, 수평판 형태, 예컨대 ㄱ자형 단면의 부재로서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진 수평몸통부(121)에 부시홀(122)이 형성되며, 기본레일 방향으로 수평몸통부(121)의 일측에는 플랜지부(123)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시홀(122)은 가드레일부(120)의 연장방향으로 다수가 수평몸통부(121)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2d를 참조하면 부시홀(122)에는 부시(130)의 하단(133)은 관통하도록 하고, 편심중단(132)이 수용되는 부위로서 편심중단(132)이 편심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공간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부시홀(122)은 후술되는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이 상단(131)과 함께 수평 회전하면서 편심 회전(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다수의 수평직경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편심중단(132)의 편심직경(D3)에 대응하는 편심직경(D2)를 가진 사각단면, 타원형등의 편심홀로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수평몸통부(121)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도 2d에 의하면 상기 부시홀(122)은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의 수평회전에 의하여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도록 수평직경(D1)이 정해지고,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편심직경(D2)이 정해지며,
상기 편심직경(D2)은 편심중단(132)의 다양한 편심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간의 편심직경(D3, 예컨대 33+27, 29+31, 35+25에 의한 60에 해당하는 직경)는 각각 부시홀(122)의 편심직경(D2, 60)에 맞추도록 하여,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이 수평 회전하게 되면, 편심중단(132)이 끼워진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직경(D1) 내에서 편심 회전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부시(130)는 하단(133)과 일체화된 편심중단(132)이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 내측면에 접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편심중단(132)과 일체화되며 가드레일부(120) 상면에 저면이 접하도록 세팅된 상단(131)을 수평 회전시킴에 따라 가드레일부(12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시(130, Bush)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에 수평으로 삽입되는 가드레일부(120)가 기본레일(220)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세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가드레일부(120)를 관통하여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부시(130)는 도 2c를 참조하면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이 상하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부시(130)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131)과 하단(133)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지만, 편심중단(132)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부시(130)의 하단(133)을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홀더부(110)의 부시홈(114)에 삽입 고정되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도록 하고,
편심중단(132)이 일체로 형성된 상단(131)을 수평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에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수용되는 편심중단(132)이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는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단(131)을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기본레일(220)로부터 가드레일부(120)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함으로서 가드레일부(120)와 기본레일(220)의 간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도 2c에 의하면, 부시(130)의 상단(131)은 지그등을 이용하여 수평회전이 용이하도록 다각형 수평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면에는 편심중단(132)의 편심량을 표기하는 다수의 숫자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단(131)의 수평 회전에 의한 편심중단(132)의 편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숫자는 도 2c에 의하면 0,+2,+4,-2,-4,-6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0”이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였을 때를 기본세팅이라 한다면,
상기 “+2”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단(131)을 회전시켰을 경우 기본세팅을 기준으로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의 간격(106==>108)이 커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4”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단(131)을 회전시켰을 경우 기본세팅을 기준으로 “+2”의 세팅보다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의 간격(108==>110)이 더 커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2”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단(131)을 회전시켰을 경우 기본세팅을 기준으로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의 간격(106==>104)이 더 작아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2,-6”이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단(131)을 회전시켰을 경우 기본세팅을 기준으로 “-2”의 세팅보다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의 간격(106==>102, 100)이 더 작아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단(131)은 도 2c의 경우 정육각형 단면의 플랜지 형태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편심중단(132)이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0,+2,+4,-2,-4,-6 즉, 6개의 편심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편심량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며 달리 상단(131)의 단면형태와 편심량을 표시하는 숫자 표기와 개수는 달리 제한은 없다.
이에 상기 상단(131)은 도 2c에 의하면,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를 구성하는 상부수평판(116)과 가드레일부(120)의 플랜지부(123) 사이에 위치하여 가드레일부(120)의 수평몸통부(121) 상면에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에 의하면,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은 상단(13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단(131)의 수평 회전에 의하여 부시홀(122)에 끼워져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를 편심 회전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다수의 편심 직경을 가진 편심 다각형 수평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역시 후술되는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c의 경우 편심중단(132)은 정육각형 단면의 플랜지 형태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0,+2,+4,-2,-4,-6 즉, 6개의 편심 회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편심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다수의 편심 직경을 가진 편심 다각형 플랜지로 형성된다면 역시 상단(131)과 같이 달리 단면형태에 제한은 없다.
이에 상기 편심중단(132)은 도 2d에 의하면, 가드레일홀더부(110)를 구성하는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 상에서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 내부에 대향 되는 측면이 접하도록 수용되어 편심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에 의하면, 부시(130)의 하단(133)은 가드레일홀더부(110)를 구성하는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에 형성되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는 부시홈(114)에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역시 후술되는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단(133)은 부시홈(114)에 삽입되어 부시(130)의 하단(133)을 고정단으로 하여 일체화된 편심중단(132)과 상단(131)이 함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부시홈(114)의 단면형태에 대응하도록 하되 도 3의 경우에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달리 단면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도 2c에 의하면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의 관통홀(134)은 모두 상하로 연통되어 있으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이하여 설치되는 가드레일홀더부(110), 침목(210)에 설치되는 기본레일(220), 기본레일(2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텅레일(230)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판 역할을 하게 되며 다수의 나사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침목연결구에 의하여 침목(210)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상판(140)은 침목(210) 상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측단부에는 앞서 살펴본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드레일부(120)과 이격되어 중간부에는 기본레일(220)이 클립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고,
텅레일(230)이 설치되는 부위는 상판(140)의 연장길이가 더 연장되도록 하여 기본레일(220) 내측면에 텅레일(230)이 안정적으로 스프링클립, 절연재, 클립받침등에 의하여 고정설치 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판(140)은 도 4a, 도 4b 및 도 4c를 참고하면,
기본레일(220), 텅레일(230)이 설치되는 부위 및 가드레일부(120)의 연장길이에 따라 분기구 포인트부 내에서 다양한 연장길이를 가진 사각판재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4a에 의한 상판(140a)은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수평 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연장길이로 도 2b에 의하면 포인트부에 2개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4b에 의한 상판(140b)은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수평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 및 텅레일(230)까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연장길이로 도 2b에 의하면 포인트부에 1개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4c에 의한 상판(140c)은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수평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연장길이로 도 2b에 의하면 포인트부에 2개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a 및 도 2b에 의하면, 1개의 가드레일부(120)를 기준으로 연장길이가 서로 다른 5개의 상판(140)이 침목(210) 상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판(140)에는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수평 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시고정구(15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부시(130)의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에 모두 상하로 연통되어 있으며. 도 2c를 참조하면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3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부시(130)를 가드레일부(120)와 가드레일홀더부(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볼트머리부와 체결너트를 포함한다.
이에 부시고정구(150)의 볼트머리부는 상단(131) 상면에 접하도록 하고, 하단은 가드레일홀더부(110)를 구성하는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 저면에 체결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여,
부시(130)와 부시홀(122)에 의하여 수평 연결되는 가드레일부(120)를 가드레일홀더부(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부시(130)를 회전시켜 가드레일부(12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시고정구(150)를 임시로 풀어놓고, 부시(130)의 상단(131)을 회전시키고, 최종 가드레일부(120)의 수평이동이 조절되면 다시 부시고정구(150)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에 철도 선로에 설치되는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침목(210)에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연장길이를 가진 상판(140)과 일체화된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수평삽입되어 설치된 가드레일홀더부(1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판(140)에 기본레일(220)과 텅레일(230)을 고정 설치하여 기본레일(220) 외측으로 가드레일부(120)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가드레일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부시(130)의 상단(131) 회전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 시공방법]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 시공방법은 철도의 분기구에 있어 포인트부에 설치되는 텅레일(230)과 기본레일(220) 외측으로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을 설치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5a와 같이, 철도의 분기구에 있어 포인트부에는 궤광을 구성하는 도상에 침목(210)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침목(210)은 통상 나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상기 침목(210) 상면에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통상 다수의 나사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침목(210) 상면에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를 고정 설치 시키게 된다.
상기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는 가드레일홀더부(110), 가드레일부(120), 부시(130), 상판(140), 부시고정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도 5a에 의하면,
상판(140)이 침목(210) 상면에 역시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판(140)의 일측단에는 기본레일(220)과 이격되도록 가드레일홀더부(110)가 역시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부시(130)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부(120)를 가드레일홀더부(110)는 ㄷ자형 삽입부(111)에 수평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부시고정구(150)를 이용하여 부시(130)를 가드레일홀더부(110)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 상면에 가드레일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130)의 상단(131)은 가드레일부(1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은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부시(130)의 하단(133)은 하부수평판(113)의 부시홈(114)에 삽입되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5b와 같이 가드레일부(120)와 이격되도록 기본레일(220)을 클립등을 이용하여 상판(140) 상면에 고정시키고, 기본레일(220)의 내측면에 텅레일(230)을 역시 클립등을 이용하여 상판(140) 상면에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의 부시(130)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의 설치가 완료되고, 역순으로 해체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가드레일부(120)와 기본레일(22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부시(130)의 상단(131)을 회전시켜 편심중단(132)에 의하여 가드레일부(120)는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110: 가드레일홀더부
111: ㄷ자형 삽입부 112: 몸통부
113: 하부수평판 114: 부시홈
115: 관통홀
120: 가드레일부
121: 수평몸통부 122; 부시홀
123: 플랜지부
130: 부시
131: 상단 132: 편심중단
133: 하단 134: 관통홀
140,140a,140b,140c: 상판
150: 부시고정구 210: 침목
220: 기본레일 230: 텅레일
CL: 수직 중심축

Claims (13)

  1. 기본레일(220)과 가드레일홀더부(110) 사이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가드레일홀더부(110)에 설치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에 있어서,
    상기 부시(130)는,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부시(130)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131)과 하단(133)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고, 편심중단(132)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편심중단(132)이 가드레일부(120)에 형성된 부시홀(122)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이동하여 기존레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100)은, 가드레일부(120)가 부시(130)에 의하여 설치되는 가드레일홀더부(110), 침목(210)에 설치되는 기본레일(220), 기본레일(2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텅레일(230)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판 역할을 하는 상판(140)을 포함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홀더부(110)는,
    철도용 분기구의 포인트부에 설치된 침목(210) 상면에 수평판 형태의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으로 삽입되면서 기본레일(220)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단에는 ㄷ자형 삽입부(111)가 가드레일부(120)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홀더부(110)는,
    ㄷ자형 삽입부(111)가 상단에 수평으로 세팅되도록 침목(210)에 설치되는 상판(140) 상면에 형성되는 몸통부(112); 및 상기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에 파여진 홈으로 형성되는 부시홈(114);을 포함하며,
    부시(130)의 하단(133)이 부시홈(114)에 삽입 고정되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홈(114)에는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5)이 부시홈(114) 저면으로부터 하부수평판(1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부(120)는,
    ㄱ자형 단면의 부재로서 연장되며 부시홀(122)이 다수 형성된 수평몸통부(121); 및 기본레일 방향으로 수평몸통부(121)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부시홀(122)은 부시(130)의 하단(133)은 관통되면서, 하단과 일체화된 편심중단(132)의 대향되는 측면이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30)의 상단(131)은,
    다각형 수평 플랜지 형태로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편심중단(132)의 편심량(편심 회전량)을 표기하는 다수의 숫자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단(131)의 수평 회전에 의한 편심중단(132)의 편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은,
    상단(13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단(131)의 수평 회전에 의하여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에 끼워져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를 편심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다수의 편심 직경을 가진 편심 다각형 수평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30)의 하단(133)은,
    편심중단(1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편심중단(132)과 상단(131)이 함께 제자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홀더부(110)를 구성하는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에 형성되어 회전고정단 역할을 하는 부시홈(114)에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부시고정구(150)가 관통되는 관통홀(134)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에 형성된 관통홀(134)은 모두 상하로 연통되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부시(130)를 가드레일부(120)와 가드레일홀더부(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볼트머리부와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부시고정구(150)를 더 포함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10. 삭제
  11. (a) 침목(210) 상면에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상판(140)을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상판(140)의 일측단에 기본레일(220)과 이격되도록 가드레일홀더부(110)를 침목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c) 부시(130)를 이용하여 가드레일부(120)가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에 수평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d) 부시고정구(150)를 이용하여 부시(130)를 가드레일홀더부(11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부시(130)는, 상단(131), 편심중단(132), 하단(133)이 상하로 일체화되도록 하되, 부시(130)의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상단(131)과 하단(133)은 수평으로 대칭 형성되고, 편심중단(132)은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일측 수평으로 편심되도록 형성시키되, 상기 편심중단(132)이 가드레일부(120)에 형성된 부시홀(122)의 내측면에 대향되는 측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직 중심축(CL)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가드레일부(120)가 수평이동하여 기존레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부시(130)는,
    가드레일홀더부(110)의 ㄷ자형 삽입부(111)의 하부수평판(113) 상면에 가드레일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130)의 상단(131)은 가드레일부(1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부시(130)의 편심중단(132)은 가드레일부(120)의 부시홀(122)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부시(130)의 하단(133)은 하부수평판(113)의 부시홈(114)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가드레일부(120)와 이격되도록 기본레일(220)을 상판(140) 상면에 고정시키고, 기본레일(220)의 내측면에 텅레일(230)을 상판(140) 상면에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시공방법.

KR1020200157130A 2020-11-20 2020-11-20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26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30A KR102264882B1 (ko) 2020-11-20 2020-11-20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30A KR102264882B1 (ko) 2020-11-20 2020-11-20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82B1 true KR102264882B1 (ko) 2021-06-16

Family

ID=7660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30A KR102264882B1 (ko) 2020-11-20 2020-11-20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43B1 (ko) 2021-09-28 2022-02-28 김봉문 가드레일의 시선유도봉
KR102511718B1 (ko) * 2022-12-21 2023-03-20 주식회사 세안 철도 분기기의 텅레일 강성 보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62Y1 (ko) * 2001-02-13 2001-09-2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 레일 방진장치
KR20010097473A (ko) * 2000-04-24 2001-11-08 조봉종 가드레일 결합장치
KR100706321B1 (ko) 2005-12-24 2007-04-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분기기의 가드레일
KR101774384B1 (ko) 2016-12-22 2017-09-19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부시형조절톱니와셔가 구비된 철도레일의 방진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473A (ko) * 2000-04-24 2001-11-08 조봉종 가드레일 결합장치
KR200235962Y1 (ko) * 2001-02-13 2001-09-28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철도 레일 방진장치
KR100706321B1 (ko) 2005-12-24 2007-04-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분기기의 가드레일
KR101774384B1 (ko) 2016-12-22 2017-09-19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부시형조절톱니와셔가 구비된 철도레일의 방진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43B1 (ko) 2021-09-28 2022-02-28 김봉문 가드레일의 시선유도봉
KR102511718B1 (ko) * 2022-12-21 2023-03-20 주식회사 세안 철도 분기기의 텅레일 강성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882B1 (ko)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AU2009203749B2 (en) Support for a rail fastening system and rail fastening system
KR101434911B1 (ko)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KR101140389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JP4099298B2 (ja) ガードレール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102273901B1 (ko)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보수시공방법
EP1688540B1 (de)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sowie Führungsplatte
RU2573188C2 (ru) Транспортный путь
KR102097537B1 (ko) 교량받침용 회전식 앙카
EP3235951B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CN114232677B (zh) 装配式钢筋混凝土通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102232018B1 (ko)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KR102122610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1270942B1 (ko)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EA025971B1 (ru) Центратор
EP2598695A1 (de) 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mit inline-widerlager für nahverkehrssysteme
JP2858226B2 (ja) 防振まくらぎ軌道の施工方法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DE102008001293A1 (de) Feste Fahrbahn mit kontinuierlicher Auflagerung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CN218969658U (zh) 一种地下管道施工用轨道加固装置
JP4307309B2 (ja) 床板固定装置、並びに、踏切
CZ76494A3 (en) Resilient mounting of rails with open or closed superstructure for railway vehicles
JPH10238076A (ja) 木床構造及び木床施工方法
JP3015315B2 (ja) 木床構造及び木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