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71B1 -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571B1
KR102263571B1 KR1020210020102A KR20210020102A KR102263571B1 KR 102263571 B1 KR102263571 B1 KR 102263571B1 KR 1020210020102 A KR1020210020102 A KR 1020210020102A KR 20210020102 A KR20210020102 A KR 20210020102A KR 102263571 B1 KR102263571 B1 KR 10226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air
floating
gla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봉
Original Assignee
(주)문화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화글라스 filed Critical (주)문화글라스
Priority to KR102021002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 C03B27/04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27/048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flat or bent glass sheets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on a gas cush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03C2218/119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by pri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단계(S10);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단계(S20);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30);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0);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인쇄단계(S50);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60);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급냉단계(S70); 냉각된 판유리를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하는 배출단계(S80); 를 포함하여 방화유리 제조방법을 구성하고,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부(10);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부(20);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부(30);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부(40);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프린팅부(50);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부(60);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냉각부(70); 냉각된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는 배출부(80); 를 포함하여 방화유리 제조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공급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각부(70)의 구조 개선을 통해 생산 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How to manufacture fire glass and its devices}
본 발명은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공급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각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생산 설비의 규모를 줄일 수 있게 한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이 가장 크게 염두를 두는 위험은 화재로서, 건축법은 화재를 예방하고 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규정들을 건축물의 용도 및 건축 규모 등에 따라 건축허가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건축법에는 건축물의 내화 구조 및 불연재료에 관해서도 규정하고 있는데, 불연재료에는 건축물의 구조체뿐만 아니라, 실내·외 마감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유리에도 방화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즉, 일반 유리는 화재 발생 시에 급격한 열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불길의 전파경로가 되기 때문에, 상업용 건물이나 도서관, 병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대형 건축물은 화재 발생 시 화재의 확산 방지를 통한 인명 구조 및 안전한 대피를 위해 방화성능이 크게 요구되는 곳이며, 그에 따라 대형 건축물에는 특히 방화유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방화유리는 건축법상 화재 시 불 속에서 견디는 시간이 1시간 이상 되는 것을 갑종, 30분 이상 견디는 것을 을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화재 시 연기와 불길 확산을 막는 비차열유리, 여기에 더해 열기까지 반대편으로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열유리로 구분되는데, 국내 건축현장에서 주로 널리 쓰이는 것은 비차열유리이다.
비차열 방화유리는 건축법 제50조(건축물의 내화 구조와 방화벽)와 제51조(방화지구 안에 건축물)와 하위법인「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3조(방화지구안의 지붕·방화문 및 외벽 등)에 따라 을종방화구획 내 창, 아파트 발코니 확장 구간의 난간을 대신하는 안전창, 아파트 비상계단 내 창, 방화벽 등에 쓰인다.
즉, 방화유리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설치됨으로써 화재 시 불길, 연기 확산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함에 따라 인명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방화유리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방화유리는 유리의 표면 온도를 600 내지 700℃로 가열한 후, 다량의 블로잉에어를 가열된 판유리의 상하면에 분사하여 급냉시킴으로써 판유리의 표면 압축 응력이 증가되게 하는 열 강화 방식으로 주로 제조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판유리를 강화로 내에 투입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판유리를 강화로에서 배출한 후, 롤러컨베이어에 적재하여 이송시키면서 다량의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분사하게 된다.
이때, 이송을 위해 판유리를 지지하는 컨베이어롤 사이 사이에 블로잉에어를 분사하는 블로잉노즐이 위치함으로써 다량의 블로잉에어를 분사하는데 컨베이어롤이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러컨베이어에 판유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판유리가 이송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면, 컨베이어롤에 의한 방해로 인해 컨베이어롤이 접한 판유리의 표면에는 블로잉에어가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냉각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화유리 제조장치는 가열된 판유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구성되는 롤러컨베이어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가열된 판유리를 롤러컨베이어로 계속 이송시키면서 블로잉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냉각부 전체 길이가 길어져 대형화되고, 그로 인해 냉각부의 설치에 따른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형화된 냉각부의 초기 시설비 및 운용,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13283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화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공기부상방식으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공급하여 냉각시킬 수 있게 한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단계(S10);
상기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단계(S20);
상기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30);
상기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0);
상기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인쇄단계(S50);
상기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60);
상기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급냉단계(S70);
상기 냉각된 판유리를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하는 배출단계(S8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면취단계(S20)는, 제품 크기로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함으로써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으로 인해 판유리의 가장자리 두께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면취단계(S20)는, 폴리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싱단계는, 면취된 판유리의 측면에 회전하는 폴리싱휠을 접촉시켜 유리의 측면을 보다 고르게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단계(S30)는, 면취된 판유리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면취단계(S20)에서 발생한 유리의 미세 입자나 분진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단계(S40)는, 세척단계(S30)에서 세척된 판유리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건조수단(401)을 이용해 판유리의 표면을 완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쇄단계(S50)는, 건조단계(S40)에서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수단(501)을 이용해 문자, 문양 등으로 구성되는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단계(S60)는,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내부온도 700 내지 800℃의 강화로 내부에 투입시켜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는 750 내지 7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급냉단계(S70)는, 가열단계(S60)에서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를 플로팅에어로 공중에 부상시키고, 판유리의 상하면에 10,000 내지 25,000 파스칼의 블로잉에어를 동시에 공급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판유리의 표면에 내열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90)는 코팅단계(S901), 열처리단계(S9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단계(S901)는, 코팅조성물을 이용해 판유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조성물은 탄산칼륨 1 내지 10 중량%, 투명세라믹 4 내지 20 중량%, 수산화칼륨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팅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 0.1 내지 1 중량%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처리단계(S902)는, 코팅단계(S901)에서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된 판유리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2 내지 10분 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는,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부(10);
상기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부(20);
상기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부(30);
상기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프린팅부(50);
상기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부(60);
상기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냉각부(70);
상기 냉각된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는 배출부(8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단부(10)는, 원판유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기 위하여 절단수단(1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면취부(20)는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기 위해 면취수단(2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면취부(20)는 폴리싱부(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싱부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폴리싱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부(30)는 면취된 판유리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3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척수단(301)은 세척수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소정 압력의 세척수를 판유리의 표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부(40)는 세척된 판유리를 표면을 건조하는 건조수단(4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수단(401)은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소정 압력의 공기를 판유리의 표면에 분사함과 동시에 가열수단을 이용해 세척된 판유리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판유리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린팅부(50)는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인쇄수단(5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60)는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강화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강화로(601)는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는 750 내지 7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단부(10)에서 가열부(60)까지는 판유리를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가 구비되되, 각 부에 롤러컨베이어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 부에서의 판유리의 이송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70)는 가열된 판유리를 플로팅에어로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되도록 플로팅부(701), 블로잉부(702), 제1에어공급부(7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팅부(701)는, 판유리의 하부에 플로팅에어를 공급하여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도록 플로팅덕트(701a), 에어밴트(701b), 에어플랩(70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팅덕트(701a)는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제1에어공급부(703)와 연결되어 제1에어공급부(703)를 통해 플로팅에어가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밴트(701b)는 플로팅덕트(701a)의 상면에서 플로팅덕트(70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플로팅덕트(701a)로 공급된 플로팅에어가 에어밴트(701b)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어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플랩(701c)은 에어밴트(701b)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에어밴트(701b)로 토출되는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잉부(702)는 가열된 판유리의 상하부에 블로잉에어를 공급하여 판유리가 급속 냉각되도록 블로잉덕트(702a), 블로잉노즐(70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잉덕트(702a)는 판유리의 이송 경로 상에 상하로 대향되게 다수가 형성되며, 제1에어공급부(703)와 연결되어 제1에어공급부(703)를 통해 공급되는 블로잉에어가 판유리의 상하부에 동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잉노즐(702b)은 판유리와 대향하는 블로잉덕트(702a)의 일면에서 블로잉덕트(70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로잉노즐(702b)은 정면에서 본 냉각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냉각부(70)의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공급부(703)는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1에어블로워(703a), 제1에어컴프레서(703b), 제1에어컨트롤밸브(70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블로워(703a)는 대량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에어컴프레서(703b)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컴프레서(703b)는 제1에어블로워(703a)에서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5,000 내지 25,000 파스칼로 압축하여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에어컨트롤밸브(703c)는 제1에어컴프레서(703b)에서 압축된 대량의 공기가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부(80)는 냉각된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도록 보디프레임(801), 플로팅테이블(802), 제2에어공급부(803), 스토퍼부(804), 틸팅부(8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팅테이블(802)은 저면 일측이 보디프레임(801)의 상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되, 냉각부(70)의 플로팅부(701)에 의해 냉각부(70)에서 배출되는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상면에 적재되도록 공간부(802a), 연결덕트(802b), 토출구(80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802a)는 소정 크기로 된 플로팅테이블(802)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덕트(802b)는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와, 제2에어공급부(803) 간을 연결하게 형성되어 공간부(802a)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토출구(802c)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가로세로 소정 가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공간부(802a)로 공급된 에어가 수직 상방으로 토출되게 하여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부로 배출되는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에어공급부(803)는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2에어블로워(803a), 제2에어컴프레서(803b), 제2에어컨트롤밸브(80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에어블로워(803a)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2에어컴프레서(803b)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에어컴프레서(803b)는 제2에어블로워(803a)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소정으로 압축하여 연결덕트(802b)를 통해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에어컨트롤밸브(803c)는 제2에어컴프레서(803b)에서 압축된 공기가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부(804)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공기부상방식으로 적재되는 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회동수단, 지지부재(80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수단은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모터(804a), 회전축(80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804a)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 단부에 설치되되, 정·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804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축(804b)은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 길이에 대응되되, 일단부가 모터(804a)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플로팅테이블(802)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모터(804a)에 의해 소정 각도로 정·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804c)는 회전축(804b)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회전축(804b)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거나,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804c)의 내면은 판유리와의 접촉 시 판유리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탄성을 고무나 우레탄 소재의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틸팅부(805)는 보디프레임(801)과 플로팅테이블(802) 간에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공급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판유리의 급냉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 강화를 위해 가열부에서 가열된 판유리를 급냉시키는 냉각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냉각부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킴으로써 생산 설비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판유리가 부상하여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판유리가 부상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부상한 판유리가 블로잉에어에 의해 급냉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재단단계(S10), 면취단계(S20), 세척단계(S30), 건조단계(S40), 인쇄단계(S50), 가열단계(S60), 급냉단계(S70), 배출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단계(S10)는, 원판유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한다.
이때 원판유리는 5 내지 20㎜ 두께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판유리의 두께가 5㎜보다 얇으면, 물리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만한 열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20㎜보다 두꺼우면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 취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면취단계(S20)는, 제품 크기로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함으로써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으로 인해 판유리의 가장자리 두께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30 내지 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면의 각도가 30°보다 작으면 판유리의 측면과의 경사각이 커지면서 판유리의 측면과 경사면의 경계부에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증가하고, 60°보다 크면 판유리의 평면 또는 저면과의 경사각이 커지면서 판유리의 평면 또는 저면과 경사면의 경계부에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증가하여 파손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면취단계(S20)는, 폴리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면취된 판유리의 측면에 회전하는 폴리싱휠을 접촉시켜 유리의 측면을 보다 고르게 연마함으로써 판유리의 면취 과정에서 판유리의 표면에 발생한 미세 크랙 등이 제거됨에 따라 판유리의 측면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세척단계(S30)는, 면취된 판유리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면취단계(S20)에서 발생한 유리의 미세 입자나 분진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건조단계(S40)는, 세척단계(S30)에서 세척된 판유리의 표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건조수단(401)을 이용해 판유리의 표면을 완전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수단(401)은 통상의 열풍 건조 방식이나 전기히터 건조 방식으로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단계(S50)는, 건조단계(S40)에서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수단(501)을 이용해 문자, 문양 등으로 구성되는 인쇄부를 형성한다.
이때, 인쇄수단(501)은 프린팅머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단계(S60)는, 일면에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의 강화를 위하여 판유리를 가열한다.
즉,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는 내부온도 700 내지 800℃의 강화로 내부에 투입되어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다.
이때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는 강화로의 내부온도가 아니고 판유리의 자체온도로서 판유리의 성분이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데, 8㎜ 두께의 붕규산 판유리를 기준으로 750 내지 780℃로 가열된다.
한편, 붕규산 판유리는 실리카(규산) 외에 산화붕소(B2O3)를 함유한 판유리로서, 내열 충격성이나 화학적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낮은 열팽창률을 가지며, 1,600℃ 이상에서 유리화되는 경질 특성으로 인해 화학용, 전기용, 주방용, 실험용, 건축용, 의료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판유리이다.
상기 급냉단계(S70)는, 가열단계(S60)에서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한다.
즉,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가 강화로 내부에 설치된 롤러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판유리의 하부로 플로팅에어를 분사함으로써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된다.
그리하여 판유리가 강화로에서 완전히 배출되어 냉각부(70) 내에서 공중에 부상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판유리의 상하면에 10,000 내지 25,000 파스칼의 블로잉에어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판유리의 상하면이 급속 냉각되면서 열 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키는 플로팅에어와 판유리의 급냉을 위해 공급되는 블로잉에어는 동시에 공급거나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키기 위해서 분사되는 플로팅에어는 블로잉에어로 대신할 수 있다.
즉,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가 강화로 내부에 설치된 롤러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판유리의 하부로 블로잉에어를 공급하되, 블로잉에어의 공급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된다.
그리하여 판유리가 강화로에서 완전히 배출되어 냉각부(70) 내에서 공중에 부상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판유리의 하부로 공급되는 블로잉에어의 압력을 높이면서 판유리의 상면으로도 동시에 블로잉에어를 공급하여 판유리의 상하면에 작용하는 블로잉에어의 압력을 10,000 내지 25,000 파스칼로 유지함으로써 판유리의 상하면이 급속 냉각되면서 열 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출단계(S80)는, 급냉단계(S70)에서 완전히 냉각된 판유리를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한다.
즉, 급냉단계(S70)에서, 판유리의 하부로 공급되는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이 완료된 판유리가 냉각부(70)에서 배출부(80)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방화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킨 상태에서 블로잉에어를 판유리의 상하면에 공급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판유리의 급냉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그로 인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방법은, 판유리의 표면에 내열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90)는 배출단계(S80)에서 배출된 판유리의 표면에 내열코팅층이 형성되도록 코팅단계(S901), 열처리단계(S902)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단계(S901)는, 코팅조성물을 이용해 판유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식은 딥코팅법(dip coating), 스핀 코팅법(spin coating), 흘림법(flow coating) 또는 스프레이법(spray coat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판유리의 표면에 투명하고 균질한 코팅막을 형성한다.
상기 열처리단계(S902)는, 코팅단계(S901)에서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된 판유리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2 내지 10분 간 열처리함으로써 판유리의 표면과 코팅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코팅막 간에 접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코팅조성물은 탄산칼륨 1 내지 10 중량%, 투명세라믹 4 내지 20 중량%, 수산화칼륨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 0.1 내지 1 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수용성 소포제로서 옥탄올, 수용성 실리콘 소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수용성 셀룰로스류로서, 히드록시 에틸 셀루로즈,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루로스,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젤라틴, 덱스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팅조성물은 각 성분 함량의 계산 후, 잔량의 물에 투명세라믹 4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순차적으로 탄산칼륨 1 내지 10중량%, 수산화칼륨 1 내지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 0.1 내지 1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무색 투명하며, 코팅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내열코팅층은 500 내지 1300℃의 고온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열 강화가 완료된 판유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내열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판유리의 투명도 저하 없이 판유리의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방화유리로서의 기능성과 상품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판유리가 부상하여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판유리가 부상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각부에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부상한 판유리가 블로잉에어에 의해 급냉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화유리 제조장치는 재단부(10), 면취부(20), 세척부(30), 건조부(40), 프린팅부(50), 가열부(60), 냉각부(70), 배출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재단부(10)는, 원판유리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기 위하여 절단수단(101)을 구비한다.
상기 절단수단(101)은 5 내지 20㎜ 두께로 된 원판유리를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절단수단(101)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한 것을 사용하거나, 일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절단수단(101)을 연속 배치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원판유리의 두께가 5㎜보다 얇으면, 물리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만한 열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20㎜보다 두꺼우면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 취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면취부(20)는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기 위해 면취수단(201)을 구비한다.
상기 면취수단(201)은 제품 크기로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수단(201)으로 면취함에 따라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으로 인해 판유리의 가장자리 두께는 외측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 면취부(20)는 폴리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싱부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폴리싱휠을 구비함으로써 면취된 판유리의 측면에 회전하는 폴리싱휠을 접촉시켜 유리의 측면을 보다 고르게 연마함에 따라 판유리의 면취 과정에서 판유리의 표면에 발생한 미세 크랙 등이 제거됨에 따라 판유리의 측면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세척부(30)는 면취된 판유리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단(301)을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단(301)은 세척수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소정 압력의 세척수를 판유리의 표면에 분사함으로써 판유리의 면취 과정에서 발생한 유리의 미세 입자나 분진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 건조부(40)는 세척된 판유리를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건조수단(401)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수단(401)은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소정 압력의 공기를 판유리의 표면에 분사함과 동시에 통상의 열풍 또는 전기히터 방식으로 세척된 판유리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판유리 표면의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다.
상기 프린팅부(50)는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쇄수단(501)을 구비한다.
상기 인쇄수단(501)은 통상의 프린팅머신을 사용함으로써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문자, 문양 등으로 구성되는 인쇄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부(60)는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기 위하여 강화로(601)를 구비한다.
상기 강화로(601)는 전기발열식, 고온열풍식, 가스연소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강화로(601)는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한다.
이때 판유리의 강화가능온도는 강화로의 내부온도가 아니고 판유리의 자체온도로서 판유리의 성분이나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데, 8㎜ 두께의 붕규산 판유리를 기준으로 750 내지 780℃로 가열된다.
한편, 상기 재단부(10)에서 가열부(60)까지는 판유리를 이송하는 롤러컨베이어가 구비되되, 각 부에 롤러컨베이어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 부에서의 판유리의 이송 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70)는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시키기 위하여 플로팅부(701), 블로잉부(702), 제1에어공급부(703)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부(701)는,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키기 위하여 플로팅덕트(701a), 에어밴트(701b), 에어플랩(701c)을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덕트(701a)는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제1에어공급부(703)와 연결되어 제1에어공급부(703)를 통해 플로팅에어가 공급된다.
이때 플로팅덕트(701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로팅덕트(701a)의 길이나 넓이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에어밴트(701b)는 플로팅덕트(701a)의 상면에서 플로팅덕트(70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됨으로써 플로팅덕트(701a)로 공급된 플로팅에어가 에어밴트(701b)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어 판유리의 하부에 공급됨으로써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된다.
상기 에어플랩(701c)은 에어밴트(701b)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에어밴트(701b)로 토출되는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을 제어한다.
따라서 구동수단에 의해 에어플랩(701c)이 수직으로 설정되면 에어밴트(701b)에서 토출되는 플로팅에어가 수직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공중에 부상하는 판유리는 일정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가 된다.
반면, 구동수단에 의해 에어플랩(701c)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면, 에어밴트(701b)에서 토출되는 플로팅에어가 일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면서 플로팅에어에 의해 공중에 부상한 판유리가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에어플랩(701c)을 이용한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 조절을 통해 판유리가 일정한 위치에 정지해 있도록 하거나,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은 블로잉부(702)의 블로잉에어 토출 상태와 무관함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플로팅부(701)는, 플로팅에어를 이용하여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킬 때, 판유리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블로잉부(702)는 가열된 판유리를 급속 냉각시키기 위하여 블로잉덕트(702a), 블로잉노즐(702b)을 포함한다.
상기 블로잉덕트(702a)는 판유리의 이송 경로 상에 상하로 대향되게 다수가 형성되며, 제1에어공급부(703)와 연결되어 제1에어공급부(703)를 통해 공급되는 블로잉에어가 판유리의 상하부에 동시 공급된다.
이때 블로잉덕트(702a)는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로잉덕트(702a)의 길이나 넓이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블로잉노즐(702b)은 판유리와 대향하는 블로잉덕트(702a)의 일면에서 블로잉덕트(70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됨으로써 블로잉덕트(702a)로 공급된 블로잉에어가 블로잉노즐(702b)을 통해 판유리의 표면으로 토출됨으로써 판유리가 냉각된다.
한편, 블로잉노즐(702b)은 정면에서 본 냉각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냉각부(70)의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면에서 본 냉각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좌측에 위치하는 블로잉노즐(702b)은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냉각부(7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우측에 위치하는 블로잉노즐(702b)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로잉노즐(702b)에서 10,000 내지 25,000 파스칼로 배출되는 블로잉에어가 가열된 판유리의 표면에 작용하여 판유리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판유리를 냉각시킨 블로잉에어가 냉각부(70)의 측방으로 신속하게 배출됨에 따라 판유리에 대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판유리는 플로팅부(701)에 플로팅에어에 의해 공중에 부상한 상태에서 블로잉부(702)의 블로잉에어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블로잉노즐(702b)에서 토출된 블로잉에어가 냉각부(70)의 측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아무런 간섭없이 빠른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제1에어공급부(703)는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1에어블로워(703a), 제1에어컴프레서(703b), 제1에어컨트롤밸브(703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에어블로워(703a)는 대량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에어컴프레서(703b)로 공급한다.
상기 제1에어컴프레서(703b)는 제1에어블로워(703a)에서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5,000 내지 25,000 파스칼로 압축하여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로 공급한다.
이때, 제1에어컴프레서(703b)는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에어컨트롤밸브(703c)는 제1에어컴프레서(703b)에서 압축된 대량의 공기가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배출부(80)는 냉각된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도록 보디프레임(801), 플로팅테이블(802), 제2에어공급부(803), 스토퍼부(804), 틸팅부(805)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테이블(802)은 저면 일측이 보디프레임(801)의 상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되, 냉각부(70)의 플로팅부(701)에 의해 냉각부(70)에서 배출되는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상면에 적재되도록 공간부(802a), 연결덕트(802b), 토출구(802c)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802a)는 소정 크기로 된 플로팅테이블(802)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덕트(802b)는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와, 제2에어공급부(803) 간을 연결하게 형성되어 공간부(802a)에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토출구(802c)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가로세로 소정 가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공간부(802a)로 공급된 에어가 수직 상방으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부로 배출되는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에어공급부(803)는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제2에어블로워(803a), 제2에어컴프레서(803b), 제2에어컨트롤밸브(803c)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에어블로워(803a)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2에어컴프레서(803b)로 공급한다.
상기 제2에어컴프레서(803b)는 제2에어블로워(803a)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소정으로 압축하여 연결덕트(802b)를 통해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로 공급한다.
상기 제2에어컨트롤밸브(803c)는 제2에어컴프레서(803b)에서 압축된 공기가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스토퍼부(804)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공기부상방식으로 적재되는 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회동수단, 지지부재(804c)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모터(804a), 회전축(804b)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804a)는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 단부에 설치되되, 정·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804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804b)은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 길이에 대응되되, 일단부가 모터(804a)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플로팅테이블(802)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베어링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모터(804a)에 의해 소정 각도로 정·역회전한다.
상기 지지부재(804c)는 회전축(804b)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됨으로써, 회전축(804b)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하거나,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804c)의 내면은 판유리와의 접촉 시 판유리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탄성을 고무나 우레탄 소재의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공기부상방식으로 판유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부재(804c)에 밀착시키면 지지부재(804c)에 의해 판유리의 지지되면서 판유리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틸팅부(805)는 보디프레임(801)과 플로팅테이블(802) 간에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틸팅부(805)는 플로팅테이블(802)은 저면 타측과 보디프레임(801) 일측 간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피스톤로드가 돌출되면 플로팅테이블(802)이 소정 각도로 틸팅된다.
따라서,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판유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스토퍼부(804)의 지지부재(804c)가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한 후, 판유리를 지지부재(804c)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로팅테이블(802)을 틸팅시킴으로써 판유리를 소정 각도로 기울일 수 있게 되어 판유리의 크기나 중량 또는 후속 공정의 종류에 따라 판유리의 운반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판유리
S10: 재단단계 S20: 면취단계
S30: 세척단계 S40: 건조단계
S50: 인쇄단계 S60: 가열단계
S70: 급냉단계 S80: 배출단계
S90: 코팅층형성단계 10: 재단부
20: 면취부 30: 세척부
40: 건조부 50: 프린팅부
60: 가열부 70: 냉각부
701: 플로팅부 701a: 플로팅덕트
701b: 에어밴트 701c: 에어플랩
702: 블로잉부 702a: 블로잉덕트
702b: 블로잉노즐 703: 제1에어공급부
703a: 제1에어블로워 703b: 제1에어컴프레서
703c: 제1에어컨트롤밸브 80: 배출부
801: 보디프레임 802: 플로팅테이블
802a: 공간부 802b: 연결덕트
802c: 토출구 803: 제2에어공급부
803a: 제2에어블로워 803b: 제2에어컴프레서
803c: 제2에어컨트롤밸브 804: 스토퍼부
804a: 모터 804b: 회전축
804c: 지지부재 805: 틸팅부

Claims (5)

  1.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단계(S10);
    상기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단계(S20);
    상기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30);
    상기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0);
    상기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인쇄단계(S50);
    상기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60);
    상기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급냉단계(S70);
    상기 냉각된 판유리를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하는 배출단계(S8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된 판유리의 표면에 내열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형성단계(S9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팅층형성단계(S90)는,
    코팅조성물을 이용해 판유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901);
    상기 코팅단계(S901)에서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된 판유리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00 내지 500℃의 온도에서 2 내지 10분 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S902); 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조성물은 탄산칼륨 1 내지 10 중량%, 투명세라믹 4 내지 20 중량%, 수산화칼륨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물과,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증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 0.1 내지 1 중량%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단계(S70)는,
    가열단계(S60)에서 강화가능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를 플로팅에어로 공중에 부상시키고, 판유리의 상하면에 10,000 내지 25,000 파스칼의 블로잉에어를 동시에 공급하여 급속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 제조방법.
  3. 원판유리를 제품 크기에 맞춰 재단하는 재단부(10);
    상기 재단된 판유리의 각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는 면취부(20);
    상기 면취된 판유리를 세척하는 세척부(30);
    상기 세척된 판유리를 건조하는 건조부(40);
    상기 건조된 판유리의 일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프린팅부(50);
    상기 인쇄부가 형성된 판유리를 가열하는 가열부(60);
    상기 가열된 판유리를 공중에 부상시켜 블로잉에어로 급속 냉각하는 냉각부(70);
    상기 냉각된 판유리가 공기부상방식으로 배출되는 배출부(80);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70)는,
    판유리의 하부에 플로팅에어를 공급하여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하는 플로팅부(701);
    상기 플로팅부(701)에 의해 공중에 부상한 판유리의 상하부에 블로잉에어를 공급하여 판유리가 급속 냉각되게 하는 블로잉부(702);
    상기 플로팅부(701)와 블로잉부(702)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공급부(703); 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부(701)는,
    판유리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제1에어공급부(703)와 연결되어 제1에어공급부(703)를 통해 플로팅에어가 공급되게 하는 플로팅덕트(701a);
    상기 플로팅덕트(701a)의 상면에서 플로팅덕트(70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플로팅덕트(701a)로 공급된 플로팅에어가 에어밴트(701b)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어 판유리가 공중에 부상하게 하는 에어밴트(701b);
    상기 에어밴트(701b)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에어밴트(701b)로 토출되는 플로팅에어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에어플랩(701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 제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80)는,
    저면 일측이 보디프레임(801)의 상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되, 내부 공간부(802a)에 공급된 공기가 상면으로 토출되는 플로팅테이블(802);
    상기 플로팅테이블(802)의 공간부(802a)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공급부(803);
    상기 플로팅테이블(802)의 일측면에서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의 상면에 적재되는 판유리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스토퍼부(804);
    상기 보디프레임(801)과 플로팅테이블(802) 간에 설치되어 플로팅테이블(802)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틸팅부(8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유리 제조장치.

KR1020210020102A 2021-02-15 2021-02-15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6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02A KR102263571B1 (ko) 2021-02-15 2021-02-15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102A KR102263571B1 (ko) 2021-02-15 2021-02-15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571B1 true KR102263571B1 (ko) 2021-06-10

Family

ID=763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102A KR102263571B1 (ko) 2021-02-15 2021-02-15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25B1 (ko) * 2022-06-24 2023-06-23 대한유리공업(주) 방화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633A (ja) * 1996-01-22 1997-08-05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38532A (ja) * 1997-06-05 1998-12-22 Nippon Sheet Glass Co Ltd 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300017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세명 안전강화거울의 제조방법
KR100596050B1 (ko) * 2002-10-31 2006-07-03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이송시스템
KR101472487B1 (ko) * 2013-10-17 2014-12-16 주식회사 딥스 유리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519B1 (ko) * 2015-07-06 2016-01-12 (주)에이스안전유리 곡강화 유리 제조방법
KR101613283B1 (ko) 2014-09-15 2016-04-19 손창민 차열 방화 유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633A (ja) * 1996-01-22 1997-08-05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曲げ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38532A (ja) * 1997-06-05 1998-12-22 Nippon Sheet Glass Co Ltd 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300017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세명 안전강화거울의 제조방법
KR100596050B1 (ko) * 2002-10-31 2006-07-03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이송시스템
KR101472487B1 (ko) * 2013-10-17 2014-12-16 주식회사 딥스 유리 인쇄용 잉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283B1 (ko) 2014-09-15 2016-04-19 손창민 차열 방화 유리 제조 방법
KR101584519B1 (ko) * 2015-07-06 2016-01-12 (주)에이스안전유리 곡강화 유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25B1 (ko) * 2022-06-24 2023-06-23 대한유리공업(주) 방화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571B1 (ko) 방화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0291989A (ja) 空調設備および空調方法
CN205833744U (zh) 一种用于陶瓷生产的除尘装置
WO2019050286A1 (en) OUTER MATERIAL FOR AN APPLIANCE APPLIANCE, AN APPLIANCE FOR HOUSEHOLD APPLIANCES COMPRISING THE EXTERIOR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17580A (ja) 防火窓集成体
US20020011033A1 (en) Building for containing human occupants in an adverse arctic or antarctic environment and structures for containing and protecting occupants in an adverse environment
JP3238322B2 (ja) 熱強化板ガラス
CN110698045A (zh) 一种多区域温度可控的气浮加热薄玻璃的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10078327A (ko) 유리 운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유닛 제조 시스템
JPS6335581B2 (ko)
CN211546325U (zh) 一种免磨边高效玻璃钢化设备
CN101016188A (zh) 热处理装置
KR20030080973A (ko) 필터발진 처리기능을 갖는 열처리장치
CN216039256U (zh) 一种玻璃钢化炉的排风系统
CN105174710A (zh) 一种用于钢化玻璃制作的钢化炉
CN218372086U (zh) 一种改进的玻璃钢化炉风栅结构
KR100306309B1 (ko) 조습력이 강화된 접합 안전유리 제조방법
CN217844692U (zh) 一种大产量宽体多用途双通道辊道窑
JP2695931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エレベータ設備
JPH0383788A (ja) クリーンルーム用エレベータ設備
CN213540137U (zh) 一种隔热型钢化玻璃
CN217979786U (zh) 一种具有保温效果的冶金耐火炉
KR20160005704A (ko) 세라믹 유리로부터 디스크를 제조하는 방법
CN215151833U (zh) 一种玻璃表面覆膜机构
CN214009266U (zh) 一种节能型高效水泥熟料窑用送煤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