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45B1 - 폴딩 시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폴딩 시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45B1
KR102261545B1 KR1020180155690A KR20180155690A KR102261545B1 KR 102261545 B1 KR102261545 B1 KR 102261545B1 KR 1020180155690 A KR1020180155690 A KR 1020180155690A KR 20180155690 A KR20180155690 A KR 20180155690A KR 102261545 B1 KR102261545 B1 KR 10226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hinge
center
side brack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849A (ko
Inventor
허정우
정찬호
홍석원
한종석
강기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딩 시트 고정장치는 시트의 백패널에 고정되어 차체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는 제 1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 2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제 1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 2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 2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힌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삽입되고 차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힌지가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 시트 고정장치{A Fixture For Folding Seat Back}
본 발명은 폴딩 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백패널 힌지 핀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브라켓과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고, 시트의 백패널 양측면에 위치하는 힌지 핀이 사이드 브라켓과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순차적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구매자가 구매 차량을 선택하는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서 차량 연비가 고려됨에 따라 차량의 중량 절감이 차량 개발의 핵심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차량의 연비 절감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방안이 차량의 중량을 절감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시트의 중량까지 감소시키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 시트의 중량 감소를 위해 시트를 구성하는 소재를 스틸에서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특히 시트에서 많은 중량을 차지하는 시트의 백 패널을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하고 있다.
한편, 차량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량의 후석 시트를 폴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추세이다. 폴딩의 장점은 승객의 유무에 따라 시트 혹은 트렁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중량 절감의 일환으로 폴딩 시트의 백 패널의 소재가 스틸에서 플라스틱으로 변화하면서, 시트의 후방에서 중량이 인가되는 경우 백 패널에 크랙이나 파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와 같이, 스틸 재질의 백 패널인 경우에는 소재 자체가 연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변형이 되면서 어느 정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반면,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취성이기 때문에 변형량이 거의 없고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시트의 백패널이 상기 체결구조의 판단을 통해 고정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바, 변형이 없는 강건한 시트의 백패널 고정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 2006-00047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트의 백패널 양측면에 위치하는 힌지 핀을 순차적으로 체결하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이 가능한 시트 힌지의 구속을 위한 별도의 부품의 추가 없이 사이드 브라켓의 T형 슬롯에 위치하는 걸림턱 형상을 이용하여 시트의 백패널을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폴딩 시트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트의 백패널에 고정되어 차체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는 제 1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 2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제 1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 2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 2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힌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삽입되고 차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힌지가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힌지 핀 및 제 2힌지 핀은, 상기 각각의 핀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플렌지부;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백패널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 1힌지 핀의 플렌지부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T형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T형 슬롯은, 상기 제 1힌지 핀의 플렌지부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제 1힌지 핀이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슬롯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제 2힌지 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개구부; 및 상기 인입된 제 2힌지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딩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인입되는 힌지 핀 구조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를 제공하는바, 폴딩된 시트의 강건한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부품의 구성 없는 폴딩 시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바, 경제성 측면에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의 사이드 브라켓에 체결되는 힌지 핀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의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힌지 핀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의 사이드 브라켓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의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마운팅", "...브라켓"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으로 '폴딩 시트'는 '시트의 백패널'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폴딩 시트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아래 개시된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100)는 하나의 폴딩 시트를 대상으로 구현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시된 도 1은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100)의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폴딩이 가능한 시트 구성으로서,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 1힌지 핀(120) 및 제 2힌지 핀(130)을 포함하는 시트의 백패널(110), 차체(400)에 고정되고 제 1힌지 핀(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롯(210)을 포함하는 사이드 브라켓(200), 제 1힌지 핀(120)과 시트의 백패널(110)을 중심으로 폭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위치하는 제 2힌지 핀(130)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1힌지 핀(120) 및 제 2힌지 핀(130)은 시트의 백패널(110)과 가장 멀리 위치하는 각각의 플렌지부(121, 13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트의 백패널(110)과 상기 플렌지부(121, 131)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122, 132)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힌지 핀(120)은 제 1플렌지부(121)와 제 1로드부(122)는 시트의 백패널(110)과 연결되고, 제 2힌지 핀(130)은 제 2플렌지부(131)와 제 2로드부(132)를 통해서 시트의 백패널(110)과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브라켓(200)은 차체(400)에 고정되고, 제 1힌지 핀(1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T형 슬롯(210)을 포함하는바, 상기 T형 슬롯(210)은 제 1힌지 핀(120)의 제 1플렌지부(121)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210), 상기 개구부(210) 하단에 상기 삽입된 제 1플렌지부(121)가 차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212) 및 상기 중공부(212) 끝단에 상기 제 1플렌지부(1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13)을 포함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힌지 핀(120)이 개구부(210)로 인입되어 중공부(212)를 따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213)은 제 1플렌지부(121)보다 작고, 상기 제 1로드부(122)보다 큰 개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센터 개구부(310)로 제 2플렌지부(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힌지 핀(120)이 이동할 경우, 상기 제 1플랜지부(121)가 상기 걸림턱(213)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플랜지부(121)는 상기 걸림턱(213)에 의해 상기 슬롯(210) 내측에 위치하고, 제 2힌지 핀(130)이 센터 개구부(31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200) 상으로 제 1플렌지부(121)가 삽입되고, 중공부(212)내의 공간을 따라 제 1플렌지부(121)가 차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힌지 핀(130)과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간의 체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접하는 경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센터 개구부(310)로 제 2플렌지부(1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1플렌지부(121)가 사이드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차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개구부(3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힌지 핀(120)과 제 2힌지 핀(130)간의 거리가 설정된다.
제 2힌지 핀(130)은 폴딩이 수행되는 시트와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과 체결되어 고정되는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접하는 경우,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센터 개구부(310)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개구부(310)로 인입된 이후, 상기 센터 개구부(310)를 덮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320)은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 2힌지 핀(130)이 인입된 이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고정 브라켓(32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 1힌지 핀(120)과 사이드 브라켓(2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폴딩 시트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시트를 폴딩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제 1힌지 핀(120)과 사이드 브라켓(200)을 선행하여 체결하고, 시트의 백패널(110)이 차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제 2힌지 핀(130)이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 핀(120)의 제 1플렌지부(121)는 사이드 브라켓(200)의 T형 슬롯(210)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바, 제 1힌지 핀(120)이 위치하는 시트의 백패널(110)은 제 2힌지 핀(130)이 위치하는 시트의 백패널(110) 보다 낮은 위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의 백패널(110)이 사선으로 위치하고, 제 1플렌지부(121)가 T형 슬롯(210)의 개구부(210)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 1플렌지부(121)가 사이드 브라켓(200)의 개구부(210)로 삽입되고, 사이드 브라켓(200)의 중공부(212)를 따라 상기 제 1플렌지부(121)가 차체(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중공부(212) 끝단에 위치하는 걸림턱(213)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4에서는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마주하도록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마주하는 경우,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과 체결되는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제 2플렌지부(131)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센터 개구부(310)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상기 센터 개구부(310)로 삽입되는 경우, 시트의 백패널(110)은 차체(400)와 수평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에 위치할 경우,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개구부(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 1힌지 핀(120)과 제 2힌지 핀(130) 사이의 거리는 설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이 사이드 브라켓(200)에 위치하는 걸림턱(213)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제 1힌지 핀(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 핀(120)의 제 1플렌지부(121)가 걸림턱(213)과 마주하도록 선행하여 체결되고, 이후,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센터 개구부(31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힌지 핀(120)의 제 1로드부(122)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로드부(122)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 1플렌지부(121)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플렌지부(121)는 제 1로드부(122) 보다 직경이 더 크도록 구성되어, 사이드 브라켓(200)의 걸림턱(21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힌지 핀(120)과 제 2힌지 핀(1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시트를 중심으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브라켓(200)은 상기 제 1플렌지부(121)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210)를 포함하고, 인입된 개구부(210)가 중공부(212)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인입된 제 1플렌지부(121)와 시트의 백패널(110)간에 위치하는 로드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200)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플렌지부(121)의 직경과 제 1로드부(122) 직경 사이의 크기를 갖는 그루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 2힌지 핀(130)과 체결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힌지 핀(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은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개구부(310),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센터 개구부(310)를 덮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320)을 포함한다.
도 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 핀(120)의 제 1플렌지부(121)가 사이드 브라켓(200)의 걸림턱(213)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 2힌지 핀(130)은 센터 개구부(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자리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브라켓(320)은 센터 개구부(310)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터 개구부(31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2힌지 핀(130)이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에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힌지 핀(130)의 제 2플렌지부(131)가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300)으로 인입되는 경우, 고정 브라켓(320)의 일단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320)이 자동으로 상기 센터 개구부(310)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힌지 핀(120)은 사이드 브라켓(200)의 걸림턱(21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고, 제 2힌지 핀(130)은 센터 개구부(310)에 인입되어 고정 브라켓(320)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형성되는바, 시트의 백패널(11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폴딩 시트 고정장치
110: 시트의 백패널
120: 제 1힌지 핀
121: 제 1플렌지부
122: 제 1로드부
130: 제 2힌지 핀
131: 제 2플렌지부
132: 제 2로드부
200: 사이드 브라켓
210: 슬롯
211: 개구부
212: 중공부
213: 걸림턱
300: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
310: 센터 개구부
320: 고정 브라켓
400: 차체

Claims (6)

  1. 시트의 백패널에 고정되어 차체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는 제 1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 2힌지 핀;
    상기 제 1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제 1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브라켓; 및
    상기 제 2힌지 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 2힌지 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힌지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삽입되고 차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힌지가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 1힌지 핀이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힌지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제 2힌지 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센터 개구부; 및
    상기 센터 개구부로 삽입된 제 2힌지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힌지 핀과 제 2힌지 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걸림턱과 상기 센터 개구부 사이의 거리를 갖도록, 상기 제 1힌지 핀이 사이드 브라켓에 삽입되어 차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2힌지 핀이 상기 센터 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 핀 및 제 2힌지 핀은,
    상기 각각의 핀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플렌지부;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백패널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 1힌지 핀의 플렌지부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T형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슬롯은,
    상기 제 1힌지 핀의 플렌지부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로 인입된 제 1힌지 핀이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T형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시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차량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 고정장치.

KR1020180155690A 2018-12-06 2018-12-06 폴딩 시트 고정장치 KR10226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90A KR102261545B1 (ko) 2018-12-06 2018-12-06 폴딩 시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690A KR102261545B1 (ko) 2018-12-06 2018-12-06 폴딩 시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49A KR20200068849A (ko) 2020-06-16
KR102261545B1 true KR102261545B1 (ko) 2021-06-04

Family

ID=7114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690A KR102261545B1 (ko) 2018-12-06 2018-12-06 폴딩 시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166A (ja) * 1996-01-30 1997-08-05 Toyota Tekko Kk 可倒式リヤシートバックのアウタヒンジ
KR100580001B1 (ko) 2004-07-08 2006-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후방추돌에 의한 상해 방지용 시트
KR101439445B1 (ko) * 2013-01-16 2014-11-03 한일이화 주식회사 리어시트의 차량 장착 측부 힌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849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83303A1 (en) Rear door device in vehicle
DE102014115916A1 (de) Struktur einer Haubenverriegelung für ein Fahrzeug
US10124700B2 (en) Locking device for foldable structure
JP2010195389A (ja) 一体型シート折り畳みレバー及びシートベルト出口
KR102202682B1 (ko) 차량 루프박스용 탄성 가압방식 잠금장치
RU2700636C2 (ru) Сборный задний откидной борт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и трос заднего откидного борта кузова
KR102261545B1 (ko) 폴딩 시트 고정장치
US2796268A (en) Folding table leg bracket
US8267613B2 (en) Quick release latch assembly
JP2008290570A (ja) タンクローリー
JP5951818B1 (ja) かご上手すり、および、それを備えた乗りかご
KR102041795B1 (ko) 롤테이너
CN103359183B (zh) 汽车发动机罩锁结构
US10040384B2 (en) Twist-lock articulating assist mechanism
US20110297687A1 (en) Open top container
JP61588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690044B1 (ko) 리어시트의 시트백 록킹장치
KR102224366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GB2359012A (en) A metal-mesh bag forming a security enclosure
JP4946575B2 (ja) タンブルシートのヒンジ機構
US9744897B1 (en) Truck bed extender integrated to end gate
JP494119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取付け構造
KR102288892B1 (ko) 리트랙터블 테이블
JP6371471B2 (ja) コンテナ固定装置
KR102109073B1 (ko) 접철식 항공 컨테이너의 판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