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18B1 - 화분커버 - Google Patents

화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18B1
KR102260518B1 KR1020210036892A KR20210036892A KR102260518B1 KR 102260518 B1 KR102260518 B1 KR 102260518B1 KR 1020210036892 A KR1020210036892 A KR 1020210036892A KR 20210036892 A KR20210036892 A KR 20210036892A KR 102260518 B1 KR102260518 B1 KR 10226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fastening
hole
flowerpot
fast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선
Original Assignee
차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영선 filed Critical 차영선
Priority to KR102021003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A47G7/085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made of flexible sheets of non-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커버에 관한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원형으로 화분을 감쌀수 있도록 된 커버부재(110)와 상기 커버부재(11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110)가 상기 화분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수단(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키며,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바뀌도록 구현하여 물을 줘야 하는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화분 형상 및 크기에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분커버{Flower pot cover}
본 발명은 화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인테리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화분커버에 관한 것이다.
화분커버는 화분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화분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화분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파트에서는 식물을 화분에 심어 기르면서 자연스럽게 실내공기 정화효과와 건조한 겨울철 실내습도조절 효과를 도모하게 되는데, 화분을 실내에 놓게 되면 식물을 통한 장식미가 아무리 좋아도 화분 자체의 외관미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인테리어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화분커버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식물을 주문했으나 원하지 않는 스타일의 화분이 오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도 원하는 스타일의 화분커버를 주문하여 기존 화분의 겉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분커버는 라탄 재질로 감싸거나 한지 등으로 감싸는 등의 인테리적인 화분커버의 역할만 하고 다양한 화분 크기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화분커버는 기존의 화분과 다른 점이 밑에 물빠짐 구멍이 있냐 없냐 정도의 차이로 일반 화분과 거의 유사한 형태이며 부피가 큰 단점이 있어 보관과 배송이 불편했다.
등록특허공보 제0487777호(2018.10.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테리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키며,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바뀌도록 구현하여 물을 줘야 하는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화분 형상 및 크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화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납작한 형태의 원단을 말아서 하드웨어(리벳)과 함께 배송하고 간단한 조립으로 완성함으로써 배송과 보관에 대한 비용을 줄임으로써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하도록 한 화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커버는 펼친 상태에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원형으로 화분을 감쌀수 있도록 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화분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에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공과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과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서로 연통되게 맞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핀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핀은, 납작머리부와 상기 납작머리부에서 돌출된 나사부로 구성되는 제1 체결핀과 연결머리부와 상기 연결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머리부로 개구되며 상기 제1 체결핀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제2 체결핀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체결핀의 나사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체결공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나사부가 상기 제2 체결핀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체결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체결핀의 고정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체결핀의 목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타측 단부가 맞댄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방수재질로 되고, 수분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색부는,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염료를 상기 커버부재의 원단소재에 프린트하고 건조하여 제조하거나 변색필름으로 만들어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분커버는 화분을 감싼 상태에서,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핀의 돌출된 부분을 커버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를 타측 단부에 겹쳐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화분에 설치하기 용이하고 분리하기도 용이하며, 사각화분, 원형화분 등 다양한 형상의 화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납작한 형태의 원단을 말아서 하드웨어(리벳)과 함께 배송하고 간단한 조립으로 완성함으로써 배송과 보관에 대한 비용을 줄임으로써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커버는 방수재질로 되므로 화분에 물을 주는 과정에서 커버부재에 물이 유입되어도 외관이 더럽혀지는 문제가 최소화되고 더럽혀진 경우에도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커버는 커버 위에 다양한 실크 인쇄가 가능하므로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커버는 수분, 온도 등이 변화하면 커버부재의 색이 변하거나 커버부재에 부착한 변색부의 색이 변하도록 구성하므로 화분이 설치된 주변의 환경조건 또는 화분의 환경조건 변화를 감지하여 화분에 물을 언제 주어야 하는지 등을 체크할 수 있어 화분을 키우기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를 펼친 상태를 보인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커버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화분커버에 변색부가 구비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분커버(100)는 커버부재(110)와 체결수단(120)을 포함한다. 커버부재(110)는 펼친 상태에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원형으로 화분(10)을 감쌀수 있도록 된다. 여기서, 플랙시블한 재질은 강성이 있되 구부릴 수 있는 재질을 의미하고, 소정의 강성을 가져 화분을 원형으로 감싼 상태에서 세워질 수 있는 재질이다. 화분커버(100)가 화분(10)을 감싼 상태는 원형을 형성한다.
체결수단(120)은 커버부재(11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커버부재(110)가 화분을 감싼 상태를 고정한다. 실시예에서 체결수단(120)은 커버부재(110)의 양측 단부를 단추 체결 방식으로 연결하여 커버부재(110)가 화분을 감싼 상태를 고정한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화분커버(100)가 화분(10)을 겉을 감싸기 용이하고 감싼 상태를 해제하기도 용이하며, 화분의 형상과 크기에 한정되지 않아 사각화분, 원형화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를 펼친 상태를 보인 정면도(110a)와 배면도(110b)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커버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커버부재(11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납작한 형태의 원단)으로 형성된다. 커버부재(110)의 양측 단부가 체결수단(120)으로 연결 고정되어 원형의 화분커버(100)가 형성된다.
체결수단(120)은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에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공(111)과, 커버부재(110)의 타측 단부에 체결공(111)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13)과, 체결공(111)과 관통공(113)을 서로 연통되게 맞댄 상태에서 체결공(111)과 관통공(113)에 결합되는 체결핀(121,123)을 포함한다. 체결핀(121,123)은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11)들에 결합된 상태로 출시되고, 체결핀(121,123)의 돌출된 부분을 커버부재(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를 타측 단부에 겹쳐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121,123)은 제1 체결핀(121)과 제2 체결핀(12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제1 체결핀(121)은 납작머리부(121a)와 납작머리부(121a)에서 돌출된 나사부(121b)로 구성된다. 제2 체결핀(123)은 연결머리부(123a)와 연결머리부(123a)에서 연장되는 목부(123b)와 목부(123b)의 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고정부(123c)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체결핀(123)은 연결머리부(123a)로 개구되는 나사공(123d)이 더 형성된다. 제2 체결핀(123)의 나사공(123d)에는 제1 체결핀(121)의 나사부(121b)가 체결되어 제2 체결핀(123)을 제1 체결핀(121)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결핀(121,123)은 제1 체결핀(121)의 나사부(121b)가 커버부재(110)의 체결공(111)에 관통되고, 체결공(111)을 관통한 나사부(121b)가 제2 체결핀(123)의 나사공(123d)에 체결되어 커버부재(110)의 체결공(111)에 고정되며, 제2 체결핀(123)의 고정부(123c)가 커버부재(110)의 관통공(113)을 관통하고 제2 체결핀(123)의 목부(123b)가 커버부재(110)의 관통공(113)에 위치하여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맞댄 상태가 고정된다.
제1 체결핀(121)의 납작머리부(121a)는 체결공(111)에 비해 외경이 크고 나사부(121b)의 외경은 체결공(111)에 대응되어, 제1 체결핀(121)의 나사부(121b)가 커버부재(110)의 체결공(111)에 관통하면 납작머리부(121a)는 커버부재(110)의 일측 정면(110a)에 지지된다. 체결공(111)과 관통공(113)의 내경은 대응된다.
제2 체결핀(123)의 연결머리부(123a)는 관통공(113)에 비해 외경이 크고, 목부(123b)는 관통공(113)에 대응되며, 고정부(123c)의 직경은 관통공(11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이로 인해 제1 체결핀(121)의 연결머리부(123a)는 커버부재(110)의 일측 배면(110b)과 타측 정면의 사이에 지지되고 목부(123b)는 커버부재(110)의 타측 관통공(113)에 위치되며, 고정부(123c)는 관통공(113)을 통과하여 커버부재(110)의 타측 후면에 지지된다.
즉, 체결핀(121,123)을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에 고정한 상태에서 커버부재(110)의 타측 단부의 관통공(113)에 고정부(123c)를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고 방수 재질로 된다. 커버부재(110)를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면, 체결수단(120)을 이용하여 커버부재(110)의 일측 단부를 타측 단부에 체결하기 용이하다. 커버부재(110)는 방수 재질로 되므로, 화분(10)에 물을 주는 과정에서 커버부재(110)에 물이 유입되어도 외관이 더럽혀지는 문제가 최소화되고 더럽혀진 경우에도 청소가 용이하다.
커버부재(110)를 방수 재질로 형성하기 위해 커버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소재의 정면과 배면에 우레탄 방수시트를 부착하거나 우레탄 코팅할 수 있다. 또는 커버부재(110)를 방수 재질로 형성하기 위해 커버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소재의 정면과 배면에 방수 PP재질, 방수 PET지를 부착할 수 있다. 또는 커버부재(110)는 PVC 소재로 제작되어 방수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재(110)는 PVC 소재로 되거나 PVC 가죽으로 되어 내외부 모두 방수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화분커버에 변색부가 구비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커버부재(110)는 수분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부(130,140)를 포함한다. 변색부(130,140)는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염료를 커버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소재에 프린트하고 건조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변색부(130,140)는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필름을 커버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소재에 부착하고 건조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변색부(130,140)는 커버부재(110)를 구성하는 원단소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단소재에 염료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변색부(130,140)는 커버부재(110)의 일측에 세로 무늬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변색부(130)는 반응 온도가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염료는 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분자 구조가 바뀌면서 색깔이 변하는 색소이다. 원리는 염료를 이루는 분자가 주변 온도에 반응해 분자구조가 변하고, 분자구조가 변하면 자연히 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자들의 분포가 달라지며, 물질의 색은 전자의 분포에 달려 있으므로 곧 변색으로 나타난다. 전자 분포에 따라 분자가 특정 색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분자구조 변화가 곧 변색으로 나타난다.
염료는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색 변환이 일어나고 다시 처음의 온도로 돌아가면 색상도 다시 본래의 색으로 돌아가는 가역성 온도변색 염료이다. 또한 염료는 설정온도 미달시 기본색을 띠며 설정온도 도달시 특정색을 띠는 고온용 및 저온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료는 0℃ 이하에서 반응하는 염료, 10℃ 이하에서 반응하는 염료, 20℃ 이하에서 반응하는 염료, 30℃ 이상에서 반응하는 염료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기본색은 백색이고 0℃ 이하에서 파란색으로 변색되는 염료, 10℃ 이하에서 노란색으로 변색되는 염료, 20℃ 이하에서 주황색으로 변색되는 염료, 30℃ 이상에서 빨간색으로 변색되는 염료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기본색은 20~30℃ 범위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30℃ 이상에서는 빨간색이 나타나고, 20℃ 이하에서는 주황색이 나타나고, 10℃ 이하에서는 노란색이 나타나며, 0℃ 이하에서는 파란색이 나타나며, 20℃ 초과 30℃ 미만 범위에서는 흰색이 된다.
염료는 냄새가 없으면서 인체에 무해하다. 염료는 변색염료 6~20 중량%, 수성분 70~90 중량%, 고착제 2~10 중량%, 증점제 1~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변색염료는 6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선명한 색상을 얻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적어 균일한 염착이 어려울 수 있다.
수성분은 염료에 점도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수성분은 70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균일한 염착이 어려울 수 있다.
고착제는 염료를 커버부재(110)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염착이 잘되게 한다. 일 예로, 고착제는 탄산소다, 중크롬, 바인더 중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는 염료의 점도를 조절하게 위한 것이다. 염료의 점도가 낮으면 염착시 염료가 줄줄 흘러내려 작업이 불가능해지고 점도가 높으면 균일한 염착이 어려울 수 있다. 염착은 프린트를 이용할 수 있다. 염착 후 건조는 상온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변색부(140)는 습도에 따라 색이 변할 수 있다. 변색부(140)는 특정 습도 환경에 반응하는 변색 필름일 수 있다. 변색 필름은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을 여러 겹으로 적층하고 층마다 다량의 물을 흡수해 팽윤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코팅한 것일 수 있으며, 화학물질은 상대습도 70~80%에서 반응, 각 구조체를 두껍게 만드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조체의 빛 굴절률을 변화시켜 기존과 다른 색을 반사시켜 변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변색 필름은 습기가 사라지면 원래 두께의 투명한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한, 화학물질은 상대습도가 40% 미만에서 반응 각 구조체를 더 얇게 만드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조체의 빛 굴절률을 변화시켜 기존과 다른 색을 반사시켜 변색하는 것을 수 있다. 일 예로, 변색필름은 상대습도 70~80%에서는 빨간색으로 변색하고 상대습도 40~70%에서는 무색이며, 상대습도 40% 미만에서는 노란색으로 변색할 수 있다. 이는 실시간으로 변색 필름을 투과하는 빛의 공진 파장이 변함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변색필름의 색 변화는 빨간색, 무색, 노란색으로 구분하여 습도를 확인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변색 필름의 적층 수를 조절하고 층마다 코팅하는 화학물질의 양을 조절하여 습도를 확인할 수 있는 범위를 더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색필름에는 색 변화에 해당하는 온도를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변색부(130,140)는 크로믹 재료를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한 후 폴리우레탄계의 수지에 분산시켜 커버부재(110)의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크로믹 재료는 감온변색 색소와 수분을 흡수하여 굴절율이 달라는 화학물질을 캡슐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10)는 방수기능을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무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늬에 변색부를 형성하여 무늬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화분커버는 수분, 온도 등이 변화하면 커버부재의 색이 변하거나 커버부재에 부착한 변색부의 색이 변하도록 구성하므로 화분이 설치된 주변의 환경조건 또는 화분의 환경조건 변화를 감지하여 화분에 물을 언제 주어야 하는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을 주문했으나 원하지 않는 스타일의 화분이 오는 경우,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의 화분커버를 주문하여 기존의 화분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화분커버는 화분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생산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분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에 신축부(150)를 두어 커버부재(110)를 구부려 화분을 감쌀 때 신축될 수 있도록 한다. 신축부(150)는 커버부재(110)의 일부를 고무재질로 구성하거나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화분의 크기에 따라 커버부재(110)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화분커버는 화분을 감싸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사각화분, 원형화분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색되는 변색부를 포함하므로 화분에 언제 물을 줘야하는지 등을 체크하기 용이하고,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인테리어적으로 미려함을 향상시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에서 변색부를 체결수단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색부는 체결수단과 반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화분커버는 체결수단이 보여지는 부분이 후방측이 되므로 반대되는 전방측에 변색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화분커버 110: 커버부재
111: 체결공 113: 관통공
120: 체결수단 121: 제1 체결핀
121a: 납작머리부 121b: 나사부
123: 제2 체결핀 123a: 연결머리부
123b: 목부 123c: 고정부
123d: 나사공 130,140: 변색부
150: 신축부 10: 화분

Claims (2)

  1.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원형으로 화분을 감쌀수 있도록 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화분을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에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공;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 및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서로 연통되게 맞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핀;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핀은,
    납작머리부와 상기 납작머리부에서 돌출된 나사부로 구성되는 제1 체결핀;
    연결머리부와 상기 연결머리부에서 연장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머리부로 개구되며 상기 제1 체결핀의 나사부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제2 체결핀;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 체결핀의 나사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체결공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나사부가 상기 제2 체결핀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체결공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체결핀의 고정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체결핀의 목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타측 단부가 맞댄 상태를 고정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방수재질로 되고,
    수분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변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색부는,
    수분이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염료를 상기 커버부재의 원단소재에프린트하고 건조하여 제조하거나, 변색필름으로 만들어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한 것인,
    화분 커버.
  2. 삭제
KR1020210036892A 2021-03-22 2021-03-22 화분커버 KR10226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92A KR102260518B1 (ko) 2021-03-22 2021-03-22 화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92A KR102260518B1 (ko) 2021-03-22 2021-03-22 화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18B1 true KR102260518B1 (ko) 2021-06-02

Family

ID=7637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892A KR102260518B1 (ko) 2021-03-22 2021-03-22 화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1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41U (ja) * 1992-10-10 1994-05-06 夕子 鈴木 分割鉢植カバー
KR100487777B1 (ko) 2002-08-3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4477A (ko) * 2008-12-05 2010-06-15 한상준 화분
KR20180010054A (ko) * 2016-07-20 2018-01-30 김세용 공기가 유통되도록 화분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KR20200013181A (ko) * 2018-07-26 2020-02-06 합자회사 거광산업 화분 포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41U (ja) * 1992-10-10 1994-05-06 夕子 鈴木 分割鉢植カバー
KR100487777B1 (ko) 2002-08-3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4477A (ko) * 2008-12-05 2010-06-15 한상준 화분
KR20180010054A (ko) * 2016-07-20 2018-01-30 김세용 공기가 유통되도록 화분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KR20200013181A (ko) * 2018-07-26 2020-02-06 합자회사 거광산업 화분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5692B1 (en) Method of changing color of a toy and colour changing toy
WO2001064065A1 (fr) Postiche decoratif
US5270100A (en) Phosphorescent coloring method
KR102260518B1 (ko) 화분커버
WO2009022786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chromic and photochromic color flower
CN206448094U (zh) 一种应力变色合成革
KR100644330B1 (ko)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ES2361075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vestimiento de una superficie de pared y revestimiento de una superficie de pared.
JP4633814B2 (ja) 変色性積層体
JPWO2019004113A1 (ja) 光沢性を有する変色体
JP3136622U (ja) 土壌用可逆性水分インジケーター
KR101042016B1 (ko) 색깔이 변하도록 물건을 도색하는 방법
KR20130008905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온원단
KR200378689Y1 (ko)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JP6716230B2 (ja) 水変色性積層体
JP2001026501A (ja) 装飾体および装飾体の製造方法
RU2130798C1 (ru) Кукла
JP3123648B2 (ja) 擬木、及びその製造方法
CN207749757U (zh) 一种含有光纤的装饰纸
JP2006098285A (ja) 土壌用可逆性水分インジケーター
US20160366965A1 (en) Artificial floral design for decorating the side view mirror of a vehicle
JP2556071Y2 (ja) メタリック調熱変色性つけ爪
JPH0234027Y2 (ko)
JP2001180196A (ja) 装飾工芸品とそれに使用する基材
KR200224403Y1 (ko) 야광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