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689Y1 -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 Google Patents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689Y1
KR200378689Y1 KR20-2004-0036008U KR20040036008U KR200378689Y1 KR 200378689 Y1 KR200378689 Y1 KR 200378689Y1 KR 20040036008 U KR20040036008 U KR 20040036008U KR 200378689 Y1 KR200378689 Y1 KR 200378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hotochromic
pattern
hair accessory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우제
Original Assignee
성우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제 filed Critical 성우제
Priority to KR20-2004-0036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호변성 유기안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헤어밴드나 헤어핀 등 헤어악세사리의 기재가 되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물에 광호변성 무늬를 코팅하거나, 직물지로 만들어진 헤어밴드나 헤어핀 등의 헤어악세사리에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호변성 무늬를 나염하여 형성된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서, 햇빛이나 자외선을 포함하는 인공 조명 등 자외선 광선하에서 색이 변하도록 하여 미적 감각을 증대시킨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Hair accessory which has photochromanic decoration}
본 고안은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물로 만들어진 헤어밴드, 헤이핀 등의 헤어 악세사리에 광호변성 유기안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호변성 무늬를 코팅하거나, 직물지로 만들어진 헤어밴드나 헤어핀 등의 헤어악세사리에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광호변성 무늬를 나염하여 형성된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어악세사리는 천이나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장식으로 이루어지지만 대개 비슷한 점이 많아 그 디자인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고, 각자의 취향에 따라 개성을 나타내려고 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어악세사리에 광호변성 무늬를 코팅하거나 나염하여 미적감각을 증대시킨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는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와 상기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 표면에 수광시 광호변성무늬를 갖는 문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호변성이란 햇빛이나 자외선을 포함하는 인공 조명 등 자외선 광선하에서는 색이 변하고, 자외선 차단하에서나 어둠속에서는 무색 투명한 색으로 되돌아 오는 화합물에 의해 나타나는 가역적 광변색 현상을 이른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광호변성무늬를 갖는 플라스틱 헤어밴드(10)는 헤어밴드 몸체부재(20)와, 헤어밴드 몸체부재(20) 표면에 수광시 광호변성무늬를 갖는 헤어밴드 문양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어밴드 몸체부재(2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나 직물지를 소재로 한다.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한 헤어밴드 문양부재(30)는 상기 헤어밴드 몸체부재(20) 표면에 광호변성 유기안료 0.1-2중량부를 톨루엔 20-80중량부에 부가하여 희석시킨 혼합물에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 20-80 중량부를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20) 표면에 코팅하고, 실온에서 자외선 경화하여 이루어진다.
직물지를 소재로 한 헤어끈의 문양부재(31)는 헤어끈 몸체부재(21) 표면에 광호변성 유기안료 0.1-2중량부를 톨루엔 20-80중량부에 부가하여 희석시킨 혼합물에 폴리염화비닐 투명잉크 20-80 중량부에 부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스크린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직물에 나염하고, 건조시킨 다음, 50-180℃의 온도에서 20초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광호변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피로피란계화합물로서, 햇빛이 있는 장소에서는 자색으로 색깔을 나타내나, 흐린날이나 밤, 또는 햇빛이 없는 실내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색상을 나타내지 않고 무색이다.
본 고안의 광호변성 화합물은 사용되는 직물의 종류와 사용되는 희석제와 잉크의 양에 따라 약 0.1-2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면 광호변성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그 이상은 효과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광호변성 화합물을 희석시키는 희석제는 통상 여러가지 용매 중에서 선택되거나 여러가지 용매의 혼합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톨루엔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한 헤어밴드 몸체부재(20)의 코팅 기재로는 자외선 경화용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사용하고,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2액형보다는 1액형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혼합은 믹서 등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며,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한 헤어밴드는 실온에서 혼합되고, 직물지를 소재로 한 헤어밴드는 실온 내지 80℃의 온도에서 혼합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악세사리의 광호변성재료 코팅 상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광호변성무늬를 갖는 플라스틱 헤어밴드(10)는 플라스틱 헤어밴드 몸체부재(20)에 나비무늬모양(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비무늬모양(1)에 광호변성재료(2)를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광호변성무늬는 플라스틱 헤어밴드 몸체부재(20)에 광호변성재료(2)를 각종 무늬모양으로 인쇄하고 코팅하여서도 이루어진다.
도 3a 는 플라스틱 헤어밴드의 광호변성무늬 형성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S20 공정은 광호변성재료중 광호변성 유기안료 0.1~2중량부와 톨루엔 20~80중량부를 희석한뒤 폴리우레탄 코팅조성물 20~80중량부를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S30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혼합하는 공정도이다. S40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의 무늬모양에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S50 공정은 코팅 후 실온에서 자외선 경화시켜 마무리하는 단계의 공정도이다.
도 3b 는 직물지 헤어끈의 광호변성무늬 형성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S21 공정은 광호변성재료중 광호변성 유기안료 0.1~2중량부와 톨루엔 20~80중량부를 희석한 뒤 폴리염화비닐 투명잉크 20~80중량부를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S31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실온 내지 80℃에서 혼합하는 공정도이다. S41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헤어끈 몸체부재의 무늬 모양에 스크린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나염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S51 공정은 나염 후 건조시킨 뒤 50 내지 180℃에서 20초 내지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의 공정도이다.
도 4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호변성무늬가 나염된 직물지를 소재로 한 헤어끈(1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호변성무늬가 나염된 헤어끈의 구성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밴드와 헤어끈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인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는 햇빛 등 자외선하에서는 무늬가 나타나고, 자외선이 차단된 실내나 야간과 같이 어두운 환경하에서는 무늬가 사라져 미적감각을 증대시킴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식상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도 1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비 무늬가 코팅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한 헤어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헤어악세사리의 광호변성재료 코팅 상태를 일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헤어밴드의 광호변성무늬 형성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직물지 헤어끈의 광호변성무늬 형성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호변성무늬가 나염된 직물지를 소재로한 헤어끈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나비무늬형상 2 : 광호변성재료
S10 : 제 1 공정(광호변성재료) S11 : 제 1 공정(광호변성재료)
S20 : 제 2 공정(혼합) S21 : 제 2 공정(혼합)
S30 : 제 3 공정(코팅) S31 : 제 3 공정(나염)
S40 : 제 4 공정(자외선경화) S41 : 제 4 공정(건조/열처리)
S50 : 제 5 공정(코팅완료) S51 : 제 5 공정(나염완료)
10 : 플라스틱 헤어밴드 11 : 직물지 헤어끈
20 : 플라스틱 헤어밴드 몸체부재 21 : 직물지 헤어끈 몸체부재
30 : 플라스틱 헤어밴드 문양부재 31 : 직물지 헤어끈 문양부재

Claims (4)

  1. 통상의 헤어악세사리에 있어서,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 및
    상기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 표면에 형성된 무늬모양에 광호변성 유기안료가 혼합된 재료가 코팅되어 마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2. 통상의 헤어악세사리에 있어서,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 및
    상기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 표면에 형성된 무늬모양에 광호변성 유기안료가 혼합된 재료가 나염되어 마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는 통상의 헤어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악세사리 몸체부재는 통상의 헤어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KR20-2004-0036008U 2004-12-18 2004-12-18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KR200378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08U KR200378689Y1 (ko) 2004-12-18 2004-12-18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08U KR200378689Y1 (ko) 2004-12-18 2004-12-18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689Y1 true KR200378689Y1 (ko) 2005-03-17

Family

ID=4368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08U KR200378689Y1 (ko) 2004-12-18 2004-12-18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6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2886C (zh) 光致变色印花涂层织物的制备工艺
CN102715722B (zh) 一种变色夜光手机保护套及其加工工艺
CN101657267A (zh) 带有光致变色装饰的主体部件
KR200378689Y1 (ko) 광호변성 무늬를 갖는 헤어악세사리
CA2066978A1 (en) Fabric, molded, or coated articles exhibiting color chang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light
CN202286497U (zh) 一种带有光致变色带的休闲帆布鞋
KR100644330B1 (ko)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CN210309733U (zh) 一种帆布植绒钻石画
KR20130008905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온원단
KR101049522B1 (ko) 야광자개판의 제조방법
KR100329429B1 (ko) 칼라무늬를 갖는 낚시대와 그 제조방법
KR102260518B1 (ko) 화분커버
KR100296615B1 (ko) 반짝이를포함하는악세사리의장식면구조및그제조방법
JP3029429U (ja) 調光機能を有する爪部転写シート
KR20060026629A (ko) 시광안료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383399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KR20130008904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광원단
CN106913038A (zh) 一种变色夜光手机保护套及其加工工艺
KR200304232Y1 (ko) 모자
CN110128956A (zh) 强防紫外线雨伞面料
JP3217384U (ja) 身飾品用部品および身飾品
KR100329430B1 (ko) 칼라무늬를 갖는 낚시대와 그 제조방법
JP3065238B2 (ja) 眼鏡フレーム用装飾モダン、及びこの装飾モダンの製造法
KR100691021B1 (ko) 두 색조를 갖는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8880B1 (ko) 장식용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