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48B1 -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48B1
KR102259748B1 KR1020180172999A KR20180172999A KR102259748B1 KR 102259748 B1 KR102259748 B1 KR 102259748B1 KR 1020180172999 A KR1020180172999 A KR 1020180172999A KR 20180172999 A KR20180172999 A KR 20180172999A KR 102259748 B1 KR102259748 B1 KR 10225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manure
porous filter
outlet
removal devic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419A (ko
Inventor
이기천
이용범
박종원
정동수
엄학용
남태연
최종식
이규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7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48B1/ko
Priority to PCT/KR2019/018614 priority patent/WO2020139026A1/ko
Priority to EP19903162.6A priority patent/EP3904299A4/en
Publication of KR2020008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5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356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06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for making briquettes, e.g. from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06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with a retractable abutment member closing one end of the press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탈수된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분 배출공이 형성된 다공성 필터; 및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의 피치(P) 및 골 부분의 깊이(D)가 함께 길이방향으로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부에 이격되게 수용된 스크류;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축산분뇨에 포함된 섬유질을 분쇄하지 않고 섬유질을 최대한 보존한 상태에서 수분만을 제거하기 용이하며, 축산분뇨에 포함된 섬유질에 의해 필터가 막히는 고장이 방지되어 축산분뇨 처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from livestock excretion and livestock excretion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축산분뇨에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분뇨는 젖소, 한우, 돼지, 닭 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말하며, 축산분뇨에는 수분 함유량이 많은 것과 적은 것 등 다양한 함수율을 갖고 있다.
기존의 장치에서 돼지나 닭의 축산분뇨에 대해서는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가능하지만, 젖소나 한우의 경우에는 분뇨에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분만을 제거하는 기술이 부족하다.
일례로 기존의 장치에서는 원심력 및 진동을 주어 수분을 제거하는 기술이 있지만, 섬유질로 인해 필터가 막혀 기술 상용화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는 수분 함량이 낮은 축산분뇨의 경우에 물을 추가적으로 부어서 분뇨의 수분을 충분하게 하여 원심분리식 등으로 수분을 제거하였지만 이에 대한 분뇨의 양이 오히려 증대되어 환경오염원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축산분뇨를 전기식 히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수분제거를 하는데 10일 내지 15일 정도가 소요되어, 대량의 축산분뇨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전기식 히터의 장비가 고가이며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 들의 경우에는 돼지와는 다르게 섬유질 풀을 많이 먹게 되므로, 일반적인 기존의 탈수 장비들의 경우에는 필터가 쉽게 막히게 되어 고장 발생이 잦고 장치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다양한 부수적인 장치를 장착해야 하므로 장비의 가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장치는 수분의 함유량에 따라 사용되는 장치를 다른 것으로 사용해야 한다.
KR 10-0912781 B1 (2009.08.1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질이 포함된 축산분뇨에서 수분의 제거가 용이하며 축산분뇨 처리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탈수된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분 배출공이 형성된 다공성 필터; 및 중실축으로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는 길이방향으로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의 외경과 피치(P)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상기 날개의 반경방향 외측단을 형성하는 면이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과 나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가 다공성 필터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에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가 다공성 필터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 및 스크류가 내부에 구비되어 다공성 필터의 외주면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베어링을 통과하여 결합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간극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중심축을 따라 복수개의 부분으로 잘라놓은 형태의 분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부분들은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공성 필터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 시 축산분뇨를 다공성 필터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는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은,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의 배출구에 투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배출된 축산분뇨를 가압 챔버 내에서 압축하여 배출구를 통해 블록 형태로 성형하여 축산분뇨 블록이 배출되도록 하는 블록화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화 장치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가압 챔버; 상기 가압 챔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챔버 내부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핀이 돌출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가압 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챔버에 설치된 제2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는 가압 챔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배출도어는 일측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판은 배출도어와 마주보는 면에 콘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중앙에서 각각 관통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도어는 가압판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관통핀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화 장치의 배출구쪽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화 장치에서 블록화되어 배출되는 축산분뇨 블록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모아 저장하는 뇨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은 섬유질이 포함된 축산분뇨에서 수분의 제거가 용이하며, 축산분뇨에 포함된 섬유질에 의해 필터가 막히는 고장이 방지되어 축산분뇨 처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블록화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장치에서 배출된 상태의 축산분뇨 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의 다공성 필터 및 스크류를 자른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는, 크게 하우징(110), 다공성 필터(120), 스크류(130a) 및 구동수단(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하우징(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좌측 상부에 호퍼 형태의 투입부(111)가 형성되며 우측 하부에 배출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하부에 뇨 회수 배관(410)이 연결될 수 있다.
다공성 필터(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필터(120)는 하우징(1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다공성 필터(12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분 배출공(121)이 형성되어, 축산분뇨가 압축되면서 다공성 필터(120)에 형성된 수분 배출공(121)을 통해 다공성 필터(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필터(120)는 좌측 상부에 하우징(110)의 투입부(111)와 연통되는 투입구(122)가 형성되고 우측 하부에는 하우징(110)의 배출부(112)와 연통되는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스크류(130a)는 회전축(131) 및 날개(132)로 구성되고, 중실축으로 형성된 회전축(131)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날개(132)는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된 판 형태이면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로 날개(132)의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일례로 회전축(131)과 날개(132)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회전축(131)에 날개(132)를 조립한 후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스크류(13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31)이 하우징(1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133)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130a)는 날개(132)가 형성된 부분이 다공성 필터(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131)의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130a)의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면인 날개(132)들의 바깥쪽 끝 부분을 연결하는 면이 다공성 필터(120)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공성 필터(120)는 스크류(130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130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날개(132)의 피치(P)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함께 스크류(130a)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다공성 필터(120)의 내주면과 회전축(131)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가 투입구(122) 측에서 배출구(123) 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스크류(130a)의 날개가 2중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하나의 날개 또는 3중 이상의 날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축산분뇨(500)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인 스크류(130a)의 이송 단면적이 축산분뇨가 이송되는 방향인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축산분뇨(500)가 스크류(130a)의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압축되어 탈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축산분뇨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이송 단면적이 피치방향과 깊이방향으로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축산분뇨가 부피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짜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축산분뇨의 탈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날개(132)의 피치(P)는 서로 이웃하는 날개들 사이의 거리이며, 거리(D)는 회전축(131)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공성 필터(120)의 내주면과 회전축(131)의 외주면 사이의 직선 길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송 단면적은 서로 이웃하는 날개(132)들과 회전축(131)의 외주면과 날개들의 반경방향 바깥쪽 끝을 연결하는 선이 이루는 내측의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140)은 스크류(130a)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 모터가 될 수 있으며, 구동수단(140)은 하우징(110) 등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구동축이 스크류(130a)의 회전축(1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투입부(111)로 공급된 축산분뇨(500)는 스크류(130a)의 회전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압축되고 이 과정에서 수분은 탈수되어 뇨 저장 탱크(420)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130a)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축산분뇨(500)는 수분이 제거된 후 스크류(130a)의 날개 우측 단부의 외주면과 다공성 필터(120)의 우측 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빠져나와 배출구(123) 및 배출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는 섬유질이 포함된 축산분뇨에서 수분의 제거가 용이하며 충분한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축산분뇨에 포함된 섬유질에 의해 필터가 막히는 고장이 방지되어 축산분뇨 처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130a)의 회전축(131) 양측은 하우징(110)에 결합된 베어링(133)들을 통과하여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베어링(13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간극조절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간극조절장치(150)가 결합된 부분의 회전축(131)은 외주면에 수사사산이 형성되며, 간극조절장치(150)는 너트일 수 있다. 그리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너트를 조이면 스크류(130a)가 왼쪽으로 이동되어, 축산분뇨가 탈수된 후 빠져나오는 부분인 스크류(130a)의 날개 우측 단부의 외주면과 다공성 필터(120)의 우측 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 너트를 조이면 스크류(130a)가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축산분뇨가 탈수된 후 빠져나오는 부분인 스크류(130a)의 날개 우측 단부의 외주면과 다공성 필터(120)의 우측 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간극조절장치(150)에 의해 축산분뇨가 탈수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필터(120)의 투입구(122)와 배출구(123) 사이에 부하방지장치(160)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다공성 필터(120)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부하방지장치(160)를 통해 축산분뇨를 다공성 필터(12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하방지장치(160)는 일측이 다공성 필터(120)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110)의 투입부(111)로 연결되도록 배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은 크게 상기한 바와 같은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 블록화 장치(200), 이송부(300) 및 뇨 저장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는 축산분뇨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에서는 좌측 상부의 투입부(111)인 호퍼로 공급된 축산분뇨(500)가 하우징(110) 내에서 회전되는 스크류(130a)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압축되며, 압축되어 수분이 제거된 축산분뇨는 우측 하부의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축산분뇨(500)에서 탈수되는 수분은 뇨 저장부(400)인 뇨 회수 배관(410)을 따라 뇨 저장 탱크(420)에 모이게 된다.
블록화 장치(200)는 특정한 함수율을 갖도록 수분이 제거된 축산분뇨를 공급받아 이를 직선방향으로 압축하여 축산분뇨가 미리 정해진 블록 형태로 성형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블록화 장치(200)는 투입구(211)가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의 배출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블록화 장치(200)에서 블록 형태로 만들어진 축산분뇨 블록(600)은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블록화 장치(200)에서는 축산분뇨의 탈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압축에 의해 축산분뇨에서 수분이 배출될 수도 있으므로 수분이 배출되는 경우 수분은 뇨 회수 배관(410)을 따라 뇨 저장 탱크(420)에 모이게 된다.
이송부(300)는 블록화 장치(200)에서 배출된 축산분뇨 블록(600)을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등이 될 수 있으며, 일례로 벨트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뇨 저장부(400)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모아 저장하는 부분이며, 뇨 회수배관(410)을 통해 뇨 저장 탱크(420)로 수분이 모여 저장되도록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의 하우징(110)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화 장치(200)는 크게 투입구(211) 및 배출구(212)가 형성된 가압 챔버(210), 제1액추에이터(220), 관통핀(232)들이 형성된 가압판(230), 배출도어(240) 및 제2액추에이터(25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챔버(2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의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챔버(210)는 일측인 좌측에는 상부에 투입구(211)가 형성되며, 가압 챔버(210)의 타측인 우측에는 배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입구(211)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의 배출부(112)와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축산분뇨가 투입구(211)를 통해 가압 챔버(2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가압 챔버(210) 내에서 압축되어 형태가 성형된 후 배출구(212)를 통해 가압 챔버(2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20)는 가압 챔버(210)의 내부로 공급된 축산분뇨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제1액추에이터(220)는 가압 챔버(210)의 좌측에 외부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액추에이터(220)는 일례로 이하에 설명할 가압판(230)을 좌우방향으로 직선으로 밀어줄 수 있는 유압 실린더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액추에이터(220)는 직선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로드가 가압 챔버(210)를 관통하여 로드의 단부가 가압 챔버(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판(230)은 가압 챔버(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판(230)은 제1액추에이터(22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제1액추에이터(220)의 작동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판(230)이 이동되어 축산분뇨를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압축 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가압판(230)이 이동되어 원래의 가압 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230)은 우측면에 복수개의 관통핀(232)이 돌출 형성되고 관통핀(232)들은 배출도어(240)를 향해서 가압판(230)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핀(232)들은 행 및 열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판(230)에는 관통핀(232)들이 가압판(230)과 만나는 부분에 가압판(230)의 우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돌출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압판(230)의 우측면에서 고깔 형태로 돌출부(231)들이 형성되고 돌출부(231)들 각각의 우측 단부에서 관통핀(232)이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깔대기 형태가 될 수 있다.
배출도어(240)는 가압 챔버(210)의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212) 부분에 설치되어 배출구(2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도어(240)는 가압 챔버(210)의 우측 상부 모서리 부분에 회전축(242)으로 가압 챔버(210)에 결합되어, 회전축(242)을 중심으로 배출도어(240)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도어(240)의 좌측면에서 가압판(230)쪽을 향해 콘 형태의 돌출부(241)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도어(240)에 형성되는 돌출부(241)들은 각각 가압판(230)에 형성된 돌출부(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250)는 가압 챔버(210)의 외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액추에이터(250)는 배출도어(240)를 회전시켜 가압 챔버(210)의 배출구(21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2액추에이터(250)는 일례로 유압 실린더로 형성되어, 일측인 몸체의 좌측이 가압 챔버(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인 로드의 단부가 배출도어(2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액추에이터(250)의 작동에 의해 배출도어(240)가 회전되어 배출구(212)를 열거나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록화 장치(20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블록화 장치(200)는 가압판(230)이 가압 챔버(210)의 가장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며, 배출도어(240)는 가압 챔버(210)의 배출구(212)를 막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구(211)를 통해 1차로 수분이 제거된 축산분뇨가 가압 챔버(210)의 내부로 투입되어 가압 챔버(210)의 내부에 축산분뇨가 채워지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블록화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후 가압 챔버(210) 내에 축산분뇨가 채워진 상태에서 제1액추에이터(220)의 작동에 의해 가압판(23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축산분뇨가 압축되면서 성형된다. 이때, 가압판(230)은 관통핀(232)들의 우측단이 배출도어(240)의 돌출부(241)에 닿을 때 까지 이동된 후 정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그 다음 제2액추에이터(250)의 작동에 의해 배출도어(240)가 회전되어 가압 챔버(210)의 배출구(21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배출도어(240)가 배출구(212)를 막아 닫혀있는 상태에서 90도 회전되어 수평인 상태로 배출도어(240)가 열린 것을 도시하였으나, 배출도어는 압축된 상태의 축산분뇨 블록(600)이 배출구(212)를 통해 가압 챔버(2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90도 보다 더 회전된 상태로 열릴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제1액추에이터(220)의 작동에 의해 가압판(230)은 우측으로 더 이동되어 압축된 축산분뇨 블록(600)을 밀어서 가압 챔버(21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배출된 축산분뇨 블록(600)은 블록화 장치(200)의 배출구(212) 부분에 배치된 이송부(300)에 놓여 지정된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챔버(210)에서 축산분뇨 블록(600)이 배출되고 난 이후에는 제1액추에이터(220)가 작동되어 가압판(230)이 좌측으로 끝까지 이동하게 되어 압축전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축산분뇨의 블록화가 계속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화 장치에서 배출된 상태의 축산분뇨 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블록(600)은 블록 형태의 고형체(610), 고형체(610)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기공(620) 및 가이드 홈(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분뇨 블록(600)은 블록화 장치(200)에서 압축된 후 배출되기 때문에, 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고형체(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형체(610)에는 블록화 장치(200)의 가압판(23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231)들 및 관통핀(232)에 의해 고형체(610)의 양면인 좌측면과 우측면을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통기공(620)이 형성되며, 통기공(620)들의 양단에 연결된 형태로 고형체(6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 가이드 홈(630)들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축산분뇨 블록(600)은 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므로 복수개의 축산분뇨 블록들을 쌓아서 보관하거나 취급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통기공에 의해 축산분뇨 블록에 남아있는 수분이 바람에 의해 건조되기 용이하며, 가이드 홈에 의해 바람이 통기공쪽으로 안내되며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욱 빠른 건조가 가능하다.
<실시예 2 -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10), 다공성 필터(120), 스크류(130b) 및 구동수단(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및 구동수단(140)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130b)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축(131) 및 날개(132)로 구성되고, 스크류(130b)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날개(132)의 피치(P)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함께 스크류(130b)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이웃하는 날개와 회전축의 외주면 사이의 영역을 형성하는 골 부분의 깊이(D)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류(130b)의 회전축(110)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날개(132)는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또한, 다공성 필터(120)는 스크류(130b)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태가 되도록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하여 축산분뇨의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이송 단면적이 피치방향과 깊이방향으로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축산분뇨가 부피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으로 짜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축산분뇨의 탈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의 다공성 필터 및 스크류를 자른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공성 필터(120)는 중심축을 따라 복수개의 부분으로 잘라놓은 형태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하프 파이프 형태의 제1부분이 상측에 배치되고 하프 파이프 형태의 제2부분이 하측에 배치되어, 제1부분과 제2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부분과 제2부분이 결합되는 사이에는 스페이서(124)를 개재하여 결합함으로써, 축산분뇨가 탈수된 후 빠져나오는 부분인 스크류(130b)의 날개 우측 단부의 외주면과 다공성 필터(120)의 우측 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축산분뇨가 탈수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다공성 필터(120)의 분리형 구조 및 스페이서(124)를 이용한 간극조절구조는 제1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적용 시 스크류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1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은 크게 상기한 바와 같은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100), 블록화 장치(200), 이송부(300) 및 뇨 저장부(4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블록화 장치(200), 이송부(300) 및 뇨 저장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은, 축산분뇨에 포함된 섬유질을 분쇄하지 않고 섬유질을 최대한 보존한 상태에서 수분만을 제거하여 섬유질을 포함한 고형체의 축산분뇨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낮은 함수율을 갖는 섬유질을 포함한 축산분뇨를 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고형 연료화 할 수 있어, 에너지 재활용 시스템의 핵심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많이 함유한 축산분뇨와 수분을 적게 함유한 축산분뇨에 대하여 동일한 수준의 함수율을 갖도록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섬유질 및 이물질 등에 의한 탈수 성능 저하 및 장비의 고장 발생이 방지되어 효율적으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110 : 하우징 111 : 투입부
112 : 배출부 120 : 다공성 필터
121 : 수분 배출공 122 : 투입구
123 : 배출구 124 : 스페이서
130a, 130b : 스크류 131 : 회전축
132 : 날개 133 : 베어링
140 : 구동수단 150 : 간극조절장치
160 : 부하방지장치
200 : 블록화 장치
210 : 가압 챔버 211 : 투입구
212 : 배출구 220 : 제1액추에이터
230 : 가압판 231 : 돌출부
232 : 관통핀 240 : 배출도어
241 : 돌출부 242 : 회전축
250 : 제2액추에이터
300 : 이송부 400 : 뇨 저장부
410 : 뇨 회수 배관 420 : 뇨 저장 탱크
500 : 축산분뇨 600 : 축산분뇨 블록
610 : 고형체 620 : 통기공
630 : 가이드 홈

Claims (16)

  1.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탈수된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분 배출공이 형성된 다공성 필터;
    중실축으로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는 길이방향으로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 및
    상기 다공성 필터 내부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승 시 축산분뇨를 다공성 필터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하방지장치;
    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의 외경과 피치(P)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상기 날개의 반경방향 외측단을 형성하는 면이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과 나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가 다공성 필터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에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가 다공성 필터의 배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 및 스크류가 내부에 구비되어 다공성 필터의 외주면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베어링을 통과하여 결합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어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간극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중심축을 따라 복수개의 부분으로 잘라놓은 형태의 분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부분들은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는 스크류의 회전축의 중심에서부터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으로 향하는 날개의 가장자리까지의 간격인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의 배출구에 투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배출된 축산분뇨를 가압 챔버 내에서 압축하여 배출구를 통해 블록 형태로 성형하여 축산분뇨 블록이 배출되도록 하는 블록화 장치;
    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 장치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가압 챔버;
    상기 가압 챔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챔버 내부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핀이 돌출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가압 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
    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챔버에 설치된 제2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도어는 가압 챔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배출도어는 일측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배출도어와 마주보는 면에 콘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중앙에서 각각 관통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가압판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관통핀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 콘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 장치의 배출구쪽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화 장치에서 블록화되어 배출되는 축산분뇨 블록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모아 저장하는 뇨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16.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탈수된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수분 배출공이 형성된 다공성 필터; 및 중실축으로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D)는 길이방향으로 투입구 측에서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의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 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의 배출구에 투입구가 연결되며, 상기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배출된 축산분뇨를 가압 챔버 내에서 압축하여 배출구를 통해 블록 형태로 성형하여 축산분뇨 블록이 배출되도록 하는 블록화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화 장치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축산분뇨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축산분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가압 챔버;
    상기 가압 챔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 챔버 내부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핀이 돌출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가압 챔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 를 포함하는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1020180172999A 2018-12-28 2018-12-28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10225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99A KR102259748B1 (ko) 2018-12-28 2018-12-28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PCT/KR2019/018614 WO2020139026A1 (ko) 2018-12-28 2019-12-27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EP19903162.6A EP3904299A4 (en) 2018-12-28 2019-12-27 ANIMAL WASTE WATER DISPOSAL DEVICE AND ANIMAL WAST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99A KR102259748B1 (ko) 2018-12-28 2018-12-28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19A KR20200082419A (ko) 2020-07-08
KR102259748B1 true KR102259748B1 (ko) 2021-06-02

Family

ID=7112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99A KR102259748B1 (ko) 2018-12-28 2018-12-28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04299A4 (ko)
KR (1) KR102259748B1 (ko)
WO (1) WO2020139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9389A (zh) * 2021-04-16 2021-06-11 菏泽学院 一种功能性液体肥料的牛粪固液分离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82497B (zh) * 2021-08-31 2023-06-20 兴源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禽畜粪便处理设备
CN114409220B (zh) * 2022-02-17 2022-12-09 江西高田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业用动物粪便回收处理装置
CN114849317B (zh) * 2022-06-02 2023-09-22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刚柔结合的高性能固液分离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82A (ja) * 2005-03-09 2006-09-21 Heisei Kiko Kk スクリュー式脱水機
KR100648984B1 (ko) * 2005-11-04 2006-11-27 (주)송림워터테크 밀폐압축식 슬러지 스크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7817A1 (de) * 1989-03-10 1990-09-13 Heinz Kast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waesserung von guelle und klaerschlamm
KR950014391B1 (ko) * 1992-06-23 1995-11-27 이정수 가축분뇨를 이용한 연료 및 비료의 고형화장치
KR950014391A (ko) * 1993-11-01 1995-06-16 하기주 열융착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
KR100301687B1 (ko) * 1998-12-21 2001-10-29 심세보 야채쓰레기압축기
KR20060095860A (ko) 2006-08-12 2006-09-04 여인봉 슬러리형 축산분뇨 고액분리 및 탈수장치
KR100900053B1 (ko) *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A2876263C (en) * 2012-06-13 2021-07-06 Voith Patent Gmbh Method for removing liquid from a slurry
KR20150015745A (ko) * 2013-08-01 2015-02-11 이달은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KR20160070643A (ko) * 2014-12-10 2016-06-20 (주)케이아이 오폐수 필터링 장치
WO2017143943A1 (zh) * 2016-02-22 2017-08-31 上海同臣环保有限公司 新型叠螺式污泥脱水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82A (ja) * 2005-03-09 2006-09-21 Heisei Kiko Kk スクリュー式脱水機
KR100648984B1 (ko) * 2005-11-04 2006-11-27 (주)송림워터테크 밀폐압축식 슬러지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4299A4 (en) 2022-09-07
EP3904299A1 (en) 2021-11-03
WO2020139026A1 (ko) 2020-07-02
KR20200082419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79B1 (ko)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102259748B1 (ko)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US434323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d collecting a liquid extract and a dry by-product from a mash
KR101187322B1 (ko) 정역회전식 탈수용 스크류프레스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
JP6154047B2 (ja) 主軸及び無軸スクリュー区間を有するスラッジ脱水装置
JP2015033724A (ja) 脱水機
KR101335511B1 (ko) 복합형 슬러지 탈수장치
KR20160065508A (ko) 슬러지 탈수장치
CN108356051A (zh)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US4389928A (en) Method for producing and collecting a liquid extract and a dry by-product from a mash
CN109796116A (zh) 一种污泥自动脱水装置
CN107843106B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脱水烘干装置
KR20100113235A (ko) 협잡물 탈수기
CN208567316U (zh) 一种用于废旧塑料回收的斜置螺旋式脱水机
CN104495158A (zh) 垃圾打捞船的垃圾脱水、压缩装置
EP3090868A1 (en) Device for separating material such as manure into liquid fraction and solid fraction with double separating means
CN201618461U (zh) 弹簧加压固液分离机
KR20210031305A (ko)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CN105252798A (zh) 薄膜挤干机
CN108759319A (zh) 一种蜗牛型旋转加压脱水机
CN113370569A (zh) 一种餐厨垃圾干湿分离机
CN113731565A (zh) 用于垃圾处理的压榨预破碎设备
KR980008124A (ko) 엽체류 압착기
KR100350701B1 (ko) 야채쓰레기탈수장치
KR100996537B1 (ko) 족답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