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745A -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 Google Patents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745A
KR20150015745A KR1020130091500A KR20130091500A KR20150015745A KR 20150015745 A KR20150015745 A KR 20150015745A KR 1020130091500 A KR1020130091500 A KR 1020130091500A KR 20130091500 A KR20130091500 A KR 20130091500A KR 20150015745 A KR20150015745 A KR 2015001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ewatering
screw
dehydrati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달은
Original Assignee
이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은 filed Critical 이달은
Priority to KR102013009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745A/ko
Publication of KR2015001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6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262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means disposed in the casing facilitating the squeezing-out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쓰레기를 탈수시키도록 이루어진 음식물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탈수용 실린더의 크기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마모로 인한 탈수용 스크류와 탈수용 실린더 사이의 간격 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탈수용 스크류를 내부에 구비하는 탈수용 실린더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실린더는 반원형태로 분할된 제1,2 탈수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는 탈수용 실린더와 탈수용 스크류 사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부에 구비된 제1,2 탈수용 실린더의 간격조절을 위한 간격조절수단으로 조절되는 한편,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 사이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틈새로부터 탈수용 실린더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Food waste Dehydrato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쓰레기를 탈수시키도록 이루어진 음식물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탈수용 실린더의 크기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마모로 인한 탈수용 스크류와 탈수용 실린더 사이의 간격 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경제적 요건이 풍족해지고 생활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들 중에는 종이나 금속 등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쓰레기들은 통상적으로 분리수거를 거친 후 재활용 및 매립 또는 소각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등은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장으로 운반하는 도중에 취출수가 배출되어 악취를 풍기고, 처리장에서 매립하는 경우에도 취출수가 매립장의 토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이 특허문헌 (KR) 등록특허 10-0649518호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 등록특허 10-0736699호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 등록특허 10-1128192호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 등록실용신안 20-0289744호인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등과 같이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사용중에 있다.
현재 사용 중에 있는 대다수의 음식물탈수기의 경우 장시간 사용할 때 마모현상으로 탈수용 실린더와 탈수용 스크류 사이의 형성되는 틈새의 크기가 커져 탈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도 2와 같이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 가능한 음식물탈수기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 가능한 음식물탈수기는 하우징(1)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탈수공(타공홀)이 형성된 탈수용 실린더(일명, '스크린'이라고도 칭함)(2)와, 상기 탈수용 실린더(2)의 내측에 구비된 탈수용 스크류(3)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용 실린더(2)의 직경(크기)을 조절하기 하고자 상기 탈수용 실린더(2)는 반원형태로 분할되어 제1 탈수용 실린더(2a)와 제2 탈수용 실린더(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탈수용 실린더(2a)와 제2 탈수용 실린더(2b)의 축방향의 각 단부에는 체결용 볼트(4b)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엔드판(2a-1, 2b-1)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판(2a-1, 2b-1)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조절용 플레이트(4a)와, 간격조절용 볼트(4b)를 이용한 간격조절수단(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 가능한 음식물탈수기는 탈수용 스크류(3)가 회전하여 탈수용 실린더(2) 내에 유입되는 음식물을 유입구 타측의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음식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탈수시킨다.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마모현상에 의하여 탈수용 실린더(2)와 탈수용 스크류(3) 사이의 틈새가 커지면서 탈수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간격조절수단(4)의 간격조절용 플레이트(4a)를 제거하여 탈수용 실린더(2)의 직경(크기)를 줄여 탈수용 실린더(2)와 탈수용 스크류(3) 사이의 틈새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경우 간격조절수단(4)이 하우징(1) 내에 위치하여, 하우징(1)을 분리하고, 하우징(1) 내의 제1 탈수용 실린더(2a)와 제2 탈수용 실린더(2b)로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2)를 분리를 한 후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플레이트(4a) 중 선택되는 수만큼 제거함으로써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탈수용 실린더(2)에 부착되어 있는 악취가 심한 이물질에 의하여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탈수를 시키고자 하는 물질이 가축들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포함하는 쓰레기인 경우에는 악취발생이 더욱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간격조절수단(4)이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 10-0649518 (KR) 등록특허 10-0736699 (KR) 등록특허 10-1128192 (KR) 등록실용신안 20-02897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외부(측)에서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모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탈수용 실린더와 탈수용 스크류 사이의 틈새 크기의 증가시 용이하게 틈새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하우징 외부(측)에서 하부에 위치한 제1 탈수용 실린더와 상부에 위치한 제2 탈수용 실린더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한편, 제1 탈수용 실린더와 제2 탈수용 실린더 사이에 간격조절을 위하여 형성되는 틈새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이물질 배출 방지수단이 구비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탈수용 스크류를 내부에 구비하는 탈수용 실린더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실린더는 반원형태로 분할된 제1,2 탈수용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는 탈수용 실린더와 탈수용 스크류 사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부에 구비된 제1,2 탈수용 실린더의 간격조절을 위한 간격조절수단으로 조절되는 한편,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 사이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틈새로부터 탈수용 실린더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제1 탈수용 실린더와 연결된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 제2 탈수용 실린더와 연결된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 상기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에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수평플레이트; 상기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 수평플레이트와 제2 수평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된 관통홀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용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플레이트는 하우징 내부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용 볼트에는 제1 수평플레이트와 제2 수평플레이트 사이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방지수단은, 제1 탈수용 실린더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막음판을 가지는 엔드부재; 제 2 탈수용 실린더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막음판과 접촉하여 슬라이드 하는 막음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는 간격조절수단이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탈수용 실린더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로 인한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탈수용 실린더의 크기를 조절하여 탈수용 실린더와 탈수용 스크류 사이의 틈새(간격)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탈수용 실린더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분리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마모현상에 의한 탈수용 실린더의 크기 조절시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가축 분뇨 등을 탈수시키는 경우에는 종래에 간격조절수단를 구비하고서도 사용하지 못했던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 중에 있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음식물탈수기의 측단면개략도.
도 2는 종래에 사용 중에 있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음식물탈수기의 부분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의 측단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의 부분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의 부분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의 측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의 측단면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축사 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포함하는 쓰레기 등과 같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쓰레기를 압착하여 탈수시키는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로 칭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용 스크류로 이동 및 압착시켜 수분을 탈수시키는 장치를 음식물탈수기라 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되는 한편, 반원형태의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로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20)와, 상기 탈수용 실린더(20) 내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장치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용 스크류(30)와,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로 이루어진 탈수용 실린더(20)의 직경(크기)을 조절하여 탈수용 실린더(20)와 탈수용 스크류(30) 사이의 틈새(간격)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0)과,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 사이로 탈수용 실린더(2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방지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탈수용 실린더(2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시 배출되는 수분을 일측으로 모아 배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형상 및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탈수용 스크류(30)은 탈수용 실린더(20) 내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의 타측으로 이동 및 가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는 일반적인 음식물탈수기에 사용되는 공지기술로서 이를 참조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탈수용 실린더(2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타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탈수공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탈수용 실린더에 나타나 있는 공지기술로서 이를 참조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탈수용 실린더(20)는 축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탈수용 실린더(2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가 접촉하는 축 방향 단부에는 탈수용 실린더(20)의 직경(크기) 조절을 위하여 형성되는 간격(틈새)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이물질)가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방지수단(5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방지수단(50)은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제1 탈수용 실린더(21)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막음판(23)을 가지는 엔드부재(22)와, 상기 제2 탈수용 실린더(25)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막음판(23)과 접촉하여 슬라이드 하는 막음가이드부재(2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출방지수단(50)은 탈수용 실린더(20)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가 간격조절수단(40)에 의하여 이동시에도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음식물 쓰레기(이물질)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은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마모현상에 의한 탈수용 실린더(20)와 탈수용 스크류(30) 틈새(각격)의 증가시 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0) 외부에서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40)은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연결되는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41)와, 상기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41)에 구비되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수평플레이트(42)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와 연결되는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42)와, 상기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45)에 구비되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수평플레이트(46)와, 상기 제1 수평플레이트(42)와 제2 수평플레이트(46)에 각각 구비된 관통홀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용 볼트(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40)은 하우징(10) 외부에 위치한 간격조절용 볼트(43)를 이용하여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탈수용 실린더(20)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간격조절수단(40)에 탄성을 가지도록 탄성부재인 스프링(4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간격조절용 볼트(43)에 탄성부재인 스프링(44)이 구비되면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탈수용 실린더(20)와 탈수용 스크류(30)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간격조절용 볼트(43)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연결되는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41)에 설치되는 제1 수평플레이트(42)를 하우징(10)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제1 수평플레이트(42)가 하우징(10)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노출로 인한 제작상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는 하우징(10) 외부에 형성된 간격조절수단(40)을 이용하여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를 이동시켜 탈수용 실린더(20)의 크기 조절이 아주 쉽고 용이함으로써 하우징(10)의 분리(분해) 등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출방지수단(50)은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의 이동시도 탈수용 실린더(2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한 간격조절수단(40)에 의하여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제2 탈수용 실린더(25)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하우징
20, 21, 25 : 탈수용 실린더
30 : 탈수용 스크류
40 : 간격조절수단
50 : 배출방지수단

Claims (4)

  1.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탈수용 스크류를 내부에 구비하는 탈수용 실린더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음식물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용 실린더(20)는 반원형태로 분할된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는 탈수용 실린더(20)와 탈수용 스크류(30) 사이의 틈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10) 외부에 구비된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의 간격조절을 위한 간격조절수단(40)으로 조절되는 한편,
    상기 제1,2 탈수용 실린더(21, 25) 사이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틈새로부터 탈수용 실린더(20) 내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은,
    제1 탈수용 실린더(21)와 연결된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41);
    제2 탈수용 실린더(25)와 연결된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42);
    상기 제1 리프트용 플레이트(41)에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수평플레이트(42);
    상기 제2 리프트용 플레이트(45)에 구비되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다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수평플레이트(46);
    상기 제1 수평플레이트(42)와 제2 수평플레이트(46)에 각각 구비된 관통홀에 설치되는 간격조절용 볼트(4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용 볼트(43)에는 제1 수평플레이트(42)와 제2 수평플레이트(46) 사이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탄성부재(4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지수단(50)은,
    제1 탈수용 실린더(21)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막음판(23)을 가지는 엔드부재(22);
    제 2 탈수용 실린더(25) 축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막음판(23)과 접촉하여 슬라이드 하는 막음가이드부재(2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KR1020130091500A 2013-08-01 2013-08-01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KR20150015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500A KR20150015745A (ko) 2013-08-01 2013-08-01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500A KR20150015745A (ko) 2013-08-01 2013-08-01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745A true KR20150015745A (ko) 2015-02-11

Family

ID=5257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500A KR20150015745A (ko) 2013-08-01 2013-08-01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7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5009A (zh) * 2015-08-14 2015-11-04 定州市四丰环保科技有限公司 螺旋挤压式固液分离机及固液分离方法
WO2020139026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기계연구원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20200139974A (ko) 2019-06-05 2020-12-15 이달은 탈수용 실린더망을 보호하는 탈수용 실린더망 완충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탈수기
KR20210031305A (ko) * 2019-09-11 2021-03-19 한국기계연구원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5009A (zh) * 2015-08-14 2015-11-04 定州市四丰环保科技有限公司 螺旋挤压式固液分离机及固液分离方法
CN105015009B (zh) * 2015-08-14 2016-08-24 定州市四丰环保科技有限公司 螺旋挤压式固液分离机及固液分离方法
WO2020139026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기계연구원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20200082419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기계연구원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처리 시스템
KR20200139974A (ko) 2019-06-05 2020-12-15 이달은 탈수용 실린더망을 보호하는 탈수용 실린더망 완충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탈수기
KR20210031305A (ko) * 2019-09-11 2021-03-19 한국기계연구원 축산분뇨 수분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5745A (ko) 탈수용 실린더와 스크류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음식물탈수기
CN201245539Y (zh) 一种压榨脱水机的压榨板块
ATE481174T1 (de) Lebensmittelabfallentsorger
KR100676511B1 (ko) 다기능 방사성폐기물 압축기
KR101174603B1 (ko) 축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20180136626A (ko) 스크류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12338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042633B1 (ko)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KR102198485B1 (ko) 탈수용 실린더망을 보호하는 탈수용 실린더망 완충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탈수기
KR101557155B1 (ko) 피스톤형 슬러지 탈수 장치
KR20190120585A (ko) 압축판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 및 고형화 장치
KR200447609Y1 (ko) 음식물 탈수장치
KR100995875B1 (ko) 팜 공정 폐수 고도물 처리장치
KR102227107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08038279U (zh) 一种螺旋式污泥脱水设备
CN211467593U (zh) 一种螺旋推进式高压固液分离机
KR101521280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이송장치
KR200382839Y1 (ko) 다기능 방사성폐기물 압축기
KR101428586B1 (ko) 여액 유출을 방지하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
KR20150015746A (ko) 이물질 걸림 방지형 탈수용 실린더를 구비한 음식물탈수기
KR101879312B1 (ko) 탈수장치
KR200436852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101453944B1 (ko)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KR101211827B1 (ko) 유압 탈수 건조장치
KR200409116Y1 (ko) 폐 음식물 처리장치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