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944B1 -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944B1
KR101453944B1 KR1020140035747A KR20140035747A KR101453944B1 KR 101453944 B1 KR101453944 B1 KR 101453944B1 KR 1020140035747 A KR1020140035747 A KR 1020140035747A KR 20140035747 A KR20140035747 A KR 20140035747A KR 101453944 B1 KR101453944 B1 KR 10145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ward
food
screw
screw shaft
out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4003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을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해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의 배출구를 상측으로 형성하여 스크류에 의한 압력을 크게 향상시켜 탈수 효율이 향상되고, 탈수된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결합하며 내경에 탈수공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대로 연결하는 탈수챔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챔버의 내경에는 스크류 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 축의 일측에서 모터의 체인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양쪽으로 투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상승 배출관의 내경에 스크류 지지대로 상승배출 스크류가 상승 모터와 연결되는 상승체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상승 배출관의 선단 하측으로 배출구로 배출된 음식물이 상승배출 스크류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상승 배출장치로 이루어지는 상승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축의 좌측에는 투입구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배출구가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져 압력이 우측으로 갈수록 향상되도록 스크류 날개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설치하는 상승 배출관이 스크류 축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Dehydration for food dehydrator rise emission system for improved efficiency}
본 발명은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을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해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의 배출구를 상측으로 형성하여 스크류에 의한 압력을 크게 향상시켜 탈수 효율이 향상되고, 탈수된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쉽게 부패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땅속에 매립하면 침출수가 발생하여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한편 폐기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즉,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로 인하여 토양과 수질오염을 초래하고, 음식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와 병해충으로 인하여 각종 전염성 질병을 유발하는 등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 수거하여 가축용 사료나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에 혼합된 각종 이물질(비닐, 나무 젓가락, 병마개 등)을 분리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한 후 스팀열기로 살균 처리하여 가축용 사료로 사용되며, 음식물에서 제거된 탈수액은 발효과정을 거쳐 퇴비용 액비로 사용된다.
종래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는 본 출원인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96783호(음식물 탈수장치)로 선등록한 바 있으며, 상기의 선행기술은 지면 위에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저면부에 집수조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챔버와, 상기 탈수챔버 안에 끼워져 프레임의 양측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체인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 축과, 상기 탈수챔버의 외부를 감싸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탈수챔버의 한쪽에 음식물이 투입되고 대향쪽으로 탈수된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구비된 투입구 및 배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 쪽에서 탈수챔버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스크류 날개를 나산형으로 형성한 스크류 축에 가압플레이트가 끼워져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스크류 축이 회전가능케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원주상으로 수개의 가이드봉과 탄성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봉은 가이드홀더에 끼워져 가압 플레이트의 이송을 안내하고, 탄성 스프링은 한쪽이 가이드홀더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체결볼트에 끼워져 지지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므로 가압 플레이트에 탄성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투입구 쪽으로 공급되는 음식물이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스크류 축의 외경으로 형성한 스크류 날개가 음식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내부에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은 탈수챔버의 탈수공을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되어 배출구 쪽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에는 수분이 거의 남지 않고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스크류 날개의 이송에 의한 음식물과 수분의 혼합으로 탈수공이 쉽게 막히게 되면서 수분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스크류 축의 우측 선단에서 원형의 배출구 간격을 조절하여 탈수된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하므로 수분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구로 배출되어 수분의 탈수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탈수캠버의 내경에서 정상적인 수분의 탈수가 이루어지 못하게 되므로 배출구 쪽으로 탈수되는 음식물의 수분함량을 줄이기 위한 시간의 지연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점과 함께, 배출된 음식물의 수분함량을 조절하기 위한 후 가공의 가공시간과 작업시간의 지연 및 처리 비용의 상승으로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20-0396783호(2006. 09. 20.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20447609호(2010. 01. 28.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649518호(2006. 11. 17.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128192호(2012. 03. 12.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탈수기의 탈수챔버 내부에 설치하는 스크류 축의 선단부에서 배출구를 상측으로 설치하여 탈수챔버 내부의 탈수 압력을 크게 향상시켜 탈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상승되는 탈수된 음식물을 상승 배출장치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에 결합하며 내경에 탈수공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대로 연결하는 탈수챔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챔버의 내경에는 스크류 날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 축의 일측에서 모터의 체인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양쪽으로 투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상승 배출관의 내경에 스크류 지지대로 상승배출 스크류가 상승 모터와 연결되는 상승체인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상승 배출관의 선단 하측으로 배출구로 배출된 음식물이 상승배출 스크류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상승 배출장치로 이루어지는 상승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축의 좌측에는 투입구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배출구가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져 압력이 우측으로 갈수록 향상되도록 스크류 날개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설치하는 상승 배출관이 스크류 축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탈수기의 탈수챔버 내부에 설치하는 스크류 축의 선단부에서 배출구를 상측으로 설치하여 탈수된 음식물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탈수챔버 내부의 탈수 압력을 크게 향상시켜 탈수챔버에서 탈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탈수챔버에서 스크류를 통하여 발생하는 내부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상승되는 탈수된 음식물을 상승 배출장치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를 설치한 탈수기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를 설치한 탈수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프레임(11)의 상측으로 설치하는 원통형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탈수챔버(12)를 설치하며, 상기 탈수챔버(12)는 지지 플레이트(1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5)를 연결대(16)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탈수챔버(12)의 지지 플레이트(15) 내경에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탈수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챔버(12)의 내경에는 가로방향으로 스크류 날개(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 축(20)을 설치하고, 도면상 상기 스크류 축(20)의 좌측에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4)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축(20)의 우측에는 배출구(18)가 상측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상승 배출장치(30)를 통하여 수분이 배출된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20)은 모터(22)를 체인(23)으로 연결하여 회전되도록 하였으며, 스크류 축(20)의 스크류 날개(21)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져 압력이 우측으로 갈수록 향상되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승 배출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20)의 우측 선단에는 차단판(19)으로 막아 음식물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측으로 배출구(18)를 형성하여 음식물이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음식물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스크류 축(20)과 스크류 날개(21)를 통하여 이송하는 압력을 크게 상승시켜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상승 배출장치(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상승 배출장치(30)는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음식물이 상승되도록 하는 배출구(18)의 상측 선단에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상승 배출장치(30)는 스크류 축(20)과 같은 방향 또는 직각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승 배출관(31)을 설치하여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상기 상승 배출관(31)의 한쪽 선단은 배출구(18)과 연결되어 음식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승 배출관(31)의 내경에는 상승배출 스크류(32)가 스크류 지지대(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32)는 일측에서 상승모터(34)와 상승 체인(35)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승 배출관(31)의 상승배출 스크류(32)의 선단에는 하측으로 상승 배출구(33)를 형성하여 탈수된 음식물을 배출하여 다음 과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물을 먹고 남은 음식물을 수거하여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금속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투입구(14)로 공급하며 모터(22)를 구동시킨다.
상기 모터(22)가 구동되면 체인(23)을 통하여 스크류 축(20)이 양쪽 선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 축(20)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외경의 스크류 날개(21)가 회전하게 되므로 투입구(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음식물은 스크류 날개(21)의 구조를 통하여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크류 날개(21)의 회전력을 통하여 우측으로 이송하는 음식물에는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탈수챔버(12)의 탈수공(13)을 통하여 외측으로 탈수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날개(21)의 회전력으로 이송하는 음식물에는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송하는 압력을 통하여 탈수공(13)으로 수분이 서서히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류 축(20)과 스크류 날개(21)의 회전을 통하여 음식물을 우측으로 계속해서 공급하게 되므로 탈수챔버(12)의 내부에는 압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며, 상기 압력의 증가로 인하여 탈수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분이 탈수되는 음식물은 스크류 축(20)의 우측 선단에서 차단판(19)이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압력이 서서히 상승됨에 따라서 하측으로 배출구(18)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승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배출구(18)를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배출구(18)를 따라서 서서히 상승하는 음식물은 상측의 상승배출 스크류(32)에 이르게 될 때 상승 배출장치(30)를 통하여 상승 배출구(33)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8)에 음식물이 정체되면서 탈수챔버(12)의 내부는 스크류 축(20)과 스크류 날개(21)를 통하여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탈수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내부의 압력으로 음식물이 배출구(18)로 상승되어 상승 배출장치(30)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승 배출장치(30)로 이송된 음식물은 수분이 충분하게 탈수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며, 상승 모터(34)의 동력이 상승체인(35)을 통하여 상승배출 스크류(32)를 회전시키게 되면서 상승배출 스크류(32)가 배출구(18)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이송시켜 상승 배출구(33)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구(18)를 상측으로 설치하여 음식물의 공급압력을 상승시켜 탈수효율을 높이게 되므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충분하게 탈수시켜 배출함으로써 다음 과정에서 작업시간과 비용을 줄여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승 배출장치(30)를 통하여 상승된 음식물의 배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승 배출관(31)을 스크류 축(20)의 설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90도 꺾이거나 필요한 방향과 위치로 배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류 축의 선단에 상측으로 배출구를 형성하여 탈수챔버의 압력을 상승시켜 탈수압력의 상승에 따른 탈수효과를 향상시키며, 상승 배출장치를 통하여 상승된 음식물을 원하는 방향과 위치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탈수기 11 : 프레임
12 : 탈수챔버 13 : 탈수공
14 : 투입구 15 : 지지 플레이트
16 : 연결대 17 : 배출 제어판
18 : 배출구 19 : 차단판
20 : 스크류 축 21 : 스크류 날개
30 : 상승 배출장치 31 : 상승 배출관
32 : 상승배출 스크류 33 : 상승 배출구
34 : 상승 모터 35 : 상승체인
36 : 스크류 지지대

Claims (4)

  1. 프레임(11)에 결합하며 내경에 탈수공(13)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는 지지 플레이트(15)를 연결대(16)로 연결하는 탈수챔버(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수챔버(12)의 내경에는 스크류 날개(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 축(20)의 일측에서 모터(22)의 체인(23)으로 동력을 연결하여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 축(20)의 양쪽으로 투입구(14)와 배출구(18)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18)와 연결되는 상승 배출관(31)의 내경에 스크류 지지대(36)로 상승배출 스크류(32)가 상승 모터(24)와 연결되는 상승체인(35)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상승 배출관(31)의 선단 하측으로 배출구(18)로 배출된 음식물이 상승배출 스크류(32)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상승 배출장치(30)로 이루어지는 상승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축(20)의 좌측에는 투입구(14)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배출구(18)가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져 압력이 우측으로 갈수록 향상되도록 스크류 날개(21)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구(18)의 상측에 설치하는 상승 배출관(31)이 스크류 축(20)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35747A 2014-03-27 2014-03-27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KR10145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747A KR101453944B1 (ko) 2014-03-27 2014-03-27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747A KR101453944B1 (ko) 2014-03-27 2014-03-27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944B1 true KR101453944B1 (ko) 2014-10-23

Family

ID=5199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747A KR101453944B1 (ko) 2014-03-27 2014-03-27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15B1 (ko) 2021-01-27 2021-09-17 김태영 배출압력 조절형 음식물 탈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516B1 (ko) * 2003-06-24 2005-01-17 (주)홍우엔지니어링 스크류식 탈수장치
KR100720174B1 (ko) * 2005-11-22 2007-05-23 오인숙 하수 슬러지용 탈수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516B1 (ko) * 2003-06-24 2005-01-17 (주)홍우엔지니어링 스크류식 탈수장치
KR100720174B1 (ko) * 2005-11-22 2007-05-23 오인숙 하수 슬러지용 탈수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15B1 (ko) 2021-01-27 2021-09-17 김태영 배출압력 조절형 음식물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711B2 (en) Screw press dewatering device using shearing blade
CN103768848B (zh) 一种圆筒条式固液分离机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CN205046638U (zh) 餐厨垃圾处理装置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5435914A (zh) 一种回收型智能厨余垃圾处理装置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651280B1 (ko) 슬러지 균등 공급장치
KR101453944B1 (ko) 음식물 탈수기용 탈수효율 향상을 위한 상승 배출장치
KR20160091655A (ko)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484850Y1 (ko)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96783Y1 (ko) 음식물 탈수장치
CN205668991U (zh) 一种多功能压滤机
CN105948430B (zh) 一种用于污泥处理的污泥粉碎传输装置
CN202968346U (zh) 一种传导管式污泥干化机
KR200447609Y1 (ko) 음식물 탈수장치
CN202606482U (zh) 一种餐厨垃圾生化处理装置
KR20150126149A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4544951U (zh) 垃圾一体式处理设备
CN207877554U (zh) 一种污泥减压脱水干燥装置
KR201700292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03140412U (zh) 一种一体化餐厨垃圾处理设备
CN209178227U (zh) 一种用于污泥干化仓内匀料绞龙装置
CN113101728A (zh) 一种餐厨垃圾分离装置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