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633B1 -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633B1
KR101042633B1 KR1020080058775A KR20080058775A KR101042633B1 KR 101042633 B1 KR101042633 B1 KR 101042633B1 KR 1020080058775 A KR1020080058775 A KR 1020080058775A KR 20080058775 A KR20080058775 A KR 20080058775A KR 101042633 B1 KR101042633 B1 KR 10104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mpression
cylinder
water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679A (ko
Inventor
강춘두
Original Assignee
강춘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두 filed Critical 강춘두
Priority to KR102008005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6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62Pressuriz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를 이용한 진동압착(振動壓搾)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의 탈수처리를 극대화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파쇄·선별공정으로 이물질이 분리된 유기성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을 위해, 그 음식물쓰레기를 다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고도 상술한 압착공정시 탈수된 수분과 염분만이 외부로 유도배출 가능토록 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 내에 담긴 음식물을 진동압착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의 탈수를 이루도록 된 압착수단과; 상기 탈수드럼을 통해 유도배출된 수분과 염분이 정화조와 같은 지정경로로의 일괄 배수공정을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 및 배출공정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탈수드럼 및 압착수단 그리고 배출수단을 상,하 일렬로 견인설치토록 하는 프레임체와;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과 배출수단의 장치작동에 필요한 유압유의 공급을 위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진동압착, 압축플레이트, 탈수드럼, 압축통,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VIBRATION EXPELLER FOR FOOD TRASH}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를 이용한 진동압착(振動壓搾)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의 탈수처리를 극대화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전국적으로 하루에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는 무려 8t트럭 1,880대 분인 15,075t으로 전체 생활쓰레기 발생량의 31.6%에 해당한다. 성상(性狀) 분포별로 따져보면, 채소류(菜蔬類)가 전체의 53.1%에 해당하고, 육류(肉類) 및 어패류(魚貝類)가 18.6%에 해당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유기성(有機性) 물질이기 때문에 실온에서 쉽게 부패함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게 마련이다. 반면, 영양소가 충분하여 과다한 염분(鹽分, Salinity) 농도 문제의 해소 및 매운맛과 같은 향신료 등을 제거한다면 퇴비(堆肥, Compost)나 사료(飼料, Feed)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써 얼마든지 재활용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양질의 퇴비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의 발생 및 수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혼입된 이물질의 선별과정을 통해 분리하게 되는바, 1차 파쇄 및 선별공정에서 드럼스크린을 이용하여 분리한 음식물쓰레기에는 대략 20-30%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닐과 같은 플라스틱류와 뼈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타 유리류, 섬유류, 목재류, 종이류, 금속류 등등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에는 여러 가지 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각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지금까지 대부분의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공정에서는 1차 파쇄·선별공정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자연 탈수시켜 그대로 매립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 탈수된 이물질에는 상당량의 유기물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매립시 악취와 침출수가 방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분리된 이물질을 소각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발열량이 떨어져 소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공정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탈수한 후 소각 처리하는 방안이 일부 제안되고 있으나, 진공여과기, 원심분리기 등 종래의 탈수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과일, 무우, 뼈류 등 큰 덩어리의 이물질을 완전히 압착할 수 없어 함수율(含水率)을 50%이하로 낮추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과부하로 인한 탈수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특히, 원심분리방식에 의한 탈수장치는 겉면에 묻어있는 수분탈수에 어느 정 도 효율성이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 내부에 함유된 수분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탈수 처리 후 고착(固着)된 이물질의 제거공정이 더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2981호에서는,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을 압착탈수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용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압착 탈수하도록 하는 통상의 압착탈수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에 있어서, 프레임(9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압착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910)와; 상기 실린더(910)의 동력에 의해 상,하 작동되며, 다수의 탈수구멍(921)이 천공 설치된 압착피스톤(920)과; 상기 압착피스톤(920)이 내부에서 상,하 작동되도록 하고, 내부 측벽에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통(931)이 수납된 탈수실린더(930)와; 상기 탈수실린더(930)의 상부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고 일측은 힌지부(941)로 고정되며 타측은 조임나사(942)에 의해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한 상부뚜껑(940)과; 상기 탈수실린더(9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탈수된 수분이 압착피스톤(920)의 탈수구멍(92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부(950);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부뚜껑(940)을 오픈시킨 다음 음식물쓰레기를 채워 넣고 닫은 후 조임나사(942)를 조여 탈수실린더(930)의 입구 측이 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한 실린더(910)의 압착피스톤(920)을 상승시켜 내부에 담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수분이 탈수구멍(921)으로 빠져나와 배수부(96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실린더(910)를 통하여 압착피스톤(920)을 상승시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시키는 그 작용이 음식물쓰레기의 하중과 역행하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910)에 상당한 부하가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한 전력 소비율이 심화 및 수분과 염분의 효과적 탈수처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을 탈수 및 배수시키기 위한 탈수구멍(921)이 상기의 압착피스톤(920)에만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뚜껑(940)과 근접한 음식물쓰레기의 내부 수분 탈수가 완전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더불어, 하에서 상측으로 수직 작용하는 상기 압착피스톤(920)이 결합된 실린더(910)의 구조상 과다한 하중의 음식물쓰레기를 상승 프레싱(가압) 함에 불가능하여, 세대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음식물찌꺼기 탈수용도로의 소형크기로 제작할 수밖에 없어, 지역별로 수거하여 단번에 대량으로 처리하게 되는 처리기관 내의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로써는 적합하지 못한 사용상 제한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실린더로부터 전해진 진동을 수반한 상태로 하방으로 작동하는 압축플레이트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력 증대 및 그에 따른 음식물찌꺼기의 체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착공정을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하도록 된 탈수드럼을 원통형의 외통과 그 내부에 수용되는 반원통형으로 된 복수의 제1,2압축통을 중복시킨 이중구조로 이룸으로써, 다량의 음식물쓰레기 압착공정을 제1,2압축통을 통해 번갈아가며 계속적 실시가 가능케 하면서도 탈수된 수분과 염분의 유도배출이 용이토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는, 1차 파쇄·선별공정으로 이물질이 분리된 유기성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을 위해, 그 음식물쓰레기를 다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고도 상술한 압착공정시 탈수된 수분과 염분만이 외부로 유도배출 가능토록 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 내에 담긴 음식물을 진동압착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의 탈수를 이루도록 된 압착수단과; 상기 탈수드럼을 통해 유도배출된 수분과 염분이 정화조와 같은 지정경로로의 일괄 배수공정을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 및 배출공정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탈수드럼 및 압착수단 그리고 배출수단을 상,하 일렬로 견인설치토록 하는 프레임체와;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과 배출수단의 장치작동에 필요한 유압유의 공급을 위하는 유체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염분(염화 나트륨 등)을 탈수하는 압착공정에 있어, 상에서 하로 작동하는 압착플레이트가 진동을 수반토록 함으로써, 강,약 조절에 의한 프레싱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압축률을 향상시켜 섬유질형태로 되는 잔재물(음식물찌꺼기)의 체적률 향상 및 함수율을 극소화하여 양질의 퇴비 및 사료 등의 재활용 자원으로의 활용성 증대와 더불어 매립시의 환경오염요인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복수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2압축통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을 중지시키지 않고 번갈아가며 계속적인 교대실시가 가능함에 따라,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모든 공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있어서, 탈수드럼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있어서, 압착수단과 제1,2압축통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A)는, 1차 파쇄·선별공정으로 이물질이 분리된 유기성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을 위해 그 음식물쓰레기를 다량으로 담아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상술한 압착공정시 탈수된 수분과 염분만이 외부로 유도배출 가능토록 된 탈수드럼(1)과, 상기 탈수드럼(1) 내에 담긴 음식물을 진동압착(振動壓搾)시켜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의 탈수를 이루게 한 압착수단(2)과, 상기 탈수드럼(1)을 통해 유도배출된 수분과 염분이 정화조와 같은 지정경로로의 일괄 배수공정을 위한 배출수단(3)과,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 및 배출공정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탈수드럼(1) 및 압착수단(2) 그리고 배출수단(3)을 상,하 일렬로 견인설치하도록 된 프레임체(4)와, 상기 압착수단(2)과 배출수단(3)의 장치작동에 필요한 유압유의 공급을 위하는 유체공급수단(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탈수드럼(1)은, 1차 파쇄·선별공정을 통해 이물질이 분리된 유기성(有機性) 음식물찌꺼기의 압착공정을 목적으로 내부에 담아 저장함과 함께 압착공정에 의해 탈수된 수분과 염분의 외부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음식물쓰레기를 단번에 처리하기에 용이한 대용량의 드럼형 외통(11)과, 상기 외통(11) 내에 이중구조로 수용결합되되, 음식물쓰레기의 탈수공정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실시함에 가능토록 복수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반원통형의 제1압축통(12-1) 및 제2압축통(12-2)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외통(11) 및 제1,2압축통(12-1)(12-2) 각각의 상,하단이 관통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외통(11)은, 상기 제1,2압축통(12-1)(12-2) 내에서 상기 압착수단(2)에 의한 체적(體積, volume / 볼륨)의 감소로 탈수된 수분이나 염분이 상기 배출수단(3)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압축통(12-1)(12-2) 수용에 따른 이중구조로 수분이나 염분의 배출을 유도 가능한 제1배수로(11a)가 상기 외통(11)과 상지 제1,2압축통(12-1)(12-2)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2압축통(12-1)(12-2)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제1압축통(12-1) 또는 제2압축통(12-2)으로부터 별개로 탈수된 수분이나 염분이 타 압축통에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획격리판(111)이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등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통(11)의 내경면 상끝단 둘레 전체에는, 상기 제1,2압축통(12-1)(12-2)의 외경면 상끝단이 걸림될 수 있는 거치테두리(112)가 소정크기 내향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2압축통(12-1)(12-2)은, 유기성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하여 압착공정을 목적으로 상기 압착수단(2)을 이용한 프레싱(압착)을 통해 수분이나 염분 을 분리 탈수시켜 섬유질의 잔재물(음식물찌꺼기)형태로 가공처리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수직으로 등분한 형태의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게 상,하단이 관통된 수용부(12a)가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2압축통(12-1)(12-2) 각각의 평탄 외단부를 밀접 접합시켜 일체형을 이루도록 하면서도 유격틈(12b)이 마련되도록 중심관(121)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격틈(12b) 사이에 상기한 구획격리판(111)이 위치하여 상기한 제1,2압축통(12-1)(12-2)의 평탄 외단부를 구획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압축통(12-1)(12-2) 각각의 외경면 상끝단 둘레 전체에는 상기 외통(11)의 거치테두리(112) 상에 올려 지지되는 안착테두리(12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안착테두리(122)와 대향하는 외경면 하끝단에는 상기 외통(11)의 내경면에 밀접하도록 돌출되는 유동방지테두리(123)가 형성되며, 호형부의 내경면 양측에는 상기 압착수단(2)의 승강안내를 위한 수직형 가이드레일(124)이 수직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2압축통(12-1)(12-2) 전체에는, 압착공정을 통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나 염분의 배출을 위한 통공(125)이 균일간격마다 고른 분포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수단(2)은, 상기 탈수드럼(1) 내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수분이나 염분을 분리하는 압착공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압축통(12-1)(12-2) 내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축플레이트(21)와, 상기 압축플레이트(21)의 상, 하 이송작용을 위한 실린더로드(221)가 하방을 향하도록 된 가압실린더(22)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플레이트(21)는, 상기 제1,2압축통(12-1)(12-2) 각각의 내경면 전체에 밀착 상태로 긴밀(緊密)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반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호형 테두리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기 제1,2압축통(12-1)(12-2)의 가이드레일(125)에 끼움 상태로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수단(3)은, 상기 제1,2압축통(12-1)(12-2) 외부로 탈수되는 수분이나 염분의 유도배수 및 압착공정으로 체적이 감소한 섬유질형태의 음식물찌꺼기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탈수드럼(1)의 제1,2압축통(12-1)(12-2) 내로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가능토록 상기 외통(11)의 하단을 밀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단면 전체에 탈수된 수분이나 염분만을 직접 배출시키기 위한 또 다른 통공(31a) 일정간격마다 다수개가 관통형성된 복수의 개폐덮개(31)와, 상기 개폐덮개(31)를 통해 배출된 수분이나 염분을 정화조와 같은 지정경로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덮개(31)의 하측 외면부에 장착된 배수호스(32)와, 수분과 염분의 탈수로 체적이 감소한 섬유질형태의 음식물찌꺼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끄집어낼 수 있게 상기 개폐덮개(31)를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실린더(33)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개폐덮개(31)를 상기한 외통(11) 하단에 힌지조립하기 위한 경첩(311)이 더 구비결합된다.
한편, 상기 개폐덮개(31)의 내부에는, 상기 압착수단(2)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시 탈수된 수분과 염분의 유도 배출을 위한 제2배수로(31b)가 마련된 다.
프레임체(4)는, 상기 압착수단(2)을 이용한 상기 탈수드럼(1) 내에서의 음식물쓰레기 압착공정 및 상기 배출수단(3)을 통한 수분이나 염분의 배수공정이 원활하도록 그들을 상,하로 순차 배열설치를 위한 것으로, 장치의 전체적 골조를 이루게 되는 외부지지프레임(41)과, 상기 외부지지프레임(41) 내측에 더 구조화되어 상기 탈수드럼(1)과 압착수단(2) 및 배수수단(3)이 상,하 매달림 설치상태를 유지케 하기 위한 견인프레임(42)으로 구성된다.
유체공급수단(5)은, 상기 압착수단(2)의 가압실린더(22)와 상기 배출수단(3)의 개폐실린더(33) 작동을 위한 유압유를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유가 저장된 유압탱크(51)와, 상기 유압탱크(51) 내의 유압유를 끌어내기 위한 유압펌프(52)와, 상기 유압펌프(52)에 의해 흐름되는 유압유를 상기 가압실린더(22)와 개폐실린더(33) 내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흐름관(5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흐름관(53) 내에서 흐름되는 유압유의 지속적 압력조절을 통한 상기 가압실린더(22) 실린더로드(221)의 진동유발로 상기 압착플레이트(21)가 진동을 수반한 채로 하강토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최대한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531)와, 상기 개폐실린더(33) 작동을 위한 유압유의 공급과 차단을 컨트롤하게 된 유입제어밸브(5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531)는, 유체(流體)의 압력·온도·유량(流量)·유로(流路) 따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통상의 자동제어밸브(自動制御valve)임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모든 공정단계 중, 1차 파쇄·선별공정을 통한 이물질의 분리공정을 끝마친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된 상기 탈수드럼(1)의 제1압축통(12-1) 수용부(12a) 내로 적당량을 투입한다. 이때, 상기 배출수단(3)의 개폐덮개(31)들은 상기 탈수드럼(1)의 외통(11)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상기 수용부(12a) 내에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유압펌프(52)를 작동시켜 상기 유압탱크(51) 내에 저장된 유압유를 배출시켜 상기 제1압축통(12-1) 상에 위치한 압착수단(2)의 가압실린더(22)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실린더(22)의 실린더로드(221)가 유압유의 공급에 의해 하방향으로 밀려나는 작동으로써 그의 하 끝단에 일체로 결합된 압축플레이트(21)가 상기 제1압축통(12-1) 내에 담긴 음식물쓰레기를 서서히 프레싱(Pressing)하는 1차 압착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가압실린더(22)에 도달하기 이전 유체흐름관(53)에 장착된 압력조절밸브(531)에 의해 유압유의 공급 압력 편차가 자동적이고도 반복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로드(221)가 진동을 수반한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이로써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프레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관계에 따라, 상기 제1압축통(12-1) 내에 담긴 음식물쓰레기의 체적이 감소되기 시작하면, 내부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이 그 내압을 이기지 못하고 탈수된다.
그 다음, 상기 제1압축통(12-1)의 통공(125)들과 상기 개폐덮개(31) 상의 통공(31a)들을 통하여 상기 외통(11)과 제1압축통(12-1) 사이의 제1배수로(11a)및 상기 배출수단(3) 내의 제2배수로(31b)를 지나 수분과 염분이 유도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배수호스(32)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압축통(12-1)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나 염분이 상기 외통(11)의 구획격리판(111)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기 제2압축통(12-2)의 통공(125)을 통해서 그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한 음식물쓰레기의 1차 압착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유체흐름관(53)에 장착된 유입제어밸브(532)를 조작하여 상기 배출수단(3)의 개폐덮개(31) 중 상기 제1압축통(12-1) 하단을 폐쇄하고 있는 상기 개폐덮개(31)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실린더(33) 내로 공급되고 있는 유압유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상기 개폐덮개(31)를 개방하는 것으로, 수분과 염분의 탈수로 체적이 감소한 섬유질형태의 음식물찌꺼기를 간단히 끄집어내 외부로 배출함이 가능하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통(12-1) 내에서 상기한 압착수단(2)에 의해 압착공정이 진행되는 과정 중, 상기 제2압축통(12-2)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추가로 담아 2차 압착공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상기 제1,2압축통(12-1)(12-2)에 번갈아가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 저장하는 방식을 통해 압착공정을 교대로 끊임없이 실시함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많은 량의 음식물쓰레기 압착공정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있어서, 탈수드럼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에 있어서, 압착수단과 제1,2압축통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탈수처리장치, 1 : 탈수드럼, 2 : 압착수단
3 : 배출수단, 4 : 프레임체, 5 : 유체공급수단
11 : 외통, 11a : 제1배수로, 12-1 : 제1압축통
12-2 : 제2압축통, 12a : 수용부, 12b : 유격틈
21 : 압축플레이트, 22 : 가압실린더, 31 : 개폐덮개
31a, 125 : 통공, 31b : 제2배수로, 32 : 배수호스
33 : 개폐실린더, 41 : 외부지지프레임, 42 : 견인프레임
51 : 유압탱크, 52 : 유압펌프, 53 : 유체흐름관
111 : 구획격리판, 112 : 거치테두리, 121 : 중심관
122 : 안착테두리, 123 : 유동방지테두리, 124 : 가이드레일
211 : 가이드홈, 221 : 실린더로드, 311 : 경첩
531 : 압력조절밸브, 532 : 유입제어밸브

Claims (9)

  1. 파쇄·선별공정으로 이물질이 분리된 유기성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할 수 있고, 압착공정으로 탈수된 수분과 염분만이 외부로 유도배출 가능토록 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의 상측에 견인설치된 상태로, 상기 탈수드럼 내에 담긴 음식물을 진동압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염분이 탈수되도록 한 압착수단과; 상기 탈수드럼의 하측에 개폐 가능케 설치된 채로, 상기 탈수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수분과 염분은 정화조로 일괄 배수하고 수분과 염분의 탈수된 섬유질형태의 음식물찌꺼기는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탈수드럼 및 상기 압착수단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의 상,하 일렬식 견인설치를 위한 프레임체와;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유압유를 공급하게 된 유체공급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탈수드럼은, 다량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용이한 대용량의 드럼형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이중구조로 수용되는 한편 음식물쓰레기의 탈수공정을 교대로 실시함이 가능토록 제1압축통 및 제2압축통을 함께 구비하고,
    상기 외통에는, 상기 제1,2압축통의 수용결합에 의해 수분이나 염분의 유도배출을 위한 제1배수로가 내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상기 제1,2압축통 사이를 구획하도록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제1압축통 또는 제2압축통 각각으로부터 탈수된 수분이나 염분이 타 압축통으로 흘러들지 않게 하기 위한 구획격리판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축통은, 원통형을 수직으로 등분한 형태의 반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음식물쓰레기를 담거나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하단이 관통된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2압축통 상호 간의 평탄 외단부를 밀접 접합시켜 일체형을 이루면서도 상기 구획격리판이 위치할 수 있게 유격틈이 마련되도록 중심관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결합되며,
    상기 제1,2압축통 전체에는 수분이나 염분의 배출을 위한 통공이 균일간격마다 다수개가 고른 분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1,2압축통 내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압축플레이트와, 상기 압축플레이트의 상,하 승강작용을 위한 실린더로드가 하방을 향하는 가압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압축플레이트는, 상기 제1,2압축통 각각의 내경면 전체에 밀착 상태로 긴밀한 상,하 이동이 가능토록 반원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제1,2압축통 내로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저장토록 상기 외통의 하단을 밀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단면 전체에 탈수된 수분이나 염분만을 직접 배출시키기 위한 또 다른 통공이 일정간격마다 다수개가 관통형성된 복수의 개폐덮개와,
    상기 개폐덮개를 통해 배출된 수분이나 염분을 정화조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덮개의 하측 외면부에 장착된 배수호스와,
    압착공정에 의해 수분과 염분의 탈수로 체적이 감소한 섬유질형태의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탈수드럼 외부로 용이하게 끄집어낼 수 있게 상기 개폐덮개를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실린더와,
    상기 개폐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는 상기 개폐덮개를 상기 외통 하단에 힌지조립하기 위한 경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압착공정시 탈수된 수분과 염분의 유도 배출을 위한 제2배수로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유압유가 저장된 유압탱크와,
    상기 유압탱크 내의 유압유를 끌어내기 위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흐름되는 유압유를 상기 가압실린더 및 상기 개폐실린더 내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흐름관과,
    상기 유체흐름관 내에서 흐름되는 유압유의 압력조절을 통한 상기 가압실린더 실린더로드의 진동유발로, 상기 압축플레이트가 진동을 수반한 채로 하강토록 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개폐실린더 작동을 위한 유압유의 공급과 차단을 컨트롤하게 된 유입제어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9. 삭제
KR1020080058775A 2008-06-23 2008-06-23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KR10104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75A KR101042633B1 (ko) 2008-06-23 2008-06-23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775A KR101042633B1 (ko) 2008-06-23 2008-06-23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679A KR20090132679A (ko) 2009-12-31
KR101042633B1 true KR101042633B1 (ko) 2011-06-20

Family

ID=4169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775A KR101042633B1 (ko) 2008-06-23 2008-06-23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6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99B1 (ko) * 2012-12-11 2014-11-03 강순택 천일염 탈수장치
KR102033658B1 (ko) *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49B1 (ko) * 2014-08-01 2015-04-22 주식회사 가온텍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CN112781326B (zh) * 2020-12-29 2023-01-10 贵州博菲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固废处理的固液分离装置
CN113976587A (zh) * 2021-10-27 2022-01-28 王四保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158A (ko) * 1997-05-21 1998-12-05 권종흡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0315604B1 (ko) * 2000-05-10 2001-12-22 유영만 유기성 쓰레기의 고속 소멸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158A (ko) * 1997-05-21 1998-12-05 권종흡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0315604B1 (ko) * 2000-05-10 2001-12-22 유영만 유기성 쓰레기의 고속 소멸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99B1 (ko) * 2012-12-11 2014-11-03 강순택 천일염 탈수장치
KR102033658B1 (ko) *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679A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633B1 (ko) 음식물쓰레기용 진동압착기
CN210030488U (zh) 一种新型餐厨垃圾降解设备
KR1012338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13443931A (zh) 一种用于餐厨垃圾处理的有机堆肥一体机
CN109701993A (zh) 一种果蔬垃圾除杂脱水工艺
CN106957184B (zh) 一种节能环保的垃圾就地处理系统
CN203864048U (zh) 水泥窑协同处理城镇生活垃圾用静态液压脱水机
CN216397497U (zh) 一种餐余垃圾处理回收装置
CN213050775U (zh) 一种餐厨垃圾分类处理装置
KR101224425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6783Y1 (ko) 음식물 탈수장치
CN215823904U (zh) 一种用于高原城乡环保工程的生活垃圾处理设备
CN211195025U (zh) 一种厨余垃圾处理系统
KR10194937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집탱크와 직결된 펌핑장치
KR101292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113400705A (zh) 一种卧式双液压缸压榨机以及液压强力压榨方法
KR100326427B1 (ko) 가정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장치
KR200422461Y1 (ko) 식품폐기물 탈수장치
CN212884108U (zh) 一种集装箱式餐厨垃圾处理装置
CN217550723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CN110937775A (zh) 一种污泥回收装置
CN218023419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处理装置
CN110743894A (zh) 一种餐厨废弃油脂自动除杂制浆装置及其处理工艺
KR200290660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장치
CN216679509U (zh) 一种用于垃圾压缩脱水粉碎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