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12B1 -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12B1
KR101879312B1 KR1020160144861A KR20160144861A KR101879312B1 KR 101879312 B1 KR101879312 B1 KR 101879312B1 KR 1020160144861 A KR1020160144861 A KR 1020160144861A KR 20160144861 A KR20160144861 A KR 20160144861A KR 101879312 B1 KR101879312 B1 KR 10187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sludge
base frame
dewatering tank
squ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943A (ko
Inventor
조명률
Original Assignee
조명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률 filed Critical 조명률
Priority to KR102016014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64Chamber-plate presses, i.e. th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clamped between two successive filtering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3Underpressure,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개시는 간단한 구조 이루어져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진공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슬러지 흡입관이 구비된 탈수탱크와, 탈수탱크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해치와, 제1 해치에 설치된 가압실린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어 슬러지 흡입관을 통해 탈수탱크의 내부로 흡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 여과판과, 압착 여과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해치에 설치되어 압착 여과판에 의해 압착되는 슬러지를 지지하는 지지 여과판과,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되어,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 또는 지지 여과판의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해치 각각의 외측면 하부 소정 위치에는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탈수장치{dehydrating device}
본 개시는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오니(汚泥)라고도 하며, 하수 혹은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장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말한다.
통상 이러한 슬러지는 약 50%의 유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초 침전 슬러지의 함수율은 96~98%이고, 활성 슬러지는 99~99.5%로 함수율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처리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탈수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혐기처리에 의해 슬러지를 안정화한 다음 탈수하여 매립하는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으며, 슬러지의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기계적인 탈수 후 소각하는 방법이 취해고 있다.
기계적인 탈수는 필터프레스 방식과, 원심분리기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필터프레스 방식은 여과판을 여러장으로 배열 형성한 후,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에 슬러지를 가두고 여과판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짜내고, 다시 여과판을 이동시키면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대형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유지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필터프레스 방식은 강, 하천, 처수지 등에 퇴적된 슬러지를 펌핑하여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는 것은 구조상 불가능할 뿐 아니라,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현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원심분리기는 기름과 물을 분리하는데에는 적합한 기술이나, 원심분리기의 특성상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는데에는 기술적인 단점이 있으며, 대용량을 처리하는데에는 많은 설비 투자비용이 소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7939(2011.10.28)
본 개시는 간단한 구조 이루어져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탈수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진공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슬러지 흡입관이 구비된 탈수탱크와, 탈수탱크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해치와, 제1 해치에 설치된 가압실린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어 슬러지 흡입관을 통해 탈수탱크의 내부로 흡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 여과판과, 압착 여과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해치에 설치되어 압착 여과판에 의해 압착되는 슬러지를 지지하는 지지 여과판과,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되어,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 또는 지지 여과판의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해치 각각의 외측면 하부 소정 위치에는 압착 여과판과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관과 슬러지 흡입관의 내부에는 진공관과 슬러지 흡입관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 이루어져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탈수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탈수탱크(120), 제1 및 제2 해치(140, 150), 압착 여과판(160), 지지 여과판(170), 슬러지 누출방지부(18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는 지면 또는 차량에 설치된다.
탈수탱크(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탈수탱크(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틸팅될 수 있게 하부 일측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외주면 중심부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12)에 결합된다.
또한, 탈수탱크(120)의 하부 일측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이동프레임(114)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이동프레임(114)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마련된 이동실린더(11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된다.
탈수탱크(12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다.
진공관(122)은 탈수탱크(1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진공부(210)와 연결되어 탈수탱크(12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한다.
제1 및 제2 해치(140, 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탱크(12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126)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 해치(140, 150)는 각각 탈수탱크(12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128)의 타단에 외주면 소정 위치가 힌지결합되는데, 이는 제1 및 제2 해치(140, 15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제1 및 제2 해치(140, 150) 각각의 외측면 하부 소정 위치에는 밸브(142, 152)가 구비된다.
밸브(142, 152)는 슬러지 흡입관(124)을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에 의해 압착될 때 발생되는 수분이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볼 밸브가 사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폐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의 내부에는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을 개폐하는 개폐부(130)가 각각 설치된다.
개폐부(130)는 일단이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의 내주면 상부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132)와, 실린더(132)의 단부에 중심부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이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의 내주면 하부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13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개폐부(1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에 의해 압착될 때 압착되는 슬러지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슬러지 흡입관(124)에 설치된 개폐부(130)는 슬러지가 슬러지 흡입관(124)을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될 때 슬러지가 개폐판(134)에 먼저 부딪힌 후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슬러지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될 때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은 슬러지 흡입관(124)을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를 압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한다.
압착 여과판(160)은 제1 해치(140)에 설치된 가압실린더(144)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어 탈수탱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된 슬러지를 압착하고, 지지 여과판(170)은 압착 여과판(160)과 마주보도록 제2 해치(150)에 설치되어 압착 여과판(160)에 의해 압착되는 슬러지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여과포(162, 172), 제2 여과포(164, 174), 메쉬망(166, 17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또한,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이 탈수탱크(1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해치(140, 15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의 유지 및 보수시 작업자가 탈수탱크(120)에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해치(140, 150)를 탈수탱크(120)의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작업자가 탈수탱크(120)의 외부에서 압착 및 지지 여과판(160, 170)을 유지 및 보수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슬러지 누출방지부(180)는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각각의 외주면과 탈수탱크(1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의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는 슬러지 누출방지부(180)는 보디(181), 복수개의 실린더(182), 지지판(183), 가스켓(184), 스프링(S)으로 구성된다.
보디(181)는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된다.
또한, 보디(181)에는 복수개의 배출홀(H)이 형성되는데, 이 배출홀(H)은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보디(181)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제1 및 제2 해치(140, 150)에 구비된 밸브(142, 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디(181)의 일측에는 커버플레이트(185)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보디(181)에 형성된 제1 공간부(181a)의 일측은 커버플레이트(185)가 보디(181)에 결합될 때 폐쇄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제1 공간부(181a)의 일측이 커버플레이트(185)에 의해 폐쇄될 수 있게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공간부(181a)에 삽입되는 가스켓(184)을 훨씬 더 수월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실린더(182)는 보디(181)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실린더(182)는 제1 및 제2 해치(140, 150)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될 때 가스켓(184)을 보디(181)의 중심을 향해 당김으로써 슬러지 누출방지부(180)가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복수개의 실린더(182)는 가스켓(184)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탈수탱크(1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슬러지 누출방지부(180)가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무부하 상태가 된다.
지지판(183)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보디(181)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보디(181)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 공간부(181a)의 저면에 위치된다.
지지판(183)은 4개로 분할되어 제1 공간부(181a)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제1 공간부(181a)에 삽입되는데, 각각의 중심부는 복수개의 실린더(182)에 구비된 실린더로드(182a)의 단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디(181)를 사분면(四分面)으로 분할하였을 때, 4개로 분할된 각각의 단위 지지판(183)은 각각 제1 사분면, 제2 사분면, 제3 사분면, 제4 사분면에 위치되도록 제1 공간부(181a)에 삽입되어 각각의 중심부가 복수개의 실린더(182)에 구비된 실린더로드(182a)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판(183)을 4개로 분할시켜 제1 공간부(181a)에 저면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금속재질인 지지판(183)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탈수탱크(120)의 내주면을 향해 탄성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스켓(184)은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공간부(181a)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주면이 지지판(183)의 외주면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된다.
체결구는 가스켓(184)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너트(N)와, 지지판(183)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홀(183a)을 관통하여 너트(N)와 결합되는 볼트(B)로 이루어진다.
스프링(S)은 가스켓(184)이 탈수탱크(1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제1 공간부(181a)와 연통되도록 보디(181)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공간부(181b)에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S)의 일단은 제2 공간부(181b)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183)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또한, 제2 공간부(181b)의 내부에 홀더(186)를 설치하고, 이 홀더(186)의 상부면에 스프링(S)의 일단이 지지되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스프링(S)이 제2 공간부(181b)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제2 공간부(181b)의 바닥면이 마모되었을 때 보디(181)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비용이 상승되는 반면에, 홀더(186)를 설치한 경우에는 홀더(186)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러지 누출방지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누출방지부(180')는 보디(181'), 가스켓(184'), 스프링(S')으로 구성된다.
보디(181')는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된다.
또한, 보디(181')의 일측에는 커버플레이트(185')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보디(181')에 형성된 제1 공간부(181a')의 일측은 커버플레이트(185')가 보디(181')에 결합될 때 폐쇄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제1 공간부(181a')의 일측이 커버플레이트(185')에 의해 폐쇄될 수 있게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공간부(181a')에 삽입되는 가스켓(184')을 훨씬 더 수월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가스켓(184')은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보디(181')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보디(181')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 공간부(181a')에 삽입된다.
스프링(S')은 가스켓(184')이 탈수탱크(1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제1 공간부(181a')와 연통되도록 보디(181)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공간부(181b')에 설치되고, 일단이 제2 공간부(181b')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가스켓(184')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또한, 전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제1 공간부(181a')의 저면에 4개로 분할된 지지판(183')을 위치시키고, 이 지지판(183')의 외주면에 체결구를 통해 가스켓(184')의 내주면을 결합시켜 스프링(S')의 타단이 지지판(183')의 내주면에 지지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탈수탱크(12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가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사이에서 압착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제1 및 제2 해치(140, 150)가 열리지 않게 하는 고정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구(190)에 의해 제1 및 제2 해치(140, 150)가 고정될 수 있게 탈수탱크(120)의 양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120a)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해치(150, 16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제1 및 제2 해치(140, 150)가 탈수탱크(120)의 양측을 폐쇄시켰을 때 제1 돌출부(120a)와 면결합되는 제2 돌출부(140a, 150a)가 형성된다.
고정구(190)는 탈수탱크(12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실린더(192)와, 실린더(19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탈수탱크(120)의 외주면에 설치된 지지부(120b)에 설치된 회전축(194)과, 일단이 회전축(194)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실린더(192)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바(196)와, 회전축(194)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호 면결합된 제1 및 제2 돌출부(120a, 140a, 150a)에 끼워지는 클램프(198)로 구성된다.
클램프(198)의 중심부에는 상호 면결합된 제1 돌출부(120a)의 외측면과 제2 돌출부(140a, 150a)의 외측면에 내부 양측면이 위치될 수 있게 'ㄷ'자 형상의 홈(198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고정구(190)의 작동을 설명하면, 최초 클램프(198)는 제1 및 제2 해치(140, 150)가 압착 여과판(150)과 지지 여과판(180)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상호 면결합된 제1 돌출부(120a)의 외측면과 제2 돌출부(140a, 150a)의 외측면에 중심부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홈(198a)의 내부 양측면이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192)를 작동시켜 회전축(194)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94)에 결합된 클램프(198) 즉, 중심부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홈(198a)이 회전축(194)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호 면결합된 제1 돌출부(120a)의 외측면과 제2 돌출부(140a, 150a)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고정구(190)에 의한 제1 및 제2 해치(140, 15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작동을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진공부(200)를 작동시켜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면, 슬러지 흡입관(124)을 통해 탈수하고자 하는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슬러지가 채워진 후에는 제1 해치(140)에 설치된 가압실린더(144)를 작동시켜 압착 여과판(160)이 탈수탱크(12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압착 여과판(160)이 탈수탱크(12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채워진 슬러지는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사이에서 압착되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은 슬러지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슬러지 누출방지부(180)의 보디(181)에 형성된 배출홀(H)을 통해 제1 및 제2 해치(140, 150)로 이동된 후 제1 및 제2 해치(140, 150)에 구비된 밸브(142, 15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130)는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 사이에서 슬러지가 압착될 때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에서 진공관(122)과 슬러지 흡입관(124)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진공관(122) 및 슬러지 흡입관(124)과 탈수탱크(120) 사이를 폐쇄시킨다.
압착 여과판(160)과 지지 여과판(170)에 의해 슬러지의 탈수가 완료되면 제2 해치(150)를 개방시킨 후, 압착 여과판(160)을 계속해서 전진시키면 압착 여과판(160)에 의해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12)를 작동시켜 탈수탱크(120)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틸팅되게 함으로써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이동프레임(114)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탈수탱크(120)를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틸팅되게 하여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외부 배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탈수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는 탈수장치가 차량에 적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베이스 프레임
120; 탈수탱크
130; 개폐부
140; 제1 해치
150; 제2 해치
160; 압착 여과판
170; 지지 여과판
180; 슬러지 누출방지부
190; 고정구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진공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슬러지 흡입관이 구비된 탈수탱크;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해치;
    상기 제1 해치에 설치된 가압실린더의 단부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기 슬러지 흡입관을 통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로 흡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 여과판;
    상기 압착 여과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해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여과판에 의해 압착되는 슬러지를 지지하는 지지 여과판; 및,
    상기 압착 여과판과 상기 지지 여과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 여과판과 상기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상기 슬러지가 압착될 때 상기 슬러지가 상기 압착 여과판 또는 상기 지지 여과판의 후방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해치 각각의 외측면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압착 여과판과 상기 지지 여과판 사이에서 압착되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배출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 누출방지부는,
    상기 압착 여과판과 상기 지지 여과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면에 설치되는 보디; 상기 보디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보디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 공간부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4개로 분할되어 삽입되는 지지판; 상기 제1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지지판의 외주면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된 가스켓; 및, 상기 제1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보디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공간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2 공간부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켓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과 상기 슬러지 흡입관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관과 상기 슬러지 흡입관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진공관과 상기 슬러지 흡입관의 내부 상측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중심부가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진공관과 상기 슬러지 흡입관의 내부 하측 소정 위치에 힌지 결합된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는 하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외주면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는 하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이동프레임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외주면 중심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의 양측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제1 돌출부가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해치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해치가 상기 탈수탱크의 양측을 폐쇄시켰을 때 상기 복수개의 제1 돌출부와 면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탈수탱크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면결합된 복수개의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고정구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탈수탱크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탈수탱크의 외주면에 설치된 지지부에 설치된 회전축;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연결바;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장치.
KR1020160144861A 2016-11-02 2016-11-02 탈수장치 KR10187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61A KR101879312B1 (ko) 2016-11-02 2016-11-02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61A KR101879312B1 (ko) 2016-11-02 2016-11-02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43A KR20180047943A (ko) 2018-05-10
KR101879312B1 true KR101879312B1 (ko) 2018-07-17

Family

ID=6218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61A KR101879312B1 (ko) 2016-11-02 2016-11-02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9605A (zh) * 2022-08-12 2022-11-01 李能军 一种污水处理用污泥压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889A (ko) * 2013-01-10 2014-07-18 조선덕 슬러지 탈수장치
KR20150077368A (ko) * 2013-12-27 2015-07-07 이강옥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KR20160086674A (ko) * 2015-01-12 2016-07-20 양승빈 필터 프레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939A (ko) 2010-04-22 2011-10-28 윤재근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889A (ko) * 2013-01-10 2014-07-18 조선덕 슬러지 탈수장치
KR20150077368A (ko) * 2013-12-27 2015-07-07 이강옥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KR20160086674A (ko) * 2015-01-12 2016-07-20 양승빈 필터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4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46435B (zh) 大处理量污水污泥深度减量化方法
WO2006136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ining of sludge.
KR101879312B1 (ko) 탈수장치
KR20110117939A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장치
CN106946436B (zh) 多级污水污泥深度减量化方法
JP2018192431A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混合物の固液分離方法
KR101460030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108529848A (zh) 对开型压滤污泥脱水方法
KR19990030363A (ko) 진공 롤러 및 수분 흡착벨트를 이용한 슬러지의 고압 탈수시스템
JP4247840B2 (ja) 汚泥脱水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汚泥吸引脱水装置
CN101164928B (zh) 污泥强力脱水机
KR102006400B1 (ko) 압착필터 장치
KR101428586B1 (ko) 여액 유출을 방지하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
US20090090256A1 (en) Sludge Dewatering System
CN108585425A (zh) 对开型压滤污泥脱水装置
KR100367287B1 (ko) 집수조 슬러지 청소차
KR102035101B1 (ko) 연속식 여과 탈수 장치
KR101362599B1 (ko) 스크린 세척이 가능한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CN207532864U (zh) 一种自过滤污水处理装置
KR200282964Y1 (ko) 필터 프레스의 탈수케이크 자동탈하장치
KR100359436B1 (ko) 슬러지탈수장치
KR101146792B1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 시스템
CN108409102A (zh) 对开型多腔室压滤污泥脱水装置
KR101275880B1 (ko) 하수 맨홀 준설차용 슬러지 압착장치
KR20150022317A (ko) 피스톤형 슬러지 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