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889A -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889A
KR20140090889A KR1020130003087A KR20130003087A KR20140090889A KR 20140090889 A KR20140090889 A KR 20140090889A KR 1020130003087 A KR1020130003087 A KR 1020130003087A KR 20130003087 A KR20130003087 A KR 20130003087A KR 20140090889 A KR20140090889 A KR 2014009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watering
tank
dewatering tank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030B1 (ko
Inventor
조선덕
Original Assignee
조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덕 filed Critical 조선덕
Priority to KR102013000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3Underpressure,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소정 위치에 슬러지 흡입구를 구비하는 탈수탱크와,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볼밸브가 구비된 제1 및 제2 해치와, 상기 제2 해치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탈수장치{Apparutus For Dehydrat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수지의 퇴적물, 하천의 퇴적물, 하수종말처리장, 정수장의 침사회수, 여과사 등의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시켜 슬러지의 운반, 케익화 등으로 처리시 2차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탈수장치에는 진공발생장치와 진공흡입탱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진공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진공흡입탱크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하고, 진공흡입탱크에 형성된 진공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수거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슬러지는 수분과 혼합된 상태로 슬러지의 수거시 많은 양의 수분을 함께 수거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당량의 수분이 진공흡입탱크의 용량을 차지하게 되며, 이처럼 슬러지와 함께 수거된 수분을 그대로 둘 경우 진공흡입탱크의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실제로 수거 가능한 슬러지의 양이 적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슬러지 탈수장치에는 수거된 슬러지를 압축하여 수분과 슬러지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여 보다 많은 양의 슬러지를 탈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는 진공흡입탱크와, 유압실린더에 의해 진공흡입탱크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배출판으로 구성되며, 배출판을 이동시켜 슬러지를 압축함으로써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탈수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는 배출판을 유지 및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진공흡입탱크의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압축수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소정 위치에 슬러지 흡입구를 구비하는 탈수탱크와,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볼밸브가 구비된 제1 및 제2 해치와, 상기 제2 해치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탈수탱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탱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프레임의 단부에 하부면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2 해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판은 여과판, 메쉬망, 여과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흡입구에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흡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탈수탱크의 상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 에어흡입구와 연결되는 진공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수단은 상기 탈수탱크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해치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볼밸브를 통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압축수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60 ~ 70% 제거가 가능하므로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의 매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 탈수탱크(120), 제1 및 제2 해치(130, 140), 압착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탈수탱크(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탈수탱크(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승강실린더(112)가 마련되는데, 이 승강실린더(112)는 일단이 탈수탱크(120)의 외부면 중심부에 힌지결합되어 탈수탱크(120)를 틸팅시킨다.
이때, 탈수탱크(120)의 일측 하부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수탱크(120)가 승강실린더(112)에 의해 틸팅이 됨으로써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가 후술하는 압착수단(150)에 의해 압착되어 수분과 분리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프레임(110)의 내부에 이동프레임(114)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 이동프레임(114)은 베이스프레임(110)의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이동실린더(114a)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경우, 탈수탱크(120)의 일측 하부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프레임(114)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탈수탱크(120)의 일측 하부가 이동프레임(114)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됨으로써 탈수탱크(120)가 이동프레임(114)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탈수탱크(120)가 승강실린더(112)에 의해 틸팅되는 작동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탱크(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소정 위치에는 슬러지 흡입구(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슬러지 흡입구(122)에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122a)가 설치되는데, 이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122a)는 슬러지 흡입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슬러지 흡입구(122)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수직방향을 충격흡수플레이트(122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충격흡수플레이트(122b)는 슬러지 흡입구(12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바로 유입되기 전에 먼저 부딪치도록 하여 슬러지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제1 및 제2 해치(130, 140)는 탈수탱크(120)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126)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는 볼밸브(132, 142)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 해치(130, 140)는 탈수탱크(120)의 외부면 소정 위치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실린더(128)의 타단에 외부면 소정 위치가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밸브(132, 142)는 슬러지 흡입구(12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가 후술하는 압착수단(150)에 의해 압착될 때 발생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압착수단(150)은 제2 해치(140)에 결합되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슬러지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압착하여 슬러지와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압착수단(150)은 제2 해치(14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실린더(152)와, 압축실린더(152)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판(154)으로 구성된다. 이때, 압착판(154)은 여과판(154a), 메쉬망(154b), 여과포(154c)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압착수단(150)이 탈수탱크(120)의 타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해치(14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탈수탱크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압착수단(150)의 유지 및 보수를 할 수 있다.
즉, 제2 해치(140)를 탈수탱크(120)의 상부방향을 회동시킨 후 작업자가 압착수단(150)의 유지 및 보수를 손쉽게 할 수 있다.
한편, 탈수탱크(120)의 일측에는 탈수탱크(1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진공수단(160)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진공수단(160)은 탈수탱크(1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 에어흡입구(124)와 연결되어 탈수탱크(1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진공수단(160)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진공수단(160)은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탈수하고자 하는 슬러지가 슬러지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1 해치(130)와 제2 해치(14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 142)는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해치(13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탈수탱크(120)의 내부에서 압착이 완료된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슬러지 흡입구(122)와 제2 해치(14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42)는 잠금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진공수단()은 진공 에어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공급하여 제1 해치(13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탱크(120)의 내부에서 압착이 완료된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슬러지 탈수장치(100)가 차량에 적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진공수단(160)을 구동시켜 탈수탱크(120)의 상부에 구비된 슬러지 흡입구(122)을 통해 탈수하고자 하는 슬러지를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후, 슬러지 흡입구(122)에 설치된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122a)를 작동시켜 슬러지 흡입구(122)를 폐쇄시키고, 압착수단(150)의 압축실린더(152)를 구동시켜 압축실린더(152)의 단부에 결합된 압착판(154)이 탈수탱크(12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압착판(154)이 탈수탱크(12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유입된 슬러지는 압착판(154)에 의해 압축되고, 슬러지가 압착판(154)에 의해 압축될 때 발생되는 수분은 제1 및 제2 해치(130, 14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 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슬러지가 압축수단(150)에 의해 압축되어 탈수될 때에는 탈수탱크(12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지 않도록 탈수탱크(1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 에어흡입구(124)에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진공 에어흡입구(124)가 닫힘 상태가 되게 하거나 진공수단(160)의 작동은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러지의 압축이 완료된 후에는 제2 해치(14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42)를 잠근 후 진공수단(160)에 의해 탈수탱크(12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1 해치(13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압착판(154)에 의해 압착된 슬러지가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잔여수분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탈수가 완료된다.
이후, 승강실린더(112)를 작동시켜 제1 해치(130)가 지면을 향하도록 탈수탱크(120)를 틸팅시킨 후, 제1 해치(130)를 개방시켜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를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슬러지를 압축수단(150)을 통해 압축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후, 압축수단(150)에 의해 압축된 슬러지에 제1 해치(130)의 하부에 구비된 볼밸브(132)를 통해 탈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60 ~ 70% 제거가 가능하므로 탈수가 완료된 후 탈수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된 슬러지의 매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100)에 따르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압축수단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베이스프레임
112: 승강실린더
114: 이동프레임
114a: 이동실린더
120: 탈수탱크
122: 슬러지 흡입구
122a: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122b: 충격흡수플레이트
124: 진공 에어흡입구
130, 140: 제1 및 제2 해치
132, 142: 볼밸브
150: 압착수단
152: 압축실린더
154: 압착판
154a: 여과판
154b: 메쉬망
154c: 여과포
160: 진공수단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소정 위치에 슬러지 흡입구를 구비하는 탈수탱크;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면과 타측면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볼밸브가 구비된 제1 및 제2 해치;
    상기 제2 해치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슬러지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프레임의 단부에 하부면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상기 제2 해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실린더와, 상기 압축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판은 여과판, 메쉬망, 여과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흡입구에는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흡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탱크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탈수탱크의 상부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 에어흡입구와 연결되는 진공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상기 탈수탱크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해치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볼밸브를 통해 상기 탈수탱크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130003087A 2013-01-10 2013-01-10 슬러지 탈수장치 KR10146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87A KR101460030B1 (ko) 2013-01-10 2013-01-10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87A KR101460030B1 (ko) 2013-01-10 2013-01-10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89A true KR20140090889A (ko) 2014-07-18
KR101460030B1 KR101460030B1 (ko) 2014-11-10

Family

ID=5173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87A KR101460030B1 (ko) 2013-01-10 2013-01-10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3A (ko) * 2016-11-02 2018-05-10 조명률 탈수장치
WO2019216447A1 (ko) * 2018-05-08 2019-11-14 Jo Myeong Ryul 탈수장치
CN115321784A (zh) * 2022-07-13 2022-11-11 安徽美琛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压榨脱水的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272B2 (ja) * 1991-05-18 1995-05-10 辰一 岡本 汚泥・土砂類の脱水乾燥法及びその装置
KR100341103B1 (ko) * 1999-11-22 2002-06-20 박병춘 슬러지 처리장치
KR100618948B1 (ko) 2004-06-03 2006-09-01 윤광호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1233808B1 (ko) * 2011-06-10 2013-02-21 (주) 토네이도테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3A (ko) * 2016-11-02 2018-05-10 조명률 탈수장치
KR101879312B1 (ko) * 2016-11-02 2018-07-17 조명률 탈수장치
WO2019216447A1 (ko) * 2018-05-08 2019-11-14 Jo Myeong Ryul 탈수장치
CN115321784A (zh) * 2022-07-13 2022-11-11 安徽美琛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压榨脱水的回收装置
CN115321784B (zh) * 2022-07-13 2024-02-23 安徽美琛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污泥压榨脱水的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030B1 (ko) 201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030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106946435A (zh) 大处理量污水污泥深度减量化方法
CN106966090A (zh) 一种垃圾运输处理车
CN206762360U (zh) 一种易拆卸的板式组合过滤器
CN106946436B (zh) 多级污水污泥深度减量化方法
CN104225985A (zh) 一种高压压滤装置
KR20110117939A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장치
CN106943779B (zh) 大处理量污水污泥深度减量化装置
TWM520928U (zh) 具蒸汽熱能回收利用之壓濾設備
CN108529848A (zh) 对开型压滤污泥脱水方法
CN107082550A (zh) 基于电磁力的污水污泥脱水装置
KR101879312B1 (ko) 탈수장치
CN107008041A (zh) 基于电磁力的污水污泥减量化脱水方法
CN101164928B (zh) 污泥强力脱水机
CN104492134B (zh) 污泥强压深度脱水系统
CN108585425A (zh) 对开型压滤污泥脱水装置
CN205999962U (zh) 一种用于环保清淤的浮箱履带式泵送车
CN107961578A (zh) 一种缸式内置液压高效脱水机
CN206929147U (zh) 一种垃圾压缩机构液压系统
KR200168318Y1 (ko) 전선압축기 및 커터기 작동용 유압승압장치
CN206502735U (zh) 压泥机结构
CN110672384A (zh) 一种天然气增压取样装置
CN108409102A (zh) 对开型多腔室压滤污泥脱水装置
CN203906415U (zh) 一种增压器
KR101146792B1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