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368A -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368A
KR20150077368A KR1020140191081A KR20140191081A KR20150077368A KR 20150077368 A KR20150077368 A KR 20150077368A KR 1020140191081 A KR1020140191081 A KR 1020140191081A KR 20140191081 A KR20140191081 A KR 20140191081A KR 20150077368 A KR20150077368 A KR 2015007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crew shaft
drying
dewatering
sludge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816B1 (ko
Inventor
이강옥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이강옥
정정호
빛나매크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옥, 정정호, 빛나매크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강옥
Publication of KR2015007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3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direct contact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투입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지 않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히터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DEWATERING, DRY AND TRANSFER APPARATUS FOR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건조/이 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투입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지 않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히터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알려진 스크류 슬러지장치로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80639호(공고일 ; 2012년 09월 18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0-1180639호에 개시되어 있는 스크류 슬러지장치는 내부 공간에서 슬러지를 응집 교반하는 응집탱크; 상기 응집탱크와 연결되어 응집된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본체; 및 상기 응집탱크와 본체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슬러지유입구와, 상기 슬러지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슬러지 배출구를 가지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외부에 고정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스크린의 내부 공간을 다수 공간으로 분할하는 분할플레이트; 상기 분할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유입구에서 상기 슬러지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 고정 장착되는 다수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스크류와 다른 운동으로 유동하는 유동판; 및 상기 유동판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유동판의 유동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가지는 압착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류 슬러지장치는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면서 농축된 슬러지를 가열하지 않으므로, 슬러지를 농축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동시에,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업다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투입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지 않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히터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는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에 유입되는 슬러지 함유 폐수를 1차 처리수와 농축된 1차 고형물로 1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와; 상기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에서 배출되는 농축된 1차 처리고형물을 농축슬러지 유입구를 통해 받아 압착시킴과 동시에, 가열 건조시켜 2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2차 처리수 배출구에서 배출된 2차 처리수와 2차 처리 고형물로 2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건조유니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의하면,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투입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지 않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히터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적용되는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농축슬러지 유입구를 확대해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의 테이퍼형상 스크류 샤프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도 6a는 스크류 샤프트의 날개 피치가 배출부(도면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열원이 통과되는 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분리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는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9)에 유입되는 슬러지 함유 폐수를 1차 처리수(1차 처리폐수라고도 한다)와 농축된 1차 고형물로 1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40)와; 상기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40)에서 배출되는 농축된 1차 처리고형물을 농축슬러지 유입구(52)를 통해 받아 압착시킴과 동시에, 가열 건조시켜 2차 처리수(2차 처리폐수라고도 한다)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처리수 배출구(66a)와; 상기 2차 처리수 배출구(66a)에서 배출된 2차 처리수와 2차 처리고형물로 2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건조유니트(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러지 탈수 이송유니트(40)는 제1 감속모터(12)와;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축(12a)에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라켓(14)과;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축(12a)에 설치된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14)을 통해 받아 회전되어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14)과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16) 사이에 현가된 체인(18)이 회전됨에 따라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9)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 함유 폐수를 받아 화살표방향(A)으로 이송시키면서 1차 처리수와 농축된 1차 고형물을 1차 분리하여 1차 처리수를 1차 처리수 수집탱크(19)로 배출하고, 농축된 1차 고형물을 제1 배출구(31)를 통해 배출하는 분리유니트(20)와; 상기 체인(18)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8)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재(33)와; 상기 텐션조절부재(33)의 양측에 각각 배설되어 상기 체인(18)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 스프라켓(3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러지 탈수 및 건조 유니트(50)는 제2 감속모터(54)와; 전원의 인가시에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축(54a)에 설치된 제2 구동 스프라켓(56)과; 상기 농축슬러지 유입구(52)에 유입된 1차 고형물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56)의 회전력을 체인(60)을 개재하여 받아 1차 고형물을 스크류 샤프트(58)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하도록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에 설치된 제2 종동스프라켓(64)과;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고형물의 압착에 따라 누출되는 2차 처리수(또는, 2차 누출물이라고도 한다)를 하부로 배출하는 스트레이너(66)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길이방향 종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회전에 따라 상기 1차 고형물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압착시키는 압착 플레이트(68)와; 상기 압착 플레이트(68)가 회전됨에 따라 압착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물 배출구(69)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에 수집된 2차 처리수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부를 통해 누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리테이너(70)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압착조절 유니트(73); 포함하고,
통상의 작업시에 한쌍의 유압실린더(74)에 유압을 인가하면 한쌍의 피스톤(74a)이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 내에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이 위치함과 동시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축슬러지 유입구(52)의 하부 우측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이 위치하고,
작업을 종료할 경우에 한쌍의 유압실린더(74)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피스톤(74a)이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로부터 상기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직경이 증가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 일부에 부착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샤프트(58)에 설치된 압착플레이트(68) 및 상기 압착 플레이트(68) 쪽의 직경이 증가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일부가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 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축슬러지 유입구(52)의 하부 내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일측에 가열매체가 주입되는 가열매체 투입구(72a)와, 상기 가열매체 투입구(72a)에서 주입된 가열매체가 1차 농축된 슬러지를 가열건조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저온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저온매체 배출구(72b)로 이루어진 가열매체 통과 관통공(72)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는 압착력이 증가되도록 압착 플레이트(68) 쪽의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유니트(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릿 바(22)와;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a)에 끼워지는 제1 타원형 유동판(26a)과; 상기 제1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b)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지는 제2 타원형 유동판(26b)과; 상기 제2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n)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지는 제n 타원형 유동판(26n ; 여기에서 n은 0이 아닌 자연수이다.);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6a는 상기 1차 처리수 수집탱크(19)에서 배출되는 1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1차 처리수 배출구이고, 18a는 분리유니트(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고, 54b는 제2 감속모터(54)의 축(54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58a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77은 베이스(또는 프레임이라고도 한다)이고, 78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를 베이스(77)에 고정하는 체결볼트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감속모터(12,54)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면, 제1 감속모터(12)가 도 1에서 반시계방항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축(12a)에 설치된 제1 구동스프라켓(14)이 반시계방항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 종동스프라켓(16)이 반시계방항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스프라켓(14)과 제1 종동스프라켓(16) 사이에 현가된 체인(1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분리유니트(20)의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회전축(24a)에 끼워지는 제1 타원형 유동판(26a)이 반시계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고, 또한 상기 제1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4b)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진 제2 타원형 유동판(26b)이 회전되며, 상기 제2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4n)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진 제n 타원형 유동판(26n ; 여기에서 n은 0이 아닌 자연수이다.)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탈수 이송유니트(40)의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9)에 슬러지 함유 폐수가 투입되면, 상기 제1 타원형 유동판(26a), 제2 타원형 유동판(26b) 및 제n 타원형 유동판(26n)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됨에 따라 슬러지 함유 폐수가 화살표방향(A)으로 이송되므로, 1차 고형물과 슬러지와 1차 처리수로 분리됨에 따라 1차 처리수는 1차 처리수 수집탱크(19)로 수집되고, 1차 고형물은 제1 배출구(31) 및 가이드 플레이트(36)를 통해서 상기 슬러지 탈수 및 건조 이송유니트(50)의 농축슬러지 유입구(52)에 투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감속모터(54)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축(54a)이 베어링(54b)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축(54b)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축(54b)에 설치된 제2 구동스프라켓(56)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58)에 제2 종동스프라켓(6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스프라켓(56)과 상기 제2 종동스프라켓(64) 사이에 체인(60)이 현가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구동스프라켓(56)의 회전력이 상기 제2 종동스프라켓(64)에 전달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은 한쌍의 베어링(58a)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가 도 2 및 도 3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봤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 샤프트(5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러지 탈수 및 건조 이송유니트(50)의 농축슬러지 유입구(52)에 투입된 1차 고형물은 화살표방향(B)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1차 고형물에 함유되어 있는 2차 처리수가 스트레이너(66)를 통해서 하부로 떨어져서 도시하지 않은 2차 처리수 수집탱크에 수집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 가열매체 통과 관통공(72)의 가열매체 투입구(72a)에 투입되는 가열매체가 상기 가열매체 통과 관통공(72)의 저온매체 배출구(72b)를 향해 흐름에 따라 탈수된 1차 고형물을 건조시키면서 압착 플레이트(68)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 사이의 틈새, 다시 말하면 탈수 건조된 고형물 배출구(69)를 통해서 탈수 건조된 고형물을 탈수/건조 고형물(케익) 배출탱크(75)로 배출된다.
이때,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는 상기 압착 플레이트(68)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증가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력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압착플레이트(68)의 양단에 한쌍의 압착 조절유니트(73)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탈수 건조되는 슬러지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 즉 한쌍의 베어링(58a) 내측에는 리테이너(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을 통해서 2차 처리수가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쌍의 압착조절 유니트(73)에 의해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종료할 경우에는 한쌍의 유압실린더(74)로부터 유압이 회수될 경우, 한쌍의 피스톤(74a)이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에 부착된 탈수/건조된 고형물(탈수케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의 작업시에는 한쌍의 유압실린더(74)에 유압을 인가하면 한쌍의 피스톤(74a)이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 내에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이 위치함과 동시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축슬러지 유입구(52)의 하부 우측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이 위치하게 되어 통상의 작업을 할 수 있다.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에 부착된 탈수/건조된 고형물(탈수/건조케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탈수시에 슬러지 함유 폐수에 원수를 투입하지 않으므로 처리수의 발생량이 증가하지 않고, 탈수시에 1차 처리수 및 2차 처리수가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히터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9 :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 12 : 제1 감속모터
12a : 축 14 : 제1 구동 스프라켓
16 : 제1 종동스프라켓 18 : 체인
18a : 가이드레일 19 : 1차 처리수 수집탱크
20 : 분리유니트 31 : 제1 배출구
33 : 텐션조절부재 34 : 가이드 스프라켓
40 : 탈수 이송유니트 50 : 슬러지 탈수 및 건조 이송유니트
52 : 농축슬러지 유입구 54 : 제2 감속모터
54a : 축 54b : 베어링
56 : 제2 구동 스프라켓 58 : 스크류 샤프트
58a : 베어링 60 : 체인
64 : 제2 종동스프라켓 66 : 스트레이너
66a : 2차 처리수 배출구 68 : 압착 플레이트
69 : 고형물 배출구(또는 탈수케익 배출구)
70 : 리테이너 72 : 가열매체 통과 관통공
72a : 가열매체 투입구 72b : 저온매체 배출구
73 : 압착조절 유니트 75 :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
77 : 베이스(프레임) 78 : 체결볼트
80 :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 80a :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
82 :레일 84 : 캐스터

Claims (6)

  1.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9)에 유입되는 슬러지 함유 폐수를 1차 처리수와 농축된 1차 고형물로 1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40)와;
    상기 슬러지 탈수 및 이송유니트(40)에서 배출되는 농축된 1차 처리고형물을 농축슬러지 유입구(52)를 통해 받아 압착시킴과 동시에, 가열 건조시켜 2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2차 처리수 배출구(66a)와;
    상기 2차 처리수 배출구(66a)에서 배출된 2차 처리수와 2차 처리 고형물로 2차 분리하는 슬러지 탈수 및 건조유니트(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탈수 이송유니트(40)는 제1 감속모터(12)와;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축(12a)에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라켓(14)과;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력을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축(12a)에 설치된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14)을 통해 받아 회전되어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14)과 상기 제1 종동스프라켓(16) 사이에 현가된 체인(18)이 회전됨에 따라 슬러지 함유 폐수유입구(9)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 함유 폐수를 받아 화살표방향(A)으로 이송시키면서 1차 처리수와 농축된 1차 고형물을 1차 분리하여 1차 처리수를 1차 처리수 수집탱크(19)로 배출하고, 농축된 1차 고형물을 제1 배출구(31)를 통해 배출하는 분리유니트(20)와; 상기 체인(18)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18)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재(33)와; 상기 텐션조절부재(33)의 양측에 각각 배설되어 상기 체인(18)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 스프라켓(34);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탈수 및 건조 유니트(50)는 제2 감속모터(54)와; 전원의 인가시에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제2 감속모터(54)의 축(54a)에 설치된 제2 구동 스프라켓(56)과; 상기 농축슬러지 유입구(52)에 유입된 1차 고형물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56)의 회전력을 체인(60)을 개재하여 받아 1차 고형물을 스크류 샤프트(58)를 회전시키면서 이송하도록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에 설치된 제2 종동스프라켓(64)과;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길이방향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1차 고형물의 압착에 따라 누출되는 2차 처리수(또는, 2차 누출물이라고도 한다)를 하부로 배출하는 스트레이너(66)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길이방향 종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회전에 따라 상기 1차 고형물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압착시키는 압착 플레이트(68)와;
    상기 압착 플레이트(68)가 회전됨에 따라 압착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고형물 배출구(69)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에 수집된 2차 처리수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부를 통해 누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리테이너(70)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압착조절 유니트(73);를 구비하고,
    통상의 작업시에 한쌍의 유압실린더(74)에 유압을 인가하면 한쌍의 피스톤(74a)이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 내에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이 위치함과 동시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축슬러지 유입구(52)의 하부 우측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이 위치하고,
    작업을 종료할 경우에 한쌍의 유압실린더(74)로부터 유압을 회수하면 한쌍의 피스톤(74a)이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로부터 상기 좌측 슬라이딩 하우징(8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직경이 증가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외주면 일부에 부착된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샤프트(58)에 설치된 압착플레이트(68) 및 상기 압착 플레이트(68) 쪽의 직경이 증가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의 일부가 상기 탈수/건조 고형물 배출탱크(75) 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84)가 레일(8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농축슬러지 유입구(52)의 하부 내에 우측 슬라이딩 하우징(80a)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는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일측에 가열매체가 주입되는 가열매체 투입구(72a)와, 상기 가열매체 투입구(72a)에서 주입된 가열매체가 1차 농축된 슬러지를 가열건조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저온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저온매체 배출구(72b)로 이루어진 가열매체 통과 관통공(72)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58)는 압착력이 증가되도록 압착 플레이트(68) 쪽의 직경이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니트(20)는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릿 바(22)와;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a)에 끼워지는 제1 타원형 유동판(26a)과; 상기 제1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b)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지는 제2 타원형 유동판(26b)과; 상기 제2 타원형 유동판(26a)과 엇갈리게 교호로 상기 슬릿 바(22)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감속모터(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24n)에 90도 위상차를 두고 끼워지는 제n 타원형 유동판(26n ; 여기에서 n은 0이 아닌 자연수이다.);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KR1020140191081A 2013-12-27 2014-12-26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KR101801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4938 2013-12-27
KR1020130164938 201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368A true KR20150077368A (ko) 2015-07-07
KR101801816B1 KR101801816B1 (ko) 2017-12-20

Family

ID=5379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081A KR101801816B1 (ko) 2013-12-27 2014-12-26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8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3A (ko) * 2016-11-02 2018-05-10 조명률 탈수장치
WO2019216447A1 (ko) * 2018-05-08 2019-11-14 Jo Myeong Ryul 탈수장치
KR20200121676A (ko) * 2019-04-16 2020-10-26 박덕규 슬러지 탈수장치
KR102216423B1 (ko) * 2020-02-07 2021-02-17 (주)신성엔지니어링 오폐수 및 하수의 고도처리시스템
CN113180259A (zh) * 2021-04-09 2021-07-30 芜湖农翔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引流式马蹄清洗收集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3A (ko) * 2016-11-02 2018-05-10 조명률 탈수장치
KR101879312B1 (ko) * 2016-11-02 2018-07-17 조명률 탈수장치
WO2019216447A1 (ko) * 2018-05-08 2019-11-14 Jo Myeong Ryul 탈수장치
KR20200121676A (ko) * 2019-04-16 2020-10-26 박덕규 슬러지 탈수장치
KR102216423B1 (ko) * 2020-02-07 2021-02-17 (주)신성엔지니어링 오폐수 및 하수의 고도처리시스템
CN113180259A (zh) * 2021-04-09 2021-07-30 芜湖农翔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引流式马蹄清洗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816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816B1 (ko)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EP2409956B1 (en) Concentrator-integrated screw press
KR100976243B1 (ko)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KR101180639B1 (ko) 유동식 스크류 탈수장치
JP3903070B1 (ja) 汚泥脱水処理装置および汚泥脱水処理装置による汚泥の脱水方法
KR101276389B1 (ko) 저속 원심 탈수장치
CN203393006U (zh) 转鼓式浓缩脱水一体机
KR20200034678A (ko)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KR101307158B1 (ko) 저동력 드럼식 원심 농축기
JPS5927279B2 (ja) スラッジ脱水装置
JP2011083668A (ja) 汚泥濃縮装置及び固液分離システム
JP4478165B2 (ja) 凝集混和槽および汚泥脱水装置
KR100707283B1 (ko) 슬러지의 농축 및 탈수장치
KR101644081B1 (ko) 오니 농축기
CN213315637U (zh) 一种用于卧式螺旋过滤离心机的转鼓装置
CN104759134A (zh) 一种固液分离装置
CN201785297U (zh) 高效节能带式污泥浓缩挤压压榨一体化压干机
KR20090007104U (ko) 정수 처리용 슬러지 탈수장치
JP2004000888A (ja) 固液分離装置
CN115893774A (zh) 一种餐厨垃圾废水预处理设备及其工艺
KR100956614B1 (ko) 슬러지 균등 공급장치
JP2015112578A (ja) 固液分離装置
CN211141701U (zh) 一种瓦楞纸纸浆处理系统
KR101994066B1 (ko) 디스크 회전형 농축 탈수기
KR100710824B1 (ko) 슬러지 농축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