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243B1 -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243B1
KR100976243B1 KR1020100013187A KR20100013187A KR100976243B1 KR 100976243 B1 KR100976243 B1 KR 100976243B1 KR 1020100013187 A KR1020100013187 A KR 1020100013187A KR 20100013187 A KR20100013187 A KR 20100013187A KR 100976243 B1 KR100976243 B1 KR 10097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roller
filtration belt
temperature heat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0001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8726 priority patent/WO201109969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pressu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3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direct contact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indirect heat-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여과벨트와 고온발열롤러 사이에 슬러지가 인입되어 증발건조되고 탈수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어 슬러지가 잘게 파쇄되는 파쇄롤러로 구성되는 슬러지 공급부; 상기 슬러지 공급부 인근에 구비되어 모터에 직결되고 일측면에 구동기어가 결합된 구동롤러,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이 연동되도록 일측면에 피동기어가 결합되고 회전 원주면을 따라 일직선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고온발열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고온발열롤러의 원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슬러지 공급부에서 인입된 슬러지를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 가능하게 하는 여과벨트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고온발열롤러에 압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박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크래퍼로 구성되는 슬러지 배출부; 및 상기 여과벨트에 걸치는 축과 결합된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좌우 가이드 하는 레크, 상기 피니언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여과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웨이트로 구성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Dehydrator and evaporation dryer for sludge Treatment}
본 발명은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를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시켜 배출할 수 있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산업용 탈수장치는 정수, 하수, 폐수 등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배출하기 위한 산업용 장치이다.
삭제
도 1은 종래의 고온발열롤러를 구비한 산업용 탈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차탈수수단(100)과 제2차탈수수단(200)으로 나뉘는데, 먼저 제1차탈수수단(100)은 슬러지공급부(140)을 통해 상,하부 여과벨트(110)사이로 공급되어 가압 탈수된다. 그리고, 도면번호 120과 130은 상기 상,하부 여과벨트(110)를 지그재그로 설치 가능하게 하는 "S"형 벨트프레스이다.
그리고, 제1차탈수수단(100)을 거친 슬러지가 다음 단계인 제2차탈수수단(200)으로 인입되게 되는데, 내부에 열매체가 인입되도록 2중 롤러로 구성된 고온발열롤러(220), 망상형의 여과벨트(210)가 상기 고온발열롤러(220) 원주면에 따라 회전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러지가 고온발열롤러(220)와 여과벨트(210) 사이에 인입되고 배출되어 슬러지의 수분을 더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온발열롤러(220)와 여과벨트(210)를 가압하는 장치로 캐터필러(240), 어태치체인스프라켓트(241), 어태치체인(242), 어태치플레이트(243)가 구비되고, 나머지 흡입장치(250), 증기배출장치(260), 호퍼(261)가 구비되어 슬러지 수분을 배출시킨다.
도 2는 종래의 따른 고온발열롤러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히팅유니트(230)가 2중 롤러로 구성된 고온발열롤러(220)와 연결되어 열매체통로(221)를 따라 인입되고 배출되는 구조로 상기 고온발열롤러(220)의 회전 원주면에 열전달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산업용 탈수기는 여과벨트의 마찰로 고온발열롤러를 구동하기에 여과벨트와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여과벨트가 손상되거나 슬러지 처리 효율에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고온발열롤러에 여과벨트를 가압하기 위한 체인 형식의 캐터필러에 의해 여과벨트의 손상이 발생하고, 아울러 캐터필러는 고온발열롤러에 접촉되는 여과벨트에 전체적으로 가압하므로, 슬러지 종류 및 탈수과정에 의한 슬러지량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여과벨트를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온발열롤러를 정확한 속도 비로 직접구동시켜 고온발열롤러와 여과벨트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여과벨트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슬러지가 고온발열롤러와 여과벨트에 인입되어 압축탈수 및 증발건조되어 배출되며, 슬러지 불균형에 따라 여과벨트에 부분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과벨트와 고온발열롤러 사이에 슬러지가 인입되어 증발건조되고 탈수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어 슬러지가 잘게 파쇄되는 파쇄롤러로 구성되는 슬러지 공급부; 상기 슬러지 공급부 인근에 구비되어 모터에 직결되고 일측면에 구동기어가 결합된 구동롤러,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이 연동되도록 일측면에 피동기어가 결합되고 회전 원주면을 따라 일직선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고온발열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고온발열롤러의 원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슬러지 공급부에서 인입된 슬러지를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 가능하게 하는 여과벨트로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고온발열롤러에 압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박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크래퍼로 구성되는 슬러지 배출부; 및 상기 여과벨트에 걸치는 축과 결합된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좌우 가이드 하는 레크, 상기 피니언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여과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웨이트로 구성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여과벨트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고온발열롤러에 압착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가압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부에는 상기 스크래퍼에서 박리된 슬러지가 분쇄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스크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기어 맞물림으로 고온발열롤러에 동력을 직접 전달되게 하여 여과벨트와 고온발열롤러의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고온발열롤러 원주면에 가압롤러를 구비하여 여과벨트를 고온발열롤러에 가압하던 종래의 캐터필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캐터필러와 여과벨트의 마찰에 의한 여과벨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러지 불균형에 의해 고온발열롤러에 밀착된 여과벨트에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따른 고온발열롤러를 구비한 산업용 탈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따른 고온발열롤러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고온발열롤러와 구동롤러의 평면도.
도 5(a), (b)는 도 3의 고온발열롤러의 수용홈의 예시도.
도 6(a), (b)은 도 3의 가압롤러의 상세도 및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장력조절부의 상세도.
도 8는 도 3의 스크래퍼의 상세도.
도 9는 도 3의 슬러지 배출부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여과벨트와 고온발열롤러 사이에 슬러지가 인입되어 증발건조되고 탈수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크게 슬러지 공급부(100), 구동부(200) 및 슬러지 배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는 외부에서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120)와, 상기 호퍼(1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12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일정 크기로 파쇄 가능하게 하는 파쇄롤러(140)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에서 공급된 슬러지를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크게, 구동롤러(240), 고온발열롤러(260) 및 여과벨트(28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러(240)는 고온발열롤러(260)와 여과벨트(28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의 인입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의 인입부는 상기 여과벨트(280)와 고온발열롤러(260)가 압착되는 위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슬러지가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와 여과벨트(280) 사이에 인입하게 되는 곳이다.
상기 고온발열롤러(260)는 구동롤러(2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 한 것으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 인입부에서 수용된 슬러지에 열전달하여 증발건조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는 고온을 유지하기 위한 2중 롤러로 구성되는데, 그 내부구성과 열매체를 통한 히팅 시스템은 앞서 종래기술에서 상술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여과벨트(280)는 상기 구동롤러(240)와 고온발열롤러(260)의 원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에서 인입된 슬러지를 상기 고온발열롤러(260)로 이동시켜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여과벨트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벨트(280)는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를 거친 슬러지를 상기 고온발열롤러(260) 중앙점과 수평 방향으로 인입될수 있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의 원주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싸고, 그 다음 상기 구동롤러(240)의 윈주면을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도록 하여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증발건조된 슬러지 배출지점이 되는 상기 구동롤러(240)를 최대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의 인입부와 근접하게 하여 상기 고온발열롤러(260)가 1회전당 슬러지에 가할 수 있는 열전달 시간과 전열유효 단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벨트(280)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 압착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가압롤러(400)가 더 구비되는데, 슬러지 특성에 맞게 부분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벨트(280)에는 장력조절을 위해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여과벨트(280)에 걸치는 축과 결합된 피니언(520), 상기 피니언(520)을 좌우 가이드 하는 레크(540), 상기 피니언(520)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여과벨트(280)의 장력 조절 가능한 밸런스웨이트(560)로 구성되는 장력조절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슬러지 배출부(300)는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 압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박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크래퍼(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배출부(300)는 상기 구동롤러(240)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 압착되어 있는 슬러지 박리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벨트(280)에 붙어 있는 슬러지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언급하였고, 하기 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을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고온발열롤러와 구동롤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구동롤러(240)는 모터(220)에 직결되어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의 롤러이고, 일측면에 구동기어(242)가 결합 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모터(220)와 구동롤러(240) 사이에 감속기(222)가 결합되어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발열롤러(260)는 상기 구동롤러(24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242)와 맞물림 하여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피동기어(262)가 결합 되게 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 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모터(220)에서 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감속기(222)에 전달하고, 상기 감속기(222)의 속도 설정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240)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240) 일측면에 결합된 구동기어(242)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242)와 맞물려 회전이 연동되도록 일측면에 피동기어(262)가 결합된 고온발열롤러(260)가 정확한 속도 비로 동력이 전달 되게 된다.
도 5(a), 5(b)는 도 3의 고온발열롤러의 수용홈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온발열롤러(260)는 회전 원주면을 따라 일직선[5(a)] 또는 지그재그[5(b)] 방향으로 수용홈(26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수용홈(264)은 고온발열롤러(26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수욤홈(264) 만큼 더 슬러지 수용량이 증가하고 고온발열롤러(260)의 전열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어 상기 고온발열롤러(260) 1회전당 슬러지 처리효율이 높아질수 있게 된다.
도 6(a), (b)는 도 3의 가압롤러의 상세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발열롤러(260) 양단에 가압롤러(400)를 거취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43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430) 내부에는 상기 가압롤러(400)가 유동 가능하도록 롤러가이드(45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400)를 거취하는 가압롤러축(410) 양단에는 슬러지 형상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스프링(440), 상기 스프링(44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440)의 탄성을 조절하는 조정볼트(420) 및 상기 여과벨트(280)와 가압롤러(400)의 유격 조절 가능한 스토퍼(4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440)과 조정볼트(420)는 상기 가압롤러(400)를 상기 고온발열롤러(260) 방향으로 여과벨트(280)를 가압하는 수단이고, 상기 스토퍼(460)는 상기 가압롤러(400)가 회전하는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와 여과벨트(280)에 최소한의 유격을 보장하여 회전이 원활할 수 있는 안전 수단이다.
도 7은 도 3의 장력조절부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크(540) 상부에 피니언(520)을 베어링 케이스에 일체로 하여 체인 브라켓(580)으로 연계되고 상기 체인 브라켓(580)은 밸런스웨이트(560)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웨이트(560)를 상하 가이드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바(59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밸런스웨이트(560)의 중량을 가감 조절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520)이 좌우 이동 가능하여 상기 피니언(520)과 결합된 축(미도시)이 여과벨트(미도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3의 스크래퍼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스크래퍼축(322)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스크래퍼(320)가 상기 스크래퍼축(322)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되며, 상기 스크래퍼(320)에는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24)이 구비되어 회전하는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를 거친 슬러지를 긁어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320)를 분리 가능한 다수 개로 구성하는 것은 스크래퍼(320)가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와 마찰로 인해 스크래퍼(320) 날 소손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상술한 도 5에서 상기 고온발열롤러(260)에 수용홈(264)이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수용홈(264)의 형상에 맞도록 적절하게 스크래퍼의 모형을 달리 실시할 수도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320)에서 박리한 슬러지를 이동처리하는 장치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3의 슬러지 배출부(300)의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상기 슬러지 배출부(300)에는 상기 스크래퍼(320)에서 배출된 슬러지가 분쇄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스크류(340)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슬러지 종류와 사용자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인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를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크류(340)를 연결하여 슬러지를 다른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의 호퍼(120)와 파쇄롤러(140)로 이동되도록 하여 다단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어 맞물림으로 고온발열롤러를 구동하여 고온발열롤러와 여과벨트의 슬립을 방지하고 여과벨트의 손상을 최소로 하며 슬러지의 압착 탈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슬러지 공급부 120: 호퍼
140: 파쇄롤러 200: 구동부
220: 모터 240: 구동롤러
242: 구동기어 260: 고온발열롤러
262: 피동기어 264: 수용홈
280: 여과벨트 300: 슬러지 배출부
320: 스크래퍼 340: 스크류
400: 가압롤러 500: 장력조절부
520: 피니언 540: 레크
560: 밸런스웨이트

Claims (5)

  1. 여과벨트와 고온발열롤러 사이에 슬러지가 인입되어 증발건조되고 탈수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에 있어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120), 상기 호퍼(120) 하부에 구비되어 슬러지가 잘게 파쇄되는 파쇄롤러(140)로 구성되는 슬러지 공급부(100);
    상기 슬러지 공급부(100) 인근에 구비되어 모터(220)에 직결되고 일측면에 구동기어(242)가 결합된 구동롤러(240),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이 연동되도록 일측면에 피동기어(262)가 결합되고 회전 원주면을 따라 일직선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수용홈(26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고온발열롤러(260), 상기 구동롤러와 고온발열롤러의 원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슬러지 공급부에서 인입된 슬러지를 압착탈수 및 증발건조 가능하게 하는 여과벨트(280)로 구성되는 구동부(200);
    상기 고온발열롤러에 압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박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크래퍼(320)로 구성되는 슬러지 배출부(300); 및
    상기 여과벨트(280)에 걸치는 축과 결합된 피니언(520), 상기 피니언을 좌우 가이드 하는 레크(540), 상기 피니언을 좌우 이동시켜 상기 여과벨트(280)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밸런스웨이트(560)로 구성되는 장력조절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벨트(280)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고온발열롤러에 압착력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가압롤러(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부(300)에는,
    상기 스크래퍼(320)에서 박리된 슬러지가 분쇄되면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스크류(3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KR1020100013187A 2010-02-12 2010-02-12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KR10097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87A KR100976243B1 (ko) 2010-02-12 2010-02-12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PCT/KR2010/008726 WO2011099691A2 (ko) 2010-02-12 2010-12-08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87A KR100976243B1 (ko) 2010-02-12 2010-02-12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243B1 true KR100976243B1 (ko) 2010-08-18

Family

ID=4275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187A KR100976243B1 (ko) 2010-02-12 2010-02-12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6243B1 (ko)
WO (1) WO2011099691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86B1 (ko) 2010-08-13 2010-12-30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KR101034115B1 (ko) 2010-08-27 2011-05-13 홍원표 슬러지 감량 및 소화가스 증량 장치
KR101135641B1 (ko) * 2011-07-15 2012-04-13 김민지 슬러지 건조장치
KR101156498B1 (ko) 2012-01-27 2012-06-21 주식회사 화인 유동성에 따라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KR101311201B1 (ko) 2013-08-08 2013-09-26 정재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01516986B1 (ko) 2013-07-04 2015-05-04 싱너지 코퍼레이션 유한회사 탈수 건조장치의 여과벨트용 스크레이퍼장치
KR101521549B1 (ko) * 2014-07-14 2015-05-19 주식회사 동원에너지 히팅가열유로판을 적용한 폐수처리용 탈수건조장치
KR101566895B1 (ko) * 2015-05-20 2015-11-09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유격조절장치가 구비된 롤 크러셔
WO2016163955A1 (en) 2015-04-07 2016-10-13 Singnergy Corporation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evaporation drying
KR101781588B1 (ko) * 2015-06-04 2017-09-25 황명회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CN107473563A (zh) * 2017-09-13 2017-12-15 宜兴市建华成套环保有限公司 一种带式压滤机
CN110698036A (zh) * 2019-11-11 2020-01-17 临朐凯盛机电科技有限公司 撬装式热泵污泥烘干一体机
KR102639149B1 (ko) 2023-11-02 2024-02-2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오폐수 슬러지를 친환경 재료로 재활용 하기 위한 탈수 및 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935B1 (ko) * 2000-04-12 2002-05-24 조정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78866Y1 (ko) * 2002-03-06 2002-06-21 김연철 벨트 프레스
KR100877414B1 (ko) * 2008-06-03 2009-01-07 주식회사 아세코테크 고온발열롤러를 구비한 산업용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943B1 (ko) * 2001-04-18 2003-08-14 김용훈 탈수효율을 높인 고압 탈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935B1 (ko) * 2000-04-12 2002-05-24 조정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78866Y1 (ko) * 2002-03-06 2002-06-21 김연철 벨트 프레스
KR100877414B1 (ko) * 2008-06-03 2009-01-07 주식회사 아세코테크 고온발열롤러를 구비한 산업용 탈수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86B1 (ko) 2010-08-13 2010-12-30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WO2012021012A2 (ko) * 2010-08-13 2012-02-16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WO2012021012A3 (ko) * 2010-08-13 2012-05-10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KR101034115B1 (ko) 2010-08-27 2011-05-13 홍원표 슬러지 감량 및 소화가스 증량 장치
KR101135641B1 (ko) * 2011-07-15 2012-04-13 김민지 슬러지 건조장치
KR101156498B1 (ko) 2012-01-27 2012-06-21 주식회사 화인 유동성에 따라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WO2013111941A1 (ko) * 2012-01-27 2013-08-01 주식회사 화인 유동성에 따라 슬러지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한 전기영동식 전기 침투 탈수기
KR101516986B1 (ko) 2013-07-04 2015-05-04 싱너지 코퍼레이션 유한회사 탈수 건조장치의 여과벨트용 스크레이퍼장치
KR101311201B1 (ko) 2013-08-08 2013-09-26 정재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01521549B1 (ko) * 2014-07-14 2015-05-19 주식회사 동원에너지 히팅가열유로판을 적용한 폐수처리용 탈수건조장치
WO2016163955A1 (en) 2015-04-07 2016-10-13 Singnergy Corporation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evaporation drying
KR20170134698A (ko) * 2015-04-07 2017-12-06 싱너지 코퍼레이션 유한회사 개선된 증발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2527114B1 (ko) * 2015-04-07 2023-04-28 싱너지 코퍼레이션 유한회사 개선된 증발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1566895B1 (ko) * 2015-05-20 2015-11-09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유격조절장치가 구비된 롤 크러셔
KR101781588B1 (ko) * 2015-06-04 2017-09-25 황명회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CN107473563A (zh) * 2017-09-13 2017-12-15 宜兴市建华成套环保有限公司 一种带式压滤机
CN110698036A (zh) * 2019-11-11 2020-01-17 临朐凯盛机电科技有限公司 撬装式热泵污泥烘干一体机
KR102639149B1 (ko) 2023-11-02 2024-02-21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오폐수 슬러지를 친환경 재료로 재활용 하기 위한 탈수 및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691A2 (ko) 2011-08-18
WO2011099691A3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243B1 (ko) 폐수 슬러지처리용 탈수 및 증발 건조장치
KR101005086B1 (ko) 폐수슬러지 처리용 탈수 건조장치
JP6216763B2 (ja) 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WO2017043232A1 (ja) 脱水装置、脱水システム、及び脱水方法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CN100494845C (zh) 转鼓式压膜污泥干燥机
KR20120084220A (ko) 슬러지 건조장치
JP4651045B2 (ja) 汚泥脱水装置
KR20200034678A (ko) 스크류프레스 탈수기
CZ79597A3 (en) Method of reducing content of water in grained brown coal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6076279A (en) Method and a device for improving liquid removal
KR10113564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307668B1 (ko) 롤러집약형슬러지고압탈수장치
JP3020902B2 (ja) 脱水・乾燥装置
KR100956614B1 (ko) 슬러지 균등 공급장치
KR101103625B1 (ko) 2단양면건조방식 산업용탈수건조장치
KR101570032B1 (ko) 건조효율이 향상된 산업용탈수건조장치
CN101144679A (zh) 一种带式强力压榨脱水机
CN210885747U (zh) 一种污泥处理用脱水装置
KR101994066B1 (ko) 디스크 회전형 농축 탈수기
KR20150005169A (ko) 탈수 건조장치의 고온발열롤러용 스크레이퍼장치
RU2332627C1 (ru) Вибрационная пресс-сушилка для полидисперс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0834848B1 (ko) 슬러지 케이크 파쇄장치
KR101865306B1 (ko) 슬러지 고형화 설비
CN219187153U (zh) 一种污泥脱水后烘干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