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468B1 -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468B1
KR102259468B1 KR1020187030072A KR20187030072A KR102259468B1 KR 102259468 B1 KR102259468 B1 KR 102259468B1 KR 1020187030072 A KR1020187030072 A KR 1020187030072A KR 20187030072 A KR20187030072 A KR 20187030072A KR 102259468 B1 KR102259468 B1 KR 10225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sistance
resistor
substrat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55A (ko
Inventor
히로아키 히사무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0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mechanical pressure or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4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the contact or the associated conducting structure riding on collector formed as a ring or por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저항 기판은, 기판과, 그 상면에 인쇄 형성된 저항부를 갖는다. 저항부는,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한 원호 형상(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항부는, 폭이 좁은 개소에서 두껍게 형성되고, 폭이 넓은 개소에서 얇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저항 기판 및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변 저항기는 저항 기판과, 브러시와, 조작체를 갖고 있다. 저항 기판은 인쇄 형성된 원호 형상의 저항부를 갖고 있다. 브러시는 저항부와 접촉하도록 조작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는 사용자 등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 저항기는 조작체의 회전에 의해 브러시를 이동시키고, 브러시와 저항부의 접촉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가변 저항기는 브러시의 회전 각도(브러시의 위치)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저항 기판의 저항부는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서 절연성의 기판 상에 형성되고 있다. 즉, 저항부는 원호 형상의 투과 부분을 갖는 마스크의 하면에 기판을 겹치고, 마스크의 상면으로부터 페이스트 형상의 저항 재료를 스퀴즈(squeez)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4-335543호
그렇지만, 원호 형상으로 저항부가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로 저항부를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저항 기판의 저항부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표면 저항율로 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종래의 저항 기판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는, 브러시의 회전 각도(브러시의 위치)와 출력되는 저항값의 관계가 이상적인 비례 관계로부터 어긋나기 쉽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의 저항 기판을 이용한 가변 저항기에서는, 조작체의 회전 각도(조작체의 위치)의 변화에 대한 저항값의 변화가, 우수한 직선성(linearity)을 나타내기 어렵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저항 기판은 기판과, 이 기판 상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저항부를 갖고 있다. 저항부는 제 1 개소와, 제 1 개소보다 폭이 좁은 제 2 개소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2 개소는 제 1 개소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저항부의 폭은 제 1 개소와 제 2 개소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저항 기판에서는, 저항 재료를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저항부에 있어서, 두꺼워지기 쉬운 부분의 폭을, 얇아지기 쉬운 부분의 폭보다 좁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저항 기판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적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저항 기판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는 출력 변화의 직선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저항 기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저항 기판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저항 기판의 변형예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저항 기판(30)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저항 기판의 평면도이다.
또,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판(31)의 저항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상」, 그 반대측을 「하」라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나 「하」는 기판(31)을 기준으로 한 저항부(32)의 위치의 방향이다.
또, 랜드부(land zone)(34A~34C)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후」, 그 반대측을 「전」이라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후」나 「전」은 랜드부(34A~34C)를 기준으로 한 저항부(32)의 방향이다.
또, 랜드부(34C)를 기준으로 랜드부(34A)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좌」, 랜드부(34C)를 기준으로 랜드부(34B)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우」라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좌」나 「우」는 랜드부(34C)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랜드부(34A)나 랜드부(34C)의 방향이다.
또, 각도 위치는 관통 구멍(35)의 중심인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제 1 단부(33A)와 저항부(32)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가 이루는 중심각으로 나타낸, 저항부(32)에 있어서의 그 위치를 의미한다.
또, 둘레 방향은 저항부(32)를 따르는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둘레 방향은 저항부(32)를 제 1 단부(33A)로부터 제 2 단부(33B)로 따르는 방향이다. 즉, 둘레 방향은 곡선(32A)이나 곡선(32B)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 저항부(32)의 폭은, 저항부(32)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35)의 중심(점 A)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의 치수이다. 바꾸어 말하면, 저항부(32)의 폭은 곡선(32B)의 소정의 위치와 곡선(32A)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이다.
또, 도 1의 화살표는 저항부(32)를 형성할 때의 스퀴즈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저항부(32)는 페이스트 형상의 저항 재료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퀴즈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의 화살표는 본 실시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스퀴즈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 기판(30)은, 기판(31)과, 저항부(32)를 갖는다. 기판(31)은 원형의 관통 구멍(35)을 마련하고 있다. 저항부(32)는 상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5)을 둘러싸는 원호 형상(C자 형상)으로 스크린 인쇄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항부(32)는, 상면에서 보아 개구부가 뒤쪽을 향한 원호 형상(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항부(32)는 제 1 단부(33A)와 제 2 단부(33B)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33A)와 제 2 단부(33B)는 서로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부(33A)와 제 2 단부(33B)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의 사이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 저항부(32)는 곡선(32A)과 곡선(32B)을 갖고 있다. 곡선(32A)은 저항부(32)의 외연(外緣)을 형성하고 있다. 곡선(32B)은 저항부(32)의 내연(內緣)을 형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곡선(32B)은 기판(31) 상에서, 곡선(32A)과 관통 구멍(35)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저항부(32)는, 제 1 단부(33A)로부터 제 2 단부(33B)에 걸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저항부(32)에서는, 곡선(32A)와 곡선(32B) 사이의 거리를,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어느 각도 위치의 제 1 개소와, 제 1 개소와 각도가 상이한 제 2 개소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폭이 변화한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각도 위치의 범위에 있어서 폭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즉, 저항부(32)는 폭이 일정하지 않다. 또, 제 1 개소와 제 2 개소는 상대적인 폭의 넓이에 의해 정해지는 위치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Position A는 Position B에 대해서 제 1 개소이며, Position B는 Position A에 대해서 제 2 개소가 된다. 또,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Position A는 Position C에 대해서 제 2 개소이며, Position C는 Position A에 대해서 제 1 개소가 된다.
이와 같이 저항부(32)는 형성되어 있다. 즉, 저항부(32)는 관통 구멍(35)의 중심(점 A)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원호는 아니다.
또, 저항부(32)는, C자의 개구부로부터 관통 구멍(35)의 중심(점 A)을 거쳐서 대향하는 개소의 폭(W2)이 가장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항부(32)는 폭(W2)의 개소로부터 점 A를 중심으로서 -90도에 위치하는 개소의 폭(W1), 혹은, 폭(W2)의 개소로부터 점 A를 중심으로서 90도에 위치하는 개소의 폭(W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폭이 가장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폭(W1)과 폭(W3)은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제 1 단부(33A)의 폭(W0)과 제 2 단부(33B)의 폭(W4)은 모두 폭(W1)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단부(33A)의 폭(W0)과 제 2 단부(33B)의 폭(W4)은 모두 폭(W3)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저항부(32)의 폭은 제 1 단부(33A)(폭(W0)의 개소)로부터 폭(W1)의 개소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폭(W1)의 개소로부터 폭(W2)의 개소에 걸쳐 서서히 좁아진다. 또한, 저항부(32)의 폭은 폭(W2)의 개소로부터 폭(W3)의 개소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고, 폭(W3)의 개소로부터 제 2 단부(33B)(폭(W4)의 개소)에 걸쳐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또한, 제 1 단부(33A)와 제 2 단부(33B)는 서로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 1 단부(33A)와 제 2 단부(33B)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면 좋다. 또, 도 1은 소정의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폭의 변화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저항부(32)를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부(32)는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저항부(32)는 기판(31)의 상면에 원호 형상(C자 형상)의 투과 부분을 갖는 마스크를 겹치도록 배치해서, 마스크의 상면으로부터 페이스트 형상의 저항 재료를 스퀴즈함으로써, 기판(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부(32)의 두께는, 마스크에 마련된 투과 부분에 대한 저항 재료의 투과 용이성에 의존한다. 즉, 투과 용이성이 높을수록 저항부(32)는 두꺼워지고, 투과 용이성이 낮을수록 저항부(32)는 얇아진다. 그리고, 이 투과 용이성은 저항부(32)의 형상을 결정하는 마스크의 투과 부분의 외형 형상과 스퀴즈 방향의 관계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저항부(32)는, 저항부(32)의 외형을 구성하는 곡선(32A)과 곡선(32B)의 어느 하나의 접선이, 스퀴즈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행에 가까워지는 개소만큼 투과 용이성이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한편, 저항부(32)의 외형을 구성하는 곡선(32A)과 곡선(32B)의 어느 하나의 접선이, 스퀴즈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서 직각에 가까워지는 개소만큼 투과 용이성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즉, 저항부(32)는, 폭(W2)의 개소가 두껍고, 폭(W1)의 개소와 폭(W3)의 개소가 얇아진다. 또, 폭(W1)의 개소와 폭(W3)의 개소의 두께는 거의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저항부(32)는, 폭이 좁은 개소가, 폭이 넓은 개소보다 두꺼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저항부(32)는, 소정의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폭 치수와 두께 치수의 관계를 서로 반비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항부(32)는, 가장 폭 치수가 작은 폭(W2)의 개소가 가장 두꺼워지고, 폭(W1)의 개소와 폭(W3)의 개소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가장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저항 기판(30)은 저항부(3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적의 편차가 억제된다. 따라서, 저항 기판(30)은 저항부(32)의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표면 저항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저항 기판(30)은 가변 저항기(100)(도 2 참조)의 출력 변화의 직선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퀴즈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전후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스퀴즈해서 작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퀴즈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경우, 저항부(32)의 두께의 경향은 상술한 것과 반대로 된다. 즉, 이 경우, 저항부(32)는, 폭(W2)의 개소에서 얇고, 폭(W1)의 개소와 폭(W3)의 개소에서 두꺼워진다. 또, 폭(W1)의 개소와 폭(W3)의 개소는 거의 동일한 두께가 된다.
따라서, 저항부(32)의 폭 치수의 설정도, 도 1에 나타낸 것에 대해서 반대의 구성(폭(W1)≒폭(W3)<폭(W2))으로 하면 좋다. 즉, 저항부(32)는, 폭(W2)을 가장 넓어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 폭(W1) 혹은 폭(W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가장 좁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폭(W1)과 폭(W3)은 거의 동일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한, 저항부(32)는, 제 1 단부(33A)의 폭(W0)과 제 2 단부(33B)의 폭(W4)이 모두 폭(W1)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 폭(W0)과 폭(W4)은 모두 폭(W3)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저항부(32)는 스퀴즈 방향에 의한 저항부(32)의 두께의 경향에 따라서 폭 치수를 설정하면 좋다.
이하,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저항 기판(30)의 보다 상세한 구성과, 저항 기판(30)을 이용한 가변 저항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저항 기판(30)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 저항기(100)는, 저항 기판(30)과, 케이스(10)와, 고정 전극(20A~20C)과, 조작체(40)를 갖는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 기판(30)은 상술한 기판(31)과 저항부(32)에 더해서, 추가로 링 형상의 전극부(33)와, 랜드부(34A~34C)를 갖는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31)의 외형은, 원형 부위와 직사각형 부위가 결합한 Ω자 형상이다. 기판(31)의 상면(케이스(10)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의 면)의 원형 부위에는, 저항부(32)와 전극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31)의 상면의 직사각형 부위에는, 상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랜드부(34A~3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31)의 원형 부위의 중앙부에는, 기판(31)을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 구멍(35)이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기판(31)의 직사각형 부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 부분(36A~36F)이 마련되어 있다. 또, 구멍 부분(36A)과 구멍 부분(36B)은 랜드부(34A)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또, 구멍 부분(36E)과 구멍 부분(36F)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랜드부(34C)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저항부(32)는 기판(31)의 원형 부위의 바깥 둘레를 대략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단부(33A)는 인출선(37A)을 통해서 랜드부(3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단부(33B)는 인출선(37B)을 통해서 랜드부(3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항부(32)에는, 카본을 주 재료로 한, 저항값이 높은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랜드부(34A)는 반드시 제 1 단부(33A)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랜드부(34A)는 제 1 단부(33A)보다 넓은 폭의 개소나, 제 1 단부(33A)보다 폭이 좁은 개소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랜드부(34A)는 제 1 단부(34A)와 제 1 개소 사이에서 저항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또, 마찬가지로, 랜드부(34B)는, 랜드부(34A)보다 제 2 단부(33B)에 가까운 위치에서, 저항부(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즉, 랜드부(34B)는 반드시 제 1 단부(33B)와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제 2 단부(33B)보다 넓은 폭의 개소나, 제 2 단부(33B)보다 폭의 좁은 개소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전극부(33)는, 관통 구멍(35)을 따르도록, 저항부(32)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부(33)는, 저항부(32)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인출선(37C)을 통해서 랜드부(34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전극부(33) 대신에, 도 4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전극부(33α)라도 좋다. 또, 전극부(33)와 랜드부(34A~34C)는, 은을 주 재료로 한, 저항값이 낮은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 전극부(33)와 랜드부(34A~34C)의 형성에는, 저항부(32)와 마찬가지로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면 좋다.
케이스(10)는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저항 기판(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와, 고정 전극(20A~20C)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 형상부(12A~12C)와, 기둥 형상부(13A~13C)를 갖는다.
수용부(11)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관통한 개구부(14)와, 개구부(14)의 주위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벽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저항 기판(30)은, 관통 구멍(35)에 벽부(15)가 삽입됨으로써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전극(20A~20C)은, 장척(長尺) 형상의 금속판을 단 굽힘(step-bending) 가공해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20A)은 제 1 단에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한 단자부(21A)를 갖고, 제 2 단에 저항 기판(30)과 접속되는 접속부(22A)를 갖고 있다.
접속부(22A)는 단 굽힘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21A)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 접속부(22A)의 양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돌기부(23A, 23B)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 전극(20A)에는, 타원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cauling hole)(24A)과, 원형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25A)이 마련되어 있다. 코킹 구멍(24A)은 코킹 구멍(25A)보다 접속부(22A)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20B)은 제 1 단에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한 단자부(21B)를 갖고, 제 2 단에 저항 기판(30)과 접속되는 접속부(22B)를 갖고 있다. 접속부(22B)는 단 굽힘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21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 접속부(22B)의 양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돌기부(23C, 23D)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 전극(20B)에는, 타원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24B)과, 원형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25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코킹 구멍(24B)은 코킹 구멍(25B)보다 접속부(22B)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20C)은, 제 1 단에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한 단자부(21C)를 갖고, 제 2 단에 저항 기판(30)과 접속되는 접속부(22C)를 갖고 있다. 접속부(22C)는 단 굽힘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21C)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 접속부(22C)의 양측에는, 위쪽으로 돌출한 돌기부(23E, 23F)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 전극(20C)에는, 타원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24C)과, 원형 형상으로 관통한 코킹 구멍(25C)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코킹 구멍(24C)은 코킹 구멍(25C)보다 접속부(22C)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전극(20A~20C)은 각각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전극(20A)은, 코킹 구멍(24A)에 기둥 형상부(12A)를, 코킹 구멍(25A)에 기둥 형상부(13A)를, 각각 삽입해서 케이스(10)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20B)은, 코킹 구멍(24B)에 기둥 형상부(12B)를, 코킹 구멍(25B)에 기둥 형상부(13B)를, 각각 삽입해서 케이스(10)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 전극(20C)은, 코킹 구멍(24C)에 기둥 형상부(12C)를, 코킹 구멍(25C)에 기둥 형상부(13C)를, 각각 삽입해서 케이스(10)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전극(20A~20C)은 저항 기판(30)의 랜드부(34A~34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고정 전극(20A)은, 접속부(22A)의 돌기부(23A, 23B)를 저항 기판(30)의 구멍 부분(36A, 36B)에 각각 삽입해서, 돌기부(23A, 23B)를 코킹함으로써 랜드부(3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 전극(20B)은, 돌기부(23C, 23D)를 저항 기판(30)의 구멍 부분(36C, 36D)에 각각 삽입해서, 돌기부(23C, 23D)를 코킹함으로써 랜드부(3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 전극(20C)은, 돌기부(23E, 23F)를 저항 기판(30)의 구멍 부분(36E, 36F)에 각각 삽입해서, 돌기부(23E, 23F)를 코킹함으로써 랜드부(34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조작체(40)는, 회전체(41)와, 회전체(41)에 지지된 브러시(42)를 갖는다. 회전체(41)는 원형의 절연성의 수지 부재이며, 하면의 중앙에는 하향으로 원주 형상으로 돌출한 원주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41)는, 원주부(44)가 케이스(10)의 개구부(14)에 삽통됨으로써, 케이스(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브러시(42)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42)의 선단부는 2개로 분리되어 접점부(43A, 43B)를 형성하고 있다. 접점부(43A)는 저항 기판(30)의 저항부(32)의 상면과 접촉하고, 접점부(43B)는 저항 기판(30)의 전극부(33)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브러시(42)는 회전체(4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40)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러시(42)의 접점부(43A)를 저항 기판(30)의 저항부(3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체(40)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러시(42)의 접점부(43B)를 저항 기판(30)의 전극부(33)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변 저항기(100)는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변 저항기(100)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가변 저항기(1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조작자 등이 조작체(40)의 회전체(41)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따라서 브러시(42)가 회전 이동한다. 가변 저항기(100)에서는, 랜드부(34A)가, 저항부(32)와 브러시(42)와 전극부(33)를 통해서, 랜드부(34C)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랜드부(34A)와 랜드부(34C) 사이에는, 저항부(32)와 접점부(43A)의 접촉 각도 위치에 따른 저항값이 발생한다. 랜드부(34B)와 랜드부(34C) 사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저항부(32)와 접점부(43A)의 접촉 각도 위치에 따른 저항값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전체(4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 각도에 따라서, 브러시(42)와 저항부(32)의 접촉 위치가 이동한다. 그리고, 브러시(42)와 저항부(32)의 접촉 위치의 이동에 따라서, 가변 저항기(100)는, 랜드부(34A)와 랜드부(34C) 사이의 저항값과, 랜드부(34B)와 랜드부(34C) 사이의 저항값이 변화한다.
그리고, 가변 저항기(100)가 부착된 도시하지 않는 전자 회로가 이 저항값을 검출함으로써, 회전체(41)의 회전 각도 위치에 따라서, 가변 저항기(100)가 탑재된 전자기기가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 기판(30)의 저항부(32)에서는, 저항부(32)의 두께가 얇아지기 쉬운 개소에 있어서의 폭은 넓고, 저항부(32)의 두께의 두꺼워지기 쉬운 개소에 있어서의 폭은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퀴즈에 의해 저항부(32)를 인쇄로 형성해도, 저항부(32)의 단면적의 편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저항 기판(30)을 이용해서 구성한 가변 저항기(100)에서는, 회전체(41)의 회전 각도 위치와 그 회전 각도 위치에 따라서 출력되는 저항값의 관계가, 이상적인 비례 관계에 가까워진다. 즉, 가변 저항기(100)는, 조작체(40)의 회전 각도 위치의 변화에 대한 출력 변화가 우수한 직선성(linearity)을 나타낸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저항 기판은 단면적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변 저항기와 같은 회전 조작형 전자기기에 유용하다.
10  케이스
11  유지부
12A, 12B, 12C, 13A, 13B, 13C  기둥 형상부
14  개구부
15  벽부
20A, 20B, 20C  고정 전극
21A, 21B, 21C  단자부
22A, 22B, 22C  접속부
23A, 23B, 23C, 23D, 23E, 23F  돌기부
24A, 24B, 24C, 25A, 25B, 25C  코킹 구멍
30  저항 기판
31  기판
32  저항부
32A, 32B  곡선
33  전극부
33A  제 1 단부
33B  제 2 단부
34A, 34B, 34C  랜드부
35  관통 구멍
36A, 36B, 36C, 36D, 36E, 36F  구멍 부분
40  조작체
41  회전체
42  브러시
43A, 43B  접점부
44  원주부
100  가변 저항기

Claims (11)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저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부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에 위치한 제 1 개소와,
    상기 제 2 단부에 위치한 제 2 개소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제 3 개소와,
    상기 제 1 개소와 상기 제 3 개소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개소와,
    상기 제 2 개소와 상기 제 3 개소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개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개소는 상기 제 4 개소와 상기 제 5 개소보다 두껍고,
    상기 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 1 개소로부터 상기 제 4 개소로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상기 제 4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개소로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제 3 개소로부터 상기 제 5 개소로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상기 제 5 개소로부터 상기 제 2 개소로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저항 기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개소 및 상기 제 5 개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소는 폭이 가장 넓은 개소이며,
    상기 제 3 개소는 폭이 가장 좁은 개소인
    저항 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랜드부를 더 구비하는 저항 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드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4 개소 사이에서, 상기 저항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 기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드부는 상기 제 1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 기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의 내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 또는 링 형상의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 2 랜드부
    를 더 구비하는 저항 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드부보다 상기 제 2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저항부와 접속된 제 3 랜드부를 더 구비하는 저항 기판.
  9. 청구항 1에 기재된 저항 기판과,
    상기 저항부와 접촉하면서 원호 형상으로 이동하는 브러시
    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 기판은,
    상기 저항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 1 랜드부와,
    상기 저항부의 내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 또는 링 형상의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랜드부
    를 갖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10.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저항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부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에 위치한 제 1 개소와,
    상기 제 2 단부에 위치한 제 2 개소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 사이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제 3 개소와,
    상기 제 1 개소와 상기 제 3 개소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4 개소와,
    상기 제 2 개소와 상기 제 3 개소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5 개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 4 개소와 상기 제 5 개소는 상기 제 3 개소보다 두껍고,
    상기 저항부의 폭은 상기 제 1 개소로부터 상기 제 4 개소로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제 4 개소로부터 상기 제 3 개소로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상기 제 3 개소로부터 상기 제 5 개소로 연속적으로 좁아지고, 상기 제 5 개소로부터 상기 제 2 개소로 연속적으로 넓어지는 저항 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개소는 폭이 가장 넓은 개소이며,
    상기 제 4 개소 및 상기 제 5 개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소는 폭이 가장 좁은 개소인
    저항 기판.
KR1020187030072A 2016-04-27 2017-04-20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KR102259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9332 2016-04-27
JP2016089332 2016-04-27
PCT/JP2017/015812 WO2017188103A1 (ja) 2016-04-27 2017-04-20 抵抗基板およびそれを含む可変抵抗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55A KR20190002455A (ko) 2019-01-08
KR102259468B1 true KR102259468B1 (ko) 2021-06-01

Family

ID=6016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072A KR102259468B1 (ko) 2016-04-27 2017-04-20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4425B2 (ko)
JP (1) JPWO2017188103A1 (ko)
KR (1) KR102259468B1 (ko)
WO (1) WO2017188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9476B2 (ja) * 2018-05-07 2023-01-2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電子部品
JP7352791B2 (ja) * 2019-05-15 2023-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回転型電子部品、及び回転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692A1 (ja) * 2009-01-08 2010-07-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抵抗基板の製造方法
JP7054768B2 (ja) * 2018-09-03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かご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4870A (en) * 1936-03-14 1938-11-01 Mallory & Co Inc P R Resistance element
US2632831A (en) * 1951-05-09 1953-03-24 Pritikin Variable resistance element
US3379567A (en) * 1964-06-12 1968-04-23 Beckman Instruments Inc Tailored variable electrical resistance element
US3723938A (en) * 1969-12-22 1973-03-27 Bourns Inc Non-linear potentiometer with conductor array
US3921118A (en) * 1973-10-01 1975-11-18 Gen Electric Variable resistor assembly
JPS582009Y2 (ja) * 1978-05-18 1983-01-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変抵抗器
JPH0754768B2 (ja) * 1986-10-15 1995-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路基板
JPH02205304A (ja) * 1989-02-03 1990-08-15 Murata Mfg Co Ltd 可変抵抗器
JPH02252203A (ja) * 1989-03-27 1990-10-11 Copal Electron Co Ltd 可変抵抗器
JP2003217397A (ja) * 2002-01-25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
WO2004072993A1 (ja) * 2003-02-12 2004-08-26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電子部品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35543A (ja) 2003-04-30 2004-11-25 Alps Electric Co Ltd 抵抗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抵抗基板用印刷マスク
JP2013114886A (ja) * 2011-11-29 2013-06-10 Hosiden Corp 可動接点及びこれを備えた接点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692A1 (ja) * 2009-01-08 2010-07-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抵抗基板の製造方法
JP7054768B2 (ja) * 2018-09-03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かご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55A (ko) 2019-01-08
WO2017188103A1 (ja) 2017-11-02
US10424425B2 (en) 2019-09-24
US20190122791A1 (en) 2019-04-25
JPWO2017188103A1 (ja)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468B1 (ko) 저항 기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기
KR100371079B1 (ko) 가변저항기
US20170229220A1 (en) Rotary variable re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1912B1 (ko) 외부 부착 ptc 소자, 및 통형 전지
US20040108936A1 (en) Thermistor having symmetrical structure
JP4450598B2 (ja) 湿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6484119B1 (en) Input device having deflection detecting elements
KR940018881A (ko) 가변 저항기(Variable register)
JP6554829B2 (ja) 液面検出装置
US3939401A (en) Conductivity cell electrode enclosure
US6677849B1 (en)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5269300B2 (ja) 可変抵抗器
JPH07263917A (ja) 非可逆回路素子
KR100260388B1 (ko) 전기부품
US8963028B2 (en) Multi-point tilt switch
JP4486025B2 (ja) 荷重センサ
JP3474083B2 (ja) 可変抵抗器
JP6344479B2 (ja) 可変抵抗器
JP2019197762A (ja) 電子部品
JP2000306710A (ja) 電子部品
KR890007223Y1 (ko) 전자 부품
JP2018136203A (ja) 液面検出装置
JP3764802B2 (ja) 可変抵抗器
JP4440668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2083736A (ja) 可変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