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83B1 -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83B1
KR102258683B1 KR1020140147478A KR20140147478A KR102258683B1 KR 102258683 B1 KR102258683 B1 KR 102258683B1 KR 1020140147478 A KR1020140147478 A KR 1020140147478A KR 20140147478 A KR20140147478 A KR 20140147478A KR 102258683 B1 KR102258683 B1 KR 10225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pb
low
switch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808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EPB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는 EPB(Electronic Parking Brake)를 구동시키는 EPB 구동부, 상기 EPB 구동부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상기 EPB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래치 회로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 상기 EPB 구동부와 스위치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 구동부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래치 회로를 통해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 OVERCURRENT CONTROL OF ELECTRONIC PARKING BRAKE OF VEHICLE}
본 명세서는 차량 EPB(Electronic Parking Brake)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EPB 모터의 전류 Monitoring 회로에 비교기를 추가하여 이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산업은 차량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 차량 디자인 기술, 차량 내부의 장치에 대한 기술 등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차량은 그 자체의 본질적 특성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에 따라 안전 운전을 위한 기술 분야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한 실정이다.
이런 패러다임에 따라 차량의 EPB(Electronic Parking Brake)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도 다수 제시되고 있는데, 이런 기술 중에 EPB 모터 구동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활발한 실정이다.
종래 EPB 모터 구동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전류 Monitoring 회로에 있는 Shunt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전압을 이용해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에서 Monitoring한다. 그리고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가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여 Failsafe FET 등 스위치를 Turn off 시킴으로써 EPB 모터 구동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가 오동작을 일으켜서 의도치 않은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도 Failsafe FET 등 스위치를 Turn off 시키지 않고 그대로 동작시켜 전류를 차단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가 과전류를 판단하여 Failsafe FET 등 스위치를 Turn off 하는 과정은 전류 Monitoring 회로의 필터 시정수로 인하여 지연이 1차로 발생한다. 추가로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가 전압을 읽어 과전류를 판단하고 Failsafe FET 등 스위치를 Turn off 시키기까지 적어도 수백us의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차량의 EPB(Electronic Parking Brake) 모터의 전류 Monitoring 회로에 비교기를 추가하여 이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를 경우 스위치부의 동작을 차단시켜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 등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비교기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을 하여 시간 지연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비교기에 래치 회로를 포함하고,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에서 래치 회로에 리셋 신호를 보내는 것을 통해 EPB 구동회로의 재구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B 제어 장치는 EPB(Electronic Parking Brake)를 구동시키는 EPB 구동부, 상기 EPB 구동부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상기 EPB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래치 회로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 상기 EPB 구동부와 스위치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 구동부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래치 회로를 통해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는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 입력 신호를 Low로 풀 다운(Pulldown) 시켜 스위치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차단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상기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 회로를 리셋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B 제어 방법은 차량의 제어장치가 래치 회로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 시키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차량의 EPB와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 단계, 상기 제1 신호와 제3 신호를 래치 회로를 통해 비교한 제4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단계,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EPB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전류 판단 단계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이전 상태의 값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 입력 신호를 Low로 풀 다운(Pulldown) 시켜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의 동작을 차단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래치 회로의 출력을 리셋시키는 것은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되어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가 차단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 회로를 리셋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EPB 모터의 전류 Monitoring 회로에 비교기를 추가하여 이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여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 등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비교기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을 하여 시간 지연을 보다 줄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비교기에 래치 회로를 포함하고, MCU 등 차량의 제어장치에서 래치 회로에 리셋 신호를 보내는 것을 통해 EPB 구동회로의 재구동이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의 EPB 구동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100)는 EPB 구동부(10), 스위치부(20), 제1 제어부(30) 및 제2 제어부(40)를 포함한다.
EPB 구동부(10)는 EPB를 구동시키는 일련의 장치 등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EPB 모터 구동회로, EPB Motor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EPB(Electronic Parking Brake)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뜻하는 것으로, 차가 서 있을 때는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잠겨 있다가, 출발할 때는 액셀러레이터 페달만 밟으면 자동으로 풀리는 브레이크 장치를 뜻한다.
스위치부(20)는 EPB 구동부(10)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 또는 차단하는 일련의 장치 등으로, 스위치부 구동회로와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0)는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범위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스위치부의 스위치를 Turn on된 상태로 유지시켜 EPB 구동부(10)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한다. 또한, 스위치부(20)는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범위를 넘어서는 전류, 즉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스위치부의 스위치를 Turn off 시켜 EPB 구동부(1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스위치부(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ailsafe FET 구동회로와 Failsafe F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30)는 EPB 구동부(10) 및 스위치부(20)를 제어하고, 래치 회로(47)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제어부(30)는 MCU(Micro Control Unit)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는 우선, EPB 구동부(10)에 있는 배터리를 통해 EPB 모터 구동회로에 배터리 전압을 인가시키고, 그 후 스위치부(20)에 있는 스위치부 구동회로에 Trun on 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를 Turn on 시켜 EPB 모터 구동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Path)를 만들어 준다. 이는 EPB 구동부(10) 및 스위치부(2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이후, 제1 제어부(30)는 EPB 모터구동 회로에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인가하여 EPB 모터에 전류가 흐르게 한다. 상기 EPB 모터에 흐르는 전류는 스위치부(20)의 스위치로 흐르게 된다.
또한, 제1 제어부(30)는 래치 회로(47)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신호는 제2 제어부(30)에서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한 제3 신호와 래치 회로(47)를 통해 비교하여 래치 회로(47)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기 위한 신호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제어부(40)는 EPB 구동부(10)와 스위치부(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40)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3 신호를 래치 회로(47)를 통해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스위치부(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류 모니터링 회로(50)는 EPB 구동부(10)와 스위치부(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류 모니터링 회로(50)는 EPB 구동부(10)와 스위치부(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Shunt저항 등 저항값이 낮은 저항을 통하여 흐르게 하여 Shunt저항 등 저항값이 낮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옴의 법칙(V = IR)을 이용하여 산출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제2 제어부(40)의 필터부(41)는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 신호(Noise)를 제거한다. 필터부(41)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비교 전압 생성부(43)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와 비교하여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을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기준 전압은 과전류 검출을 위한 전류레벨에 맞도록 생성된다.
이후, 비교부(45)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 받아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한 제3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비교부(45)는 연산 증폭기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연산 증폭기의 (+)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기준 전압이 연산 증폭기의 (-) 단자로 입력된다. 비교부(45)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크면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른다는 의미이고,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래치 회로(47)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래치 회로(47)는 특정한 조건일 때 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아 유지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기 제4 신호는 스위치부(20)의 스위치를 On/Off 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한다.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제어부(30)는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함으로써 제4 신호를 이전 상태의 값으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n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High를 출력한다.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제어부(30)는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함으로써 제4 신호가 High 값을 갖도록 한다. 이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ff 된다.
또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Low를 출력한다. 이는 래치 회로(47)를 리셋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된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ff된다.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EPB 구동부(10)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 상태에서 정상적인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 경우에도 래치 회로(47)는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과전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제어부(30)는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제4 신호를 Low로 바꿔주어 래치 회로(47)를 리셋하게 한다. 이후 제1 제어부(30)는 다시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하여 다시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 신호가 스위치 제어부(49)에 입력되어 스위치부(20)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4 신호가 Low로 출력되면 스위치 제어부(49)가 동작하지 않아 스위치부(20)로 High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스위치부(20)의 스위치가 Turn 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되면 스위치 제어부(49)가 동작하여 스위치부(20)로 입력되는 High 신호를 Low로 풀다운(Pulldown)시킨다. 그러면, 스위치부(20)의 스위치를 Turn off 시킨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B 제어 장치의 EPB 구동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전류 모니터링 회로(50)는 차량의 EPB와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출력한다(S101).
전류 모니터링 회로(50)는 EPB 구동부(10)와 스위치부(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류 모니터링 회로(50)는 EPB 구동부(10)와 스위치부(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Shunt저항 등 저항값이 낮은 저항을 통하여 흐르게 하여 Shunt저항 등 저항값이 낮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옴의 법칙(V = IR)을 이용하여 산출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제2 제어부(40)는 S101 단계에서 출력한 상기 제2 신호를 제2 제어부(40)에서 입력 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한다(S103).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제2 제어부(40)의 필터부(41)는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잡음 신호(Noise)를 제거한다. 이후 제2 제어부(40)의 비교 전압 생성부(43)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와 비교하여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을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그리고 비교부(45)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 받아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비교부(45)는 연산 증폭기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연산 증폭기의 (+)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기준 전압이 연산 증폭기의 (-) 단자로 입력된다. 비교부(45)는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크면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필터링된 제2 신호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한다.
또한, 제1 제어부는 래치 회로(47)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출력한다(S105).
이후, 제2 제어부(40)의 래치 회로(47)는 상기 제1 신호와 제3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한다(S107). 상기 제4 신호는 스위치부(20)의 스위치를 On/Off 시키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High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4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Low로 출력된다.
이후, 제2 제어부(40)는 제3 신호를 통해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한다(S109).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른다는 의미이고,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것은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S109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2 제어부(40)는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를 차단한다(S111).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제어부(30)는 래치 회로(47)의 출력, 즉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함으로써 제4 신호가 High 값을 갖도록 한다. 이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ff 된다.
반면에, EPB 구동부(10)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 제어부(30)는 래치 회로(47)의 출력, 즉 제4 신호를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함으로써 제4 신호가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토록 한다. 이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n 상태로 유지된다.
S111 단계에서 스위치부(20)의 스위치가 차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흐른 경우, 제1 제어부(30)는 래치 회로(47)를 리셋시킨다(S113).
상기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된 경우 스위치부(20)의 스위치는 Turn off되는데,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EPB 구동부(10)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 상태에서 정상적인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 경우에도 래치 회로(47)는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과전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제어부(30)는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제4 신호를 Low로 바꿔주어 래치 회로(47)를 리셋하게 한다. 이후 제1 제어부(30)는 다시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하여 다시 EPB 구동부(10)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EPB 제어 장치
10 : EPB 구동부
20 : 스위치부
30 : 제1 제어부
40 : 제2 제어부
50 : 전류 모니터링 회로
41 : 필터부
43 : 비교 전압 생성부
45 : 비교부
47 : 래치회로
49 : 스위치 제어부

Claims (10)

  1. EPB(Electronic Parking Brake)를 구동시키는 EPB 구동부;
    상기 EPB 구동부에 흐르는 전류를 유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
    상기 EPB 구동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래치 회로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EPB 구동부와 스위치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 구동부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래치 회로를 통해 비교하여 제4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EPB 구동부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이 상기 제3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래치 회로의 리셋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하는 EPB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는 이전 상태의 값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하는 EPB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 입력 신호를 Low로 풀 다운(Pulldown) 시켜 스위치부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EPB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차단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상기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 회로를 리셋시키는 EPB 제어 장치.
  6. 차량의 제어장치가 래치 회로의 출력을 유지 또는 리셋 시키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차량의 EPB와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EPB에 과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제3 신호를 출력하는 과전류 판단 단계;
    상기 제1 신호와 제3 신호를 래치 회로를 통해 비교한 제4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제4 신호를 통해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EPB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스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EPB 제어 방법.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EPB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Low로 출력하여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이 상기 제3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래치 회로의 리셋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High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B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 판단 단계는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면 상기 제3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제3 신호를 Low로 출력하는 EPB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Low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이전 상태의 값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1 신호가 Low이며 상기 제3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High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하는 EPB 제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제4 신호가 High인 경우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 입력 신호를 Low로 풀 다운(Pulldown) 시켜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EPB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의 출력을 리셋시키는 것은 제4 신호가 High로 출력되어 상기 EPB에 연결된 스위치가 차단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 상기 차량의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High로 출력하여 상기 제4 신호를 Low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 회로를 리셋시키는 EPB 제어 방법.
KR1020140147478A 2014-10-28 2014-10-28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5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78A KR10225868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78A KR10225868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08A KR20160049808A (ko) 2016-05-10
KR102258683B1 true KR102258683B1 (ko) 2021-05-31

Family

ID=5602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478A KR102258683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659A (ja) * 2001-05-29 2002-12-06 Toyota Industries Corp 過電流保護装置
JP2014104880A (ja) * 2012-11-28 2014-06-09 Advics Co Ltd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417867B1 (ko) 2010-05-13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285B1 (ko) * 2003-11-14 2005-12-14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유닛의 보호장치 및 보호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659A (ja) * 2001-05-29 2002-12-06 Toyota Industries Corp 過電流保護装置
KR101417867B1 (ko) 2010-05-13 2014-08-0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14104880A (ja) * 2012-11-28 2014-06-09 Advics Co Ltd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08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41130A8 (en) Motor dr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449959B (zh) Dc-dc电压转换器的诊断系统
JP6024706B2 (ja) 電力変換装置
JP6390916B2 (ja) 異常検出装置
JP6496156B2 (ja) 電子制御装置のグランド断線検出方法及び電子制御装置
KR102351067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6495554B2 (ja) Dc−dc電圧コンバータをバック動作モードから安全動作モードに切り換える制御システム
JP6033492B2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6240587B2 (ja) 断線検出装置および断線検出方法
KR102258683B1 (ko)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US9600357B2 (en) Error detection method of failsafe software
JP2018507670A (ja) 自動車両のオルタネータ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を制御する方法、対応する調整装置、及び、オルタネータ
JP6888238B2 (ja) Dc−dc電圧コンバータをブースト動作モードから安全動作モードに切り換える制御システム
JP6324696B2 (ja) 負荷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並びに負荷短絡保護回路
RU2017125147A (ru) Входной каскад для контроллера двигателя и контроллер двигател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KR20130057883A (ko) 모터의 고장 감지 장치
KR2016000411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모터 제어 장치
US10572326B2 (en) Self-diagnosing watchdog monitoring system
JP5259941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6334362B2 (ja) コンデンサ放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311397B (zh) 用于在外部监控功率电子器件的方法和装置
US10528409B2 (en) Watchdog monitoring system that utilizes a disable application to monitor operation of an enable application
KR102123868B1 (ko) 차량 전원 제어 장치
KR100717950B1 (ko)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JP5405345B2 (ja) ブレーキランプ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ラン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