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950B1 -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950B1
KR100717950B1 KR1020060013117A KR20060013117A KR100717950B1 KR 100717950 B1 KR100717950 B1 KR 100717950B1 KR 1020060013117 A KR1020060013117 A KR 1020060013117A KR 20060013117 A KR20060013117 A KR 20060013117A KR 100717950 B1 KR100717950 B1 KR 10071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driver
time
transient current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태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초기 과도 전류에 대한 보호 회로를 가지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램프를 구동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초기 동작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 흐르는 초기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가 임계치 이상의 과도 전류인 경우 초기 과도 전류를 임계치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의 램프의 전기적 에러 판정 이전에 상기 램프를 오프할 수 있는 온 타임과 오프 타임 을 반복하는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상기 램프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정 주기를 가지는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 출력하여 초기 과도 전류를 점차적으로 임계치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초기 과도 전류 발생 시 상기 드라이버의 보호 회로로 인한 램프의 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차, 램프, 제어부, 초기 과도 전류, 제어 신호, 드라이버, 보호회로

Description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LAMP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AR}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과도 전류를 보인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라이버의 입출력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부 13 : 드라이버
L : 램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구동 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 출력하여 과도 초기 전류를 감소하기 위한 보호 회로로 인한 램프의 구동 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ECU)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센서 인 터페이스와 차량을 직접 제어하는 램프 등의 액츄에이터(actuator)를 작동/변환시키는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를 가지는 램프 구동 장치는 각각의 출력 핀(P1-Pn)을 통해 각각의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이 램프 구동 신호를 램프(L)에 제공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램프 구동 장치에 있어, 초기 구동 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과 과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초과 과도 전류가 드라이버의 용량을 초과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드라이버는 전류 리미트(current limiter)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 과도 전류의 피크치가 전류 리미터에 의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되므로, 적은 용량의 드라이버로 램프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전용 드라이버와는 달리 저가의 일반 보호 회로가 적용된 드라이버는 초기 과도 전류 발생 시 발생된 초기 과도 전류로 인한 드라이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램프의 쇼트를 진단하여 상기 램프의 쇼트 진단 시 램프의 구동을 정지하는 램프 진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초기 과도 전류 발생 시 상기 드라이버는 램프를 쇼트로 판정한 후 램프의 구동이 정지된다. 즉, 램프에 흐르는 초기 과도 전류로 인해 보호 회로로 인해 램프가 쇼트로 판정될 때 상기 램프의 구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과도 전류가 발생 시 드라이버를 통해 발생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램프에 공급함으로써, 보호 회로로 인한 드라이버의 램프의 쇼트(short) 진단으로 인한 램프의 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초기 동작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 흐르는 초기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가 임계치 이상의 과도 전류인 경우 초기 과도 전류를 임계치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 , 상기의 램프의 전기적 에러 판정 이전에 상기 램프를 오프할 수 있는 온 타임과 오프 타임 을 반복하는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상기 램프로 제공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초기 동작하는 램프에 흐르는 초기 과도 전류로부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가지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전류가 초기 과도 전류인 경우 상기 드라이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마이 컴의 램프 구동 신호를 상기 램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주기를 가지는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 출력하여 초기 과도 전류를 점차적으로 임계치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초기 과도 전류 발생 시 상기 드라이버의 보호 회로로 인한 램프의 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라이버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는, 마이컴(11)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램프(L)와, 상기 램프(L)에 구동 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램프(L)로 제공하는 드라이버(13)로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버(13)는 상기 마이컴(11)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L)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1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소정 시간은 초기 과도 전류가 임계치 이하로 감소되는 시점이고, 여기서, 상기 임계치는 램프(L)의 필라멘트의 온도가 소정치에 도달되는 시간의 전류량이다.
즉, 상기 드라이버(13)의 제어 신호에 따라 램프(L)가 소정 간격의 주기로 온/오프된다. 상기 제어 신호의 소정 주기는, 상기 드라이버(13)의 보호 회로로 인 한 램프(L)의 전기적 에러인 쇼트 판정 주기를 기초로 결정된다. 즉, 상기 램프(L)는 초기 과도 전류로 인한 상기 드라이버(13)의 보호 회로의 쇼트 판정 이전에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오프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다시 온(on)으로 동작된다. 온 타임은 상기 램프(L)는 초기 과도 전류로 인한 상기 드라이버(13)의 보호 회로의 쇼트 판정 이전에 까지의 시간이다.
상기의 과정은 램프(L)의 초기 과도 전류가 제거될 때 까지 반복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11)으로부터 램프 구동 신호가 발생되면, 이 램프 구동 신호는 램프(L)에 제공되어 램프(L)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램프(L)에 흐르는 초기 전류는 상기 드라이버(13)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드라이버(13)는 초기 과도 전류 수신 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램프(L)에 공급한다.
이때, 소정 시간의 주기를 가지는 상기 드라이버(13)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램프(L)는 온/오프를 반복한다. 즉,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온/오프를 반복하는 상기 램프(L)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초기 과도 전류로 인한 상기 드라이버(13)의 보호 회로의 쇼트 판정 이전에 오프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다시 온(on) 상태로 동작된다. 상기의 과정은 램프(L)의 필라멘트 온도가 소정치 도달될 때 까지 반복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L)의 필라멘트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초기 과도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라이버의 램프 구동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운전자의 조 작에 의해 상기 마이컴(11)의 램프 구동 신호가 상기 드라이버(13)를 통해 수신되면(단계 101), 상기 드라이버(13)는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단계 103), 이 제어 신호는 램프(L)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램프(L)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를 반복한다(단계105). 이어 상기 드라이버(13)는 램프(L)의 필라멘트의 온도가 소정치에 도달되는 시간인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107)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마이컴(11)의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109), 상기 램프(L)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은, 소정 주기를 가지는 드라이버의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 출력하여 초기 과도 전류를 점차적으로 임계치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초기 과도 전류 발생 시 상기 저가의 드라이버의 보호 회로로 인한 램프의 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초기 동작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에 흐르는 초기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가 임계치 이상의 과도 전류인 경우 초기 과도 전류를 임계치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 , 상기의 램프의 전기적 에러 판정 이전에 상기 램프를 오프할 수 있는 온 타임과 오프 타임 을 반복하는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상기 램프로 제공하는 드라이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전기적 에러는 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 온도가 소정치에 도달하여 초기 과도 전류가 임계치 이하로 감지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6. 삭제
  7.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에 따라 초기 동작하는 램프에 흐르는 초기 과도 전류로부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가지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전류가 초기 과도 전류인 경우 상기 드라이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동안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마이컴의 램프 구동 신호를 상기 램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주기는 램프의 전기적 에러 판정 이전에 상기 램프를 오프할 수 있는 오프 타임과 온 타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 온도가 소정치에 도달하여 초기 과도 전류가 임계치 이하로 감지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램프 구동 방법.
KR1020060013117A 2006-02-10 2006-02-10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71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17A KR100717950B1 (ko) 2006-02-10 2006-02-10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17A KR100717950B1 (ko) 2006-02-10 2006-02-10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950B1 true KR100717950B1 (ko) 2007-05-11

Family

ID=3827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117A KR100717950B1 (ko) 2006-02-10 2006-02-10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22B1 (ko) 2015-08-27 2017-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586A (ja) 1996-12-27 1998-07-31 Nippon Seiki Co Ltd 灯器故障検出回路
JPH11301340A (ja) 1998-04-15 1999-11-02 Yazaki Corp 過電流検出システム
KR20050086258A (ko) * 2004-02-25 2005-08-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586A (ja) 1996-12-27 1998-07-31 Nippon Seiki Co Ltd 灯器故障検出回路
JPH11301340A (ja) 1998-04-15 1999-11-02 Yazaki Corp 過電流検出システム
KR20050086258A (ko) * 2004-02-25 2005-08-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22B1 (ko) 2015-08-27 2017-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US10028363B2 (en) 2015-08-27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lamp control i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588B2 (en) Starter drive device
WO2011037175A1 (ja) 電力供給制御装置
US5880918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erviceability of a load
US20130214595A1 (en) Device for voltage stabilization in a motor vehicle
US10497189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control device
US7323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ple overcurrent thresholds using a single comparator device
WO2018155084A1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装置の異常正常判定方法
JP2002324710A (ja) 誘導負荷の異常判断装置および方法
JP5099041B2 (ja) 燃料ポンプ制御装置
WO2001094959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ault conditions associated with powering an electrical load
KR100717950B1 (ko)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7336665A (ja) ゲート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5297408B2 (ja) 電磁弁の制御装置
EP175311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ultiple overcurrent thresholds using a single comparator device
JP3992648B2 (ja) At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CN109690333B (zh) 电子控制装置和电子控制装置的连接状态的诊断方法
JP5699739B2 (ja) 負荷駆動装置
JP2008290658A (ja) 車両制御装置
JP2009213293A (ja) モータ制御回路及びモータのロック異常検出方法
US20070279818A1 (en) Load abnormality detection circuit
JP2013173385A (ja) 電子制御装置
JP2004247367A (ja) リニアソレノイド駆動装置
KR101584009B1 (ko) 고장 진단 회로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2258683B1 (ko) 차량 epb 과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268286A (ja) 電動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