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163B1 -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6163B1 KR102256163B1 KR1020190069636A KR20190069636A KR102256163B1 KR 102256163 B1 KR102256163 B1 KR 102256163B1 KR 1020190069636 A KR1020190069636 A KR 1020190069636A KR 20190069636 A KR20190069636 A KR 20190069636A KR 102256163 B1 KR102256163 B1 KR 102256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gel
- powder
- present
- prepar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052—Preparation of g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식물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겔은 일반적인 식물 분말 분산액과 비교하여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분산안정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방치하더라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겔상으로서 흐름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겔은 종래의 식물추출물 조성물과 같이 식물종류에 따른 개별적인 추출 및 분획 공정 없이도, 다양한 식물 종류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식물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겔상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상의 효율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천연물, 특히 식물을 원료로 한 식품 및 미용 용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의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경우, 식물 원료를 분쇄한 식물 분말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식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식물의 분말 자체를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용액 중의 식물 분말의 분산성이 낮아, 용액 중에서 침전되거나 용매와 분말이 서로 분리되는 층분리 현상이 쉽게 일어났다. 한편, 식물추출물을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설비 및 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으며, 식물의 종류마다 유효성분의 성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비한 추출설비 및 추출공정을 다양한 식물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식물에도 적용이 가능한 식물 분말에 대한 용액 내 분산성 개선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식물의 분말 자체를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용액 중의 식물 분말의 분산성이 낮아, 용액 중에서 침전되거나 용매와 분말이 서로 분리되는 층분리 현상이 쉽게 일어났다.
(2) 식물추출물을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설비 및 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으며, 식물의 종류마다 유효성분의 성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비한 추출설비 및 추출공정을 다양한 식물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식물 종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식물 분말에 대한 용액 내 분산성 개선방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미세분쇄한 각종 식물의 분말에 산화 공정을 도입하면 별도의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분산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겔상의 조성물이 제조되며, 그 효능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의 발명을 제공한다.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겔의 제조방법:
(a)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b) 식물 분말을 정제하고 정제수에 희석시키는 단계;
(c) 식물 분말 희석액을 균질화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식물겔을 제조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의 입경은 1 내지 300 μm 이하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또는 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또는그 금속염의 할로겐은 염소, 브롬, 요오드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금속염의 금속은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등의 알칼리토금속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할로겐산염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마그네슘, 차아염소산스트론튬, 차아염소산암모늄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촉매로서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행되는, 식물겔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2,2,6,6-Tetramethylpiperidin-1-yl)oxyl 또는 이의 유도체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의 유도체는 4-Acetamid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2-Azaadamantane-N-oxyl; 4-Carb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benzoate; 4-(2-Iodoaceta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Isothiocyanat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Malei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piperidine-d16-1-oxyl; 4-Phosphono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acryloyloxy-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및 2,2,6,6-Tetramethyl-4-(methylsulfonyloxy)-1-piperidinooxy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식물 분말을 침전시킨 후, 침전된 식물 분말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5의 저가 알코올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멤브레인 여과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균질화는 800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농축은 50-65℃에서 감압농축하여 수행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여과는 멤브레인 여과하여 수행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식물겔의 식물 분말 함유량은 0.1-30 %(w/v)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17. 산화된 미세분쇄(pulverized) 식물 분말 0.1-30 %(w/v)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식물겔.
18. 제17항의 식물겔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9. 제17항의 식물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7항의 식물겔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은 약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은 육상식물 또는 해양식물일 수 있다. 상기 육상식물은 육지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의미하고, 상기 해양식물은 바다의 수중, 또는 바다의 토양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육상식물 또는 해양식물은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지상부 식물, 지하부 식물, 및 전초 식물로 나눌 수 있으나,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도 사용목적에 따라 용도가 상이한 바, 반드시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지상부 식물은 식물의 줄기, 잎, 꽃, 열매, 열매 또는 씨앗의 피(박) 등을 사용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식물의 줄기, 잎, 꽃, 열매, 열매 또는 씨앗의 피(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하부 식물은 식물의 뿌리나, 지하에서 자라는 줄기 등을 사용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예컨대 뿌리 식물은 감자, 인삼, 홍삼, 산양삼, 홍경천, 당귀, 황기, 백출, 우슬, 당삼 등이고, 지하에서 자라는 식물의 줄기는 고구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초 식물은 식물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모두 사용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홍삼, 인삼, 홍경천, 산양삼은 지하부 또는 전초 식물로 식물의 뿌리 또는 전체 부위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익모초, 삼지구엽초, 구절초, 꿀풀, 애기똥풀 등은 전초 식물로, 주로 식물의 잎과 줄기가 사용되나, 잎과 줄기, 뿌리와 꽃, 열매까지 모두 포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병풀, 양지꽃, 엉겅퀴, 왕고들빼기 등은 지상부 식물로 잎과 줄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석류피는 지상부 식물로 열매의 피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동백잎, 녹차잎, 뽕나무잎, 박하잎은 지상부 식물로 식물의 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철피석곡, 미화석곡, 유채, 담쟁이덩굴은 지상부 식물로 식물의 줄기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제주푸른콩, 장단콩, 오미자, 구기자,산수유,다래, 머루, 으름, 돌배, 모과, 복분자, 산딸기 등은 지상부 식물로 식물의 열매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동백꽃, 장미꽃, 백모란, 시베리아백합, 연꽃은 지상부 식물로 식물의 꽃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 감태, 우뭇가사리, 청각, 미역, 다시마, 지충이, 새빨간검둥이, 방사무늬김, 구멍갈파래, 지충이, 작은구슬산호말 등은 해양식물 중 전초 식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육상식물은 상술한 사용부위에 따른 분류와 별개로, 한방 또는 약용 식물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식물은 상기 한방 또는 약용 식물의 잎, 줄기, 뿌리, 꽃, 및 전초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한방 또는 약용 식물은 예컨대 인삼, 홍삼, 당귀, 작약, 포공영, 금은화, 익모초, 상백피, 고삼, 구기자, 어성초 등이다. 그러나, 상기 한방 또는 약용 식물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육상식물은 오미자, 살구, 석류, 감귤, 대추, 비파열매, 오가피 열매 등, 열매를 맺는 식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매는 그 과피, 과육, 씨앗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열매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양식물은 미역, 김, 다시마, 톳, 매생이, 감태, 모자반, 파래, 우뭇가사리 등 해조류를 포함한다. 상기 해조류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b) 식물 분말을 정제하고 정제수에 희석시키는 단계;
(c) 식물 분말 희석액을 균질화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식물겔을 제조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식물겔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a): 미세분쇄 식물 분말의 산화 단계
먼저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을 수득한다. 미세분쇄 된 식물의 분말은 구입하거나 또는 건조된 식물을 그라인더로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상술한 약용식물, 한방식물, 열매식물, 또는 해조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은 홍삼, 인삼, 홍경천을 포함하는 뿌리 식물, 석류를 포함하는 열매 식물, 감태를 포함하는 해조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의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의 입경은 1 내지 300 μm 이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세분쇄 된 식물 분말의 입경은 그 크기가 작을수록 산화반응이 단시간에 높은 비율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단계에서는 식물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산화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산화제는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또는 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에서의 할로겐은 염소, 브롬, 요오드일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차아염소산, 차아브롬산, 차아요오드산, 아염소산, 아브롬산, 아요오드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금속염에서의 금속은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등의 알칼리토금속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아할로겐산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마그네슘, 차아염소산스트론튬, 차아염소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아할로겐산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염소산의 경우,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마그네슘, 아염소산스트론튬, 아염소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염에 대응하는 아브롬산염, 아요오드산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단계의 산화 반응은 촉매로서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2,2,6,6-Tetramethylpiperidin-1-yl)oxyl 이고,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의 유도체는 4-Acetamid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2-Azaadamantane-N-oxyl; 4-Carb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benzoate; 4-(2-Iodoaceta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Isothiocyanat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Malei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piperidine-d16-1-oxyl; 4-Phosphono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acryloyloxy-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및 2,2,6,6-Tetramethyl-4-(methylsulfonyloxy)-1-piperidinooxy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단계의 산화 반응은 보조촉매로서 할로겐과 알칼리 금속의 염(알칼리 금속염), 할로겐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염(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을 형성하기 위한 할로겐으로서는, 염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을 형성하는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형성하는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롬화리튬, 브롬화칼륨, 브롬화나트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염화리튬,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브롬화칼슘, 브롬화마그네슘, 브롬화스트론튬,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요오드화스트론튬,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스트론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암모늄염으로서는, 브롬화암모늄, 요오드화암모늄, 염화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촉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보조촉매는 수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단계 (a)의 산화 반응은 pH를 9-11로 유지하면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 산화된 식물 분말의 정제 및 희석 단계
이어서 산화된 식물 분말에서 미반응 원료와 불순물(반응에 사용된 니트록시 라디칼, NaBr, NaClO 등의 원료 및 NaCl 등의 반응 부가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식물 분말을 정제하고 추가적인 미세입자화(균질화)를 위하여 정제수에 희석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식물 분말을 침전시킨 후, 침전된 식물 분말을 여과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5의 저가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알코올 첨가-식물 분말 침전-여과 단계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멤브레인 여과(한외 여과)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멤브레인 여과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알코올 침전 및 정제수 희석 단계를 수행하지 않아도 단일한 과정으로 식물 분말의 산화 단계에서 발생한 미반응 원료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c): 식물 분말 희석액의 균질화 및 식물겔의 제조 단계
마지막으로 식물 분말 희석액을 고압균질기(microfluidizer)를 통하여 균질화(미세입자화) 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본 발명의 식물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c) 단계의 균질화는 800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질화 후 농축 단계는 50-65℃에서 감압 농축 또는 진공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질화 후 여과 단계는 (b)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멤브레인 여과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물겔의 식물 분말 함유량은 0.1-3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입자화된 산화된 식물 분말을 0.1 - 30 %(w/v)의 농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면 겔상을 나타내면서도 식물 원료 자체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식물겔의 식물 분말 함유량이 0.1 %(w/v) 미만인 경우 식물 분말 첨가에 따른 식물 원료 자체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30 %(w/v)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 대비 효능의 증대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산화된 미세분쇄(pulverized) 식물 분말 0.1-30 %(w/v)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식물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식물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겔,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스프레이, 수중유 (O/W)형 또는 유중수 (W/O)형의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파우더,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새도, 치크칼라 또는 아이브로우 펜슬류의 색조화장품 제형; 및,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 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식물겔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식물겔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 원료가 가진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술한 식물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외용 산제, 외용 정제, 외용 액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경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스프레이제 및 좌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는 식물겔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중량에 대해 0.1-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사용량은 투여방법, 피투여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피부질환 내지는 피부상태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구성성분으로서 상기 식물겔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성분은 예컨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로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성성분으로서 상기 식물겔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또는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식물겔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츄잉검, 유제품(예: 요거트, 발효유,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 본 발명의 식물겔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겔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층분리가 없는 식물 분말 포함 식물겔의 제조방법 및 식물겔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식물겔은 일반적인 식물 분말 분산액과 비교하여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분산안정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방치하더라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겔상으로서 흐름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c) 또한, 본 발명의 식물겔은 종래의 식물추출물 조성물과 같이 식물종류에 따른 개별적인 추출 및 분획 공정 없이도, 다양한 식물 종류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식물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겔상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상의 효율성이 뛰어나다.
도 1a 내지 도 1f는 지하부 식물 또는 전초 식물로서 인삼, 지상부 식물로서 병풀, 및 해양식물로서 감태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물겔의 수분산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25℃와 45℃의 온도별로 60일간(1, 7, 30, 60일) 분산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홍삼 분말의 분산액과 본 발명의 홍삼겔의 분산안정성 또는 층분리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16은 홍삼, 인삼, 석류피, 병풀, 홍경천, 산양삼, 우뭇가사리, 동백잎, 감태, 철피석곡, 미화석곡, 유채, 제주푸른콩, 장단콩 분말을 원료로 제조한 본 발명의 식물겔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홍삼 분말의 분산액과 본 발명의 홍삼겔의 분산안정성 또는 층분리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16은 홍삼, 인삼, 석류피, 병풀, 홍경천, 산양삼, 우뭇가사리, 동백잎, 감태, 철피석곡, 미화석곡, 유채, 제주푸른콩, 장단콩 분말을 원료로 제조한 본 발명의 식물겔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험재료
본 발명의 식물겔 조성물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물원료인 홍삼, 인삼, 석류, 감태, 홍경천, 산양삼, 우뭇가사리, 동백잎, 녹차잎, 철피석곡, 미화석곡, 유채, 병풀, 제주푸른콩, 장단콩은 ㈜삼도피앤에프 (Korea) 및 한약재시장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2,2,6,6-Tetramethylpiperidin-1-yl)oxyl (TEMPO) 시약은 Alfa Aesar사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NaClO의 경우 대정화금㈜, NaBr 및 NaOH, HCl, 에탄올은 덕산약품공업㈜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홍삼겔의 제조
건조한 홍삼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홍삼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홍삼 분말 15 g에 정제수 300 mL를 넣어 교반하였다. 그 후 TEMPO 0.47 g, NaBr 3.09 g을 넣어 용해시켰다. NaClO 100 mL를 적가한 후 NaOH로 pH가 10~11이 되도록 유지하며 상온에서 15시간동안 산화시켰다. 상기 산화된 홍삼 반응액에 HCl을 넣어 pH 6~7이 되도록 중화시키고 상기 산화반응에 사용된 원료 및 반응부가 생성물을 제거하여 홍삼 분말을 정제하였다. 정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첫번째 방법(에탄올 침전법)으로는 반응액에 에탄올 300 mL을 넣어 침전시킨 뒤 여과하여 여과물을 얻었다. 여과물을 50% 에탄올에 넣고 교반하여 세척한 뒤 여과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제하였다. 두번째 방법(멤브레인 여과법)으로는 반응액을 멤브레인 여과기(FMX-B5, UF의 일종, ㈜부강테크)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될 때까지 정제수를 계속 첨가하며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한 홍삼 분말에 정제수 3 L를 넣어 호모게나이저(PRIMIX, ROBOMIXER) 를 이용하여 2500 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상기 홍삼 분말 분산액을 고압균질기(M-110Y microfluidizer, Microfluidics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800~1000 bar에서 5회 통과시켜 미세화시켰다. 상기 미세화한 홍삼 조성물을 감압농축기(R-210 set, BUCHI) 또는 멤브레인 여과기(FMX-B5, ㈜부강테크)로 농축하여 본 발명의 홍삼겔 205 g을 얻었다. 제조된 홍삼겔은 도 2-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인삼겔의 제조
건조한 인삼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인삼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인삼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인삼겔 210 g을 얻었다. 제조된 인삼겔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석류겔의 제조
건조한 석류피를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석류피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석류피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석류겔 185 g을 얻었다. 제조된 석류겔은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병풀겔의 제조
건조한 병풀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병풀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병풀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병풀겔 160 g을 얻었다. 제조된 병풀겔은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홍경천겔의 제조
건조한 홍경천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홍경천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홍경천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홍경천겔 110 g을 얻었다. 제조된 홍경천겔은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산양삼겔의 제조
건조한 산양삼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산양삼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산양삼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산양삼겔 160 g을 얻었다. 제조된 산양삼겔은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우뭇가사리겔의 제조
건조한 우뭇가사리를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우뭇가사리겔 204 g을 얻었다. 제조된 우뭇가사리겔은 도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동백잎겔의 제조
건조한 동백잎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동백잎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동백잎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동백잎겔 108 g을 얻었다. 제조된 동백잎겔은 도 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감태겔의 제조
건조한 감태를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감태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감태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감태겔 190 g을 얻었다. 제조된 감태겔은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녹차잎겔의 제조
건조한 녹차잎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녹차잎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녹차잎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녹차잎겔 55 g을 얻었다. 제조된 녹차잎겔은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철피석곡겔의 제조
건조한 철피석곡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철피석곡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철피석곡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철피석곡겔 285 g을 얻었다. 제조된 철피석곡겔은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미화석곡겔의 제조
건조한 미화석곡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미화석곡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미화석곡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미화석곡겔 210 g을 얻었다. 제조된 미화석곡겔은 도 1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유채겔의 제조
건조한 유채를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유채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유채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유채겔 125 g을 얻었다. 제조된 유채겔은 도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제주푸른콩겔의 제조
건조한 제주푸른콩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제주푸른콩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제주푸른콩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제주푸른콩겔 40 g을 얻었다. 제조된 제주푸른콩겔은 도 1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장단콩겔의 제조
건조한 장단콩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장단콩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쇄한 장단콩 분말 15 g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의 장단콩겔 45 g을 얻었다. 제조된 장단콩은 도 1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식물분말의 정제방법 1 (에탄올 침전법)
TEMPO 반응 후 반응액 부피대비 동량의 에탄올을 넣고 교반한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여과된 습체 케이크를 앞 공정의 동일 부피(반응액+에탄올)의 50% 에탄올을 넣고 교반한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여과된 습체 케이크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고압균질기(Microfluidizer)로 5회 균질화를 수행하였다. 미세입자화 된 식물 분말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고형분을 0.1-30% 포함하는 식물겔을 얻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식물 분말의 정제방법 2 (멤브레인 여과법)
TEMPO 반응 후 반응액을 멤브레인 여과기(FMX-B5, ㈜부강테크)를 사용하여 미반응 원료 및 불순물(반응에 사용된 TEMPO, NaBr, NaClO 등의 원료 및 반응 부가생성물 NaCl등)을 제거하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희석액을 고압균질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5회 균질화(미세화)하였다. 미세 입자화 된 식물 분말 용액을 다시 멤브레인 여과기(FMX-B5, ㈜부강테크)를 사용하여 물을 제거함으로써 고형분을 0.1-30% 포함하는 식물 겔을 수득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식물겔의 원료 및 이들의 수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수율은 최종 겔의 각 식물 원료 15 g을 기준으로 제조된 겔 내의 고형분 비율(%)로부터 예측되는 이론적 겔 수득량으로 실제 수득량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계산 식은 하기 식 1과 같았다.
식 1
수율(%) = 실제 수득량(g)/이론적 수득량(g) x 100
여기에서 상기 이론적 수득량은 다음 식 2에 의하여 계산되었다.
식 2
이론적 수득량(g) = 식물겔 내 고형분 비율(%)/100(%) x 15 (g)
구별 | 원료 | 실제 겔 수득량(g) | 겔 내 고형분 비율(%) | 수율(%) |
실시예1 | 홍삼 | 205 | 3 | 41.0 |
실시예2 | 인삼 | 210 | 3 | 42.0 |
실시예3 | 석류 | 185 | 3 | 37.0 |
실시예4 | 병풀 | 160 | 3 | 32.0 |
실시예5 | 홍경천 | 110 | 3 | 22.0 |
실시예6 | 산양삼 | 160 | 3 | 32.0 |
실시예7 | 우뭇가사리 | 204 | 5 | 68.0 |
실시예8 | 동백잎 | 108 | 6 | 43.2 |
실시예9 | 감태 | 190 | 3 | 38.0 |
실시예10 | 녹차잎 | 55 | 7 | 25.7 |
실시예11 | 철피석곡 | 285 | 3 | 57.0 |
실시예12 | 미화석곡 | 210 | 3 | 42.0 |
실시예13 | 유채 | 125 | 3 | 25.0 |
실시예14 | 제주푸른콩 | 40 | 7 | 18.7 |
실시예15 | 장단콩 | 45 | 7 | 21.0 |
비교예
비교예 1-4: 인삼, 병풀, 감태, 홍삼 분말 분산액의 제조
건조 인삼, 병풀, 감태, 및 홍삼을 각각 그라인더로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 15 g을 각각 정제수 100 ml에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2500 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얻어진 각각의 인삼, 병풀, 감태, 홍삼 분말 분산액을 비교예 1, 2, 3 및 4로 하여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분산 안정성 실험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인삼, 병풀, 및 감태 분말 분산액과, 실시예 2, 4, 9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인삼, 병풀, 및 감태겔 조성물을 25℃와 45℃의 항온챔버(IL-21, ㈜제이오텍)에서 60일 동안 보관하면서 분산 안정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도 1a 내지 도 1f에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인삼, 병풀, 및 감태 분말 분산액은 시간이 경과하면 분말이 침전되는 반면, 실시예 2, 4, 9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별도의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응집이나 침전이 생성되지 않고 처음과 동일한 성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에서 제조한 홍삼 분말 분산액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홍삼 겔 조성물을 5℃ 항온챔버(IL-21, ㈜제이오텍)에서 1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분산 안정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4의 홍삼 분말 분산액은 시간이 경과하면 분말이 침전되는 반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홍삼 겔 조성물은 별도의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응집이나 침전이 생성되지 않고 처음과 동일한 성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한편, 본 발명의 식물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하기에 기술하였다. 다만, 하기의 제제예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하기의 제제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제예 1: 영양 화장수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 (로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10.0 |
2 | 시토스테롤 | 1.7 |
3 | 폴리길리세릴 2-올레이트 | 1.5 |
4 | 세테아레스-4 | 1.2 |
5 | 콜레스테롤 | 1.5 |
6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7 | 글리세롤 | 5.0 |
8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10.0 |
9 | 선플라워 오일 | 0.2 |
10 | 산탄검 | 0.3 |
11 | 방부제 | 미량 |
12 | 향료 | 미량 |
13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2: 유연 화장수 (스킨)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 (스킨)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5.0 |
2 | 글리세린 | 3.0 |
3 | 부틸렌글리콜 | 2.0 |
4 | 프로필렌글리콜 | 2.0 |
5 |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 1.0 |
6 | 에탄올 | 10.0 |
7 | 프리에탄올아민 | 0.1 |
8 | 방부제 | 미량 |
9 | 색소 | 미량 |
10 | 향료 | 미량 |
11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3: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10.0 |
2 | 시토스테롤 | 4.0 |
3 | 폴리길리세릴 2-올레이트 | 3.0 |
4 | 세테아레스-4 | 2.0 |
5 | 콜레스테롤 | 3.0 |
6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7 | 농글리세롤 | 5.0 |
8 | 선플라워 오일 | 22.0 |
9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5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5 |
11 | 방부제 | 미량 |
12 | 향료 | 미량 |
13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4: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5.0 |
2 | 시토스테롤 | 1.7 |
3 | 폴리길리세릴 2-올레이트 | 1.5 |
4 | 세테아레스-4 | 2.0 |
5 | 콜레스테롤 | 3.0 |
6 | 디세틸포스페이트 | 0.4 |
7 | 농글리세롤 | 5.0 |
8 | 선플라워 오일 | 22.0 |
9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5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5 |
11 | 방부제 | 미량 |
12 | 향료 | 미량 |
13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5: 파운데이션의 제조
하기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파운데이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1.0 |
2 | 밀납 | 2.0 |
3 | 사이크로메치콘 | 2.0 |
4 | 유동파라핀 | 5.0 |
5 | 스쿠알란 | 5.0 |
6 | 스테아린산 | 2.0 |
7 | 친유성 모노스테이린산 글리세린 | 3.0 |
8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9 | 글리세린 | 4.0 |
1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11 | 부틸렌글리콜 | 3.0 |
12 | 트리에탄올아민 | 1.0 |
13 |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 0.5 |
14 | 안료 | 12 |
15 | 방부제 | 미량 |
16 | 향료 | 미량 |
17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6: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에 같이,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헤어컨디셔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5.0 |
2 | 에탄올 | 3.5 |
3 | 글리세린 | 1.5 |
4 | 프로필렌글리콜 | 2.5 |
5 |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틴암모늄 | 2.0 |
6 | 색소 | 미량 |
7 | 향료 | 미량 |
8 | 정제수 | 잔량 |
제제예 7: 의약외품 및 약학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15에서 수득한 식물겔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 원료 | 함량 (중량%) |
1 | 실시예 1-15 | 10 |
2 | 백색 바세린 | 23 |
3 | 유동 파라핀 | 29.6 |
4 | 밀납 | 2.8 |
5 | 세탄올 | 7.8 |
6 | 폴리솔베이트60 | 6.4 |
7 | 모노스테아린소르비탄 | 3.4 |
8 | 프로필렌 글리콜 | 16.6 |
9 | 파라옥시안식향산 메칠 | 0.2 |
10 |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 0.2 |
제제예 8: 식품 및 음료의 제조
8-1. 츄잉검의 제조
실시예 1-15에 따라 제조된 식물겔 0.24 ~ 0.64%, 껌베이스 20%, 설탕 76.36 ~ 76.76%, 후르츠향 1%, 및 물 2%을 포함하는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검을 제조하였다.
8-2.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5에 따라 제조된 식물겔 0.48 ~ 1.28㎎,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및 물 200 ml를 포함하는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8-3. 소세지의 제조
실시예 1-15에 따라 제조된 식물겔 0.24 ~ 0.64%, 돈육 63.6%, 계육 27.5%, 전분 3.5%, 대두단백 1.7%, 식염 1.62%, 포도당 0.5%, 및 기타첨가물(글리세린) 0.94 ~ 1.34%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겔의 제조방법:
(a) 미세분쇄(pulverized) 된 약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의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b) 식물 분말을 정제하고 정제수에 희석시키는 단계; 및
(c) 식물 분말 희석액을 균질화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식물겔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미세분쇄 된 식물분말의 입경은 1 내지 300 μm 이하이고,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멤브레인 한외 여과하여 고형분을 수득하는 것이고, 및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식물겔의 식물 분말 함유량은 0.1-30 %(w/v)인,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또는 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이고, 상기 금속은 리튬, 칼륨, 및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및 스트론튬으로 이루어진 알칼리토금속 중 선택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촉매로서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행되고,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2,2,6,6-Tetramethylpiperidin-1-yl)oxyl 또는 이의 유도체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균질화는 800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것인 식물겔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산화된 미세분쇄(pulverized) 약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의 분말 0.1-30 %(w/v),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식물겔.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7708 | 2018-06-12 | ||
KR20180067708 | 2018-06-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0872A KR20190140872A (ko) | 2019-12-20 |
KR102256163B1 true KR102256163B1 (ko) | 2021-05-26 |
Family
ID=6884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9636A KR102256163B1 (ko) | 2018-06-12 | 2019-06-12 |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6163B1 (ko) |
WO (1) | WO2019240497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216783A1 (en) | 2012-08-20 | 2015-08-06 | Croda International Plc | Oxidised cellulose |
JP2016528341A (ja) * | 2013-07-29 | 2016-09-15 | ウーペーエム−キュンメネ コーポレイションUPM−Kymmene Corporation | セルロースの触媒酸化法、およびセルロース製品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4691B1 (ko) | 2008-01-16 | 2008-08-27 |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 미크론 이하 크기의 홍삼 나노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
KR100854685B1 (ko) * | 2008-01-16 | 2008-08-27 |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홍삼 농축액 |
KR101040393B1 (ko) * | 2008-08-04 | 2011-06-09 | (주)아모레퍼시픽 | 해조류 섬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973639B1 (ko) * | 2012-09-10 | 2019-04-30 | (주)아모레퍼시픽 |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FI20135773L (ko) * | 2013-07-16 | 2015-01-17 | Stora Enso Oyj | |
KR20170031474A (ko) * | 2015-09-11 | 2017-03-21 | 주식회사 제닉 |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
KR101825064B1 (ko) * | 2016-01-06 | 2018-02-02 | 헬스밸런스 주식회사 | 물리적 초미세분쇄로 홍삼 전체의 섭취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 분말 및 통홍삼 분말 농축액의 제조 방법 |
KR101960571B1 (ko) * | 2016-08-30 | 2019-03-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
-
2019
- 2019-06-12 WO PCT/KR2019/007099 patent/WO201924049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6-12 KR KR1020190069636A patent/KR102256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216783A1 (en) | 2012-08-20 | 2015-08-06 | Croda International Plc | Oxidised cellulose |
JP2016528341A (ja) * | 2013-07-29 | 2016-09-15 | ウーペーエム−キュンメネ コーポレイションUPM−Kymmene Corporation | セルロースの触媒酸化法、およびセルロース製品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40497A1 (ko) | 2019-12-19 |
KR20190140872A (ko) | 2019-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87499B2 (ja) | 野生種スイカ抽出物を含有する活性酸素消去剤ならびに保湿剤 | |
KR20060128964A (ko) | 마카 추출물의 제조 방법 | |
KR101424180B1 (ko) |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 |
KR101942009B1 (ko) |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이 처리된 천연 오일 및 천연 추출물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89785A (ko) |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112786B2 (ja) |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 |
JP2017141200A (ja) |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 |
EP3628177A1 (en) | Liqui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sophora japonica extract | |
KR102256163B1 (ko) | 식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 | |
KR101197101B1 (ko) | 미세조류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
JP2009185228A (ja) | ゲル化剤 | |
JP7539717B2 (ja) | ショウガオール及び/又はジンゲロールの吸収促進剤 | |
KR102252763B1 (ko) |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 |
JP2015025008A (ja) | 抗糖化用組成物 | |
KR20070113330A (ko) | 곰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 |
KR102154139B1 (ko) |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072111B1 (ko) |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17165686A (ja) | 肝機能改善剤 | |
KR102520908B1 (ko) |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 |
KR20210016776A (ko) | 녹용 농축물의 제조 방법 | |
KR102508753B1 (ko) | 녹용 농축물의 제조 방법 | |
JP7320270B2 (ja) | 肝機能改善剤 | |
KR102223169B1 (ko) | 유용성분을 포집한 홍삼 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용성분을 포집한 홍삼 볼 | |
KR102384358B1 (ko) |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
KR101425047B1 (ko) |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