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91B1 -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91B1
KR102254991B1 KR1020190085558A KR20190085558A KR102254991B1 KR 102254991 B1 KR102254991 B1 KR 102254991B1 KR 1020190085558 A KR1020190085558 A KR 1020190085558A KR 20190085558 A KR20190085558 A KR 20190085558A KR 102254991 B1 KR102254991 B1 KR 10225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ont door
glass
leve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046A (ko
Inventor
서경훈
김민주
Original Assignee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일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일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9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생산 공정에서 액정 패널의 전면이 되는 그라스를 공정간에 운반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그라스를 카세트에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그라스가 파티클 등의 오염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100)의 개구부(150)에 전면도어(2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 하부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가 끼워지는 레일(110)(120)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110)의 폭(a)을 전면도어(200)의 상부(210)가 억지끼움되게 형성하고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120)의 폭(b)은 전면도어(200)의 하부(220)와 틈새가 발생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면도어(200)의 양측으로는 본체(100)의 양측 테두리(140)에 밀착되는 내향절곡부(230)를 형성하여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 패킹(310)(320)을 각각 끼워 고정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부재(400)를 고정하고 전면도어(200)에는 외측으로 걸림부재(400)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510)이 형성되어 걸림부재(4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전면도어(200)를 본체(100) 측으로 밀어주는 레버(50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레일(110)(120)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를 각각 끼우고 레버(500)를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500)의 경사면(510)에 의해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 끼워진 패킹(310)(320)이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긴밀하게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The cassette for the glass loading}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생산 공정에서 액정 패널의 전면이 되는 그라스를 공정간에 운반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그라스를 카세트에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그라스가 파티클(particle) 등의 오염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t) 등 평판디스플레이(Flat display)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리기판(이하 '그라스'라 함)은 유리 용해로(Glass melting furnace)에서 용해된 유리물을 성형공정과 절단공정을 거쳐 소정의 크기로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그라스에는 두께, 휨도, 평탄도, 투과율, 기포, 이물, 긁힘, 요철, 오염, 직선성 및 크기 오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많은 결함이 발생되고 있어 고품질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생산 완료된 그라스의 운반 과정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이에 따라, 유리물의 성형공정과 절단공정을 거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그라스는 사각틀 형태를 갖는 카세트 내에 차례로 로딩(loading)하여 공정 간에 운반하거나,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그라스가 로딩되는 카세트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판(1)(2) 그리고 상기 상·하판의 사이에 고정된 복수 개의 싸이드 플레이트(3) 및 리어 플레이트(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싸이드 플레이트(3)의 내 측에는 로딩되는 그라스(5)의 양단이 접속되어 그라스 하중의 20%를 지지하는 로딩 바(6)가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리어 플레이트(4)에는 로딩되는 그라스(5)의 전체 무게 중 8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써포트 바(7)가 외팔보형태로 나란히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카세트 내에 그라스(5)를 로딩하면 그라스의 저면은 써포트 바(7)에 고정된 팁(8)에 접속되고 양단은 로딩 바(6)에 접속되므로 그라스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8340(2013.07.22.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96102(2005.06.09.등록)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58128(2019.05.29.공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세트는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어 카세트의 내부에 그라스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먼 거리로 이송간에 그라스의 표면(특히, 상면)에 먼지 등의 파티클(particle)이 부착되어 오염되므로 인해 그라스의 가공에 따른 불량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카세트의 내부에 그라스를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그라스에 맺힘에 따른 불량 요인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라스가 적재 보관되는 카세트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카세트의 내부에 그라스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먼 거리로 이송하더라도 보관중인 그라스가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도어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카세트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개구부에 전면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 하부에 전면도어의 상, 하부가 끼워지는 레일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의 폭을 전면도어의 상부가 억지끼움되게 형성하고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의 폭은 전면도어의 하부와 틈새가 발생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면도어의 양측으로는 본체의 양측 테두리에 밀착되는 내향절곡부를 형성하여 상, 하부 및 내향절곡부에 패킹을 각각 끼워 고정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부재를 고정하고 전면도어에는 외측으로 걸림부재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전면도어를 본체 측으로 밀어주는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된 레일에 전면도어의 상, 하부를 각각 끼우고 레버를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의 경사면에 의해 전면도어의 상, 하부 및 내향절곡부에 끼워진 패킹이 본체의 테두리에 긴밀하게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카세트 본체의 전면에 개구부를 폐쇄하는 전면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카세트에 그라스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먼 거리를 이송시키더라도 보관중인 그라스가 먼지 등의 파티클에 오염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도어의 상, 하부 및 양측면에 형성된 내향절곡부에 패킹이 각각 끼워져 있어 카세트의 개구부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그라스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카세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세트 본체에서 전면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세트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면도어가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카세트 본체의 상부 레일에 전면도어의 상부가 끼워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5b는 카세트 본체의 하부 레일에 전면도어의 하부가 끼워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체에 전면도어가 잠긴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도 6a는 레버가 회동되기 전 상태도
도 6b는 레버가 회동되어 전면도어가 잠긴 상태도
도 7은 싸이드 플레이트에 패킹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카세트 본체에서 전면도어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카세트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면도어가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카세트 본체의 상부 레일에 전면도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본체(100)의 상, 하부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가 끼워지는 레일(110)(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도어(200)의 양측으로는 내향절곡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는 패킹(310)(320)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부재(400)가 고정되어 있고 전면도어(200)에는 걸림부재(4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전면도어(200)를 본체(100) 측으로 밀어주는 레버(5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레버(500)의 외측으로 걸림부재(400)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510)이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에 형성된 레일(110)(120)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를 끼우고 레버(500)를 회동시키면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 끼워진 패킹(310)(320)이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400)를 본체(100)의 양측에 고정하고 전면도어(200)의 대응된 면에는 레버(500)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전면도어(200)를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더욱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110)의 폭(a)이 전면도어(200)의 상부(210)가 억지끼움되게 형성되어 있고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120)의 폭(b)은 전면도어(200)의 하부(220)와 틈새가 발생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전면도어(200)의 상부(210)를 본체(100)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가 없어 공차를 최소화하는 반면, 하부에는 전면도어(200)의 하부(220)를 본체(100) 측으로 밀어주는 레버(500)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100)의 레일(110)(120)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를 보다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세정을 위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싸이드 커버(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부재(700)가 나사 고정되는 엠보싱(embossing)(6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610)의 외측으로는 엠보싱(610)의 깊이(t)보다 두꺼운 패킹(800)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본체(100)에 싸이드 커버(600)를 체결부재(700)로 고정하면 엠보싱(6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패킹(800)이 눌리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패킹(800)의 재질로는 파티클 발생을 방지하도록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 EPMD)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싸이드 커버(600)가 조립 고정되는 본체(100)에도 또 다른 패킹(도시는 생략함)을 고정하면 싸이드 커버(600)의 조립에 따른 기밀성을 더욱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50)가 개방된 상태, 즉 도 3과 같이 본체(100)에서 전면도어(200)가 분리 제거된 상태에서 픽커(도시는 생략함)가 그라스(도시는 생략함)를 흡착한 다음 본체(100)의 내부로 진입하여 로딩(loading)하는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세트의 본체(100) 내부에 그라스를 전부 로딩하고 나면 전면도어(200)를 이용하여 개구부(150)를 폐쇄하게 된다.
도 5a와 같이 작업자가 전면도어(200)의 양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면도어(200)의 상부(210)를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110)에 최대한 깊숙히 밀어넣은 다음 전면도어(200)의 하부(220)를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밀착시키면 전면도어(200)의 하부(220)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120)과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도어(2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전면도어(200)의 하부(220)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1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전면도어(200)의 상부(210)는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10)의 폭(a)이 전면도어(200)의 상부(210)가 억지끼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면도어(200)의 하부(220)는 하부에 위치하는 레일(120)과 틈새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전면도어(200)의 조립작업이 수월하다.
이에 따라, 전면도어(200)의 양측에 형성된 내향절곡부(230)에 끼워진 패킹(320)은 본체(100)의 양측 테두리(14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를 본체(100)의 상, 하부에 형성된 레일(110)(120)에 각각 끼우고 나면 전면도어(2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00)는 도 6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본체(100)에 전면도어(200)를 조립할 때 걸림부재(4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 후, 전면도어(2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레버(500)를 회동시키면 레버(500)의 외측면에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면(510)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500)가 걸림부재(400)에 걸리면서 전면도어(200)를 본체(100) 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는 물론이고 내향절곡부(230)에 끼워진 패킹(310)(320)이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긴밀하게 접속되므로 본체(100)에 형성된 개구부(150)를 완벽하게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카세트의 본체(100) 내부에 로딩된 그라스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먼 거리를 이송시키더라도 보관중인 그라스가 먼지 등의 파티클에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반복 사용으로 카세트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본체(100)의 측면에 고정된 싸이드 커버(6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세정작업을 실시하고, 상기 세정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분리하였던 싸이드 커버(600)를 재조립하여야 되는데, 상기 싸이드 커버(600)에 형성된 엠보싱(610)의 외측으로는 엠보싱(610)의 깊이(t)보다 두꺼운 패킹(800)이 고정되어 있어 체결부재(700)를 이용하여 싸이드 커버(600)를 고정하면 체결부재(800)의 체결력에 의해 패킹(800)이 눌리면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싸이드 커버(600)의 조립에 따른 기밀성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120 : 레일
200 : 전면도어 210, 220 : 상, 하부
230 : 내향절곡부 310, 320, 800 : 패킹
400 : 걸림부재 500 : 레버
510 : 경사면 600 : 싸이드 커버
610 : 엠보싱

Claims (6)

  1. 본체(100)의 개구부(150)에 전면도어(2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 하부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가 끼워지는 레일(110)(120)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110)의 폭(a)을 전면도어(200)의 상부(210)가 억지끼움되게 형성하고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120)의 폭(b)은 전면도어(200)의 하부(220)와 틈새가 발생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면도어(200)의 양측으로는 본체(100)의 양측 테두리(140)에 밀착되는 내향절곡부(230)를 형성하여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 패킹(310)(320)을 각각 끼워 고정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걸림부재(400)를 고정하고 전면도어(200)에는 외측으로 걸림부재(400)의 내면과 접속되도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510)이 형성되어 걸림부재(4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전면도어(200)를 본체(100) 측으로 밀어주는 레버(50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레일(110)(120)에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를 각각 끼우고 레버(500)를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500)의 경사면(510)에 의해 전면도어(200)의 상, 하부(210)(220) 및 내향절곡부(230)에 끼워진 패킹(310)(320)이 본체(100)의 테두리(140)에 긴밀하게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00)는 본체(100)의 양측에 고정하고 전면도어(200)의 대응된 면에는 걸림부재(400)에 걸리는 레버(500)를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싸이드 커버(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체결부재(700)가 나사 고정되는 엠보싱(610)을 형성하며 상기 엠보싱(610)의 외측으로 엠보싱(610)의 깊이(t)보다 두꺼운 패킹(800)을 고정하여 상기 본체(100)에 싸이드 커버(600)를 체결부재(700)로 고정하면 패킹(800)이 눌리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패킹(800)의 재질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 EPM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KR1020190085558A 2019-07-16 2019-07-16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KR10225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58A KR102254991B1 (ko) 2019-07-16 2019-07-16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58A KR102254991B1 (ko) 2019-07-16 2019-07-16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46A KR20210009046A (ko) 2021-01-26
KR102254991B1 true KR102254991B1 (ko) 2021-05-24

Family

ID=7431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58A KR102254991B1 (ko) 2019-07-16 2019-07-16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9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712A (ja) * 2004-05-24 2005-12-08 Asahi Kogyo Kk 密閉扉およびその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51B1 (ko) * 2011-06-30 2013-08-09 (주)둔포기계 기판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712A (ja) * 2004-05-24 2005-12-08 Asahi Kogyo Kk 密閉扉およびその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46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133B2 (en) Container for housing a mask blank, method of housing a mask blank, and a mask blank package
CN102017118B (zh) 保持器及包括保持器的基板收纳容器
US8608147B1 (en) Workpiece carrier
KR101181503B1 (ko) 콘베이어 및 성막 장치와 그 보수관리 방법
DE60029021T2 (de) Scheibenbehälterkassette
WO2010090276A1 (ja) カセット
ITTO970606A1 (it) Supporto per fette di materiale semiconduttore per l'industria microel ettronica.
WO2011024853A1 (ja) 成膜装置
JPH11145269A (ja) 密閉式基板用カ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6293257A (ja) 表示パネル用ガラスを積載するためのガラスカセット
KR20060106544A (ko) 표시 패널용 글라스를 적재하기 위한 글라스 카세트
KR102254991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WO2010134492A1 (ja) カセット
JP2020501348A (ja) レチクルケース
WO2013081159A1 (ja) 基板収納容器
JP2005064378A (ja) 基板収納容器
JP3769425B2 (ja) 電子部品の製造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282666B1 (ko) 그라스 적재용 카세트
TW201737398A (zh) 用於可撓性基板之微環境
CN210823691U (zh) 一种移动玻璃缓存的治具
JP2001219384A (ja) 基板用キャリア
KR101885276B1 (ko) 플립챔버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시스템
KR102282669B1 (ko) 플랙시블 필름 적재용 카세트
JP6113966B2 (ja) ガラス基板の搬送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の搬送装置
JP2010182965A (ja) 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