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25B1 -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25B1
KR102254525B1 KR1020200174751A KR20200174751A KR102254525B1 KR 102254525 B1 KR102254525 B1 KR 102254525B1 KR 1020200174751 A KR1020200174751 A KR 1020200174751A KR 20200174751 A KR20200174751 A KR 20200174751A KR 102254525 B1 KR102254525 B1 KR 10225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fabric
blended yarn
yar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피에스 filed Critical (주)네오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17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or protei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2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natural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통해, 우수한 자외선 차단력과 항균성을 갖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단은 인체 무해한 나노 무기물, 천연 양이온성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방오성, 항균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Eco-friendly fabric with excellent UV protec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아래 실시예들은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실처럼 길고 가늘며 부드러워 구부릴 수 있는 천연 또는 인조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직물의 원료가 될 뿐만 아니라 로프, 그물 등 섬유제품의 원료 및 제지의 원료로 쓰인다. 섬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섬유들은 의류나 종이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 있어서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환경 친화적이고 위생적인 천연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096호에서는 압출성형용 폴리올레핀-천연섬유 복합재 조성물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2787호에서는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천연 옥수수 섬유 원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에 대한 기술을,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1455호에서는 삼을 포함하는 섬유원단 및 상기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섬유 소재로부터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톨루엔 등의 유기용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호르몬 방출, 해양생물과 바닷물에서 미세한 합성섬유 가닥들이 상당량 발견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에 축적될 수 있다는 연구 등이 발표되면서,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한 섬유, 원단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잎갈나무, 밤나무 및 분비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면 섬유 및 프로믹스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황마 섬유 및 옥수수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를 유칼립투스 오일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잎갈나무, 밤나무 및 분비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면 섬유 및 프로믹스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황마 섬유 및 옥수수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를 유칼립투스 오일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가 3 : 2 : 0.5 : 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물을 세탁하는 단계는 40 내지 50℃ 온도의 편백수 1~5%열수 추출물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세탁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 및 구상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것으로,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 및 구상나무 펄프 섬유가 2 : 2.5 :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복합사 제조 단계에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의 혼방율은 30 : 70인 것이고, 상기 제2 복합사 제조 단계에서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의 혼방율은 40 : 50인 것이고, 상기 제2 복합사의 제조 단계에서 제1 복합사, 제3 혼방사, 면사를 각각 30, 50, 20 중량%로 혼합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복합사는 100 내지 200 TPM의 꼬임수로 연사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직 단계에서 제2 복합사가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제직되는 직물에 나노 실리카 분산액, 자초 열수 추출물, 및 양이온성 물질 직물지 대비 5중량%의 함량으로 미세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통해, 우수한 자외선 차단력과 항균성을 갖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단은 인체 무해한 나노 무기물, 천연 양이온성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방오성, 항균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 섬유사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방오성을 비교하여 확인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항균성을 비교하여 확인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잎갈나무, 밤나무 및 분비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면 섬유 및 프로믹스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황마 섬유 및 옥수수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를 유칼립투스 오일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잎갈나무, 밤나무 및 분비나무 우드칩 또는 펄프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혼합 펄프 섬유를 준비한 후, 혼타면 공정, 소면 공정, 합사 공정, 정소면 공정, 연조 공정, 조방 공정, 정방 공정 및 권사 공정을 통해 제1 혼방사를 제조하며, 제2 및 제3 혼방사도 유사한 공정으로 방적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방사는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가 2 : 2.5 : 3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믹스 섬유는 아크릴로니트릴과 카세인과 같은 천연단백질을 혼합한 섬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방사를 유칼립투스 오일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는 유칼립투스 오일 1~2%의 추출물에 제1 혼방사를 3 내지 5분간 침지 후 건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가 3 : 2 : 0.5 : 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세탁하는 단계는 40 내지 50℃ 온도의 편백수 1~5%열수 추출물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세탁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 및 구상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것으로,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 및 구상나무 펄프 섬유가 2 : 2.5 :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복합사 제조 단계에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의 혼방율은 30 : 70인 것일 수 있고,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사 제조 단계에서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의 혼방율은 40 : 50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혼방율을 통해 제직된 직물지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방오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사의 제조 단계에서 제1 복합사, 제3 혼방사, 면사를 각각 30, 50, 20 중량%로 혼합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복합사는 제1 복합사 및 제3 혼방사, 면사가 혼합된 것으로서, 스피닝 및 플라잉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복합사는 집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100 내지 200 TPM의 꼬임수로 연사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직 단계에서 제2 복합사가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제직되는 직물에 나노 실리카 분산액, 자초 열수 추출물, 및 양이온성 물질을 직물지 대비 5중량%의 함량으로 미세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물질은 천연 유래 양이온성 물질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아민(PEI), 폴리 DADMAC, 또는 C-PAM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나노 무기 물질이 섬유 및 직물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여, 이형성과 항균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코팅용 조성물에 침지한 뒤 건조하는 단계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식 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60℃ 내지 약 150℃에서 5 분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원단의 제조
먼저 잎갈나무, 밤나무, 분비나무 및 구상나무 각각의 펄프 섬유를 준비하고, 각 섬유를 2 : 2.5 : 3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혼방사는 유칼립투스 오일 1~2중량%로 증류수에 함유된 혼합액에 5분간 침지한 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포함 섬유를 각각 준비하여 3 : 2 : 0.5 : 0.5의 중량비로 섬유를 혼합한 후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황마 섬유 및 옥수수 섬유를 각각 준비한 후 1 :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를 30 : 70 중량 비율로 준비한 후 스피닝하여 꼬아줌으로써 제1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이후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를 준비하여 40:50 중량 비율의 혼방율로 꼬임을 주어 제2 복합사를 제조하였으며, 강력을 위해 150 TPM의 꼬임수로 연사하였다. 제조된 제2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 평량 약 300 g/㎡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직 단계에서 나노 실리카 분산액, 자초 열수 추출물, 및 폴리에틸렌아민을 각각 10중량%, 8중량%, 5중량%로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직물지 중량 대비 5중량% 정도의 함량으로 직물지 제조 공정 단계에서 경사와 위사에 미세 분무하였다.
제조된 직물지는 공업용 세탁기에서 약 15분 가량 1회 세탁하였으며, 이 때 세탁수는 40 내지 50℃ 온도의, 잎 편백수 원액이 증류수에 3 중량%로 포함된 편백수 3%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이후 건조 단계를 거쳐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 혼방사의 침지 및 건조 단계를 생략하고 세탁 단계에서 일반적인 세탁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여, 이를 비교예 1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원단의 방오성 확인
5L 폴리백에 비교예 1 및 제조예 1의 원단 조직을 넣고 50μm의 숯가루를 투입하였다. 이후 초당 1회씩 100회를 일정하게 흔들어 숯가루가 원단에 골고루 부착되도록 하였다. 이후 폴리백에서 각 원단을 꺼낸 후 손으로 털어준 다음 육안과 실체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비교예 1 (미가공)의 원단은 상당한 양의 숯가루가 부착되어 방오성이 비교적 낮은 반면, 제조예 1 (방오가공)의 원단은 이에 비해 숯가루가 오염된 정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와 같은 유해성 분말에 대한 우수한 방오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자외선 차단
상기 제조된 원단의 자외선 차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원단에 대한 자외선 투과율 및 차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조건은 발광체로서 Pre-aligned Tungsten-halogen and Deuterium lamp를 사용하였고, 측정 장비는 UV-VISIBLE-NIR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Lambda 950)을 사용하여, 각 파장에 따른 자외선 투과율 및 차단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비교예 1
UPF 184 165
T(UV-A)(%) 0.8 1.1
T(UV-B)(%) 0.6 1.0
T(UV-R)(%) 0.7 1.1
UV-A(%) 99.2 97.9
UV-B(%) 99.4 98.0
UV-R(%) 99.3 98.0
* T(UV-A)(%): UV-A 투과율(315-400nm)* T(UV-B)(%) : UV- B 투과율(280-315nm)
* T(UV-R)(%) : UV- R 투과율(280-400nm)
*UV-A(%): UV-A 투과율(315-400nm)
*UV- B (%): UV- B 투과율(280-315nm)
*UV- R (%): UV- R 투과율(280-400nm)
그 결과,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원단 모두 높은 자외선 차단율을 나타냈으며, 그 중 제조예 1의 원단이 비교예 1의 원단에 비해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균성
상기 제조된 원단의 항균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 균주는 포도상구균, 폐렴균으로서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표준포인 면을 사용하였고,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TWEEN 80을 접종 균액에 0.05%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각 원단에 균을 접종한 후 초기균수, 18시간 후 균수를 농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 내지 7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시료 구분 초기농도 (CFU/ml) 18시간 후 농도 (CFU/ml) 도면
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시험 표준포 3.3x 104 6.7 x 107 도 2
제조예 1 3.5 x 105 도 3
비교예 1 6.1 x 105 도 4
폐렴균에 의한 항균시험 표준포 3.0x 104 7.2 x 107 도 5
제조예 1 3.9 x 105 도 6
비교예 1 4.5 x 106 도 7
표준포의 경우 도 2 및 도 5와 같이 18시간 경과 후 접종 후 초기농도보다 상당히 균주가 증식한 반면,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원단은 비교적 크지 않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특히 제조예 1의 원단(도 3 및 6)이 비교예 1(도 4 및 7)의 원단에 비해 황색포도상구균 및 폐렴균 균주의 증식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잎갈나무, 밤나무 및 분비나무 펄프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면 섬유 및 프로믹스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황마 섬유 및 옥수수 섬유를 방적하여 제3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방사를 유칼립투스 오일 추출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제1 혼방사 및 제2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와 제3 혼방사를 스피닝하여 제2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는 면 섬유 및 프로믹스 섬유 이외에, 추가로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를 방적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면 섬유, 프로믹스 섬유, 리오셀 섬유 및 리놀렌산 섬유가 3 : 2 : 0.5 : 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세탁하는 단계는 40 내지 50℃ 온도의 편백수 열수 추출물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세탁하는 것인,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0200174751A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51A KR10225452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51A KR10225452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525B1 true KR102254525B1 (ko) 2021-05-24

Family

ID=7615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51A KR10225452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54B1 (ko) * 2022-02-23 2022-06-17 (주)네오피에스 냉감 및 흡한속건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6427B1 (ko) * 2022-02-23 2022-09-23 (주)네오피에스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03796A (ko) 2021-06-30 2023-01-06 이정수 질감이 우수한 친환경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섬유 원단
KR102578351B1 (ko) 2023-05-03 2023-09-15 주식회사 위즈텍스 친환경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326A (ja) * 2000-05-18 2009-01-29 Weyerhaeuser Co リヨセ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9305B1 (ko) * 2013-07-17 2014-04-25 (주) 클푸 항균캡슐을 포함하는 알러지 차단 침구류 및 그 제조방법
KR102169890B1 (ko) * 2020-08-24 2020-10-26 주식회사 이화니트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326A (ja) * 2000-05-18 2009-01-29 Weyerhaeuser Co リヨセ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9305B1 (ko) * 2013-07-17 2014-04-25 (주) 클푸 항균캡슐을 포함하는 알러지 차단 침구류 및 그 제조방법
KR102169890B1 (ko) * 2020-08-24 2020-10-26 주식회사 이화니트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796A (ko) 2021-06-30 2023-01-06 이정수 질감이 우수한 친환경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섬유 원단
KR102409854B1 (ko) * 2022-02-23 2022-06-17 (주)네오피에스 냉감 및 흡한속건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6427B1 (ko) * 2022-02-23 2022-09-23 (주)네오피에스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8351B1 (ko) 2023-05-03 2023-09-15 주식회사 위즈텍스 친환경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525B1 (ko) 자외선 차단 및 향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9507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이 있는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777466B (zh) 石墨烯羊毛呢绒面料的制造方法及获得的面料
KR20190002574A (ko) 양모/타모/그래핀폴리아미드 혼방 모직원단과 그 생산방법
CN101725045A (zh) 一种羊毛生态防毡缩的整理方法
KR102254526B1 (ko) 소취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이 우수한 친환경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Sekerden Investigation on the unevenness, tenacity and elongation properties of bamboo/cotton blended yarns
CN103526414B (zh) 远红外牛奶蛋白纤维家纺面料
CN106835440A (zh) 一种具有抑菌作用的透气服饰面料及其应用
CN109629080A (zh) 一种抗菌并促进血液循环的石墨烯毛巾及其制备方法
CN106978716A (zh) 夏季清凉女装及其制备方法
CN103526374A (zh) 远红外莫代尔纤维家纺面料
CN101638823A (zh) 涤纶、维纶和棉纤维混纺纱及其生产方法
CN105648629A (zh) 一种多功能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754786B (zh) 一种多功能阻燃毯及其制备方法
KR20150123507A (ko) 항균성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합성섬유 직물 제조방법
KR102480757B1 (ko) 항균 지속력이 강화된 항균 이불의 제조방법
CN114059208A (zh) 一种易清洗的纺织用纱线
KR101569229B1 (ko) 실크 스트랜드와 함께 꼬여진 동물성 섬유의 꼬임에서 생긴 가공 실로 수득되는 직물
CN105568478A (zh) 一种带香味的环保纺织布料
CN105401306A (zh) 一种竹纤维混纺面料
CN113529225B (zh) 一种吸湿排汗的复合纱线的生产工艺
CN111118680A (zh) 高弹力耐磨纤维面料
CN103382599A (zh) 牛奶蛋白纤维、Viloft纤维和涤纶混纺面料
CN108570851A (zh) 一种芳纶竹纤维抗菌阻燃沙发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