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16B1 -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16B1
KR102253616B1 KR1020210015452A KR20210015452A KR102253616B1 KR 102253616 B1 KR102253616 B1 KR 102253616B1 KR 1020210015452 A KR1020210015452 A KR 1020210015452A KR 20210015452 A KR20210015452 A KR 20210015452A KR 102253616 B1 KR102253616 B1 KR 10225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it
pipeline
cab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복
Original Assignee
송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복 filed Critical 송영복
Priority to KR102021001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를 관로 상에 효율적으로 설치 및 회수하는 동시에, 케이블과 케이블을 그립하는 결합 외피를 모두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관로 내부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는, 다수의 케이블 롤로부터 복수개의 케이블을 공급받고, 결합 외피로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 일체의 배전선로로 구성하는 케이블 가공부; 관로의 일 단측 개방부인 인입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에 관로로의 유입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부; 케이블 가공부와 제1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 가공부로부터 제1 이송부 사이의 배전선로의 제1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이송부; 및 배전선로의 최전방 단측에 배전선로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전선로의 단면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 및 본체 외면에 설치되는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관로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과 구동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전선로를 관로를 따라 설치하기 위한 이송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LINE ENTRY AND RECYCLING DEVICE OF PIPELINE TYP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로가 관로에 배치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선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입 및 인출 시 다수의 케이블을 결합 외피를 통해 하나의 배전선로로 관리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외피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케이블 회수 시 결합 외피 및 케이블을 매우 편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배전선로의 인입 및 인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중배전선로는, 지중에 관로를 매설하고, 관로 내부에 배전선로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가공선의 정비 차원에서 지중케이블로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고, 점차 변전소 인출개소와 택지개발 지역 등에 신규 공급용으로 설치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배전선로의 구성을 지중배전선로로 구성하고 있다.
지중배전선로는 도시환경 미화 등에 유리하고, 빌딩 등에 의하여 가공선로의 시설이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의 대부분의 배전선로가 지중배전선로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배전선로는 그 특성 상 일정 거리마다 땅속에 관로를 매설하고, 양 단측에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설치 및 접속하여 배선을 구축하게 된다. 이때 관로에 배치되는 케이블이 다수개인 경우에도, 관로에 일일이 작업자가 맨홀을 따라 접근하여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인입 및 인출함에 따라서 편리성, 경제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어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큰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고, 인입 및 인출 시 케이블의 손상이 우려되면서 회수된 케이블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한국등록특허 제10-0932524호 등에서는, 다수의 케이블을 풀링 그립으로 감싸고, 감싸진 케이블을 지중관로로 안내하거나 케이블 풀링부에 연결하는 케이블 유도부를 두고, 풀링 그립으로 케이블을 감싸거나, 회수 시 풀링 그립을 풀어, 케이블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역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의 최전방에서 케이블을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데 있어서 인입 또는 인출 상황을 제대로 모니터링할 수 없고, 지상에서 노하우를 발휘하여 다수의 케이블을 인입 또는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지중배선의 설치 상의 편리성, 경제성 및 안정성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풀링 그립의 경우 케이블과 분리 시 폐기할 수 밖에 없고 케이블만을 재활용할 수 있어, 케이블을 감싸는 재질에 대한 소비가 불가피하여, 이를 통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설치 및 관리에 있어서, 다수의 케이블을 결합 외피를 통해 하나의 배전선로로 관리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외피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지상에서 관로까지 자동으로 배전선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선의 설치 상의 편리성, 경제성 및 안정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케이블을 감싸는 외피 재질을 회수 시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외피의 설치 및 재활용을 위한 기술을 제공하여, 지중배전선로 관리 시의 환경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는, 다수의 케이블 롤로부터 복수개의 케이블을 공급받고, 결합 외피로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 일체의 배전선로로 구성하는 케이블 가공부; 상기 관로의 일 단측 개방부인 인입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에 관로로의 유입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케이블 가공부와 상기 제1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가공부로부터 상기 제1 이송부 사이의 배전선로의 제1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배전선로의 최전방 단측에 상기 배전선로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배전선로의 단면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 및 본체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관로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전선로를 관로를 따라 설치하기 위한 이송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의 다른 단측 개방부인 회수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를 상기 관로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회수력을 상기 배전선로에 제공하는 제3 이송부; 상기 제3 이송부로부터 기설정된 회수 영역으로 상기 배전선로를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4 이송부; 및 상기 제4 이송부의 단측 상기 회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외피를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결합 외피를 상기 케이블 가공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가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을 회수용 케이블 롤에 권취하는 외피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관로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상기 이동 모듈의 저면 측 구동휠과 걸림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 사이에 대응하는 인입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 사이에 상기 배전선로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이송 로봇의 이동 및 상기 제1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관로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제4 이송부는 상기 관로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상기 이동 모듈의 저면 측 구동휠과 걸림되고 상기 제2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 사이에 대응하는 회수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2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사이에 상기 배전선로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이송 로봇의 상기 제4 이송부 상의 이동 및 상기 제2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상기 제4 이송부를 따라 회수 영역으로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전선로의 양 단측에는 배전선로의 폭보다 큰 걸림판이 상기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 로봇의 본체는, 저면에 상기 배전선로가 배치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선로 수용부; 및 상기 선로 수용부를 저면으로부터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되, 선로 수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선로 수용부의 일 단측의 형태 및 사이즈가 상기 배전선로의 단면 형태 및 사이즈와 같도록 구성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로봇의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에 걸림되는 제1 구동휠; 및 상기 관로의 내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 구동휠;을 포함하여, 제2 이송부에서 상기 배전선로 상부에 상기 선로 수용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 커버를 상기 선로 수용부를 덮도록 설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상기 선로 수용부와 상기 하부 커버가 형성하는 관통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관로를 따라 이동 시, 상기 관통 영역의 단측에 상기 걸림판이 걸려 상기 이송 로봇의 본체를 따라서 상기 배전선로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배전선로가 관로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영역에 상기 배전선로가 관통된 채로 상기 관로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이송 로봇은, 본체의 양 단측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관로 내벽 또는 배전선로의 손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관로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환경 측정 모듈; 및 상기 제1 구동휠, 상기 제2 구동휠,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와 상기 환경 측정 모듈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원격의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가공부는, 저융점의 열가소성 소재를 가열하여 액체상으로 가공하는 제1 열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이 배치되어 이동되는 성형 틀 라인; 상기 성형 틀 라인 상에 상기 액체상으로 가공된 열가소성 소재를 공급하여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면서 도포되도록 하는 소재 공급부; 및 상기 소재 공급부의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의 이동 방향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 공급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감싸진 케이블을 냉각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결합 외피로서 가공되도록 하는 제1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 회수부는, 상기 배전선로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수용 케이블 롤에 공급하도록 이송하면서, 상기 결합 외피의 녹는점 이상 및 상기 케이블 외피의 녹는점 이하로 가열하여, 상기 결합 외피가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열처리부; 및 상기 제2 열처리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과 분리된 액체상의 열가소성 소재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형태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로봇이 지상에서부터 레일이 형성된 이송부를 통해서 배전선로를 이끌며 관로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여, 다수의 케이블을 결합 외피를 통해 하나의 배전선로로 관리되도록 하면서 자동으로 배전선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케이블의 외피 손상 방지가 가능하고, 지중배선의 설치 상의 편리성, 경제성 및 안정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 로봇을 설치 후 회수 시까지 관로 및 배전선로의 외관 및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 배전선로의 관리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결합 외피를 기존 기술과 같이 일정한 면으로 케이블을 감싸는 형식이 아니라, 저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도포 및 냉각하는 것을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 시 열을 가하는 것을 통해서 매우 간편하게 케이블로부터 결합 외피를 분리하고, 결합 외피가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지중배전선로 관리 시의 결합 외피의 추가적인 구성에 의한 환경 문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결합 외피가 성형된 배전선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의 배전선로 회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와 이송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이송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부와 이송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이송 로봇과 배전선로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로봇의 모니터링 기능 구현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공부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 회수부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결합 외피가 성형된 배전선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의 배전선로 회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와 이송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이송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부와 이송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이송 로봇과 배전선로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로봇의 모니터링 기능 구현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공부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피 회수부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핵심 구성으로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공부(10), 제1 이송부(20), 제2 이송부(30) 및 이송 로봇(40)을 포함하여 배전선로(110)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배전선로(110)를 인출하여 재활용하도록 가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이송부(50), 제4 이송부(60) 및 외피 회수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중배전선로는, 지중(2)에 매설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1)의 중공부마다 삽입 설치되는 전력 전달을 위한 배전선로(110)로서, 하나 이상의 케이블(100)이 다발로 포함된 선로를 의미한다. 하나의 케이블(100)에는, 최외곽의 외피 및 가장 중심부의 도체을 포함하고, 도체와 외피 사이의 선로 구조가 포함되는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구조는 일반적인 지중배전선로의 구성으로서,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는 순서로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절연체, 외부 반도전층 및 부품음 테이프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케이블 가공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케이블 롤(90)로부터 복수개의 케이블(100)을 공급받고, 결합 외피로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 일체의 배전선로(110)로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결합 외피의 재질이 복수개의 케이블을 포함하도록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배전선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케이블(100)을 포함하고, 해당 케이블(100)을 일정한 입체 형상, 도 2의 예에서는 삼각구조의 형상으로 배치한 뒤, 결합 외피(112)가 케이블의 입체 형상을 유지하면서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가공된다.
이를 위한 케이블 가공부(10)의 구체적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개의 케이블(100)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가공부(10)에는, 저융점의 열가소성 소재를 가열하여 액체상으로 가공하는 제1 열처리부 및 제1 열처리부로부터 액체상으로 가공된 열가소성 소재(200)를 공급하여 복수개의 케이블(100)을 감싸면서 도포되도록 하는 소재 공급부를 포함하는 열가공 모듈(11)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열처리부 및 소재 공급부가 하나의 열가공 모듈(11)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저융점의 열가소성 소재는, 주로 케이블(100)의 외피를 구성하는 소재로서, PVC나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피복체의 녹는점(섭씨 150~170도)보다 낮은 녹는점 및 점성이 낮아지는 온도를 갖는 저융점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밀도의 폴리에틸렌(LDPE, 융점 약 섭씨 110도),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융점 섭씨 118도 내지 125도) 등과 함께 플렉서블한 폴리우레탄 등의 성분을 섞어 융점을 최대한 낮추고, 온도가 저하될 시 고체상으로 변하되 플렉서블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관로(2)에 인입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액체상으로 가공함은, 열에 의하여 점성이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며, 완전히 액체가 되도록 열처리를 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소재 공급부는 제1 열처리부로부터 액체상으로 가공된 열가소성 소재(200)를 케이블(100)이 위치된 영역에 공급하는데, 일반적인 고온의 소재를 공급하는 성형 방식에서 소재를 공급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재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액체상의 소재는, 점성이 낮아 고온 상태에서 형태를 유지하기 힘든 특성 상, 특정한 성형 틀 라인(12)에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성형 틀 라인(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내부 캐비티를 갖고, 그 내부 캐비티를 복수개의 케이블(100)이 배치되어 이동되면서 상술한 열가소성 소재(200)가 도포되면서 성형 틀 라인(12)의 형태로 성형된 소재(201)로 가공하여, 결과적으로 성형 틀 라인(12)의 형태로 결합 외피가 성형되면서 케이블(100)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 틀을 의미한다. 한편 성형 틀 라인(12)의 하부에는, 예를 들어 잉여 소재(200)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성형 틀 라인(12)의 단면 형태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설정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공급부를 통해 소재(200)가 공급되는 관통공(미도시)을 제외하고 내부가 원통형의 중공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00)이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삼각 구조를 갖고 진입되기 위해서, 케이블(100)이 진입되는 영역(좌측)에는 해당 삼각 구조의 케이블(100)이 통과되는 관통홀이 경계벽에 형성되고, 냉각 라인(14)까지 그 단면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 라인(14)의 최우측 단측, 즉 열가소성 소재(201)가 냉각되어 고체상으로 가공된 후 배출되는 측의 경계벽에는 가공된 배전선로의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D1)으로 케이블(100)에 열가소성 소재가 도포되는 영역, 즉 성형 틀 라인(12)의 전방, 즉 열가소성 소재(201)가 도포된 케이블(100)이 이동되는 영역(14)은 냉각 라인(14)임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때 냉각 라인(14)에는 고체화가 덜된 열가소성 소재를 고체화(202)하여 배전선로의 결합 외피(203)로 가공하기 위한 제1 냉각부(13)가 케이블 가공부(10)의 일 구성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제1 냉각부(13)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소재의 급냉에 의한 균열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온 정도의 섭씨 10도 내지 30도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여 열가소성 소재가 손상없이 자연스럽게 고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냉각 라인(14)을 지나는 열가소성 소재(202)는 냉각 라인(14)을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고체화되어, 결합 외피(203)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제1 이송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2)의 일 단측 개방부인 인입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110)에 관로(2)로의 유입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유입력에 있어서, 상술한 열가소성 소재(201)가 냉각되어 고체상으로 가공된 후 배출되는 측의 경계벽에 역시 케이블 롤러(미도시) 등 후술하는 제1 롤러(21) 등과 유사한 장치가 설치되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면서 그 유입력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이송부(20)가 제공하는 유입력 역시, 후술하는 이송 로봇(40)에 의한 견인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이송부(30)는 곡률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즉, 지상의 케이블 가공부(10)와 제1 이송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케이블 가공부(10)로부터 제1 이송부(20) 사이의 배전선로의 제1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술하는 이송 로봇(40)의 기능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송부(20) 및 제2 이송부(30)와 유사한 이송부가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배전선로(110)을 관로(2)에 유입시키는 경로 및 보조 유입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부(20) 및 제2 이송부(30)와 유사하게, 배전선로(110)를 회수하기 위해서 관로(20)로부터 지상의 외피 회수부(70)로 회수하기 위한 제3 이송부(50) 및 제4 이송부(60)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 이송부(50)는 제1 이송부(20)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관로(2)의 다른 단측, 즉 상술한 인입부의 반대측 개방부인 회수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110)를 관로(2)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회수력을 배전선로(1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4 이송부(60)는 제2 이송부(30)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제3 이송부(50)로부터 기설정된 회수 영역, 즉 외피 회수부(70)가 설치된 영역으로 배전선로(110)를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제1 이송 경로와 제2 이송 경로는 대칭적인 경로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이송 로봇(40)은 실질적으로 배전선로(110)를 관로(2)에 유입시켜 상술한 인입부로부터 개방부에 걸쳐 배전선로(110)가 배치되도록 배전선로(110)를 견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송 로봇(40)은 배전선로(110)의 최전방 단측에 배전선로(110)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전선로(110)의 단면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 및 본체 외면에 설치되는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관로(2)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과 구동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관로(2)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배전선로(110)를 관로(2)를 따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송 로봇(40)의 본체는 이송 로못(40)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를 의미하며, 이동 모듈은 후술하는 구동휠 및 도 7에 도시된 모터(48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이송 로봇(40)이 지상으로부터 관로(2)로, 다시 관로(2)에서 지상의 상술하 회수 영역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부(30)는 관로(2)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이동 모듈의 구동휠 중, 저면 측 구동휠(41)과 걸림되고 제1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31(311, 3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측 구동 휠(41)은 제2 이송부(30)의 제1 레일(31)과 결착되어 구동에 따라서 이송 로봇(40)이 제1 레일(3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이동을 보조하고, 제1 레일(31)이 존재하지 않는 예를 들어 관로(2)의 내벽과의 접촉 시의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저면 측의 다른 구동 휠(42) 및 상면 측의 구동 휠(42)이 이동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모터(483)는 각 구동휠(41, 42, 43)별로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컴퓨팅 장치(47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구동 휠(41)과 구동 휠(43) 사이의 간격 및 배전선로(110)와 구동 휠(43) 사이의 간격은 그 간격에 배치되어야 할 후술하는 제1 이송부(20)의 제1 롤러(21)의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도 4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송부(30)와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4 이송부(6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의 실시예를 제4 이송부(6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4 이송부(60)는 관로(2)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이동 모듈의 저면 측 구동휠(41)과 걸림되고 제2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3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제1 레일과 제2 레일은 도 4에서 동일한 구성(31)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20)는, 한 쌍의 제1 레일(31) 사이에 대응하는 인입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롤러(21)를 포함하여, 한 쌍의 제1 롤러(21) 사이에 배전선로(110)가 위치됨에 따라서 이송 로봇(40)의 이동 및 제1 롤러(21)의 구동, 그리고 상술한 케이블 롤러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110)가 인인되되, 제1 롤러(21)의 압착력에 의하여 정렬된 상태로 제1 방향(D1)으로 이송되면서 관로(2) 내부에 인입되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술한 도 5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송부(10)와 대칭적 구조를 갖고 기능을 수행하는 제3 이송부(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5의 실시예를 제3 이송부(5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3 이송부(50)는 한 쌍의 제2 레일(31) 사이에 대응하는 회수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2 롤러(2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도 5에서 동일한 구성(21)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한 쌍의 제2 롤러(21) 사이에 배전선로(110)가 위치됨에 따라서 이송 로봇(40)의 제4 이송부(60) 상의 이동 및 제2 롤러(21)의 구동에 의하여 배전선로(110)가 제3 이송부(50)를 통해 제4 이송부(60)를 따라 회수 영역으로 회수되어, 결과적으로 외피 회수부(70)로 진입되도록 이송하는 기능된다.
외피 회수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이송부(60)의 단측 회수 영역에 설치되어, 결합 외피(112)를 케이블(100)로부터 분리하고, 결합 외피(112)를 케이블 가공부(10)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가공하고, 복수개의 케이블(100)을 회수용 케이블 롤(80)에 권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권취력은 회수용 케이블 롤(80)의 모터에 의한 회동에 의하거나, 상술한 제1 방향(D1)으로 배전선로(110), 케이블(100) 등을 이동시키는 이송 로봇(40)을 제외한 구성에 의한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력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외피 회수부(70)는 제2 열처리부(71) 및 성형부(75)를 포함한다. 제2 열처리부(71)는 상술한 제1 열처리부와 유사한 온도로 공급되는 배전선로(110)를 가열한다. 즉, 상술한 성형 틀 라인(12)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가열 영역(73)에 배전선로(110)를 지지하면서 회수용 케이블 롤(80)을 향하는 방향, 즉 제1 방향(D1)으로 이송하면서, 상술한 저융점을 갖는 결합 외피(204)의 녹는점 이상 및 케이블(100) 외피의 녹는점 이하로 가열하여, 결합 외피(204)가 녹아 케이블(10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성형 틀 라인(12) 및 냉각 라인(14)과 유사하게, 가열 영역(73)의 경계벽 중, 배전선로(110)가 진입되는 경계벽에는 배전선로(110) 형상의 관통홀이, 배전선로(110)로부터 결합 외피(204)가 분리된 후 회수용 케이블 롤(80)로 각 케이블(100)이 회수되기 위해서 가열 영역(73)을 벗어나는 경계벽에는 삼각 구조 등의 케이블(100)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잔존하는 결합 외피(204)를 제거하면서 케이블(100)이 회수용 케이블 롤(80)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녹아서 케이블(100)로부터 분리된 결합외피(204), 즉 열가소성 소재는, 성형부(75)로 진입한다. 이때, 성형부(75)에 정확히 결합 외피(204)를 이루는 열가소성 소재만을 포함하고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메쉬 필터(74) 등이 설치되는데, 메쉬 필터(74)는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금속 메쉬 구조의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성형부(75)는 제2 열처리부(71)에 의하여 케이블(100)과 분리된 액체상의 열가소성 소재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형태(210)로 성형하여 배출구(76)를 통해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성형부(75)에는 성형 후 열가소성 소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냉각부(13)와 유사한 온도로 액체상의 열가소성 소재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 및 케이블 가공부(10)에 공급되는 열가소성 소재의 형태로 열가소성 소재를 냉각 가공하기 위한 성형 틀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송 로봇(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선로(110)와 탈착 가능한 동시에, 배전선로(110)를 고정하여 견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4,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공부(10)에 의하여 가공 배출되는 배전선로(110)의 가장 최전방 단측 및 가장 최후방 단측에는, 예를 들어 배전선로(110)의 폭(직경)보다 큰 걸림판(111)이 케이블(100) 또는 배전선로(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로 형성됨은 완전히 케이블(100)을 직교 절곡하는 형태 등으로 가공하여 그 직교 절곡된 부분이 걸림판(111)으로 기능하거나, 케이블(110)의 단측을 큰 걸림판 형태로 가공하거나, 케이블(110)에 용접 등의 형태로 걸림판(111)이 결합되는 모든 구조를 의미할 것이다.
한편 걸림판(111)은 상술한 도면에서는 원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송 로봇(40)과의 걸림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일 예일뿐,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형의 라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 로봇(40)의 본체(44)는, 저면에 배전선로(110)가 배치되도록 하되, 저면이 일부 개방된 선로 수용부(46)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로 수용부(46)의 개방된 저면은, 적어도 배전선로(110)가 통과될 수 있는 사이즈 및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44)는 상기 선로 수용부(46)의 개방된 영역에 본체(44)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커버(4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커버(45)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 수용부(46)를 저면으로부터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되, 선로 수용부(46)를 덮은 상태에서 선로 수용부(46)의 일 단측 즉 본체(44)의 단측에 해당하는 영역의 형태 및 사이즈가 배전선로(110)의 단면 형태 및 사이즈와 같거나, 걸림판(111)의 최대 직경보다 작으면서 배전선로(110)의 단면 사이즈보다는 크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부 커버(45)는 제1 방향(D1) 즉 본체(44)의 길이 방향으로 선로 수용부(46)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구성되거나, 일부만을 덮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모듈의 구동휠은, 제1 및 제2 레일(31)에 걸림되는 제1 구동휠(41)과, 관로(2)의 내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 구동휠(42, 43)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제2 이송부(30)의 진입부 등에서 배전선로(110) 상부에 선로 수용부(46)를 위치시킨 후 하부 커버(45)를 선로 수용부(46)를 덮도록 설치하여 배전선로(110)가 선로 수용부(46)와 하부 커버(45)가 형성하는 관통 영역, 즉 선로 수용부(46)에 위치되도록 하여 하부 커버(45)에 의하여 배전선로(110)가 지지되도록 하고, 제2 이송부(30), 제1 이송부(20) 및 관로(2)를 따라 이동 시, 관통 영역의 단측, 즉 본체(44)의 단측에 해당하는 영역의 형태 및 사이즈가 배전선로(110)의 단면 형태 및 사이즈와 같거나, 걸림판(111)의 최대 직경보다 작으면서 배전선로(110)의 단면 사이즈보다는 크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그 단측에 걸림판(111)이 걸려 이송 로봇(40)의 본체(44)의 이동을 따라서 배전선로(110)가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이송 로봇(40)은 상술한 바에 의하면, 관로(2) 내부에 위치되면서 배전선로(110)를 그 관통 영역, 즉 선로 수용부(46)에 수용한 상태에서 배전선로(110)와 자유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로(2)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면, 이송 로봇(40)을 단순히 배전선로(110)를 관로(2) 내에 편리하게 설치하거나 관로(2)로부터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로(2)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이송 로봇(40)은 먼저 배전선로(110)가 관로(2)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의 관통 영역에 배전선로(110)가 관통된 채로 관로(2)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제어되고, 촬영부(481), 영상 분석부(471), 환경 측정 모듈(482), 컴퓨팅 장치(472)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481)는 예를 들어 조명 및 카메라를 포함하여 어두운 관로(2) 내부를 밝히면서 전방 영역, 바람직하게는 관로(2)의 내벽 및 배전선로(110)의 외면 인근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촬영부(48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이송 로봇(40)의 양 단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 분석부(471)는 촬영부(481)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관로(2) 내벽 또는 배전선로(110)의 손상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픽셀 색상 변경값 분석에 의한 경계선 분석 및 이를 통한 객체 식별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471)를 거치지 않고, 촬영부(481)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는 바로 컴퓨팅 장치(472)에 전송될 수 있다.
환경 측정 모듈(482)은, 관로(2)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센싱값 송출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472)는 제1 구동휠(41), 제2 구동휠(42, 43)을 구동하는 모터(483) 및 촬영부(481)의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 분석부(471)와 환경 측정 모듈(482)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로서, 관로(2) 또는 배전선로(110)에 대한 손상 여부를 판단한 데이터, 촬영 이미지, 온도값 및 습도값 등을 저장하거나 원격의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이송 로봇(40)을 배전선로(110)를 이송하는 기능뿐 아니라, 관로(2)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의 관리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거나, 배전선로(110)의 회수 시의 컴퓨팅 장치(47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관로(2)의 관리 측면에서 데이터 수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수의 케이블 롤로부터 복수개의 케이블을 공급받고, 결합 외피로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 일체의 배전선로로 구성하는 케이블 가공부;
    상기 관로의 일 단측 개방부인 인입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에 관로로의 유입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케이블 가공부와 상기 제1 이송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가공부로부터 상기 제1 이송부 사이의 배전선로의 제1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이송부;
    상기 배전선로의 최전방 단측에 상기 배전선로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배전선로의 단면이 삽입 고정되는 본체 및 본체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관로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배전선로를 관로를 따라 설치하기 위한 이송 로봇;
    관로의 다른 단측 개방부인 회수부에 설치되고, 배전선로를 상기 관로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회수력을 상기 배전선로에 제공하는 제3 이송부;
    상기 제3 이송부로부터 기설정된 회수 영역으로 상기 배전선로를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제4 이송부; 및
    상기 제4 이송부의 단측 상기 회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외피를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결합 외피를 상기 케이블 가공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가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을 회수용 케이블 롤에 권취하는 외피 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관로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상기 이동 모듈의 저면 측 구동휠과 걸림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1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 사이에 대응하는 인입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 사이에 상기 배전선로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이송 로봇의 이동 및 상기 제1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관로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제4 이송부는 상기 관로와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로서, 상기 이동 모듈의 저면 측 구동휠과 걸림되고 상기 제2 이송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레일 사이에 대응하는 회수부 영역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2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사이에 상기 배전선로가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이송 로봇의 상기 제4 이송부 상의 이동 및 상기 제2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상기 제4 이송부를 따라 회수 영역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의 양 단측에는 배전선로의 폭보다 큰 걸림판이 상기 케이블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 로봇의 본체는,
    저면에 상기 배전선로가 배치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선로 수용부; 및
    상기 선로 수용부를 저면으로부터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되, 선로 수용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선로 수용부의 일 단측의 형태 및 사이즈가 상기 배전선로의 단면 형태 및 사이즈와 같도록 구성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로봇의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에 걸림되는 제1 구동휠; 및
    상기 관로의 내벽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 구동휠;을 포함하여,
    제2 이송부에서 상기 배전선로 상부에 상기 선로 수용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 커버를 상기 선로 수용부를 덮도록 설치하여 상기 배전선로가 상기 선로 수용부와 상기 하부 커버가 형성하는 관통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관로를 따라 이동 시, 상기 관통 영역의 단측에 상기 걸림판이 걸려 상기 이송 로봇의 본체를 따라서 상기 배전선로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로봇은 상기 배전선로가 관로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영역에 상기 배전선로가 관통된 채로 상기 관로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이송 로봇은,
    본체의 양 단측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관로 내벽 또는 배전선로의 손상을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관로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환경 측정 모듈; 및
    상기 제1 구동휠, 상기 제2 구동휠,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와 상기 환경 측정 모듈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원격의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컴퓨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공부는,
    저융점의 열가소성 소재를 가열하여 액체상으로 가공하는 제1 열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이 배치되어 이동되는 성형 틀 라인;
    상기 성형 틀 라인 상에 상기 액체상으로 가공된 열가소성 소재를 공급하여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을 감싸면서 도포되도록 하는 소재 공급부; 및
    상기 소재 공급부의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의 이동 방향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소재 공급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감싸진 케이블을 냉각하여, 상기 열가소성 소재가 결합 외피로서 가공되도록 하는 제1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회수부는,
    상기 배전선로를 지지하면서 상기 회수용 케이블 롤에 공급하도록 이송하면서, 상기 결합 외피의 녹는점 이상 및 상기 케이블 외피의 녹는점 이하로 가열하여, 상기 결합 외피가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열처리부; 및
    상기 제2 열처리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과 분리된 액체상의 열가소성 소재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형태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KR1020210015452A 2021-02-03 2021-02-03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KR10225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52A KR102253616B1 (ko) 2021-02-03 2021-02-03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52A KR102253616B1 (ko) 2021-02-03 2021-02-03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16B1 true KR102253616B1 (ko) 2021-05-17

Family

ID=7615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52A KR102253616B1 (ko) 2021-02-03 2021-02-03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398B1 (ko) 2021-06-01 2021-12-01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벽체 고정 시스템
KR102331399B1 (ko) 2021-06-01 2021-12-01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926A (ja) * 1992-10-15 1994-05-13 Shinko Densen Kk 複数連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20070090029A (ko) * 2005-03-28 2007-09-0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난연성의 열가소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932524B1 (ko) * 2007-10-29 2009-12-17 (주)매크로지리정보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KR101096594B1 (ko) * 2011-07-15 2011-12-20 박영훈 폐전선 재활용 장치
KR101930403B1 (ko) * 2017-01-20 2019-04-12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2076693B1 (ko) * 2013-08-23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 시스템 및 포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926A (ja) * 1992-10-15 1994-05-13 Shinko Densen Kk 複数連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20070090029A (ko) * 2005-03-28 2007-09-0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난연성의 열가소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0932524B1 (ko) * 2007-10-29 2009-12-17 (주)매크로지리정보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KR101096594B1 (ko) * 2011-07-15 2011-12-20 박영훈 폐전선 재활용 장치
KR102076693B1 (ko) * 2013-08-23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 시스템 및 포설 방법
KR101930403B1 (ko) * 2017-01-20 2019-04-12 하나테크 주식회사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398B1 (ko) 2021-06-01 2021-12-01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벽체 고정 시스템
KR102331399B1 (ko) 2021-06-01 2021-12-01 이삼종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616B1 (ko)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JP2002539471A (ja) 光ファイバを敷設する方法と装置
CN112762997A (zh) 电缆隧道分布式智能感知系统与状态评价方法
CN113466610B (zh) 一种电缆坑道排障装置及电缆坑道排障方法
KR100932524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인입 및 인출 장치
WO2021045360A1 (ko) 내ㆍ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CN115954800A (zh) 电缆检测安装系统及利用其实现电缆敷设安装的方法
CN106768027A (zh) 电缆通道的工井状态监测装置
EP0188531B2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using an inner duct
CN106229895A (zh) 一种电缆隧道引线机构
EP4032156A1 (en) Integrated transmission line installation system
CN218178273U (zh) 一种精准化的建筑工程cctv检测及修复装置
CN112050026A (zh) 一种用于城市地下管道检测机器人
CN116344120A (zh) 光伏电缆生产加工系统及工艺
US51636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and collecting a wire
WO2023059004A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의 동시 시공방법
CN114883977A (zh) 一种模拟超导电缆敷设试验的方法和系统
CN206074866U (zh) 一种光缆交接箱
CN105870842B (zh) 空气负压扫管穿线方法
CN204832099U (zh) 一种改进的避孕套干式高压电检装置
IT202000019975A1 (it) Metodo e attrezzatura per l’installazione di un cavo di potenza in un tunnel
CN113890132A (zh) 变电站电缆沟巡检机器人充电站和充电方法
KR102128446B1 (ko) 관로식 지중케이블의 냉각장치
JPH1194982A (ja) 水中清掃ロボット
KR101190800B1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