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399B1 -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399B1
KR102331399B1 KR1020210070667A KR20210070667A KR102331399B1 KR 102331399 B1 KR102331399 B1 KR 102331399B1 KR 1020210070667 A KR1020210070667 A KR 1020210070667A KR 20210070667 A KR20210070667 A KR 20210070667A KR 102331399 B1 KR102331399 B1 KR 10233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underground pipe
moun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종
Original Assignee
이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종 filed Critical 이삼종
Priority to KR102021007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6Ventilation at the working face of galleries or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로의 관로; 장방형 박스형태의 지중관(10);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선반(24)과, 상기 선반(24)에 안착 배치된 다수의 지중배전선(L); 및 상기 지중관(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연결체(211)를 매개로 상기 지중관(10)을 특정된 설치위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상측 양쪽에는 각각 내기송풍박스(100)와 외기송풍박스(200)가 구비되고, 상기 내기송풍박스(100)에는 내기흡입구(110)를 통해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송풍기(120)가 설치되되, 상기 설치위치는, 늪지대, 진토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인 제1바닥면(1100)과, 상기 제1바닥면(1100)를 사이에두고, 둘레부에 위치되며, 시멘트,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제2바닥면(120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Pipeline system i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특성상 배수와 환풍 불량시 습도가 높아져 누전 및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지중관 내부의 선반파손 등으로 유발되는 2차적인 전기 안전사고까지 예방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와 관련하여 습도가 높아져 누전 및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이외에 배전선로 설치상에 있어 다양한 설치현장의 환경에 대응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설치와 지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나 이러한 부분들은 현재로서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5361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수와 환풍 불량시 습도가 높아져 누전 및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지중관 내부의 선반파손 등으로 유발되는 2차적인 전기 안전사고까지 예방할 수 있으면서 습기나 수분 유입으로 물이 차더라도 신속하게 자동 배수토록 함으로써 침수를 예방하고 침수에 따른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에 관련된 설치에 있어서, 설치 현장의 지반 조건과 주변의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건들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주변의 충격에 대하여 보다 안정성을 부여하여 전체적인 구조상에 내진성능을 부여하고, 물리적인 충격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현장이 부적합한 혹은 설치가 어려운 지반 혹은 토양 특성을 가져, 이를 해결하는데 높은 혹은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 현장의 지반, 토양 등에 대한 시공의 적합성와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로의 관로; 장방형 박스형태의 지중관(10);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선반(24)과, 상기 선반(24)에 안착 배치된 다수의 지중배전선(L); 및 상기 지중관(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연결체(211)를 매개로 상기 지중관(10)을 특정된 설치위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위치는, 늪지대, 진토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인 제1바닥면(1100)과, 상기 제1바닥면(1100)를 사이에두고, 둘레부에 위치되며, 시멘트, 아스팔트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제2바닥면(120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트모듈은 상기 제2바닥면(1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바닥면(1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받침모듈(1220)을 포함하는 받침모듈과, 상기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받침모듈(1220) 상에 거치되어 설치되며, 상부로 상기 연결체(211)가 설치되어 상기 제1바닥면(1100)의 상부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거치패널(1300)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받침모듈(1210)은 상기 제2바닥면(1200)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몸체(1211)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의 제1-1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이 안착되는 제1연장몸체(1212)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에서 상기 제1-1위치보다 높은 제1-2위치에 푸시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봉(1213)과, 상기 제1지지봉(12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봉(1213)의 푸시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연장몸체(1212)에 안착된 상기 거치패널(1300)의 일방을 누르는 제1푸시부(1214)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배수와 환풍 불량시 습도가 높아져 누전 및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지중관 내부의 선반파손 등으로 유발되는 2차적인 전기 안전사고까지 예방할 수 있으면서 습기나 수분 유입으로 물이 차더라도 신속하게 자동 배수토록 함으로써 침수를 예방하고 침수에 따른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에 관련된 설치에 있어서, 설치 현장의 지반 조건과 주변의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건들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주변의 충격에 대하여 보다 안정성을 부여하여 전체적인 구조상에 내진성능을 부여하고, 물리적인 충격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현장이 부적합한 혹은 설치가 어려운 지반 혹은 토양 특성을 가져, 이를 해결하는데 높은 혹은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 현장의 지반, 토양 등에 대한 시공의 적합성와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구성하는 지중관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설치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외기배출파이프 및 외기흡입파이프의 상단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b)는 4-웨이밸브의 동작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구성하는 방진유닛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횡압저감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구성하는 배수유닛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주요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지중관(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중관(10)은 작업자가 진입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장방형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대(22)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2)에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선반(24)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선반(24)에는 다수개의 지중배전선(L)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들 지중배전선(L)은 각 선반(24)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전선안착홈(26)에 탑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선반(24)은 전기가 통전되는 지중배전선(L)을 지지 고정하기 때문에 절연성은 물론 내부식성,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가져야 하므로 이를 위해 부틸 프로-2-에노에이트(butyl prop-2-propenoate) 8.5중량%와,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4.5중량%와,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 3.5중량%와, 수용성 SiO3 2.0중량%와, 메타크릴산 1.5중량%와, 크로뮴오커(Cr2O3)에 중탄산나트륨 4중량%와 붕사 2.5중량%를 첨가한 상태에서 800-1200
Figure 112021063140719-pat00001
의 온도로 소성하고 소성물을 크러셔로 습식크러싱하여 1㎛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한 후 이를 100
Figure 112021063140719-pat00002
에서 10시간 건조한 산화물 분말 4.5중량%와, 게르마늄과 비화갈륨(Gallium Arsenide) 및 셀렌화아연이 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3.5중량%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4.5중량%와, 질화규소 2.5중량%와, 소성된 산화이테르븀 3.5중량% 및 나머지 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이 판상으로 성형되어 제조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틸 프로-2-에노에이트는 수지조성물에 연성, 충격보강 및 바인딩성 강화기능을 제공하면서 휨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은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내스티키성 유지는 물론 성형품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Ethylene Bis Stearamide)는 황변을 억제하면서 성형품의 표면 평활도를 증대시켜 블로킹방지, 스크래치 억제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SiO3는 독성을 제거하여 인체 유해성을 없애기 위해 첨가되는데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중금속등의 6대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여 작업자가 진입하였을 때 인체 유해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타크릴산은 산에 강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상기 산화물 분말을 구성하는 크로뮴오커는 적외선 반사율이 30% 이상 유지시키는 성분으로서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중탄산나트륨은 기화된 나트륨 가스가 산화물에 작용하여 산화물 표면에 유리상을 형성함으로써 광택도를 증가시키는 성분이고, 붕사는 산화물 표면의 유면을 매끄럽게 하면서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때, 소성하는 이유는 적외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소성온도가 800
Figure 112021063140719-pat00003
에 미달할 경우 적외선 흡수율이높아져 내열성이 떨어지며, 1200
Figure 112021063140719-pat00004
를 초과하게 되면 자화현상이 나타나므로 상기 범위의 온도로 제한하여 소성하여야 한다.
특히, 고온 소성을 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특성 외에도 산화물들이 배합, 합성되기 때문에 강력한 결정구조를 만들어 내후성, 내열성, 내약품성, 안전성이 뛰어난 화학적 특성을 갖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과 비화갈륨(Gallium Arsenide) 및 셀렌화아연은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시키는 물질로서 특히 이들이 동일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절연성이 필요한 이유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는 슬립성을 증대시켜 지중배전선(L)과의 마찰저항을 줄임으로써 피복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질화규소는 무정형의 나노입자 크기의 질화붕소를 분산시킨 것으로 열충격을 흡수하여 미소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내침식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소성된 산화이테르븀은 희토류 금속으로서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 내화학성과 내약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수지는 베이스 수지로서,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상측 양쪽에는 각각 내기송풍박스(100)와 외기송풍박스(200)가 구비되고, 상기 내기송풍박스(100)에는 내기흡입구(110)를 통해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송풍기(120)가 설치된다.
이때, 내기흡입구(110)에는 지중관(10) 내부 전체에 걸쳐 분산된 수분 흡수력을 높이도록 내기흡입파이프(PIP)가 더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송풍박스(200)에는 외기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송풍기(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기송풍기(120)의 출구단에는 내기배출관(130)이 연결되는데, 상기 내기배출관(130)은 지중관(10)의 천정면을 따라 배관되고, 단부에는 판형열교환기(300)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판형열교환기(300)는 상기 내기송풍박스(100)와 외기송풍박스(200) 사이의 지중관(10) 천정면에 고정되는 간접열교환기이다. 이러한 판형열교환기(300)는 내기유로와 외기유로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간접열교환되게 구성된 공지된 열교환기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판형열교환기(300)의 내기출구단에는 내기분배관(140)이 연결되며, 내기분배관(140)은 선반(24)을 향해 다수의 분사구(142)를 갖고 배출되는 열교환된 내기를 지중관(10)의 내부 전체로 분산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기송풍기(220)의 출구단에는 외기배출관(230)이 연결되는데, 상기 외기배출관(230)은 지중관(10)의 천정면을 따라 배관되고, 단부는 판형열교환기(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사기 판형열교환기(300)의 외기출구단에는 외기배출파이프(240)가 연결되어 열교환된 외기를 지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기흡입구(210)에는 외기흡입파이프(250)가 연결되어 지상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기배출파이프(240)와 외기흡입파이프(250)는 도 3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상단이 꼬깔형태의 보호커버(COV)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일체화되고, 파이프의 상단부 둘레에는 다수의 통기공(HOL)이 형성되어 외기의 배출, 흡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면서 눈이나 비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환기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외기배출관(230)과 내기분배관(140)에는 솔레노이드밸브인 4-웨이밸브(260)가 더 설치되어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개폐됨으로써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의 (b)와 같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환기모드로 전환되면 4-웨이밸브(260)가 동작하여 판형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내기는 외기배출관(230)을 타고 다시 판형열교환기(300)의 외기유로로 유입된 후 외기배출파이프(240)를 타고 지상으로 배출되며, 외기흡입파이프(250)를 통해 흡입된 외기는 내기분배관(140)을 타고지중관(10) 내부로 분배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중관(10) 내부는 환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4-웨이밸브(260)가 다시 동작하여 원위치되면 내기순환모드, 즉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내기는 내기분배관(140)을 통해 지중관(10) 내부로 분배 공급되고, 도입된 외기는 외기배출관(230), 판형열교환기(300)를 거쳐 외기배출파이프(240)를 타고 지상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기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내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내기에 함유된 수분을 간접열교환방식으로 제거하여 지중관(10) 내부를 건조시키는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자의 유지 보수시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가 유지보수 기간 동안 내기송풍박스(100) 및 외기송풍박스(200) 내부에 내장된 내장품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여부나 문제발생 소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내기송풍박스(100)와 외기송풍박스(200)는 초산 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15중량%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3.5중량%와, 투명 실리카 30중량%와, 세레신(Ceresin) 4.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로 성형되게 하여 투명하게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초산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스 분자 속의 하이드록시기를 아세틸화한 아세트산 에스터로서 불연성과절연성 및 내구성 향상 특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는 코팅 표면의 피막 형성을 통해 부유력을 높이며, 방습성을 강화시킬뿐만 아니라 수지물의 점도 조절에도 기여하므로 성형성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실리카는 대표적인 투명성 향상 및 방수, 방습 특성을 갖는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레신은 유화안정감을 높이고, 성분간 결합력을 증대시키면서 코팅면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내크랙성을 강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대표적인 투명수지이면서 강도가 높은 내구성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수지로 첨가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관(10)의 내진성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중관(10)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방진유닛(SOCK)이 더 설치된다. 상기 방진유닛(SOCK)은 지진에 의해 전달되는 횡압력을 흡수 완충하여 지중관(10)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횡압력 뿐만 아니라 수직압력에 대해서도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진유닛(SOCK)은 상기 지중관(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U'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내침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에폭시수지 25중량%와, 송진 1.5중량%와, 1-2cm 길이의 카본파이버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10)는 상기 지중관(10) 보다 크게 제조되어 지중관(10)의 하단부가 지지플레이트(5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지중관(10)의 하단에는 래크기어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래크바(520)가 고정되고, 상기 래크바(520)에는 래크기어에 치결합되는 피니언(610)을 구비한 횡압저감부재(600)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횡압저감부재(6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횡압저감부재(60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에 내장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유압블럭(620)과, 상기 유압블럭(620) 내부로 유체를 보충하여 충전하도록 상기 하우징(610)과 유압블럭(620)을 관통하여 설치된 충전구(INJ)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610)은 그 길이방향 양단에 고정플랜지(67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670)에는 이를 관통하여 체결볼트(680)가 체결되되, 완충상하스프링(690)의 개재하에 체결된다.
즉, 상기 하우징(6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고, 그 상태에서 완충상하스프링(690)의 개재하에 체결볼트(68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10) 상에 볼트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하우징(610)은 완충상하스프링(69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수직압력에 대응하여 흡수 완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블럭(620)은 상하로 분리된 구조로서 형합되어 조립 고정됨으로써 구동평기어(640), 종동평기어(650), 완충판(630)을 포함한 내장품들을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유압블럭(620) 내부에는 유압이 채워지고, 구동평기어(640)와 종동평기어(650)가 서로 기어결합된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공간인 메인챔버(622)와, 상기 메인챔버(622)와 간격을 두고 구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는 완충챔버(626)와, 상기 메인챔버(622)와 완충챔버(626)를 상하에서 연결하여 연통시키는 패싱챔버(624)가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블럭(620)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610)의 개방된 상부로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평기어(640)와 동축 상에 고정되고, 상기 래크바(520)의 래크기어(522)에 치결합되는 피니언(6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패싱챔버(624)와 완충챔버(626)가 연통되는 부분은 패싱챔버(624)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유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급격한 유압변동(유압흐름)시 순간적인 증압을 유도하여 일종의 완충 브레이크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완충챔버(626)의 내부에는 상하로 분리된 대칭 형상의 완충판(630)이 내장되며, 상기 완충판(630)들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32)이 개재된다. 특히, 상기 완충판(630)은 반구형상이며, 상면이 일정깊이 요입 가공된 형태를 가져 유압 변동에 따라 유체가 흘러들어올 때 요입된 부분이 집중적으로 압을 받으면서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압이 해소되면 코일스프링(63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다시 복귀되면서 유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양측 내벽면과 지중관(10)의 하단부 양측면 사이에는 다수의 완충측부스프링(530)이 설치되어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지진의 횡압력에 대응하여 완충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개방부, 즉 지중관(10)과의 간격에 의해 생기는 공간은 스커트(540)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커트(540)는 방수성, 발수성 및 유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실리콘수지 60중량%와, 알로펜분말 5중량% 및 나머지 EVA(ethylene-vinylalcohol copolymer)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을 시트 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방진유닛(SOCK)은 지진발생으로 인해 횡압력을 받았을 때 지지플레이트(510)가 순간적으로 횡방향으로 급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피니언(660)은 래크기어(522)를 타고 움직이면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660)과 동축인 구동평기어(640)도 동시에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평기어(640)에 맞물려 있는 종동평기어(650)도 동일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메인챔버(622) 내부에 채워져 있던 유체는 패싱챔버(624)로 펌핑되면서 완충챔버(626)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완충판(630)을 압축하면서 외부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후, 완충판(630)이 최대로 압착되면 유체가 더 이상 공급되지 못하게 되므로 구동평기어(640)와 종동평기어 (650)의 회전이 멈추면서 피니언(660)도 멈추게 되어 지진 전달 에너지를 흡수 완충하면서 유동을 스토핑시켜지중관(10)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완충측부스프링(530)도 탄성완충 동작하게 되므로 완충 흡수력이 더욱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완충상하스프링(690)은 상하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 완충하게 되어 내진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의 예시와 같이, 배수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유닛(700)은 베이스플레이트(2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배수안내판(7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안내판(710)의 일측 상면에는 배수송풍기(7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수송풍기(720)의 출구단은 상기 배수안내판(710)과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두께에 의해 생기는 공간 상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은 지지대(22)가 고정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 다수의 반원형 배기홈(730)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배기홈(730)은 상기 배수송풍기(720)가 송풍했을 때 바람이 타고 반대쪽으로 넘어가 공기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송풍기(720)가 설치된 지점과 반대되는 쪽의 배수안내판(710) 상에는 다수의 체크밸브(74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740)는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약하게 하여 배수안내판(710) 상면에 물이 쌓이게 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그 위에 있는 물을 하방의 배수공간(750)으로 배수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배수안내판(710)은 배수성을 높이기 위해 일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의 하부에는 배수함(76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수함(760)은 둘레면 전체에 걸쳐 다수의 배수구멍이 뚫려 있고, 내부에는 자갈층(762)과, 자갈층(762) 상부에 배치되는 메쉬층(764)이 적층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함(760)은 배수연결관(770)을 통해 상기 배수공간(750)과 연통된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주기적으로 가동되는 배수송풍기(720)가 공기를 송풍하게 되면, 공기는 배기홈(730)을 타고 배수공간(750)으로 공급되어 배수공간(750) 내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수공간(750)에 존재하는 물은 배수연결관(770)을 타고 배수함(760)으로 배수된 후 배수함(760)을 통해 지중으로 스며들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체크밸브(740)는 송풍압에 의해 닫히게 되므로 지중관(10)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가 역류되지 않게 되어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메쉬층(764)과 자갈층(762)은 지중 토사 등이 지중관(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때문에,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의 주요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로의 관로; 장방형 박스형태의 지중관(10);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선반(24)과, 상기 선반(24)에 안착 배치된 다수의 지중배전선(L); 및 상기 지중관(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연결체(211)를 매개로 상기 지중관(10)을 특정된 설치위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211)는 하나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지중관(10)의 하부에 다수로 이웃하여 설치된다. 예컨데 지중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연결체(211)는 봉타입, 혹은 패널타입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위치는, 늪지대, 진토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인 제1바닥면(1100)과, 상기 제1바닥면(1100)를 사이에두고, 둘레부에 위치되며, 돌바닥, 흙 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1바닥면보다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제2바닥면(1200)를 포함한다.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설치방법은 설치위치를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상기 설치위치에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은, 배전선로의 관로;
장방형 박스형태의 지중관(10);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선반(24)과, 상기 선반(24)에 안착 배치된 다수의 지중배전선(L); 및 상기 지중관을 특정된 설치위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위치는, 늪지대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인 제1바닥면(1100)과, 상기 제1바닥면(1100)를 사이에두고, 둘레부에 위치되며, 시멘트, 아스팔트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제2바닥면(12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모듈은, 상기 제2바닥면(1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바닥면(1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받침모듈(1220)을 포함하는 받침모듈과, 상기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받침모듈(1220) 상에 거치되어 설치되며, 상부로 상기 지중관(1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바닥면(1100)의 상부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거치패널(130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받침모듈(1210)은, 상기 제2바닥면(1200)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몸체(1211)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의 제1-1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이 안착되는 제1연장몸체(1212)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에서 상기 제1-1위치보다 높은 제1-2위치에 푸시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봉(1213)과, 상기 제1지지봉(12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봉(1213)의 푸시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연장몸체(1212)에 안착된 상기 거치패널(1300)의 일방을 누르는 제1푸시부(1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받침모듈(1220)은, 상기 제2바닥면(1200) 타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몸체(1221)와, 상기 제2고정몸체(1221)의 높이방향상의 제2-1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이 안착되는 제2연장몸체(1222)와 상기 제2고정몸체(1221)의 높이방향상에서 상기 제2-1위치보다 높은 제2-2위치에 푸시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봉(1223)과, 상기 제2지지봉(122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봉(1223)의 푸시 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연장몸체(1222)에 안착된 상기 거치패널(1300)의 타방을 누르는 제2푸시부(1224)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패널(1300)은 상기 제1푸시부(1214)와 상기 제2푸시부(1224)에 의하여 양측으로 1차지지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1받침모듈(1210)은, 상기 제1-2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인 제1-3위치상에 위치되며, 전후이동되는 제1이동바(1216)와, 상기 제1이동바(1216)가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면에 이르면, 상기 제1이동바(1216)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체(12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받침모듈(1220)은, 상기 제2-2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인 제2-3위치상에 위치되며, 전후이동되는 제2이동바(1226)와, 상기 제2이동바(1226)가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면에 이르면, 상기 제2이동바(1226)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제2삽입체(1227)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이동바(1216)는 상기 제1삽입체(1217)가 상기 거치패널(1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퇴이동되며, 상기 제2이동바(1226)는 상기 제2삽입체(1227)가 상기 거치패널(1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퇴이동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은 상기 제1이동바(1216)와 상기 제2이동바(1226)의 후퇴이동에 기반하여 양측으로 2차지지고정된다.상기 거치패널(1300)은,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연결체(1310)를 통해 하부로 이동되는 하강플랜지(1320)를 포함하되, 상기 하강플랜지(1320)가 상기 제1바닥면(1100)를 눌러 상기 제1바닥면(1100)에서 발생되는 지지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상기 지지력이 기설정값에 해당되면 상기 하강플랜지(1320)가 상기 제1바닥면(1100)를 눌러 지지하는 지지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측정된 상기 지지력이 기설정값에 미해당되면 상기 하강플랜지(1320)는 상기 거치패널(1300)측으로 다시 승강하여 복귀하 복귀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1211)는, 상기 하강플랜지(1320)가 지지동작 상태일 경우, 상기 하강플랜지(1320)와 대항방향상에 제1밀림방지체(1321)로 고정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고정몸체(1211)가 상기 제2바닥면(1200)에서 상기 제1바닥면(1100)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고정몸체(1221)는, 상기 하강플랜지(1320)가 지지동작 상태일 경우, 상기 하강플랜지(1320)와 대항방향상에 제2밀림방지체(1322)로 고정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고정몸체(1221)가 상기 제2바닥면(1200)에서 상기 제1바닥면(1100)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상부에는 제1상부구동체(1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구동체(1251)는 제1수평연결봉(1252)으로 상기 하측연결체(211)을 눌러 상기 하측연결체(211)이 회전된 상태를 1차 고정하며, 상기 제1수평연결봉(1252)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제1-1이동핀, 제1-2이동핀(1253,1254)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유동하며, 상기 하측연결체(211)을 눌러 장착됨으로써 2차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몸체(1221)의 상부에는 상하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상부구동체(126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상부구동체(1261)는 상호 상하 이격된 제2수평연결봉(1262)과 제3수평연결봉(1272)으로 상기 하측연결체(211)을 눌러 상기 하측연결체(211)이 회전된 상태를 1차 고정하며, 상기 제2수평연결봉(1262)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제2-1이동핀, 제2-2이동핀(1263,1264)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유동하며, 상기 하측연결체(211)에 장착되?瀏館? 2차 고정한다. 상기 제3수평연결봉(1272)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제3-1이동핀, 제3-2이동핀(1273,1274)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유동하며, 상기 하측연결체(211)에 장착되?瀏館? 2차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하측연결체(211)은, 중앙의 중심구동체(2111)와,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일측 중앙부 제1영역으로 돌출된 제1돌출구조부(T1)와, 상기 제1영역보다 높게,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제2영역으로 돌출된 제2돌출구조부(T2)와, 상기 제1영역보다 낮게,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제3영역으로 돌출된 제3돌출구조부(T3)와, 상기 제1돌출구조부(T1)의 상부에 상기 제1-1이동핀(1253)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일측 상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1돌출구조부(T1)측으로 하강 유동하여, 상기 제1돌출구조부(T1) 상부에 위치된 상기 제1-1이동핀(1253)을 눌러 고정하는, 제1-1압입체(2112)와, 상기 제1돌출구조부(T1)의 하부에 상기 제1-2이동핀(1254)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일측 하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1돌출구조부(T1)측으로 상승 유동하여, 상기 제1돌출구조부(T1)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1-2이동핀(1254)을 눌러 고정하는, 제1-2압입체(2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측연결체(211)은, 상기 제2돌출구조부(T2)의 상부에 상기 제2-1이동핀(1263)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상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2돌출구조부(T2)측으로 하강 유동하여, 상기 제2돌출구조부(T2) 상부에 위치된 상기 제2-1이동핀(1263)을 눌러 고정하는, 제2-1압입체(2115)와, 상기 제2돌출구조부(T2)의 하부에 상기 제2-2이동핀(1264)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하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2돌출구조부(T2)측으로 상승 유동하여, 상기 제1돌출구조부(T1)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1-2이동핀(1254)을 눌러 고정하는, 제1-2압입체(2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측연결체(211)은,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의 상부에 상기 제3-1이동핀(1273)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상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측으로 하강 유동하여, 상기 제3돌출구조부(T3) 상부에 위치된 상기 제3-1이동핀(1273)을 눌러 고정하는, 제3-1압입체(2116)와,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의 하부에 상기 제3-2이동핀(1274)이 위치되면, 상기 중심구동체(2111)의 타측 하부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측으로 상승 유동하여, 상기 제3돌출구조부(T3) 하부에 위치된 상기 제3-2이동핀(1274)을 눌러 고정하는, 제3-2압입체(2116)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돌출구조부(T1)와 상기 제1수평연결봉(1252)은 상호간에 대응하는 제1영구자력모듈(M1)이 내장되어, 상기 제1수평연결봉(1252)이 가압을 수행하는 경우 상호간에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며, 가압 해제를 위한 후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당김힘을 해제하거나, 밀어냄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며, 상기 제2돌출구조부(T2)와 상기 제2수평연결봉(1262)은 상호간에 대응하는 제2영구자력모듈(M2)이 내장되어, 상기 제2수평연결봉(1262)이 가압을 수행하는 경우 상호간에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며, 가압 해제를 위한 후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당김힘을 해제하거나, 밀어냄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와 상기 제3수평연결봉(1272)은 상호간에 대응하는 제3영구자력모듈(M3)이 내장되어, 상기 제2수평연결봉(1262)이 가압을 수행하는 경우 상호간에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며, 가압 해제를 위한 후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당김힘을 해제하거나, 밀어냄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돌출구조부(T3)와 상기 제3수평연결봉(1272)은 상호간에 대응하는 제3영구자력모듈(M3)이 내장되어, 상기 제2수평연결봉(1262)이 가압을 수행하는 경우 상호간에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며, 가압 해제를 위한 후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당김힘을 해제하거나, 밀어냄힘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중관 20: 베이스플레이트
100: 내기송풍박스 200: 외기송풍박스

Claims (2)

  1.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에 있어서,
    배전선로의 관로;
    장방형 박스형태의 지중관(10);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선반(24)과,
    상기 선반(24)에 안착 배치된 다수의 지중배전선(L); 및
    상기 지중관(10)의 하부로 설치되는 연결체(211)를 매개로 상기 지중관(10)을 특정된 설치위치상에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중관(10)의 내부 상측 양쪽에는 각각 내기송풍박스(100)와 외기송풍박스(200)가 구비되고, 상기 내기송풍박스(100)에는 내기흡입구(110)를 통해 내기를 흡입하는 내기송풍기(120)가 설치되되,
    상기 설치위치는,
    늪지대, 진토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인 제1바닥면(1100)과, 상기 제1바닥면(1100)를 사이에두고, 둘레부에 위치되며, 돌바닥, 흙을 포함하는 상기 제1바닥면(1100)보다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제2바닥면(12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모듈은,
    상기 제2바닥면(1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바닥면(1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받침모듈(1220)을 포함하는 받침모듈과,
    상기 제1받침모듈(1210)과 상기 제2받침모듈(1220) 상에 거치되어 설치되며, 상부로 상기 연결체(211)가 설치되어 상기 제1바닥면(1100)의 상부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거치패널(1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받침모듈(1210)은,
    상기 제2바닥면(1200)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몸체(1211)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의 제1-1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이 안착되는 제1연장몸체(1212)와 상기 제1고정몸체(1211)의 높이방향상에서 상기 제1-1위치보다 높은 제1-2위치에 푸시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봉(1213)과,
    상기 제1지지봉(121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봉(1213)의 푸시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연장몸체(1212)에 안착된 상기 거치패널(1300)의 일방을 누르는 제1푸시부(1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받침모듈(1220)은,
    상기 제2바닥면(1200) 타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몸체(1221)와,
    상기 제2고정몸체(1221)의 높이방향상의 제2-1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패널(1300)이 안착되는 제2연장몸체(1222)와,
    상기 제2고정몸체(1221)의 높이방향상에서 상기 제2-1위치보다 높은 제2-2위치에 푸시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봉(1223)과,
    상기 제2지지봉(122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봉(1223)의 푸시 구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연장몸체(1222)에 안착된 상기 거치패널(1300)의 타방을 누르는 제2푸시부(1224)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패널(1300)은 상기 제1푸시부(1214)와 상기 제2푸시부(1224)에 의하여 양측으로 1차지지고정되며,
    상기 제1받침모듈(1210)은,
    상기 제1-2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인 제1-3위치상에 위치되며 전후이동되는 제1이동바(1216)와,
    상기 제1이동바(1216)가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면에 이르면 상기 제1이동바(1216)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치패널(1300)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제1삽입체(1217)를 더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70667A 2021-06-01 2021-06-01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KR10233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67A KR102331399B1 (ko) 2021-06-01 2021-06-01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67A KR102331399B1 (ko) 2021-06-01 2021-06-01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399B1 true KR102331399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667A KR102331399B1 (ko) 2021-06-01 2021-06-01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368A (ja) * 2000-03-14 2001-09-21 Fujita Corp 基礎の補強工法及びその補強杭の固定具
KR101380412B1 (ko) * 2014-01-29 2014-04-02 (주)원엔지니어링 배전분야 고압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1955319B1 (ko) * 2018-05-29 2019-03-07 강토이앤씨(주)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 배수장치
KR102253616B1 (ko) 2021-02-03 2021-05-17 송영복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368A (ja) * 2000-03-14 2001-09-21 Fujita Corp 基礎の補強工法及びその補強杭の固定具
KR101380412B1 (ko) * 2014-01-29 2014-04-02 (주)원엔지니어링 배전분야 고압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1955319B1 (ko) * 2018-05-29 2019-03-07 강토이앤씨(주)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 배수장치
KR102253616B1 (ko) 2021-02-03 2021-05-17 송영복 관로식 지중배전선로의 선로 인입 및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31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 배수장치
KR101956207B1 (ko) 지중배전선로의 작업구간 환기시스템
JP4638407B2 (ja) 一体型よどみ点温度制御を有するソーラーコレクタ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8012913A (ja) エーロゲルと繊維バットの複合材料
KR10233139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지지 시스템
KR1023313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관로벽체 고정 시스템
CN112909797B (zh) 自移式防渗室外配电柜
CN108458505B (zh) 一种外窗保温隔热空气集热器
KR102012484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US20170284151A1 (en) Window frame ins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warm house
WO2014174961A1 (ja) 地中熱利用の空調設備を具えた建物
CN104179303A (zh) 冷却屋顶构造
JP5932692B2 (ja) 蓄熱装置
CN1095801A (zh) 无粘结叠层橡胶隔震器
CN212295142U (zh) 一种机房设备浮动地台
DE102006020231A1 (de) Thermo-Energie-Versorgungsanlage zur Temperierung von Heiz-, Kühl- und/oder Brauchwasser-Kreisläufen in Gebäuden
KR102175189B1 (ko) 건축물 바닥 잭업시스템
CN209880317U (zh) 变压器防雨罩
CN105780676A (zh) 一种高立式沙障
CN206865051U (zh) 一种高强度的防火桥架
CN1594836A (zh) 一种保持高原隧道热稳定的装置
KR102107743B1 (ko) 노출형 방수구조 시공방법
JP2008063910A (ja) 戸建免震建物の断熱工法、戸建免震建物の蓄熱工法及び戸建免震建物施工法
CN104002662A (zh) 进气道格栅以及进气道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