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426B1 - 슬리브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426B1
KR102252426B1 KR1020210002136A KR20210002136A KR102252426B1 KR 102252426 B1 KR102252426 B1 KR 102252426B1 KR 1020210002136 A KR1020210002136 A KR 1020210002136A KR 20210002136 A KR20210002136 A KR 20210002136A KR 102252426 B1 KR102252426 B1 KR 10225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upled
guide plate
guide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Original Assignee
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일 filed Critical 김종일
Priority to KR102021000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슬리브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는 상부다이(20)를 승강시키면, 하부다이(10)의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면에 한꺼번에 4개의 개구부(2)가 형성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구부(2)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슬리브가공장치{sleev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리브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슬리브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부속으로 사용되는 슬리브(1)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복수개의 개구부(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4개가 상기 슬리브(1)의 둘레면에 90도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슬리브(1)에 상기 개구부(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브(1)를 90도 씩 회전시키면서, 개구부(2)를 한 개씩 형성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개구부(2)를 잘못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5651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리브(1)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부(2)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슬리브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리브(1)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부(2)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다이(10)와, 상기 하부다이(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다이(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다이(10)는 상면 중앙부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2a)의 둘레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홈(12b)이 형성된 가이드판(12)과, 상기 오목부(12a)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외측에 상기 슬리브(1)가 결합되는 지지봉(14)과, 상기 가이드홈(12b)에 상기 오목부(12a)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펀칭부재(15)와, 상기 펀칭부재(15)에 연결되어 펀칭부재(15)가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재(15)에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캠면(15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다이(20)는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압부재(22)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22)는 상기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다이(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부재(22)가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을 가압하여 펀칭부재(15)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어, 상기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부에 동시에 복수개의 개구부(2)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b)과 연결되는 관통공(12d)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d)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펀칭부재(15)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외측단에는 헤드부(17a)가 형성된 연결나사(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6)는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과 헤드부(17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나사(1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판(21)의 하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압관(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관(23)은 상기 지지봉(14)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부다이(20)의 하강시 상기 가압관(23)이 지지봉(14)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12)의 하측에는 지지대(1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봉(11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12)은 상기 가이드봉(1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1a)에 구비되어 가이드판(12)이 상승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가이드봉(11a)의 둘레부에 구비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가이드판(12)을 상승시키는 실린더기구(42)와, 상기 승강판(21)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43)과,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고정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가이드판(12)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가이드판(12)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는 상부다이(20)를 승강시키면, 하부다이(10)의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면에 한꺼번에 4개의 개구부(2)가 형성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구부(2)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리브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하부다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가압부재를 도시한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슬리브(1)의 둘레면에 4개의 개구부(2)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리브(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2)는 슬리브(1)의 하측에 90도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가공장치는 하부다이(10)와, 상기 하부다이(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다이(2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다이(10)는 프레스장치의 지지대(1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다이(20)는 프레스장치의 승강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다이(10)는 상면 중앙부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2a)의 둘레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가이드홈(12b)이 형성된 가이드판(12)과, 상기 오목부(12a)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외측에 상기 슬리브(1)가 결합되는 지지봉(14)과, 상기 가이드홈(12b)에 상기 오목부(12a)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펀칭부재(15)와, 상기 펀칭부재(15)에 연결되어 펀칭부재(15)가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4개의 탄성부재(16)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2)은 금속재의 평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오목부(12a)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b)은 오목부(12a)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홈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2a)와 가이드홈(12b)은 연결홈(12c)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b)과 연결되는 관통공(12d)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펀칭부재(15)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판(13)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판(13)은 중앙부에 상기 오목부(12a)에 대응되는 관통공(13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외경이 상기 슬리브(1)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외측에 상기 슬리브(1)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4)의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펀칭부재(15)에 대응되는 4개의 펀칭공(14a)이 형성된다.
상기 펀칭부재(15)는 상기 가이드홈(12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15a)과, 상기 슬라이드블록(15a)의 내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홈(12c)을 통해 오목부(12a)의 내부로 연장된 펀치(15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펀칭부재(15)의 외측단, 즉, 상기 슬라이드블록(15a)의 외측단에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캠면(15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록(15a)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공(12d)을 관통하는 연결나사(17)의 내측단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나사(17)는 외측단에 헤드부(17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6)는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과 헤드부(17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나사(1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나사(17)를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펀칭부재(15)가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다이(20)는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압부재(22)와, 상기 승강판(21)의 하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압관(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21)은 상면 중앙부에 승강가이드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공(21a)은 상기 지지봉(14)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22)는 상기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하단부에는 상기 캠면(15c)에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다이(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부재(22)가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을 가압하여 펀칭부재(15)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2)의 하단 중간부에는 오목홈(22b)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2)가 하강되어 상기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을 가압할 때, 상기 연결나사(17)가 상기 오목홈(22b)으로 삽입되어, 가압부재(22)와 연결나사(17)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압관(23)은 상단이 상기 승강가이드공(2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14)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경이 상기 지지봉(14)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다이(20)의 하강시 하단이 지지봉(14)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상부다이(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지지봉(14)의 외측에 슬리브(1)를 결합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부다이(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관(23)의 하단이 상기 지지봉(14)의 외측에 끼워진후,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하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슬리브(1)의 하단이 상기 오목부(12a)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다이(20)가 더욱 하강되면, 상기 탄성부재(24)가 압축되면서, 가압관(23)은 하강되지 않고, 상기 가압부재(22)가 하강되면서 가압부재(22)의 경사면(22a)이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을 가압하여, 4개의 펀칭부재(15)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펀칭부재(15)의 펀치(15b)가 상기 지지봉(14)의 펀칭공(14a)에 맞물려,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면에 4개의 개구부(2)를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다이(20)가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16)의 탄성에 의해 펀칭부재(15)는 초기위치로 후퇴되며, 작업자가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빼낸 후, 지지봉(14)에 새로운 슬리브(1)를 결합하고, 전술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슬리브(1)에 개구부(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가공장치는 상부다이(20)를 승강시키면, 하부다이(10)의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면에 한꺼번에 4개의 개구부(2)가 형성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구부(2)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봉(11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12)은 상기 가이드봉(1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판(12)의 하측면에는 결합공(12e)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11a)은 상기 결합공(12e)에 삽입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1a)에 구비되어 가이드판(12)이 상승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가이드봉(11a)의 둘레부에 구비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가이드판(12)을 상승시키는 실린더기구(42)와, 상기 승강판(21)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43)과,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정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4)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2e)의 내부에는 오목홈(12f)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가이드봉(11a)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며 돌출되면 상기 오목홈(12f)에 결합되는 고정키(31)와, 상기 고정키(31)에 연결되어 고정키(31)가 출몰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32)를 이용한다.
상기 액츄에이터(32)는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키(3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12f)에 결합되도록 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고정키(31)가 가이드봉(11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완충스프링(41)은 상기 가이드봉(11a)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실린더기구(42)는 피스톤로드(42a)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다이(10)가 하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실린더기구(42)를 제어하여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하부다이(10)를 원래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은 상기 승강판(21)에 형성된 승강가이드공(21a)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43a)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43a)이 가압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지지봉(14)에 슬리브(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다이(20)가 하강될 때, 상기 제어수단(44)은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감지한다.
즉, 상기 슬리브(1)는 다양한 길이로 제조되며,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슬리브(1)에 길이가 긴 다른 종류의 슬리브(1)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해진 길이보다 긴 슬리브(1)를 상기 지지봉(14)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다이(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관(23)이 충분히 상승되지 못하고, 상기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과도하게 가압하여, 슬리브(1)가 변형되어 지지봉(14)에 끼워지거나, 지지봉(14) 또는 가압관(23)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관(23)은 정해진 높이보다 높게 상승되어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푸쉬버튼(43a)을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제어수단(44)은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압관(23)이 정해진 높이보다 높게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을 작동시켜 가이드판(12)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12)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가이드판(12)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완충스프링(41)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12)이 하강되면, 상기 지지봉(14)에 고정된 슬리브(1)가 하강되어 가압관(2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됨으로, 상기 가압관(23)에 의해 슬리브(1)가 과도하게 가압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1)가 변형되어 지지봉(14)에 끼워지거나 지지봉(14) 또는 가압관(2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제거한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실린더기구(42)를 제어하여 신장시키면 실린더기구(42)가 하부다이(10)를 초기위치로 상승시키며, 상승된 하부다이(10)는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반복적으로 슬리브(1)를 가공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가공장치는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길이가 긴 슬리브(1)가 지지봉(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다이(20)가 하강되면, 제어수단(44)이 이를 감지하여 하부다이(10)를 하강시킴으로써, 슬리브(1)가 지지봉(14)에 고정되거나, 지지봉(14) 또는 가압관(2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하부다이 20. 상부다이

Claims (4)

  1. 슬리브(1)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개구부(2)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다이(10)와,
    상기 하부다이(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다이(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다이(10)는 상면 중앙부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2a)의 둘레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이드홈(12b)이 형성된 가이드판(12)과,
    상기 오목부(12a)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외측에 상기 슬리브(1)가 결합되는 지지봉(14)과,
    상기 가이드홈(12b)에 상기 오목부(12a)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펀칭부재(15)와,
    상기 펀칭부재(15)에 연결되어 펀칭부재(15)가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재(15)에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캠면(15c)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다이(20)는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21)과,
    상기 승강판(21)의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가압부재(22)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22)는 상기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다이(20)를 하강시키면, 상기 가압부재(22)가 펀칭부재(15)의 캠면(15c)을 가압하여 펀칭부재(15)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어, 상기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의 둘레부에 동시에 복수개의 개구부(2)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판(21)의 하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24)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압관(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관(23)은 상기 지지봉(14)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부다이(20)의 하강시 상기 가압관(23)이 지지봉(14)의 외측에 결합되어 지지봉(14)에 결합된 슬리브(1)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이드판(12)의 하측에는 지지대(1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봉(11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12)은 상기 가이드봉(1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11a)에 구비되어 가이드판(12)이 상승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0)과,
    상기 가이드봉(11a)의 둘레부에 구비된 완충스프링(41)과,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가이드판(12)을 상승시키는 실린더기구(42)와,
    상기 승강판(21)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상승감지수단(43)과,
    상기 상승감지수단(43)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압관(23)이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고정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가이드판(12)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가이드판(12)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b)과 연결되는 관통공(12d)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d)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단은 상기 펀칭부재(15)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외측단에는 헤드부(17a)가 형성된 연결나사(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6)는 상기 가이드판(12)의 둘레면과 헤드부(17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나사(1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가공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2136A 2021-01-07 2021-01-07 슬리브가공장치 KR10225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6A KR102252426B1 (ko) 2021-01-07 2021-01-07 슬리브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6A KR102252426B1 (ko) 2021-01-07 2021-01-07 슬리브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426B1 true KR102252426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36A KR102252426B1 (ko) 2021-01-07 2021-01-07 슬리브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6733A (zh) * 2021-09-18 2022-01-28 嘉兴晨飞科技有限公司 一种汽配套筒的冲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93B1 (ko) * 2004-03-12 2006-03-23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피어싱 금형 장치
KR101565144B1 (ko) 2014-07-11 2015-11-02 (유)성문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93B1 (ko) * 2004-03-12 2006-03-23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피어싱 금형 장치
KR101565144B1 (ko) 2014-07-11 2015-11-02 (유)성문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6733A (zh) * 2021-09-18 2022-01-28 嘉兴晨飞科技有限公司 一种汽配套筒的冲压装置
CN113976733B (zh) * 2021-09-18 2024-03-26 嘉兴晨飞科技有限公司 一种汽配套筒的冲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426B1 (ko) 슬리브가공장치
KR101311314B1 (ko) 금속파이프용 구멍 타공장치
JPH11129136A (ja) クランプ装置
KR102120782B1 (ko) 리프트 기능 부여 클램프 장치
KR20050035273A (ko) 타이어 경화 프레스 잠금 장치 및 방법
JP6417127B2 (ja) クランプ装置
KR100667421B1 (ko) 피스톤의 피스톤링 조립장치
JP4294789B2 (ja) ピストンピンクリップ嵌入装置
JP2002154024A (ja) クランプ装置
JP2009505841A (ja) 断熱エネルギの変換を利用した穿孔機のための機械式装置
KR200496444Y1 (ko) 워크 서포트
KR101261311B1 (ko) 파형강판 펀칭장치
CN113635563B (zh) 压装装置
KR101810449B1 (ko) 회전식 타공장치
JP3131880B2 (ja) 二重筒体の製造方法
KR102099898B1 (ko) 블라인드볼트 자동 조립 및 코킹 장치
US4921412A (en) Tire curing press
JPH09276953A (ja) プレス加工装置
JP2020105888A (ja) 杭圧入機
KR102435694B1 (ko) 프레스장치용 슬라이드바
JP2000051978A (ja) プレス金型用フランジリフター
JPS62263899A (ja) 粉末成形プレス用ダイセツト
KR102440810B1 (ko) 공기압축기용 회전자 조립장치
JP2650365B2 (ja) クッションピン選択装置
JP2947997B2 (ja) 嵌合部品の組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