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67B1 -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 Google Patents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67B1
KR102252367B1 KR1020187012403A KR20187012403A KR102252367B1 KR 102252367 B1 KR102252367 B1 KR 102252367B1 KR 1020187012403 A KR1020187012403 A KR 1020187012403A KR 20187012403 A KR20187012403 A KR 20187012403A KR 102252367 B1 KR102252367 B1 KR 10225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layed
changing
theme
audi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227A (ko
Inventor
칼-마이클 허로프슨
Original Assignee
무더라이저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더라이저 에이비 filed Critical 무더라이저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06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8Cross-fade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25Medley, i.e. linking parts of different musical pieces in one single piece, e.g. sound collage, DJ mix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3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for abstract geometric visualisation of music, e.g. for interactive editing of musical parameters linked to abstract geometric fig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5Mood, i.e. generation, detection or selection of a particular emotional content or atmosphere in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025Envelope processing of music signals in, e.g. time domain, transform domain or cepstrum domain
    • G10H2250/035Crossfade, i.e. time domain amplitude envelope control of the transition between musical sounds or melodies, obtained for musical purposes, e.g. for ADSR tone generation, articulations, medley, rem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과 관련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강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동적 변경을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이용가능한 복수의 오디오 변경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 관련 오디오, 및 음악 변경 툴들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은 사용자가 악기들, 음성, 산업용 사운드들 또는 자연스러운 사운드들 등과 같은 사운드들을 포함하는, 여러 오디오 데이터 파일들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변경 툴들의 최신 기술에서, 사용자가 각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하나의 볼륨 페이더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들로부터 출력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이 제공되는 경우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오디오 변경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상의 오디오 컨텐츠의 개선된 동적 변경은 복수의 볼륨 페이더들, 사용자에 의한 복수의 동작들, 및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고급 스킬 레벨을 필요로 한다. 요구되는 기술에 추가로, 기존의 오디오 변경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방식으로 오디오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종종 시간 소모적이다. 따라서, 보다 사용하기 쉽고, 가능하게는 더 적은 페이더들, 더 적은 동작들, 더 적은 시간을 갖는 오디오 컨텐츠의 고급 동적 변경을 만들며, 더 낮은 스킬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에 적합한, 오디오 변경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과 관련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강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오디오 컨텐츠의 변경이 단순화된다는 것이다.
일례에 따르면,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테마 변형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며, 오디오 파일 각각은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강도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특징과 관련된 장점은, 재생되고 있는 2개의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의 변화가 더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추가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이 동시에 재생되고 있고,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하나의 진폭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의 다른 것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기능과 관련된 장점은 오디오 파일들 사이의 원활한 변환이 얻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오디오 경험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추가예에 따르면,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양의 오디오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며, 오디오 파일 각각은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여, 변형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다. 장점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2개의 상이한 테마 변형들 사이에 변경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동적 변경을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에 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를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강도 파라미터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장점은 기존 오디오 변경 툴들의 숙련된 사용자와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오디오 컨텐츠의 변경이 단순화되고 사용자의 숙련도와 사전 경험이 덜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에 오디오를 추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바와 같은 음악 파일의 진폭 변화의 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에 대한 복수의 음악 파일들 및 오디오 정보의 테마 변형들을 위한 복수의 음악 파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작성자 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10)은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을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에 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오디오 정보의 양은 오디오 데이터 파형의 복잡도의 양에 대응한다. 컴퓨터 프로그램(10)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20)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30)를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10)은 상기 강도 파라미터(20)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30)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강도 파라미터(20) 및 변형 파라미터(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오디오 정보의 동적 변경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10)은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파일들은 컴퓨터 프로그램(10)에 입력되기 전에 기록되어왔을 수 있다. 양호한 결과를 얻기 위해,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오디오 파일들은 분당 동일한 비트들 및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파일은 임의의 복수의 사운드들 또는 악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의 개선된 결과를 얻기 위해, 음악 파일들이 주의 깊게 기록되어야 해서, 복수의 음악 파일들은 재생되고 있는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가짐으로써 서로 단지 상이하고, 복수의 음악 파일들은 재생되고 있는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테마 변형들을 가짐으로써 단지 서로 다를 수 있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를 사용할 때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모든 오디오 파일들은 동시에 시작된다. 강도 파라미터(20) 및 변형 파라미터(30)는, 어느 오디오 파일들이 사용자에게 재생되고 있는지를 지정하고 있다. 강도 파라미터(20)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오디오 정보가 재생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변형 파라미터(30)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오디오 정보의 어떤 변형이 재생될 것인지를 제어한다.
도 2는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에 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 단계 S1에서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20)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30)를 수신하는 단계; 단계 S2에서, 상기 강도 파라미터(20)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30)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르면,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테마 변형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파일은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강도 파라미터(20)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다.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음들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복잡성, 음향 구조 또는 고조파 컨텐츠를 변경하는 단계;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동시에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악기들을 변경하는 단계; 및/또는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하지 않고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진폭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테마 변형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며, 변형 파라미터(30)를 변경함으로써 테마 변경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양의 오디오 정보에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파일 각각은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여, 변형 파라미터(30)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다.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악기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단계; 및/또는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복잡성, 음향 구조 또는 고조파 컨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바와 같은 음악 파일의 진폭 변화의 뷰의 예를 도시한다. 상측은 진폭을 나타내고, 우측은 강도 파라미터(20)를 나타낸다. 음악 파일은 이 예에서 3개의 영역들(X, Y 및 Z)로 도시된다. X의 영역에 있을 때, 강도 파라미터(20)의 증가를 나타내는 우측으로의 변화는, 음악 파일의 더 큰 진폭 증가를 야기한다. Y의 영역에 있을 때, 강도 파라미터(20)의 증가를 나타내는 우측으로의 변화는 음악 파일의 더 작은 진폭 증가를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Z의 영역에 있을 때, 우측으로의 변화는 음악 파일의 진폭 감소를 야기한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는 변형 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할 때 진폭 변화를 변경하기 위해 영역들 X, Y, Z의 슬로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에 대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테마 변형들을 위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10)의 작성자 뷰(40)의 예를 도시한다. 변형 A, 변형 B, 및 변형 C 각각에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이 있다. 동일한 변형 내의 오디오 파일들은,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가 재생됨으로써 단지 서로 다르다. 이들 오디오 파일들은 강도 레벨로 라벨링될 수 있으며, 더 높은 강도 레벨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더 많은 양을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 각각의 변형 내에 6개의 강도 레벨들, 레벨 1-6이 있다. 재생되는 오디오 정보의 양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각 하나는 강도 파라미터(2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동일한 강도 레벨 내의 오디오 파일들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상이한 테마 변형들을 가짐으로써 단지 서로 상이하다.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테마 변형과 관련된, 재생되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각 하나는 변형 파라미터(3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단 하나의 음악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파라미터(20)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음악 파일의 진폭만이 변경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2개의 음악 파일들이 동시에 재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변형(A) 내의 강도 레벨 1과 강도 레벨 2 사이의 전송 영역 또는 변형(C) 내의 강도 레벨 4과 강도 레벨 5 사이의 전송 영역과 같은, 전송 영역을 형성하는 2개의 음악 파일들의 교차 각각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파라미터(20)를 변경할 때, 음악 파일들 중 하나의 진폭이 증가하고, 음악 파일들의 다른 것의 진폭은 감소한다. 따라서, 일 변형 내의 음악 파일들 사이에 크로스페이드라 하는 원활한 변환이 달성될 수 있다.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변형 내의 전송 영역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할 때 2개의 음악 파일들 각각의 진폭 변화를 변경하기 위해 2개의 음악 파일들 사이에 전송 영역의 교차 슬로프들 각각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2개의 음악 파일들이 동시에 재생되고, 음악 파일들 중 하나의 진폭이 증가하며, 음악 파일들 중 다른 것의 진폭이 감소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파라미터(30)를 변경할 때, 2개의 음악 파일들의 교차 각각은 전송 영역, 예를 들어, 강도 1 내에 변형(A) 및 변형(B) 사이의 전송 영역 또는 강도 5 내에 변형(B)와 변형(C) 사이의 전송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1의 강도 래벨 내에 음악 파일들 사이에 크로스페이드라 하는 원활한 변환이 달성될 수 있다.
오디오 파일들은 최저 강도 레벨이 매우 적은 음악 정보만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구성 및 작성된다. 예를 들어, 솔로 바이올린 또는 어떤 높은 피치의 피아노 음들이다. 다음 강도 레벨의 오디오 파일(들)은 제1 레벨에 있지만 추가된 오디오 자료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된 오디오 자료는 예를 들어 바이올린 또는 피아노 코드에 대한 몇개의 음들일 수 있다. 모든 추가의 강도 레벨의 오디오 파일(들)은 더 추가된 오디오 자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10)은 강도 오디오 파일들 사이를 크로스페이드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끊김 없는 변환을 생성할 수 있다.
변형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함께 재생할 수 있는 음악 버전들이다. 크로스페이드들은 또한 변형들 A, B 및 C 사이에 만들어진다. 그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2차원 방향으로 테마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패드가 형성되어, 강도들과 변형들 사이의 크로스페이드들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야기한다. 추가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이 동시에 재생되고 있고, 재생되고 있는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것은 하나의 변형과 관련된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하나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다른 변형과 관련된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다른 것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장점은, 오디오 파일들 사이의 원활한 변환이 얻어질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오디오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는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예를 따르고, 강도는 6개의 상이한 강도 레벨들의 오디오 파일들에 의해 실행된다:
강도 1: 지나치게 많은 리듬 또는 베이스가 없는 주변 느낌. 오디오 정보는 최소로 유지된다.
강도 2: 코드들 및 멜로디들의 요소들이 추가된다. 리듬들 및 드럼들이 회피된다.
강도 3: 음악적 의도는 이미 상당히 명백야 한다. 리듬 요소들이 도입된다.
강도 4: 음악의 "중간" 버전. 이 시점에서 베이스가 존재해야 한다.
강도 5: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마지막 레벨이 여전히 억제된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전체 표현.
강도 6: 변형의 최대 클라이맥스
오디오 컨텐츠 테마에는 일반적으로 2개의 타입의 음악 요소들이 있다. 일부 음악 요소들은 A, B 및 C 사이의 변형을 생성해야 한다. 다른 음악 요소들은 전체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글루(glue)로 작동해야 한다. 변형들 A, B 및 C는 3개의 상이한 리듬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변형들 A, B 및 C는 모든 변형들에서 동일한 패드를 가질 수 있고, 오디오 컨텐츠 테마를 통합되게 한다.
변형들은 여러 상이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하는 변형들의 예이다:
변형 A: 피아노만
변형 B: 피아노 및 현악기들
변형 C: 피아노, 현악기들 및 타악기
피아노의 톤들은 변형 A, B 및 C에서 동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악기들의 톤들은 변형 B 및 C에서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20)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30)를 변경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1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의 예를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10)은 강도 파라미터(20) 및 변형 파라미터(30)의 가시화를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1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강도 및 변형 파라미터들(20, 30)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 상에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입력 표시기(55)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가능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 따르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는 2차원 좌표계를 포함하고, 하나의 차원은 강도 파라미터(20)를 나타내며, 다른 차원은 변형 파라미터(30)를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입력 표시기(55)는 임의의 2차원 방향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 상에 이동가능한 그래픽 좌표 표시기에 의해 구성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는 도 4의 작업자 뷰(40)의 음악 파일들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에서, 2개의 음악 파일들 사이의 전송 영역의 교차 슬로프들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2개의 강도 파라미터(20)와 2개의 변형 파라미터(30)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최대 4개의 음악 파일들은 동시에 0보다 큰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A), 강도 1(A1)에서 시작되면, 이후 음악 파일(A1)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의 위치가 변형(A), 강도 2(A2)를 향해 위로 이동되면, 이후 음악 파일(A1)의 진폭이 감소되는 한편, 음악 파일(A2)의 진폭이 증가된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A2로 이동되어 왔을 때, 이후 음악 파일(A2)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의 위치가 변형(A), 강도 3(A3)를 향해 이동되면, 이후 음악 파일(A2)의 진폭은 감소되는 한편, 음악 파일(A3)의 진폭은 증가된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A3으로 이동되어 왔을 때, 이후 음악 파일(A3)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변형(A), 강도 6을 향해 이동되면, 음악 파일들의 감소 및 증가에 관한 동일한 절차가 각각의 강도 레벨에서 각각의 음악 파일에 대해 각각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더 낮은 강도로 이동되면, 이후 음악 파일들의 진폭은 더 낮은 강도를 향해 크로스페이드된다. 그래픽 좌표 표시자가 변형(B), 강도 5(B5)에 위치되면, 이후 음악 파일(B5)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의 위치가 변형(B), 강도 4(B4)를 향해 아래로 이동되면, 이후 음악 파일(B5)의 진폭은 감소되는 한편, 음악 파일(B4)의 진폭이 증가된다. 그래픽 좌표 지시기가 B4로 이동되어왔을 때, 이후 음악 파일(B4)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가 상이한 변형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그래픽 입력 표시기(55)가 변형(B), 강도 4(B4)에 위치되면, 이후 음악 파일(B4)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그래픽 좌표 표시기의 위치가 변형(C), 강도 4(C4)를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되면, 음악 파일(B4)의 진폭은 감소되는 한편, 음악 파일(C4)의 진폭은 증가된다. 그래픽 좌표 지시기가 C4로 이동되어 왔을 때, 음악 파일(C4)만이 0보다 큰 진폭을 갖는다.
일례에 따르면, 컴퓨터 디바이스는 플랫폼 독립적이며, 컴퓨터,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임의의 컴퓨터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일례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10)은 동영상에 오디오를 추가하는데 사용된다.
일례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10)은, 휴대폰 디바이스로부터 자이로스코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강도 파라미터(20)와 변형 파라미터(30)를 변경하기 위해 그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과 같은 실생활 자극에 반응하는 센서들로부터, 강도 파라미터(20) 및 변형 파라미터(30)의 변경에 의해 실생활 이벤트들에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추가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15)

  1.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동적 변경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에 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20)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30)를 수신하는 단계(S1); 및
    - 상기 강도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단계(S2)를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테마 변형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고, 오디오 파일들 각각은 오디오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강도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양의 오디오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더 포함하며, 오디오 파일 각각은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여, 변형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고,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동시에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악기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생되고 있는 상기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악기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로부터의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은 분당 동일한 비트들 및 지속 시간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한번에 재생되고 있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재생되고 있는 상기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단계는:
    -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시킴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음들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
    -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하지 않고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진폭을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이 동시에 재생되고,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단계는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하나의 진폭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 중 다른 하나의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오디오 컨텐츠 테마의 동적 변경을 위한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10)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에 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강도 파라미터(20) 및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나타내는 변형 파라미터(30)를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강도 파라미터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 및 상기 변형 파라미터의 변경에 기초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테마 변형과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포함하며, 오디오 파일들 각각은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강도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상이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컨텐츠 테마는, 동일한 양의 오디오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더 포함하며, 오디오 파일 각각은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여, 변형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이 상이한 테마 변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양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동시에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악기들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테마 변형을 변경하는 것은 재생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 중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악기들의 조합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강도 파라미터 및 변형 파라미터의 가시화를 위해 컴퓨터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강도 및 변형 파라미터들은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입력 표시기(55)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가능한, 저장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2차원 좌표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차원은 강도 파라미터를 나타내며, 다른 차원은 변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입력 표시기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이동가능한 그래픽 좌표 표시기에 의해 구성되는, 저장 매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0)은 플랫폼 독립적이고 컴퓨터,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임의의 컴퓨터 디바이스 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저장 매체.
  9. 삭제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0)은 동영상에 오디오를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매체.
  11.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10)은 실생활 자극에 반응하는 센서들로부터 강도 파라미터 및 변형 파라미터의 변경에 의해 실생활 이벤트들에 실시간으로 오디오를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매체.
  12.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10)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실생활 자극에 반응하는 실생활 이벤트에 센서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들로부터의 강도 파라미터 및 변형 파라미터의 변경에 의해 실생활 이벤트에 실시간으로 오디오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7012403A 2015-10-01 2016-09-30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KR102252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73,118 US9977645B2 (en) 2015-10-01 2015-10-01 Dynamic modification of audio content
US14/873,118 2015-10-01
PCT/SE2016/050931 WO2017058094A1 (en) 2015-10-01 2016-09-30 Dynamic modification of audio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227A KR20180063227A (ko) 2018-06-11
KR102252367B1 true KR102252367B1 (ko) 2021-05-13

Family

ID=5842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403A KR102252367B1 (ko) 2015-10-01 2016-09-30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977645B2 (ko)
EP (1) EP3357062B1 (ko)
JP (1) JP7003040B2 (ko)
KR (1) KR102252367B1 (ko)
CN (1) CN108140402B (ko)
HK (1) HK1252451A1 (ko)
RU (1) RU2729165C1 (ko)
WO (1) WO2017058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7155B1 (en) 2019-08-14 2020-06-16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audio replay on a plurality of consumer devices
CN108846106A (zh) * 2018-06-21 2018-11-20 深圳大普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判断多个音频中是否存在相同音频的方法和装置
US11330377B2 (en) * 2019-08-14 2022-05-10 Mimi Hearing Technologies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fitting a sound processing algorithm in a 2D space using interlinked parameters
CN115066681A (zh) * 2020-02-11 2022-09-16 艾米有限公司 音乐内容生成
JP7419903B2 (ja) * 2020-03-18 2024-01-23 ヤマハ株式会社 パラメータ制御装置、パラメ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571030B (zh) * 2021-07-21 2023-10-20 浙江大学 一种基于听感和谐度评估的midi音乐修正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5064A1 (en) * 2002-05-03 2004-01-08 Griesinger David H. Sound event detection and localization system
JP2009529717A (ja) * 2006-03-10 2009-08-20 ソニー株式会社 自動的に楽曲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060668A1 (en) * 2010-09-13 2012-03-15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usic sequence programm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240A (en) 1981-09-29 1984-10-23 Mckinley Jr Robert H Audio mixing console with control element position storage
JP3271282B2 (ja) * 1991-12-30 2002-04-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メロディ生成装置
JPH08314484A (ja) * 1995-05-15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演奏装置
US5663517A (en) 1995-09-01 1997-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system for compositional morphing of music in real-time
IT1309715B1 (it) * 1999-02-23 2002-01-30 Roland Europ Sp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la creazione di accompagnamenti musicalimediante metamorfosi di stili
GB2378626B (en) * 2001-04-28 2003-11-19 Hewlett Packard Co Automated compilation of music
US7292902B2 (en) * 2003-11-12 2007-11-0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Frame-based audio transmission/storage with overlap to facilitate smooth crossfading
EP1666967B1 (en) * 2004-12-03 2013-05-08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 emotional controlled soundtrack
US8041057B2 (en) * 2006-06-07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Mixing techniques for mixing audio
US20080086687A1 (en) 2006-10-06 2008-04-10 Ryutaro Saka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udio-Visual Browsing
JP5181473B2 (ja) * 2006-12-27 2013-04-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ES2539813T3 (es) * 2007-02-01 2015-07-06 Museami, Inc. Transcripción de música
US8280539B2 (en) * 2007-04-06 2012-10-02 The Echo Ne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gueing between audio tracks
US8219223B1 (en) * 2007-05-31 2012-07-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Editing audio assets
US7525037B2 (en) * 2007-06-25 2009-04-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eat mixing a plurality of songs using an electronic equipment
US20090024234A1 (en) * 2007-07-19 2009-01-22 Archibald Fitzgerald J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two independent audio streams
JP5051539B2 (ja) * 2008-02-05 2012-10-1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モーフィング楽曲生成装置及びモーフィング楽曲生成用プログラム
US8583817B2 (en) * 2011-01-06 2013-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nimizing bandwidth usage in multimedia streaming
EP2485213A1 (en) * 2011-02-03 2012-08-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emantic audio track mixer
WO2014028891A1 (en) * 2012-08-17 2014-02-20 Be Labs, Llc Music generator
US9595932B2 (en) * 2013-03-05 2017-03-14 Nike, Inc. Adaptive music playback system
US9332370B2 (en) * 2013-03-14 2016-05-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patial audio rendering for a parallel playback of call audio and multimedia content
US9263018B2 (en) * 2013-07-13 2016-02-1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musical data
US8767996B1 (en) * 2014-01-06 2014-07-01 Alpine Electronics of Silicon Valle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eproducing audio signals with a haptic apparatus on acoustic headphones
EP2925008A1 (en) 2014-03-28 2015-09-30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multi-track playback of media content
CN103929140A (zh) * 2014-04-30 2014-07-16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预处理方法和装置
SE1451583A1 (en) * 2014-12-18 2016-06-19 100 Milligrams Holding Ab Computer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ix of music tracks
GB2581032B (en) * 2015-06-22 2020-11-04 Time Machine Capital Ltd System and method for onset detection in a digital sig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5064A1 (en) * 2002-05-03 2004-01-08 Griesinger David H. Sound event detection and localization system
JP2009529717A (ja) * 2006-03-10 2009-08-20 ソニー株式会社 自動的に楽曲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060668A1 (en) * 2010-09-13 2012-03-15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usic sequence program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0402A (zh) 2018-06-08
US9977645B2 (en) 2018-05-22
HK1252451A1 (zh) 2019-05-24
EP3357062B1 (en) 2024-05-01
EP3357062A1 (en) 2018-08-08
RU2729165C1 (ru) 2020-08-04
US20180246699A1 (en) 2018-08-30
US20170097803A1 (en) 2017-04-06
JP2018534631A (ja) 2018-11-22
KR20180063227A (ko) 2018-06-11
JP7003040B2 (ja) 2022-01-20
CN108140402B (zh) 2021-05-04
US10255037B2 (en) 2019-04-09
EP3357062A4 (en) 2019-06-19
WO2017058094A1 (en)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367B1 (ko) 오디오 컨텐츠의 동적 변경
US7973232B2 (en) Simulating several instruments using a single virtual instrument
JP2020003537A (ja) オーディオ抽出装置、学習装置、カラオケ装置、オーディオ抽出方法、学習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21476B2 (ja) 電子楽器
US10373595B2 (en) Musical sound generation device
JP2019159145A (ja) 情報処理方法、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0497347B2 (en) Singing voice edit assistant method and singing voice edit assistant device
JP3838353B2 (ja) 楽音生成装置および楽音生成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56914A (ja) 自動伴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97805B2 (ja) 楽音制御装置
JP2020021098A (ja)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501417B2 (ja) 楽譜表示装置および楽譜表示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3195699A (ja) 歌唱合成装置および歌唱合成プログラム
JP2018004744A (ja) 音色設定装置、電子楽器システムおよび音色設定方法
JP5510207B2 (ja) 楽音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80720B2 (ja) 曲編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25200A (ja) 曲編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925359B2 (ja) 演奏効果制御装置および演奏効果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665664B2 (ja) シーケンス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シーケンス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JP2014071215A (ja) 演奏装置、演奏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064821A (ja) 楽音発生装置
JP2014059435A (ja) 楽音再生装置、楽音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7459A (ja) 楽音波形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5125391A (ja) 電子楽器、プログラム及び発音音高選択方法
JP2009216773A (ja) 自動演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