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28B1 -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28B1
KR102252328B1 KR1020170060850A KR20170060850A KR102252328B1 KR 102252328 B1 KR102252328 B1 KR 102252328B1 KR 1020170060850 A KR1020170060850 A KR 1020170060850A KR 20170060850 A KR20170060850 A KR 20170060850A KR 102252328 B1 KR102252328 B1 KR 10225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clock signals
information processing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881A (ko
Inventor
이정호
유승호
안지헌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어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to PCT/KR2017/0054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86525A1/ko
Priority to TW106117897A priority patent/TWI730107B/zh
Publication of KR2018011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8Muting in response to a mechanical action or to power supply variations, e.g. during tuning; Click removal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1Muting when no signals or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85Low 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4Muting amplifier when no signal is present or when only weak signals are present, or caused by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e.g. squelch systems
    • H03G3/344Muting responsive to the amount of noise (noise squel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신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상기 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Modularized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Clock Synchroniz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신호 변환을 위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 신호의 변환을 위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신호 재생 장치는 동작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또는 좌, 우 채널을 구분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클록 신호를 사용한다. 클록 신호는 논리 상태 1(High) 또는 0(Low) 상태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방형파 형태의 신호로써, 신호의 세기, 신호의 주기 및 신호의 상승, 하강 엣지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Duty Ratio)로써 표현할 수 있다. 클록 신호에 맞추어 신호의 처리를 위한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동기화 과정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내부의 각 장치들간에 동일한 주기를 갖게 되고, 상기 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의 전송, 변환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기준 시간에 일치 시킨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는 I2S(INTER-IC SOUND), S/PDO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및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EUROPEAN BROADCASTING UNION)등이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식 중 하나로써 I2S(INTER-IC SOUND)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및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등의 IC(Integrated Circuit)들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I2S(INTER-IC SOUND) INTERFACE는 3개의 신호라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한다.
종래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별도 클록 발생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프로세서 내부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발생된 클록 신호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프로세서 내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이용하는 경우,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따라 클록 신호들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고, 지터(JITTER)가 발생하여, 고품질의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해당기술분야에 있어서,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클록 신호들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클록 신호들에 문제가 발생 하는 경우 대체 가능한 클록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클록 신호 공급 장치에 대한 솔루션 역시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0883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보 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신호의 변환을 위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별도의 클록 발생부를 포함 하여,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터가 낮은 클록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신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상기 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클록 발생부는,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 1모드 선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클록 생성부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 신호 및 상기 클록 생성부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클록 신호들 및 상기 클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클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보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는 프로세서부; 및 외부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자체적으로 상기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멀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주파수 정보 결정부; 및 상기 클록 발생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클록 발생부를 초기화 하고, 상기 초기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클록 생성부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 신호 및 상기 클록 생성부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록 신호들은, 기 설정된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제어 신호 및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연결부를 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수신된 클록 신호들 또는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멀티 미디어 신호의 포맷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의 제 1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제 1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정보,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제 1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 2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제 2클록 신호들에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정보,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상기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프로세서 코어의 사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된 클록 신호들을 이용한 신호 변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고품질의 변환된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내부의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 내부의 대체적인 클록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신호 변환 과정에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를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실시예에서 클록 발생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4은 도 1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컨버터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변환하는 단계의 확대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 내부신호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용어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단계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비가 되거나 또는 각 기능을 담당하는 하드웨어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복합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각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와 예시는 각 도면의 순서에 따라 이하 설명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0)은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 및 정보 처리 장치(20)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30)은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정보 처리 장치(20)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가 수신하고,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변환하고 증폭하여 다시 정보 처리 장치(20)로 출력하는 일련의 멀티미디어 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정보 처리 장치(20)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가 수신하여 이를 동기화된 클록에 따라 컨버터(300)에서 변환하고 증폭한다. 상기 변환 및 증폭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정보 처리 장치(20)로 송신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20)는 상기 변환 및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30)은 차량 내부의 전장, 컴퓨터 및 VR기기 내부에 구현되어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정보 처리 시스템(30) 내부의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와 정보 처리 장치(20)는 상호간 전기적으로 접촉이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유선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신호의 송수신 역시 가능할 수 있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클록 발생부(100), 컨버터(300), 제 1 연결부(400), 이상 판단부, 전원부, 증폭부 및 뮤트부를 포함한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들의 집합으로써, 외부의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신호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여 고품질의 음원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연결부를 가지는 컴퓨터, 비디오, 차량용 전장 내부의 오디오 기기와 같이 신호의 변환이 필요한 전기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모듈화 되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손쉽게 장치의 변경, 교체, 업그레이드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시스템의 변경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일 실시 예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가 변환하는 신호는 멀티미디어 신호로써 양자화된 신호, 특히 디지털 신호일 수 있고,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통신 가능한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저장 장치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인터넷상 스트리밍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고품질의 음원을 출력 하는 장치로써 기능을 하는 경우 높은 소비 전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의 컨버터(300)와 증폭부를 각각 개별 컨트롤하여 사용에 따른 소비전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내 전원부, 컨버터(300) 및 증폭부 등의 배치는 노이즈 감소라는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변경을 통하여 최종 아날로그 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 내의 전원부, 컨버터(300), 증폭부(400) 등의 위치와 연결 관계는 데이터의 흐름이나, 신호의 흐름에 최적화된 설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의 배치와 설계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내의 장치들을 변경함에 있어, 데이터나 신호의 흐름의 초기화가 필요할 수 있고, 이러한 초기화는 하드웨어 자체에 내장된 모듈에 의하거나, 별도의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에서 수신 가능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부는 금속의 이온화 차이에서 오는 전위차를 이용할 수 있고,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 및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의 종류는 통신 가능한 외부의 전기 회로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구조는 1차적으로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비드를 사용하고, 2차로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 3차로 낮은 직렬 등가 저항값을 갖는 커패시터를 사용하며, 4차로 대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할 수 있다.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는 공급 전압이 출력 전압에 매우 근접한 경우에도 선형적으로 전압을 조절하는데, 전압강하가 작고, 리플이 작아서 노이즈가 감소되며, 회로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는 통신 가능한 외부의 전기 회로와 접촉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연결부는 체결부 및 전극을 포함하고,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가 통신 가능한 외부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게 하며 전기적 신호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부는 전기적 신호가 공기 중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는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를 통신 가능한 외부의 전기 회로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전극은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와 외부의 전기 회로 사이에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극의 구조는 스프링으로 동작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가이드 공을 포함하는 핀 구조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프로세서부(200), 제 2 연결부(500), 디스플레이부, 메모리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이 가능하며,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연결부를 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내의 클록 발생부(100)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수신된 클록 신호들 또는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한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는 차량 전장 내부의 전기 회로, 컴퓨터 기기내 전기 회로, 비디오 기기내 전기 회로 및 모바일 기기 내부의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포함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처리를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내의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와 정보 처리 장치(20)내의 프로세서부(200) 상호간에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클록 발생부(100)는 제 1 PLL부(120) 및 제 1 모드 선택부(140)를 포함한다.
클록 발생부(100)는 프로세서부의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의 제 1클록 신호들을 생성한다.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록 발생부(100)는 제 1PLL부(120), 제 1모드 선택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클록 발생부(100)는 프로세서부(200)의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클록 발생부(100)에 이상이 발생 하는 경우 초기화 신호 및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클록 발생부(100) 스스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클록 발생부(100)는 일반적인 신호 변환 장치와는 달리, 클록 발생부(100) 내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만들어진 클록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아날로그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내부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만들어진 클록들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클록들을 사용하여 동기화 함으로써, 지터가 낮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PLL부(120) MCLK(Master Clock), LRCK(Left-Right Clock) 및 BITCLK(Bit Clock) 을 생성한다. MCLK(Master Clock)는 마스터 클록으로, 디지털 신호 기기의 최종 동작 타이밍을 결정하고, LRCK(Left-Right Clock)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L(Left) 채널과 R(Right) 채널을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한 클록 신호이다. L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1, R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0일 수 있다. BITCLK(Bit Clock)은 디지털 신호의 기본인 비트에 맞물려 전송되는 클록으로, 비트 클록에 동기를 맞춰서 디지털 신호가 0인지 1인지를 판별한다.
제 1모드 선택부(140)는 프로세서부(200)의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른 주파수 정보 및 클록 발생부(1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부(200)의 초기화 신호 및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 1모드 선택부(140)는 프로세서부(200)의 이산 신호의 품질에 따른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생성할 클록 신호들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생성한다. 상기 클록 발생부(1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며, 초기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디세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한다.
프로세서부(200)는 데이터 베이스부(220), 모드 제어부(240) 및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부(200)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의 포맷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상태를 결정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한다. 프로세서부(200)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외부인 정보 처리 장치(20)내에 위치하거나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10)내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220)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하고, 클록 발생부(100)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산 신호를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컨버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미리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240)는 클록 발생부(10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이사이 발생 하는 경우 클록 발생부(100)를 초기화 하고, 상기 초기화 후에도 상기 이상이 발생 하는 경우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제어 신호는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초기화 하는 초기화 신호 및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하는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의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파일의 품질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비트 레이트를 보는 것인데, 이는 초당 킬로비트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CD 음원의 비트 레이트는 1411kbps 이고, 비트 레이트가 높을수록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산 신호는 음원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질에 따라 비트 레이트를 정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의 경우 주로 128kbps, 256kbps를 사용할 수 있고, 최근에는 무손실 음원의 경우 곡 자체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는 상기 비트 레이트에 따라 클록 발생부(100)에서 생성될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정하고, 동시에 컨버터(300)에서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컨버터(300)는 클록 신호 입력부(320), 이산 신호 입력부(340), 기준 클록 생성부(360), 변환부(370)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300)는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입력 받고, 주파수 정보,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일 실시 예로, 컨버터(300)는 복수의 컨버터(30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컨버터(300)를 이용하는 경우 출력 노이즈의 평균화를 통한 고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복수개 컨버터(300)를 사용시 소비 전류가 증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컨버터(300)의 전류를 개별 제어하여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컨버터(300)는 내부 회로 패턴상에 디지털 노이즈(Digital Noise)가 유기될 수 있는 부분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격 구조는 2차원 평면상에서 거리가 이격 되거나, 3차원 공간상에서 다른 층의 레이어에서 공간적으로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최종 디지털 신호 장치의 크기와 재생 음질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값 이상을 가진다.
클록 신호 입력부(320)는 클록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클록 신호들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 예로, 클록 입력부(320)에 입력되는 클록 신호들은 MCLK(Master Clock), LRCK(Left-Right Clock) 및 BITCLK(Bit Clock) 을 포함할 수 있다. MCLK(Master Clock)는 마스터 클록으로,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의 최종 동작 타이밍을 결정한다. LRCK(Left-Right Clock)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L(Left) 채널과 R(Right) 채널을 위한 클록이다. BITCLK(Bit Clock)은 디지털 신호의 기본인 비트에 맞물려 전송되는 클록으로, 비트 클록에 동기를 맞춰서 디지털 신호가 0인지 1인지를 판별한다.
이산 신호 입력부(340)는 프로세서부(200)에서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입력 받는다. 기준 클록 생성부(360)는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의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기준 클록 신호들은 제 1 및 2클록 신호들과 비교되어 오차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클록 신호 입력부(320)와 이산 신호 입력부(340)는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써 전자 기기 장치 간에 이산신호를 주고 받는 커넥터를 의미한다.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동축 케이블방식또는 광 케이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를 이용하면 4개의 디지털 라인(Digtal Line)의 신호를 하나의 디지털 라인(Digital Line)으로 만들 수 있고, 디지털 노이즈(Digital Noise)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환부(370)는 프로세서부(200)에서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변환부(370)는 상기 기준 클록 신호들과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를 보정하며, 상기 보정된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변환부(370)는 프로세서 내부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발생된 클록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변환부(370)가 프로세서 내부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생성된 클록들을 이용하는 경우, 프로세서의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따라 클록들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고, 클록들에 지터(JITTER)가 발생하여, 정확한 아날로그 신호를 만들어낼 수 없게 된다. 지터(JITTER)는 정상 클록에 변이(Transition)가 발생하는 것인데, 지터가 발생한 경우 장치간 동작 타이밍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본원 발명에서 변환부(370)는 클록 발생부(100) 내의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에서 생성된 클록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아날로그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다. 위상 동기 회로(Phased lock loop)는 입력 신호와 출력신호에서 되먹임된 신호와의 위상차를 이용해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된 신호에 맞추어 출력 신호의 주파수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
증폭부는 제 2 전원 단자부, 아날로그 신호 입력부, 앰프부 및 증폭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증폭부는 컨버터의 출력인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증폭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조절하는 프리앰프(Preamp) 및 전력을 증폭시키는 파워앰프(Power Amp)를 포함할 수 있고, 프리앰프(Preamp)와 파워앰프(Power Amp)가 합쳐진 인터그레이티드 앰프(Integrated Amp)일 수 있다. 증폭부의 형태는 고정되지 않으며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증폭부는 노이즈 감소를 위하여 컨버터(300)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증폭부의 내부 회로의 배선은 디지털 노이즈(Digital Noise)가 유기될 수 있는 부분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 이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격 구조의 배치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격 거리는 최종 디지털 신호 장치의 크기와 재생 음질을 고려하여 기 설정된 값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전원 단자부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하지만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2 전원 단자부는 전원을 공급 받을 때 전원 노이즈 감소를 위한 필터부 통하여 공급 받을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전원 노이즈 제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입력부는 컨버터(300)에서 출력된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두개의 채널을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아날로그 신호 입력부는 컨버터(300)의 클록 신호 입력부(320) 및 이산 신호 입력부(340)의 SPDIF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질 수 있고, SPDIF 디지털 인터페이스 구조를 통하여 노이즈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앰프부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로, 앰프부는 증폭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OP-AMP 소자로 이루어져, 단계적으로 이득(Gain)을 증가 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OP-AMP 소자의 이득은 노이즈를 고려한 최적화된 값을 가질 수 있고, 각 증폭 소자간에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피드백 회로를 가질 수 있다.
증폭 신호 출력부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 한다.
일 실시 예로, 증폭 신호 출력부의 좌, 우 출력 채널은 신호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GND(그라운드 접지)로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증폭신호 출력부는 좌, 우 출력 채널의 신호의 간섭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사용하는데, 이는 채널 분리도를 의미하고, 증폭신호 출력부 의 좌, 우 채널에서 신호의 간섭도를 나타낸다. 증폭 신호 출력부는 좌, 우 출력 채널을 GND로 감싸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채널 분리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뮤트부는 제1차 뮤트부, 제2차 뮤트부 및 제3차 뮤트부를 포함한다.
뮤트부는 높은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뮤트부는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를 사용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가 하이파이 오디오 모듈(HIFI AUDIO MODULE)로써 이용되는 경우, 높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뮤트부는 증폭 신호 출력부의 신호를 뮤트 입력부에서 입력으로 받아, 3차 뮤트된 신호를 뮤트 출력부에서 연결부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로, 뮤트부는 복수개의 뮤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에 따라 뮤트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뮤트부는 복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를 포함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의 소스(SOURCE)와 드레인(DRAIN)이 마주보는 구조를 통하여 마이너스 쪽으로 세어 나가는 POP노이즈를 해결할 수 있다. POP노이즈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로써, 충전된 전압을 가지는 커패시터를 가진 회로가 다른 전기회로와 연결시, 충전된 커패시터의 전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노이즈를 의미한다.
제 1차 뮤트부는 전체적인 뮤트 타이밍을 결정한다. 제1차 뮤트부는 저항과 커패시터 및 단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뮤트부의 전기적 소자의 개수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2차 뮤트부 및 제 3차 뮤트부는 뮤트의 세밀한 타이밍을 결정한다. 제2차 뮤트부 및 제3차 뮤트부는 복수개 저항과 단수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차 뮤트부 및 제 3차 뮤트부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의 드레인 전압은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의 출력 전력값에 최적화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클록 발생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록 발생부(100)는 제 1 PLL부(120) 및 제 1 모드 선택부(140)를 포함한다.
제 1 PLL부(120) MCLK(Master Clock), LRCK(Left-Right Clock) 및 BITCLK(Bit Clock) 을 생성한다. 상기 클록 신호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 1 모드 선택부(140)는 프로세서부(200)의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른 주파수 정보 및 클록 발생부(100)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부(200)의 초기화 신호 및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프로세서부(200)는 데이터 베이스부(220), 모드 제어부(240) 및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부(200)는 이산 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하고, 상기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상태를 결정하고, 이산 신호를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데이터 베이스부(220)는 이산 신호를 저장하고, 클록 발생부(100)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산 신호를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컨버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모드 제어부(240)는 클록 발생부(10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이 발생 하는 경우 클록 발생부(100)를 초기화 하고, 상기 초기화 후에도 상기 이상이 발생 하는 경우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주파수 정보 결정부(260)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의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컨버터의 확대 블록도이다.
컨버터(300)는 클록 신호 입력부(320), 이산 신호 입력부(340), 기준 클록 생성부(360), 변환부(370), 전원부 및 제 2 PLL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300)는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입력 받고, 주파수 정보,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클록 신호 입력부(320)는 클록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클록 신호들을 입력 받는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산 신호 입력부(340)는 프로세서부(200)에서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입력 받는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클록 신호 입력부(320)와 이산 신호 입력부(340)는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변환부(370)는 프로세서부(200)에서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변환부(370)는 제 2 PLL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위상동기회로(Phased lock loop)를 의미하나, 클록 발생부(100)의 제 1 PLL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나, 입력된 클록 신호들 및 기준 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클록 신호들을 보정한다는 점에 수행하는 기능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방법은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0에서, 클록 발생부(100)는 제 1 클록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120에서, 이상 판단부는 제 1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에 이상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140에서, 프로세서부(200)는 이상 판단부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제 2클록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200에서, 프로세서부(200)는 이산 신호를 제 1 또는 2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300에서, 컨버터(300)는 컨버터(300)는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입력 받고, 주파수 정보, 제 1클록 신호 또는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변환하는 단계의 확대 흐름도이다.
S360에서, 기준 클록 생성부(360)는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380에서, 변환부(370)는 기준 클록 신호들과 제 1클록 신호들의 오차 또는 기준 클록 신호들과 제 2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S390에서, 변환부(370)는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또는 2클록 신호들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제 1 또는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세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 내부신호들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는 프로세서부(200)외에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별도의 클록 발생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록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 코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터가 낮은 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클록 발생부(100)가 정상 상태인 경우에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부(200)는 저장하거나 수신된 이산 신호의 포맷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를 클록 발생부(100) 및 컨버터(300)에 전송한다. 클록 생성부(100)는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제 1클록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클록 신호들을 프로세서부(200) 및 컨버터(300)로 전송한다. 컨버터(300)는 상기 클록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제 1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들을 이용하여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클록 발생부(100)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에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부(200)는 클록 발생부(100)의 이상을 감지하면 클록 발생부(100)를 초기화 하고, 초기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한다. 프로세서부(200)는 클록 발생부(100)의 동작을 종료하고, 스스로 제 2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이산 신호를 제 2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한다. 컨버터(300)는 상기 클록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제 2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들을 이용하여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도 9는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는 별도의 클록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제 1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지만, 도 9의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10)는 프로세서 내부(200)에서 생성된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한다. 도 8의 신호 변환을 위한 동기화 장치에서 프로세서(200) 내부의 제 2클록 신호들은 시스템 코어의 사용량에 따라 지터(JITTER)를 가지기 때문에, 제 2클록 신호들을 이용하여 동기화 하고, 상기 동기화된 이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품질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 하게된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정보 처리 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신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상기 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는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클록 신호들과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발생부는,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 1모드 선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클록 발생부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 신호 및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6. 삭제
  7.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결합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여,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는 프로세서부;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자체적으로 상기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멀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며,
    상기 클록 신호들은, 기 설정된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의 포맷에 따라 상기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주파수 정보 결정부; 및
    상기 클록 발생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클록 발생부를 초기화 하고, 상기 초기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클록 발생부를 초기화 하는 초기화 신호 및 상기 클록 발생부의 동작을 종료 시키는 디세이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삭제
  12.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제어 신호 및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 및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연결부를 통하여 결합하며,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자체적으로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수신된 클록 신호들 또는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클록 신호들 및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3.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의한 모듈형 신호 변환 방법에 있어서,
    클록 발생부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주파수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컨버터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 상기 클록 신호들 및 상기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제 1연결부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정보에 따른 기준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기준 클록 신호들 및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과의 오차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오차를 이용하여 상기 클록 발생부에서 생성된 클록 신호들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신호 변환 방법.
  14.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3항에 기재된 모듈형 신호 변환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5.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부가, 클록 신호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고,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의 클록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부가, 상기 클록 발생부로부터 클록 신호들을 수신하며,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는 단계; 및
    제 2연결부가,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는 단계는, 상기 클록 발생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자체적으로 상기 클록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미리 저장된 멀티 미디어 신호를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들에 동기화 하며,
    상기 클록 신호들은, 기 설정된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5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70060850A 2017-04-07 2017-05-17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25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5463 WO2018186525A1 (ko) 2017-04-07 2017-05-25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TW106117897A TWI730107B (zh) 2017-04-07 2017-05-31 具有時脈同步的模組化訊號轉換設備和資訊處理設備、資訊處理系統及資訊處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5406 2017-04-07
KR1020170045406 2017-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81A KR20180113881A (ko) 2018-10-17
KR102252328B1 true KR102252328B1 (ko) 2021-05-14

Family

ID=6409924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705A KR102300544B1 (ko) 2017-04-07 2017-04-28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20170060850A KR102252328B1 (ko) 2017-04-07 2017-05-17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20170066213A KR102255596B1 (ko) 2017-04-07 2017-05-29 오디오 신호 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
KR1020170072615A KR102283540B1 (ko) 2017-04-07 2017-06-09 전원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KR1020170110452A KR102419140B1 (ko) 2017-04-07 2017-08-30 크로스토크 개선을 위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의 배선 구조 및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705A KR102300544B1 (ko) 2017-04-07 2017-04-28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213A KR102255596B1 (ko) 2017-04-07 2017-05-29 오디오 신호 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
KR1020170072615A KR102283540B1 (ko) 2017-04-07 2017-06-09 전원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KR1020170110452A KR102419140B1 (ko) 2017-04-07 2017-08-30 크로스토크 개선을 위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의 배선 구조 및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10931250B2 (ko)
KR (5) KR102300544B1 (ko)
TW (4) TWI7301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544B1 (ko) * 2017-04-07 2021-09-09 (주)드림어스컴퍼니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2442153B1 (ko) 2021-05-07 2022-09-07 (주)드림어스컴퍼니 마이너스 전원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
CN113676819B (zh) * 2021-10-21 2022-01-07 武汉市聚芯微电子有限责任公司 软静音控制电路、软静音控制方法以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966A1 (en) 2005-03-10 2006-09-21 Walker Gordon K Method of time base reconstruction for discrete time labeled video
KR100819439B1 (ko) 2007-08-23 2008-04-04 주식회사 디에이텍 멀티미디어신호 직렬 전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763A (en) * 1963-06-05 1966-03-08 Ibm Signal converter
US4860185A (en) * 1987-08-21 1989-08-22 Electronic Research Group, Inc. Integrat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personal computers
US5907622A (en) * 1995-09-21 1999-05-25 Dougherty; A. Michael Automatic noise compensation system for audio reproduction equipment
KR100363861B1 (ko) 2000-02-15 2002-12-11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디지털 파일 재생용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860022B1 (ko) 2001-12-27 2008-09-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팝 노이즈 발생 방지 장치
KR100464034B1 (ko) 2002-07-19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록 동기화 방법
US6878016B2 (en) * 2002-12-12 2005-04-12 Symbol Technologies, Inc. High cycle connector contact system
JP2005025586A (ja) 2003-07-04 2005-01-27 Hitachi Ltd 旅行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旅行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ビス会社の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旅行情報提供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US7378903B2 (en) * 2004-06-07 2008-05-27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DC offset in outputs of audio power amplifiers
KR100664138B1 (ko) * 2004-09-02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스디 카드 슬롯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장치
KR20060082908A (ko) * 2005-01-13 2006-07-20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US20060206320A1 (en) 2005-03-14 2006-09-14 Li Qi P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and speech enhancement with microphones and loudspeakers
US7311526B2 (en) *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TWI320996B (en) * 2006-07-06 2010-02-21 Tatung Co Pop sound prevention module and speaker apparatus thereof
KR20080067237A (ko) 2007-01-15 2008-07-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팝 노이즈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72584A (ko) 2007-02-01 2008-08-06 이재원 차량 글라스 안테나를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
JP2008193341A (ja) * 2007-02-02 200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ップノイズ低減回路
US7912438B2 (en) * 2007-03-20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phase noise
US20090004981A1 (en) * 2007-06-27 2009-01-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digital transmitter incorporating switching power supply and linear power amplifier
US7826815B2 (en) * 2007-07-13 2010-11-0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oscillation signal frequency for power converter
US8288971B2 (en) * 2008-01-11 2012-10-16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and programmable microphone bias generation
KR20090009721U (ko) * 2008-03-24 2009-09-29 모빌링크텔레콤 주식회사 방사성능이 개선된 안테나 겸용 유선 이어셋/헤드셋
JP5552620B2 (ja) * 2008-06-16 2014-07-16 株式会社 Trigence Semiconductor デジタルスピーカー駆動装置と集中制御装置とを搭載した自動車
TWI475814B (zh) * 2008-07-04 2015-03-01 Twinhead Int Corp To prevent the sound generated by the audio output device
KR20100049199A (ko) * 2008-11-03 201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기기의 뮤트 제어 장치
US9219956B2 (en) * 2008-12-23 2015-12-22 Keyssa, Inc. Contactless audio adapter, and methods
US8290171B1 (en) * 2009-08-20 2012-10-16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Headset with microphone and wired remote control
GB2476033A (en) 2009-12-04 2011-06-15 Marcus Lewis Personal audio equipment device
KR101126615B1 (ko) * 2010-01-28 2012-03-26 황여실 음향신호 출력 장치
KR101271645B1 (ko) * 2012-01-12 2013-06-11 한국과학기술원 신호 간섭 방지 패턴을 구비하는 적층 칩 패키지, 그 제조 방법, 적층 칩 패키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6032900B2 (ja) * 2012-02-06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209762B1 (en) * 2013-04-01 2015-12-08 Cirrus Logic, Inc. Switching power amplifier with rate-controlled power supply voltage transitions
US9130455B2 (en) * 2013-07-17 2015-09-08 Avatek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switched-mode power supplies
US9520782B2 (en) * 2013-07-26 2016-12-13 Cirrus Logic, Inc. Boost converter voltage controlled based on audio signal
US9549248B2 (en) * 2013-09-04 2017-01-17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rosstalk in an integrated headset
CN108449057A (zh) * 2013-09-12 2018-08-24 意法半导体研发(深圳)有限公司 音频设备中去除pop噪声的方法与电路
KR101480474B1 (ko) 2013-10-08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2887173A1 (en) * 2013-12-20 2015-06-24 Dialog Semiconductor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DC-DC converter with boost/low dropout (LDO) mode control
KR101581612B1 (ko) * 2015-01-06 2015-12-31 주식회사 아이리버 하이파이 오디오 장치 및 전원부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US9596044B2 (en) * 2015-02-13 2017-03-14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og and digital audio blend for HD radio receivers
US20170019017A1 (en) * 2015-07-17 2017-01-19 Qualcomm Incorporated Buck regulator with current cancellation
US10027294B2 (en) * 2015-09-11 2018-07-17 Mediatek Inc. Class-D amplifier with pulse-width modulation common-mode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 for performing class-D amplification
US20170351479A1 (en) * 2016-06-02 2017-12-07 Scosche Industries, Inc. Mobile device charger with audio interface
WO2018094910A1 (zh) * 2016-11-22 2018-05-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供电电路及音频播放设备
US10388445B2 (en) * 2016-12-21 2019-08-20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urrent sensing circuit and current sens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2300544B1 (ko) * 2017-04-07 2021-09-09 (주)드림어스컴퍼니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US10194234B2 (en) * 2017-06-05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Cancelation of induced ground noise in a headphone out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966A1 (en) 2005-03-10 2006-09-21 Walker Gordon K Method of time base reconstruction for discrete time labeled video
KR100819439B1 (ko) 2007-08-23 2008-04-04 주식회사 디에이텍 멀티미디어신호 직렬 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6052A1 (en) 2020-06-18
US20200153405A1 (en) 2020-05-14
TWI723184B (zh) 2021-04-01
US10931250B2 (en) 2021-02-23
KR102419140B1 (ko) 2022-07-08
US10819304B2 (en) 2020-10-27
US20200112788A1 (en) 2020-04-09
KR20180113882A (ko) 2018-10-17
KR102283540B1 (ko) 2021-07-29
TW201838421A (zh) 2018-10-16
TW201837899A (zh) 2018-10-16
KR102255596B1 (ko) 2021-05-25
KR20180113881A (ko) 2018-10-17
KR20180113889A (ko) 2018-10-17
TW201837897A (zh) 2018-10-16
US20200036355A1 (en) 2020-01-30
TW201838427A (zh) 2018-10-16
KR20180113883A (ko) 2018-10-17
KR20180113880A (ko) 2018-10-17
TWI730107B (zh) 2021-06-11
US10826454B2 (en) 2020-11-03
TWI723179B (zh) 2021-04-01
KR102300544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7349B2 (en) Data transfer
US11337003B2 (en) Audio playback circuit and terminal
US20160034417A1 (en) Distributed audio coordination over a two-wire communication bus
KR102252328B1 (ko)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CN103609139B (zh) 耳机、音频设备、音频系统和用于传送信号的方法
US9860642B2 (e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speaker device, and source device
CN201590835U (zh) 高保真声音再现系统
US20220383882A1 (en) Data transfer
WO2013088174A1 (en) Data transfer
CN105828224A (zh) 电子装置、校正器及用以校正电子装置的耳机麦克风
US11553276B2 (en) Audio codec circuit
WO2018186525A1 (ko)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CN104661149B (zh) 应用于耳机麦克风组的信号处理电路及相关信号处理方法
US20220360242A1 (en) Audio signal muting apparatus using negative power, and digital signal conversion apparatus equipped with same
RU2771788C1 (ru)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хе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аудио
TWI743127B (zh) 模組化訊號轉換設備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