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908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908A
KR20060082908A KR1020050003273A KR20050003273A KR20060082908A KR 20060082908 A KR20060082908 A KR 20060082908A KR 1020050003273 A KR1020050003273 A KR 1020050003273A KR 20050003273 A KR20050003273 A KR 20050003273A KR 20060082908 A KR20060082908 A KR 2006008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broadcast receiving
host device
data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선
Original Assignee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filed Critical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Priority to KR102005000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908A/ko
Publication of KR2006008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 및 상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호스트 기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하고 호스트 기기에 장착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파 수신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착탈형 방송 수신 장치, 호스트 기기, 프레임 동기 신호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REPRODUC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S}
도 1은 종래의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전송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SD/Combo 카드 또는 USB 카드 장치 형상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 내에서 방송 수신 장치와 호스트 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 치 내에서 방송 수신 장치와 호스트 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 방송 수신 장치
304 : 안테나
306 : 전파 수신부
308 : 데이터 처리부
310 : 접속부
314 : 비디오/오디오 처리부
316 : 비디오 표시부
318 : 스피커
320 : 클록 신호 생성부
331 내지 333 : 입출력 단자
341 내지 343 : 입출력 단자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수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를 탑재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미 위성 DMB 또는 지상파 DMB를 실시하고 있는 국가도 있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위성 DMB(Satellite-DBM: S-DMB)의 시험 방송을 시행하고 있고, 지상파 DMB(Terrestrial DBM: T-DMB)도 2005년 상업 방송의 시행을 목표로 시험 방송 중이며, 일본에서도 위성 DM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Satellite: ISDB-S)이 실시되고 있고, 2005년경에는 지상파 DM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ISDB-T)을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유럽에서도 지상파 DMB(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를 위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변조하여 방송 신호로 전송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수신 장치에서 원래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인데,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변조 및 전송 방식 등은 채택된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각 나라별로 서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공지된 하나의 DMB 기술 규격에 따른 DMB 전송 방식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한국 지상파 DMB 방송 기술 규격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전파 송신 환경에 적합하도록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등의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압축을 수행하는 비디오 인코더(102) 및 오디오 인코더(104)에 의해 각각 압축되어 액세스 유닛(access unite: AU)이라고 하는 기본 프레임 단위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화면 표시의 단위가 되며, AU의 시퀀스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AU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즉 화면 재생 속도는 소정의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는데, 예컨대 한국의 지상파 DMB에서는 352*288 픽셀의 화면이 초당 30 프레임의 속도로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동기화 계층(Synchronization Layer: SL) 패킷화기(106)는, 비디오 및 오디오의 동기화를 위해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 계층 패킷(Synchronization Layer Packet: SLP)으로 비디오 ES 및 오디오 ES 각각을 패킷화하고,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기(108)는 각각의 SLP에 PES 헤더를 부가하여 PES 패킷을 생성한다.
그 후,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기(Transport Stream Multiplexer: TS MUX)(110)는 MPEG-2 시스템 규격(ISO/IEC 13818-1)에 기초하여, 비디오 PES 패킷과 오디오 PES 패킷들을 시분할 다중화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생성한다.
TS 패킷은 리드 솔로몬 인코더(Reed Solomon encoder: 112) 및 컨벌루션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 114)에 의해 차례로 인코딩된 후, 방송파로 송출된다.
도 2는 도 1의 방송 기술 규격 구조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재생 장치(200)는 안테나(202), 전파 수신부(204), 데이터 처리부(206), 비디오/오디오 처리부(208), 비디오 표시부(210) 및 스피커(212)를 포함하고, 상기 전파 수신부(204)는 튜너(214)와 복조부(216)를 포함한다.
전파 수신부(204)의 튜너(214)를 동조시켜 안테나(202)로부터 수신된 전파는 전파 수신부(204)의 복조부(216)에서 복조되어 TS 패킷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데이터 처리부(206)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역으로 수행하여 TS 패킷들로부터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추출한다.
비디오/오디오 처리부(208)는 데이터 처리부(206)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압축 해제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들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 표시부(210)와 스피커(212)에 전달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는 집적 회로의 미세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고성능의 소형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기기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휴대형 미디어 플레이어(personal 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휴대 전화기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예컨대,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들 소형 전자기기는 메모리를 증가시키거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소위 메모리 카드나 입출력(I/O) 카드 등의 각종 카드형 장치를 교환 장착하는 슬롯, 예컨대 PC 카드 슬롯, SD(secure device) 카드 슬롯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SD 카드 슬롯은, SD 규격에 준거하며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억 장치로서 보급되는 SD/Combo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슬롯으로서, 메모리를 비롯한 소형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이 이들 슬롯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노트북 컴퓨터들은 일반적으로 각종 I/O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USB 포트 를 사용하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flash memory disk), 캠(cam), 마우스, 스캐너, 키보드, 무선 랜(wireless LAN) 등 거의 모든 I/O 장치를 장치 본체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치의 기능을 매우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휴대 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DMB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형 전자 기기에 DMB 수신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전자 기기 자체의 크기가 증가하고 전력 소모 또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크기 및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방송 수신 장치를 소형 전자 기기에 착탈 가능한 I/O 장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0887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방송 수신 재생 장치 내의 호스트 기기는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TS 패킷을 수신하기 때문에,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트 기기는 채용된 방송 기술 규격에 따른 후속적인 TS 스트림 처리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송 기술 규격에 따른 DMB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 및 호스트 기기는 서로 다른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각각 별도로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기능을 갖는 호스트 기기 및 이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한 DMB 수신 장치, 즉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I/O 카드 형태의 DMB 수신 장치로 구성된 DMB 수신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하며 DMB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추출하여 호스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DMB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DMB 수신 장치는 하나의 특정한 방송 기술 규격에 따른 방송 신호로부터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 만을 추출하여 호스트 기기에 전송하므로, 호스트 기기가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기능만을 구비한다면, 사용자는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의 방송 기술 규격에 따른 수신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호스트 기기로 방송 기술 규격에 상관없이 다양한 DMB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내용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 착탈식 DMB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호스트 기기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방송 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원하는 때에 저장된 방송을 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에 장착되어 DMB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파 수신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송 수신 재생 장치는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파 수신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동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접속부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처리부, 상기 비디오/오디오 처리부로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디오 표시부, 및 상기 비디오/오디오 처리부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장점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재생 장치(3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는 DMB 수신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 장치(302)와,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의 재생 기능을 갖는 호스트 기기(312)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 장치(302)는 DMB, 예컨대 지상파 DMB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안테나(304), 전파 수신부(306), 데이터 처리부(308), 접속부(310)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331 내지 333)를 포함한다. 복수의 입출력 단자는 CLK 단자(331), DATA 단자(332) 및 FRAME SYNC 단자(333)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302)는 I/O 카드 형태의 장치로서, I/O 카드형의 슬롯(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호스트 기기(3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의해 I/O 카드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호스트 기기(312)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310)는 SD/Combo 규격을 따르는 SD/Combo 카드 또는 USB 규격을 따르는 USB 카드일 수 있다. 도 4는 SD/Combo 카드(401) 또는 USB 카드(402) 형태로 구현된 방송 수신 장치의 일 형태를 나타낸다.
전파 수신부(306)는 안테나(304)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변조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을 추출하고, 추출한 TS 패킷을 데이터 처리부(308)에 전송한다. 예컨대, 지상파 DBM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장치인 경우, 전파 수신부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포함하는데, 사용되는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08)는 TS 패킷들로부터 화면 표시 단위가 되는 AU 정보, 즉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추출하고 이를 접속부(310)에 전달한다. 예컨대, 지상파 DMB 방송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308)는, 복수의 TS 패킷을 조합하여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형성하고, PES 패킷들을 조합하여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을 구성한 후, SL 헤더를 제거함으로써, AU로 구성 된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을 추출한다. 또한, 예컨대 유료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램블링(scrambling)을 처리하기 위한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전파 수신부(306)와 마찬가지로, TS 패킷으로부터 ES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접속부(310)는 호스트 기기(312)로부터 CLK 단자(331)를 통하여 클록 신호를 수신하고, 그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AU를 DATA 단자(332)를 통하여 호스트 기기(312)로 송출한다. 대안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302) 내의 클록 발생부(도 3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CLK 단자(331)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호스트 기기(312)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AU를 호스트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접속부(310)는 FRAME SYNC 단자(333)를 통해 각각의 프레임 단위의 동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hronization signal)를 호스트 기기(312)로 송출하는데, 호스트 기기(312)는 FRAME SYNC 단자(343)를 통해 수신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DATA 단자(342)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프레임 단위로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2)의 복수의 입출력 단자(321 내지 323)는, 방송 수신 장치(302)가 호스트 기기(312)에 장착된 경우, 후술하는 대응 호스트 기기(312)의 복수의 입출력 단자(341 내지 343)와 정합하게 되고, 정합하는 각각의 단자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2)와 호스트 기기(312) 간의 통신이 수행된다.
호스트 기기(312)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비 디오/오디오 처리부(314), 비디오 표시부(316), 스피커(318), 클록 신호 생성부(320)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341 내지 343)를 포함한다. 복수의 입출력 단자는 방송 수신 장치(302)의 각각의 입출력 단자(331 내지 333)와 정합하는 CLK 단자(341), DATA 단자(342) 및 FRAME SYNC 단자(343)를 포함한다.
클록 신호 생성부(320)는 일정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클록 신호를 CLK 단자(341)를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302)의 접속부(310)에 전달하고, 동시에 비디오/오디오 처리부(314)에 전달한다.
비디오/오디오 처리부(314)는 클록 신호 생성부(320)로부터 수신된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DATA 단자(342)를 통하여 방송 수신 장치(302)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AU를 수신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상기 클록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302) 내의 클록 신호 생성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되어 CLK 단자(331)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처리부(314)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비디오/오디오 처리부(314)는 FRAME SYNC 단자(343)를 통하여 수신된 프레임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DATA 단자(342)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압축 해제함으로써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들 데이터를 각각 비디오 표시부(314)와 스피커(316)에 전달함으로써, 비디오 표시부(314)와 스피커(316)가 프레임 단위로 정확하게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호스트 기기(312)와 방송 수신 장치(302)의 복수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5에는, CLK 단자(331 및 341)를 통해 호스트 기기(312)와 방송 수신 장치(302)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클록 신호(501), DATA 단자(332 및 342)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2)로부터 호스트 기기(312)로 전달되는 AU(503) 및 FRAME SYNCH 단자(333 및 343)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2)로부터 호스트 기기(312)로 전송되는 프레임 동기 신호(505 또는 507)가 도시되어 있다.
AU(503)는 클록 신호(501)에 동기하여 DATA 단자(332 및 342)를 통해 통신된다. 프레임 동기 신호는, 신호(505)와 같이 각 프레임의 시작부의 클록 타이밍에서만 활성화되는 형태의 신호일 수 있으며, 신호(507)와 같이 유효한 데이터 구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형태의 신호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호스트 기기(312) 측에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이 프레임 동기 신호(505 또는 507)는 호스트 기기(312)에 의해 생성되어 방송 수신 장치(302)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재생 장치(6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재생 장치(600)는 제1 실시예에서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DMB 수신 기능을 갖는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602)와,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의 재생 기능을 갖는 호스트 기기(612)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 장치(602)는 안테나(604), 전파 수신부(606), 데이터 처리부(608), 접속부(610)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631, 6320,...,632n 및 633)를 포함하고, 호스트 기기(612)는 비디오/오디오 처리부(614), 비디오 표시부(616), 스피커 (618), 클록 신호 생성부(620)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641, 6420,...,642n 및 643)를 포함하며, 각각의 컴포넌트는 제1 실시예의 방송 수신 장치(302) 및 호스트 기기(312)의 대응하는 컴포넌트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 3의 각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도 6의 동일 컴포넌트의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재생 장치(600)는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와는 달리, 방송 수신 장치(602)와 호스트 기기(612) 사이에 위치하는 방송 수신 입출력 단자로서, CLK 단자(631 및 641), DATA 0 단자(6320 및 6420),...,DATA N 단자(632n 및 642n) 및 FRAME SYNC 단자(633 및 643)를 포함한다. 즉, 방송 수신 장치(602)의 접속부(610)는, 도 3에 도시된 접속부(310)와 마찬가지로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된 AU를 CLK 단자(631)를 통한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호스트 기기(612)의 비디오/오디오 처리부(614)로 전송하지만, 도 3의 접속부(310)와는 달리 복수의 DATA 단자(6320,...,632n)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CLK 단자(631)를 통해 수신되는 클록 신호의 1 클록당 N 비트의 AU를 N개의 DATA 단자, 즉 DATA 0(6320),...,DATA N(632n) 단자 각각을 통해 병렬로 호스트 기기(612)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 6의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하는 클록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의 클록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70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재생 장치(700) 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 및 600)와 마찬가지로, DMB 수신 기능을 갖는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702)와,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 기능을 갖는 호스트 기기(712)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 장치(702)는 안테나(704), 전파 수신부(706), 데이터 처리부(708), 접속부(710)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731 및 732)를 포함하고, 호스트 기기(712)는 비디오/오디오 처리부(714), 비디오 표시부(716), 스피커(718), 클록 신호 생성부(720), 프레임 동기 추출부(722)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741 및 742)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컴포넌트는 도 3 또는 도 4의 방송 수신 장치(302 및 602) 및 호스트 기기(312 및 612)의 대응하는 컴포넌트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 3 또는 도 4의 각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도 7의 동일 컴포넌트의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700)는, 도 3 및 도 4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 및 600)와는 달리, 방송 수신 장치(702)와 호스트 기기(712) 사이에 CLK 단자(731 및 741)와 DATA 단자(732 및 742)만을 구비하며, FRAME SYNC 단자는 별도로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접속부(708)는,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 데이터(즉, AU)의 선두에 특정 비트 패턴의 동기화 플래그(synchronization flag)를 추가한 후, 동기화 플래그가 추가된 AU를 DATA 단자(732)를 통해 호스트 기기(712)로 전송한다. 호스트 기기(712)에서 DATA 단자(742)를 통해 수신된 동기화 플래그가 추가된 AU는 비디오/오디오 처리부(714) 및 프레임 동기 추출부(722)로 전달되는데, 프레임 동기 추출부(722)는 수신된 AU의 선두에 추가된 동기화 플래그를 검출하여 프레 임 동기를 알아낼 수 있다. 도 8은 방송 수신 장치(702)의 CLK 단자(731) 및 DATA 단자(732)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데, 특정 비트 패턴의 동기화 플래그(805)가 선두에 추가된 프레임 데이터(803)가 클록 신호(801)에 동기하여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방송 수신 재생 장치(300, 600 및 700)의 방송 수신 장치(302, 602 및 702)는 내부에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방송 수신을 통해 추출된 비디오 AU 및 오디오 AU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호스트 기기의 다른 기능을 사용함에 상관없이 방송 내용을 녹화 저장하여 원하는 때에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 기능을 갖는 호스트 기기와 이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한 I/O 카드 형태의 방송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복조하고, 이로부터 실제로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AU)를 추출하여 호스트 기기로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 기 착탈식 방송 수신 장치를 호스트 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스트 기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호스트 기기는 사용되는 DMB의 방송 기술 규격에 관계없이, 전송된 모든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한국의 지상파 DMB 방송뿐만 아니라, 위성 DMB 방송, 일본의 위성 및 지상파 ISDB 방송, 유럽의 DVB-H 지상파 방송 등의 다양한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 방식으로 전파되는 방송이더라도, 각각의 전송 방식에 따라 구현된 방송 수신 장치만 교체하면, 사용자는 하나의 호스트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Claims (12)

  1.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에 장착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파 수신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동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S-DMB(Satellite-DBM), T-DMB(Terrestrial DBM), ISDB-S(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Satellite),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또는 DM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중 어느 하나의 방송 규격을 따르는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주기로 클록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클록 발생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발생된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 개의 비트를 병렬로 동시에 전송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동기를 알아낼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의 선두에 특정 비트 패턴의 동기화 플래그를 추가하는 방송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인 방송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을 녹화하기 위해,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SD/Combo 카드(Secure Digital/Combo card) 규격을 따르는 SD/Combo 카드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형상을 갖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따르는 USB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형상을 갖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HPI(Host Port Interface) 규격을 따르는 HPI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형상을 갖는 방송 수신 장치.
  1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방송 수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재생 장치는
    호스트 기기; 및
    상기 호스트 기기에 착탈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스트림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전파 수신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액세스 유닛(access unit) 단위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클록 신호에 동기한 타이밍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동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접속부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처리부;
    상기 비디오/오디오 처리부로의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비디오 표시부; 및
    상기 비디오/오디오 처리부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재생 장치.
KR1020050003273A 2005-01-13 2005-01-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KR20060082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73A KR20060082908A (ko) 2005-01-13 2005-01-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73A KR20060082908A (ko) 2005-01-13 2005-01-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08A true KR20060082908A (ko) 2006-07-20

Family

ID=371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73A KR20060082908A (ko) 2005-01-13 2005-01-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9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89B1 (ko) * 2008-07-02 2010-10-08 지엔에스디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및 그 수신카드가 장착된디지털방송수신기기
WO2018186524A1 (ko)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아이리버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80113881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689B1 (ko) * 2008-07-02 2010-10-08 지엔에스디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및 그 수신카드가 장착된디지털방송수신기기
WO2018186524A1 (ko) * 2017-04-07 2018-10-11 주식회사 아이리버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80113881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클록이 동기화된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20180113889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크로스토크 개선을 위한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의 배선 구조 및 오디오 신호 변환 장치
KR20180113880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아이리버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US10931250B2 (en) 2017-04-07 2021-02-23 Dreamus Company Modular signal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TWI743127B (zh) * 2017-04-07 2021-10-21 南韓商艾利和有限公司 模組化訊號轉換設備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1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US7840879B2 (en) Wireless mobile device
KR1012045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
WO2010036739A1 (en) Devices and methods of digital video and/or audio reception and/or output having error detection and/or concealment circuitry and techniques
JP2009545906A (ja) マルチメディア信号を表示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転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2088632A (zh) 支持两路节目源的条件接收装置及其实现方法
CN100579237C (zh) 一种地面广播数字电视接收装置、音视频同步方法及系统
US8285107B2 (en) Packet sequence restoring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KR2006008290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KR100591810B1 (ko) 내장 티브이 모듈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를 외부 기기로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14079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V reception function
US20080317434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70110405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70109442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KR10073288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EP1603263A1 (en) Wireless mobile device
KR10065476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3123717B2 (ja) 受信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2007074671A (ja) Pid値検出回路、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機およびpid値検出方法
KR100595155B1 (ko) 디지털 방송신호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CN101567988A (zh) 多功能usb国标地面数字电视接收棒
WO2007058067A1 (ja) 携帯通信端末、デジタル放送補完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補完システム
KR2006009005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생하는 장치, 방법, 및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카드
KR20050063215A (ko) Dmb 수신기
JP4227870B2 (ja) 機能モジュールカード及びホスト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