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762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762B1
KR100654762B1 KR1020050096331A KR20050096331A KR100654762B1 KR 100654762 B1 KR100654762 B1 KR 100654762B1 KR 1020050096331 A KR1020050096331 A KR 1020050096331A KR 20050096331 A KR20050096331 A KR 20050096331A KR 100654762 B1 KR100654762 B1 KR 100654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dmb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순
Original Assignee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filed Critical 유비브로테크노로지즈 (주)
Priority to KR102005009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수신장치 및 크레들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 전파 수신부, 데이터 처리부 및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안테나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에는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켜 호스트 기기와 데이터 교환 통로가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된 인터페이스 포트; 및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가 삽입된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를 여닫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 포트를 케이스에 삽입하고 커버로 닫을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막을 수 있고, 또한 호스트 기기에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설치가 됨으로써, 별도로 프로그램을 소지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인터페이스 포트, DMB, 클레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종래의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
310: 케이스 320: 안테나
330: 커버 340: 인터페이스 포트(Interface Port)
350: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 370: 외부 안테나 포트
400: 크레들(Cradle) 410: 인터페이스 슬롯
420: 수신장치 삽입구 430: 케이블
440: 제 2 인터페이스 포트
본 발명은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수신장치 및 크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할 수 없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TV 등에서 위성 또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에 간단히 삽입하여 작동할 수 있는 구조로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이하 'DMB'라 함)은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또는 휴대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최근에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기술이 실용화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동중에도 개인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나 DVD급의 고음질과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손안의 TV'라 불리면서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등 디지털 방송이 가진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 전송 수단에 따라 위성 DMB와 지상파 DMB가 있다.
위성 DMB는 S밴드(2~3 GHz)와 Ku밴드(12~1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인공위성에서 송출하는 것이며, 지상파 DMB는 보통의 방송처럼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때문에 전국에서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방송이 가능한 위성 DMB와 달리 지상파 DMB는 지금의 텔레비젼 방송처럼 지역에 따라 다른 주파수로 방송된다. 이러한 지상파 DMB는 현재 비어있는 공중파 VHF 12번과 8번 채널을 활용해 방송을 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은 AM과 FM에 이은 제 3 세대의 라디오로서 CD급 수준의 음질과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우수한 이동 수신의 품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라디오 방송으로서, 범유럽에서 공동으로 제안한 Eureka-147(European Resea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 방식과 다른 하나는 미국에서 제안한 인밴드(IN-BAND) 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지상파 DMB는 당초 이동수신이 되지 않는 미국식 디지털 TV 방송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유럽의 표준인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에 비디오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된 방식이며,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압축기술을 추가함으로써 주파수 효율성을 높이고, 이동 중에도 TV 동영상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로 개발되어 표준화되었다.
MPEG-4는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고정 및 이동 수신 환경에서 양질 의 프로그램 수신이 보장되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기능이 부가된 각종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개인에게 방송 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장치는 MPEG-4로 부호화된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게 된다.
MPEG-4 방식에서는 기존의 블록 단위의 변환 방식을 탈피하고, 영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액세스에 있어서 화면이나 음향의 오브젝트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취급하여 이들을 서로 링크에 의해 결합한다.
지상파 DMB 전송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면, 비디오 인코더(Video Encoder)와 오디오 인코더(Audio Encoder)에 의해 각각 압축되어 기본 프레임 단위 정보의 시퀀스로 변환된 것을 액세스 유닛(Access Unit : AU)라 하며, 액세스 유닛의 시퀀스(Sequence)를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이라고 한다.
비디오 인코더와 오디오 인코더에서 각각 변환된 기본 스트림(ES)은 동기화 계층 패킷화기(Synchronization Layer Packetizer)를 통해서 동기화 계층 패킷(Synchronization Layer Packet: SLP)으로 패킷화되며, 이는 다시 PES 패킷화기(Packetized Elementary Stream Packetizer)를 통해서 각각의 SLP에 PES 헤더를 부가하여 PES 패킷으로 변화된다.
그 다음에 트랜스 포트 스트림 다중화기(Transport Stream Multiplexer)는 MPEG-2 시스템 규격(ISO/IEC 13818-1)에 기초하여, 비디오 PES 패킷과 오디오 PES 패킷들을 시분할 다중화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을 생성한 다.
이와 같이 형성된 TS 패킷은 리드 솔로몬 인코더(Reed Solomon Encoder)와 컨벌루션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에 의해 차례로 인코딩된 후에 방송파로 송출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기능 불럭도이다.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100)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5), 전파 수신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비디오/오디오 처리부(130), 비디오 표시부(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파 수신부(110)는 튜너(114)와 복조부(1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안테나(105)로부터 수신된 전파는 복조부(116)에서 복조되어 TS 단위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T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액세스 유닛 및 오디오 액세스 유닛을 추출하며, 비디오/오디오 처리부는(130) 비디오 및 오디오 액세스 유닛을 압축해제한다. 이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는 비디오 표시부(140)와 스피커(150)를 통해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재생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100)는 최근 소형화되어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에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성을 중시하여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소형화, 경량화되는 방향으로 발전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형 전자기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의 추가는 기기 자체의 부피 증가와 함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문제 가 있으며, 기존의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을 위해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가 탑재된 기기를 새로 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에도 노트북이나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에 USB 포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를 착탈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착탈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는 연결된 호스트 기기로 TS 패킷을 제공하게 되어, 호스트 기기는 별도로 TS 패킷을 ES 신호로 자체 변환을 하여야 했으므로, 소형의 호스트 기기에서는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는 주목적이 휴대용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고 휴대가 간편해야 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이 끊이지 않도록 전파의 수신이 잘되어야 하므로 안테나와 인터페이스의 최적화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호스트 기기 마다 별도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새로운 호스트 기기에서 사용을 하기위해서는 설치용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CD를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힌지구조로 결합된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여, 휴대시 인터페이스 포트를 케이스의 인터페이 스 포트 삽입구로 삽입한 후, 커버로 닫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장치 내부에서 TS 패킷을 ES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하여 호스트 기기에서 ES 신호 변환으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송 수신장치 내부에 프로그램 저장 장치를 포함하여 호스트 기기에서 방송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는 불편을 없애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 포트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방송 수신장치를 크레들과 결합하여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 범위를 확장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안테나, 전파 수신부, 데이터 처리부 및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안테나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에는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켜 호스트 기기와 데이터 교환 통로가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된 인터페이스 포트; 및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가 삽입된 상기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를 여닫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안테나, 전파 수신부, 데이터 처리부 및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는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포트가 삽입되는 인터페이스 슬롯; 호스트 기기에 삽입되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와 상기 호스트 기기의 데이터 전송 통로가 되는 제 2 인터페이스 포트; 및 일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슬롯을 구비하고 타단을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포트를 구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들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 재생 장치(200)는 방송 수신 장치(210)와 호스트 기기(230)로 구성된다. 방송 수신 장치(21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 받아 디코딩 과정을 거쳐 기본 스트림(ES)을 형성하며, 또한, 호스트 기기(230)는 이를 받아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수신 장치(210)는 안테나(205), 전파 수신부(215), 데이터 처리부 (220), 접속부(225) 및 복수의 입출력 단자(260, 262, 264)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210)는 I/O(Input/Output) 카드 형태의 장치로서, I/O 카드형의 슬롯을 포함하는 호스트 기기(23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I/O 카드형이라 함은 슬롯에 삽입함으로써, 입출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USB 규격을 따르는 USB 카드이거나, SD(Secure Device)/Combo 규격을 따르는 SD/Combo 카드일 수도 있으며, 이밖에 PHI(Packet Handler Interface),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전파 수신부(215)는 안테나(205)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변조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을 추출하고, 추출한 TS 패킷을 테이터 처리부(220)에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TS 패킷들로부터 화면 표시 단위가 되는 액세스 유닛 정보, 즉 비디오 액세스 유닛 및 오디오 액세스 유닛을 추출하고 이를 접속부(225)에 전달한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처리부(220)는 복수의 TS 패킷을 조합하여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형성하고, PES 패킷들을 조합하여 SL(Synchronization Layer) 패킷을 구성한 후, SL 헤더(Header)를 제거함으로써, 액세스 유닛으로 구성된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을 추출한다.
다만, 전파 수신부(215)와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TS 패킷을 추출하거나, TS 패킷으로부터 ES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방송 기술 규격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접속부(225)는 일정한 클록 신호에 따라 액세스 유닛을 호스트 기기(230)로 송출한다. 클록 신호는 호스트 기기(230) 내의 클록 신호 생성부(235)에서 생성된 것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210) 내부에 별도의 클록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클록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부(225)는 각각의 프레임 단위의 동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신호(Frame Synchronization Signal)를 호스트 기기(230)로 송출하여 호스트 기기(230)가 방송 수신 장치(210)로부터 입력 받은 비디오 액세스 유닛 및 오디오 액세스 유닛을 프레임 단위로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트 기기(230)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비디오/오디오 처리부(240), 비디오 표시부(245), 스피커(250), 클록 신호 생성부(235) 및 방송 수신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입출력 단자(270, 272, 27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호스트 기기(23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된다 할 것이다.
호스트 기기(230)는 방송 수신장치(210)로부터 받은 비디오 액세스 유닛 및 오디오 액세스 유닛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210)는 내부에 프로그램 저장 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호스트 기기(230)에 방송 수신 장치(210)를 삽입하면, 방송의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방송의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호스트 기기(230)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는데, 각각의 프로그램을 방송 수신장치(210)에 포함된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하여, 각각의 호스트 기기(230)에 접속과 동시에 운영체제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210)는 인터페이스 포트(340)를 이용한 외부 저장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210)의 내부에는 각종 호스트 기기(230)에서 작업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미도시)가 포함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는 케이스(310), 안테나(320), 커버(330), 인테페이스 포트(Interface Port: 340),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350), 힌지(미도시) 및 외부 안테나 포트(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10)는 내부에 전파 수신부(215), 데이터 처리부(220), 및 접속부(225)를 포함하며, 외부에는 인터페이스 포트(340)가 삽입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350), 커버(330), 안테나(320) 및 외부 안테나 포트(370)를 포함하고 있다.
안테나(32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전파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310)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310) 밖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 안테나 포트(370)는 방송 전파의 수신 감도가 불량한 경우, 수신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부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310) 외부에 형성된다.
인터페이스 포트(34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와 호스트 기기(230)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포트(340)는 통상 호스트 기기(230)의 슬롯(미도시)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로 지원하는 USB 방식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한다.
다만, USB 방식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포트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SD/Combo 규격을 따르는 SD/Combo 카드로 할 수도 있으며,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PHI(Packet Handler Interface)등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포트(34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가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케이스(310)의 외부로 돌출되어야 하며,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케이스(3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터페이스 포트(340)는 케이스(310)와 힌지(미도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포트(340)는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0)의 외부로 돌출하거나 내부로 삽입되며,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커버(33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350)를 닫음 으로써, 인터페이스 포트(340)를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다만, 커버(330)의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슬라이딩 방식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슬라이딩 방식 외에도 힌지에 의한 여닫이 방식 등 인터페이스 포트(340)를 삽입 후 닫을 수 있는 구조는 어떠한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들의 사시도이다.
크레들(Cradle: 400)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를 지지하며, 인터페이스 포트(340)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인터페이스 포트(340)를 케이블(430)로 연장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크레들(400)은 인터페이스 슬롯(410), 수신장치 삽입구(420), 케이블(430), 및 제 2 인터페이스 포트(440)를 포함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슬롯(410)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포트(34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통상 호스트 기기에 포함된 슬롯(미도시)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인터페이스 포트(340)가 접속되어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장치(300)는 수신장치 삽입구(42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 된다.
케이블(430)은 일단이 인터페이스 슬롯(410)과 연결되며, 타단은 제 2 인터페이스 포트(440)와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포트(340)의 접속 범위를 확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를 호스트 기기(500)에 직접 삽입하여 사용한다.
호스트 기기(500)의 인터페이스 슬롯(미도시)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가 접속하기 용이한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직접 호스트 기기(50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의 연결을 위해 크레들(400)을 사용한다.
각각의 호스트 기기(600)에 따라 인터페이스 슬롯의 위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인터페이스 슬롯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의 직접 접속이 곤란한 곳에 형성이 되어있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장치(300)를 크레들(400) 위에 설치하고 케이블(430)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포트(440)를 호스트 기기(600)의 슬롯에 삽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구조로 결합된 인터페이스 포트를 포함하여, 휴대시 인터페이스 포트를 케이스의 인터페이스 포트 삽입구로 삽입한 후 커버로 닫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며 인터페이스 포트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장치 내부에서 TS 패킷을 ES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트 기기에서 ES 신호 변환으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송 수신장치 내부에 프로그램 저장 장치를 포함하여 호스트 기기에서 방송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어, 별도로 프로그램을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 포트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방송 수신장치를 크레들과 결합함으로써, 방송 수신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 범위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으로 변환하는 전파 수신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접속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구동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1020050096331A 2005-10-13 2005-10-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100654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331A KR100654762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331A KR100654762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762B1 true KR100654762B1 (ko) 2006-12-08

Family

ID=3773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331A KR100654762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7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1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US6380984B1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20100107260A1 (en) Devic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US20050227621A1 (en) Home network server, method for distributing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wireless terminal, home network system
US20050105007A1 (en) Interchangeable media input cartridge for home entertainment
CN105915306A (zh) 一种中国数字音频广播cdr接收终端及其实现方法
CN101658029A (zh) 用于从手持设备向计算机系统传送多媒体信号以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JP2004349932A (ja) デジタル放送の補完視聴サービスサーバ、携帯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補完視聴サービス方式
EP2166747A1 (en) A wireless mobile apparatus for receiving, decoding and retransmitting multistandard digital audio, video and data signals
KR10065476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404176Y1 (ko) Dmb 수신 단말
KR2006008290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재생 장치
EP1603263B1 (en) Wireless mobile device
KR20020014875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KR10073288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You et al. Integrated mobile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compliant with the T-DMB, CMMB, and ISDB-T standards
CN201248092Y (zh) 国标数字电视便携式接收装置
KR20050063215A (ko) Dmb 수신기
WO2007058067A1 (ja) 携帯通信端末、デジタル放送補完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補完システム
KR200402071Y1 (ko) 디엠비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WO2009115986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JP2007074671A (ja) Pid値検出回路、ストリームデータ受信機およびpid値検出方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KR200262879Y1 (ko) 탈ㆍ부착이 가능한 저장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방송 수신기
CN201430638Y (zh) 一种数字电视机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