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01B1 - Folding movable worktable - Google Patents

Folding movable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01B1
KR102250101B1 KR1020190124444A KR20190124444A KR102250101B1 KR 102250101 B1 KR102250101 B1 KR 102250101B1 KR 1020190124444 A KR1020190124444 A KR 1020190124444A KR 20190124444 A KR20190124444 A KR 20190124444A KR 102250101 B1 KR102250101 B1 KR 10225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horizontal frame
rope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1787A (en
Inventor
김성은
박용기
박효진
김보성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19012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01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은 중앙부에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설치대는 하단이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구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연결구는 로프설치대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로프설치대의 하단과 인접하면서 로프설치대가 회동하는 측에 제1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꽂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aerial workbench,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form of a bar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A support frame forming a, the elevator that is provided in the lifting space and is coupled to a vertical frame arranged to form a vertical shape among the frame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elevator in which the occupant rides inside, the elevator and the weight of the occupant Balance weight having a corresponding weigh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through a pulley provided i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be horizontal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mong the frames A rope and a rope mounting stand provided with a fixed rope passing through the elevator downward from an upp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elevator,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om the first horizontal frame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rame, the The first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having a'C' shape in a cross-section at the center, and the rope mounting base is hing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rope mounting base is vertically erected. At the time, it relates to a foldable aerial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ide where the rope mounting stand rotates while being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rope mounting stand.

Description

접이식 고소작업대{Folding movable worktable}Folding movable work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aerial workbench, and in particular, to a foldable aerial workbench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because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to a work space.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과 같은 대규모 주거단지, 다세대 등의 실내 전선공사 및 천장의 외장공사 등을 지속적으로 작업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기구이다. In general, the aerial workbench is an auxiliary device used to continuously work in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es such as apartments or row houses, indoor electric wire work for multi-family, and exterior work of ceilings.

종래 고소작업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소재의 파이프인 다수의 수직바(2)와 수평바(4)를 일정한 형상으로 용접 및 볼트결합하여 작업대(1)의 본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3)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한 캐스터(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고소작업대는 수직바에 끼워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를 적층시켜 사용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erial workbench forms the main body of the workbench 1 by welding and bolt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2 and horizontal bars 4, which are pipes made of metal, in a predetermined shape. Ladders 3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climb upwards, and movable casters 5 a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se conventional aerial work tables are u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fitted to vertical bars.

그러나, 종래 고소작업대는 상기 본체의 측면 측으로부터 사다리를 쥐고 발을 딛는 동작으로 올라가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공구나 작업시 사용할 자재 등을 가지고 올라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가 적층되엉 있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이 무방비상태로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erial workbench is inconvenient because it has to be lifted by holding a ladder and stepping on a step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for this reas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not climb with a work tool or materials to be used during work.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is exposed in a defenseless state when a plurality of them are stack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570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사다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고소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can proceed to work at height without requiring a ladder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107570 (hereinafter referred to as'cited invention') and secure the safety of workers. Suggested aerial workbench.

인용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프레임(10)에서 승강되는 승강프레임(30)과, 승강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과,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과, 승강수단(5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90)을 포함한다. The cited invention includes an elevating frame 30 that is elevated in an exterior frame 10 forming an exterior as shown in FIG. 2, an elevating means 5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30, and an elevating frame 30. It includes a fixing means (70) for fixing, and a power supply means (90) for providing power to the elevating means (50).

그러나, 인용발명은 승강프레임(30)이 올라갈 수 있는 최대높이까지 외관프레임(10)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바, 실외에서는 특별한 제한없이 이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이 가능하나, 높이제한이 있는 실내에서는 실내의 천장보다 높게 형성된 외관프레임으로 인해 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ited invention, the exterior frame 10 must be formed up to the maximum height at which the lifting frame 30 can be rai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due to the exterior frame formed higher tha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570호 '고소작업대'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7570'Elevation workbenc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접이식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foldable aerial workbench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laces because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접이식 고소작업대는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은 중앙부에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설치대는 하단이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구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연결구는 로프설치대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로프설치대의 하단과 인접하면서 로프설치대가 회동하는 측에 제1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꽂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dable aerial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forming a bar shape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elevation space inside, and is provided in the elevation space and arranged to form a vertical among the frames. The elevator that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the elevator in which the occupant rides inside, a balance weight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the occupan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and th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frame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rame and a balance rope with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through a pulley provided i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be horizontal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mong the frames, , A rope mounting stand provided with a fixed rope penetrating the elevator downward from an upp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elevator,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having a cross section of a'C' shape at the center. The rope mounting base is hing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first fixed to the side where the rope mounting base rotates while being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rope mounting base when the rope mounting base is erected vertic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is inserted through.

또한,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직교하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로프설치대가 하방으로 회동시 인접하는 제2 수평프레임에는, 외측을 향해 제2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프레임과 인접하는 로프설치대에는 제2 고정핀에 걸 수 있는 고정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disposed to b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djacent when the rope mounting stand is rotated downward, a second fixing pin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and adjacent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he rope mounting table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ring that can be hung on the second fixing pin.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승강기를 향하는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는 각 가장자리 하단부에 횡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구의 일측부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구의 일측부와 직교하는 타측부는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구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is coupled to one side of a guide sphere having a cross-section of a'a' shape at the lower end of each edge, and one side of the guide sphere The other orthogonal portion may b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hole may be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가이드구는 승강기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승강기가 최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가이드구가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is coupl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so that even if the elevator is positioned at the maximum height, the guide hole can b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를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자(탑승자)가 잡아당기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가 하방으로 회동가능하여, 본 발명인 접이식 고소작업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바, 작업공간으로 이동함에 있어 받는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본 발명의 로프설치대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승강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이동 후 설치가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pe installation stand equipped with a fixed rope pulled by a user (passenger) to elevate an elevator can be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height of the foldable aerial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wered. Restrictions to be received can be minimiz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to indoors as well as outdoors, and the rope mount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oved to the working space, can be rotated upward to make it easy to lift the elevator. It can be converted, so it is easy to install after moving.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적용되는 로프설치대가 회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에 적용되는 승강기가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erial workbench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erial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rope mounting table applied to the aerial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Figure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elevator applied to the aerial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본 발명에서는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의 작업공간으로의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은 중앙부에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설치대는 하단이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구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연결구는 로프설치대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로프설치대의 하단과 인접하면서 로프설치대가 회동하는 측에 제1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꽂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form of bars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elevating space inside so as to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to an indoor work space so that they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the elevating An elevator provided in the space and coupled to a vertical frame arranged to form a vertical one of the frames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an elevator in which an occupant rides inside, a balance weight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occupan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through a pulley provided i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be horizontal at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ram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upward from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includes a rope mounting stand provided with a fixed rope penetrating the elevator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elevator,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frame is a cross section at the center A connector forming the'C' shape is provided, and the lower end of the rope mounting base is hing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rope mounting base when the rope mounting base is vertically erected. While the rope mounting table proposes a folding aerial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so that the first fixing pin passes through the rotating sid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접이식 고소작업대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ors folding aerial workben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ttached thereto.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 승강기(200), 밸런스웨이트(300), 균형로프(20) 및 로프설치대(40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or's aerial work platform basically includes a support frame 100, an elevator 200, a balance weight 300, a balance rope 20, and a rope installation table 400 as shown in FIG. 2.

지지프레임(100)은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은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20)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수평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10)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면서 내측에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승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support frame 100, a plurality of frames forming a bar shape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elevating space inside. For example, the frame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20 disposed to be horizontal and a vertical frame 110 disposed to be vertical,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20 and 110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vating space forming a hexahedral shape on the inside.

승강기(200)는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200)도 지지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탑승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바닥은 막혀진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The elevator 200 is provided in the lifting space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so that the occupant can board the inside. In addition, the elevator 200, like the support frame 100, may have a plurality of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oarding space inside, and at this time, the floor is formed to form a closed state.

밸런스웨이트(300)는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진다. 즉, 승강기(200)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조절하게 된다. The balance weight 300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200 and the occupant. That is,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3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who boards the elevator 200.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는 상술한 승강기(200)가 상승할 때 밸런스웨이트(300)가 하강하고, 승강기(200)가 하강할 때 밸런스웨이트(300)가 상승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균형로프(20)는 승강기(200)와 밸런스웨이트(3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균형로프(20)는 일단이 승강기(200)의 하측에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120)에 구비되는 도르래(10)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300)에 연결된다. The present inventor's aerial workben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lance weight 300 descends when the above-described elevator 200 rises, and the balance weight 300 rises when the elevator 200 descends. (20) connects the elevator 200 and the balance weight 300. Specifically, the balance rope 2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200, and the other end through the pulley 10 provided i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120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0. It is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300.

로프설치대(400)는 수평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121)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승강기(200)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승강기(200)를 관통하는 고정로프(30)가 구비된다. 로프설치대(400)는 일 예로, 'ㄱ'자 또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의 끝단에 고정로프(30)가 하방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ope mounting table 400 is install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from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1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rame 120, and the elevator 20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to which the elevator 200 can ri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elevator ( A fixed rope 30 penetrating through 200 is provided. For example, the rope mounting table 400 may be formed in a'L' or'T' shape, so that the fixed rope 30 is provided downward at the end of the upper end.

이에 따라, 탑승자는 고정로프(30)를 파지하고 당김으로써 승강기(200)가 상승함과 동시에 밸런스웨이트(300)가 하강하며, 고정로프(30)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밸런스웨이트(300)가 상승함과 동시에 승강기(200)가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occupant grips and pulls the fixed rope 30 so that the elevator 200 rises and the balance weight 300 descends at the same time, and the balance weight 300 rises by releasing the grip of the fixed rope 30. At the same time, the elevator 200 slowly descends.

본 발명에서의 로프설치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프레임(121)에 힌기결정되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1 수평프레임(121)은 중앙부에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로프설치대(400)는 하단이 연결구(4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연결구(4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The rope mounting table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1 as shown in FIG. 3 and is provided to be rotatable downward.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1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41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C' at the center, and the rope mounting table 400 has a lower end positioned inside the connector 41 It may be hinged to the connector 41.

이처럼 로프설치대(40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바, 작업공간으로 이동함에 있어 받는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로프설치대(40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승강기(2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 후 설치가 용이하다. In this way, the rope mounting table 400 can be rotated downward to lower the height of the aerial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trictions imposed on moving to the work space can be minimiz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fter moving because the rope mounting table 400, which has been moved to the work space, can be easily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200 can be lifted by rotating upward.

또한, 연결구(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설치대(400)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로프설치대(400)의 하단과 인접하면서 로프설치대(400)가 회동하는 측에 제1 고정핀(42)이 관통하도록 꽂아질 수 있다. 따라서, 로프설치대(400)는 제1 고정핀(42)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41 is a first fixing pin ( 42) can be plugged through. Accordingly, the rope mounting table 400 can be firmly maintain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by the first fixing pin 42.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프레임(121)과 직교하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로프설치대(400)가 하방으로 회동시 인접하는 제2 수평프레임(122)에는 외측을 향해 제2 고정핀(51)이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평프레임(122)과 인접하는 로프설치대(400)에는 제2 고정핀(51)에 걸 수 있는 고정고리(5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프설치대(4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킨 후 고정고리(52)를 제2 고정핀(51)에 걸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로프설치대(400)가 상방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2 is disposed to b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21, and when the rope mounting table 400 is rotated downwar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2 is adjacent to the outside. The second fixing pin 51 may be protruded, and a fixing ring 52 that can be hooked on the second fixing pin 51 may be provided on the rope mounting table 400 adjacent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122. have. Accordingly, the user may prevent the rope mounting base 400 from rotating up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ope mounting base 400 downward and then hooking the fixing ring 52 on the second fixing pin 51.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프설치대(400)는 로프설치대(400)가 회동하는 반대측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고리(52)와 제2 고정핀(51)은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해 로프설치대(400)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고리(52)를 제2 고정핀(51)으로부터 분리 시 로프설치대(400)는 사익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수직상태를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ope mounting base 400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that acts on an elastic force toward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rope mounting base 400 rotates. At this time, the fixing ring 52 and the second fixing pin 51 can effectively prevent the rope mounting table 400 from being rotated up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and the fixing ring 52 is a second fixing pin. When separated from (51), the rope mounting table 400 is automatically in a vertical stat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our-wing spring.

한편, 지지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30)와, 바퀴(130)가 지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서 지지프레임(10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바닥스토퍼(14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support frame 10 includes a wheel 130 for moving the aerial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or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100 to the ground while the wheel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stopper 140 may be provided.

한편, 승강기(200)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함에 있어,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장자리 하단부에 횡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구(270)의 일측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110)은 승강기(200)를 향하는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200 is a guide tool 270 in which a cross section forms a'A' shape at the lower end of each edge as shown in FIG. 4 for stable movement when elevating and desc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10. ) May be coupled, and the vertical frame 110 may have a guide groove 11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the elevator 200.

이에 따라, 가이드구(270)의 일측부와 직교하는 타측부는 가이드홈(111)에 끼워져, 가이드구(270)가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기(200)가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서 흔들림없이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구(270)는 승강기(2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승강기(200)가 최대 높이에 위치할 시 가이드구(270)가 가이드홈(111)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승강기(200)가 최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ther side part orthogonal to one side of the guide hole 270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and the elevator 20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11 while the elevator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00 You can go up and down without shaking from the inside of. In addition, the guide sphere 270 is coupl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200, so that when the elevator 200 is positioned at the maximum height, the guide sphere 27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 Even if the elevator 200 is located at the maximum height, shaking is minimized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한편, 밸런스웨이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긴 판 형태로 이루어진 무게판(310)과, 긴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무게판(310)이 상측에 놓이고 균형로프(20)가 연결된 부양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양판(320)에는 상방향을 향해 끼움봉(321)이 형성되어, 끼움봉(321)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판(310)이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웨이트(300)가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무게판(310)의 개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balance weight 300 has a weight plate 310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has a long plate shape, and has a long plate shape, and the weight plate 31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a balance rope (20) 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320)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20 is provided with a fitting rod 321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at least one weight plate 310 may be fitted to the fitting rod 321. Therefore, the number of weight plates 31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balance weight 300 can have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200 and the occupant.

여기에, 다양한 몸무게를 가지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달려져야 하는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보다 손쉽게 형성하고자, 밸런스웨이트(30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끼움봉(321)에 끼워지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추가무게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가무게판(330)은 무게판(310)보다 적은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세밀하게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more easily form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300 that must be ru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assengers having various weights, the balance weight 300 is mad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is attached to the fitting rod 321 I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weight plate 330 that is fitted and provided with a handle. At this time, the additional weight plate 3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eight less than that of the weight plate 310, and thus, the weight of the balance weight 300 can be precis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ccupant.

이러한 밸런스웨이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밸런스가이드대(5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가이드대(500)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로프(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부앙판(320)에는 지지로프(70)가 관통되면서 무게판(3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유도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런스웨이트(300)는 승하강함에 있어, 지지로프(7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유도구(322)에 의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balance weight 300 may be moved vertically along a balance guide plate 500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rope 70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lance guide table 500, and the support rope 70 penetrates through the buoyant plate 320 and the weight plate 310 is A moving oil tool 322 located on the outside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balance weight 300 can be stably moved while minimizing shaking by the movement guiding tool 322 moving along the support rope 70 during elevating and descen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the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ich is a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yone who has i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substrates. Therefo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10 : 도르래 20 : 균형로프
30 : 고정로프 41 : 연결구
61 : 제1 체인
62 : 제2 체인 70 : 지지로프
100 : 지지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30 : 바퀴
10: pulley 20: balance rope
30: fixed rope 41: connector
61: first chain
62: second chain 70: support rope
100: support frame 110: vertical frame
130: wheel

Claims (4)

바(bar)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내측에 승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승강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중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중 지지프레임의 상단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밸런스웨이트에 연결되는 균형로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승강기를 관통하는 고정로프가 구비된 로프설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은 중앙부에 횡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설치대는 하단이 상기 연결구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연결구에 힌지결합되되,
상기 연결구는 로프설치대가 수직으로 세워질 시, 로프설치대의 하단과 인접하면서 로프설치대가 회동하는 측에 제1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꽂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
A support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forming a bar shape are interconnected to form an elevating space inside;
An elevator provided in the lifting space and coupled to a vertical frame arranged vertically among the frame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and in which the occupant rides inside;
A balance weight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the occupant;
A balance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through a pulley provided in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be horizontal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mong the frames; And
Including; a first horizontal frame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rame,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upward, and provided with a fixed rope passing through the elevator downward from the upper end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elevator; including;
The first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form of a'C' shape in the central portion,
The rope mounting base is hing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connector,
The connector is a foldable aerial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ope mounting stand is vertically erected, the first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ide where the rope mounting stand rotates while being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rope mounting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직교하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로프설치대가 하방으로 회동시 인접하는 제2 수평프레임에는, 외측을 향해 제2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프레임과 인접하는 로프설치대에는 제2 고정핀에 걸 수 있는 고정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In a second horizontal frame that is disposed to b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adjacent when the rope mounting stand is rotated downward, a second fixing pi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utside,
Foldable aerial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pe mounting base adjacent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that can be hung on the second fixing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승강기를 향하는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기는 각 가장자리 하단부에 횡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구의 일측부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구의 일측부와 직교하는 타측부는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구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fram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the elevator,
The elevator is coupled to one side of a guide sphere having a cross-section of a'ㄱ' shape at the lower end of each edge,
A foldable aerial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part orthogonal to one side of the guide tool is fitted into a guide groove, and the guide tool is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는 승강기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승강기가 최대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가이드구가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고소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tool is coupl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and the guide tool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even when the elevator is positioned at a maximum height.
KR1020190124444A 2019-10-08 2019-10-08 Folding movable worktable KR102250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44A KR102250101B1 (en) 2019-10-08 2019-10-08 Folding movable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444A KR102250101B1 (en) 2019-10-08 2019-10-08 Folding movable work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87A KR20210041787A (en) 2021-04-16
KR102250101B1 true KR102250101B1 (en) 2021-05-07

Family

ID=7574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444A KR102250101B1 (en) 2019-10-08 2019-10-08 Folding movable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10Y1 (en) 2001-09-06 2001-12-01 안영각 Automatic lifting type loading apparatus
KR100954807B1 (en)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Transport lift
KR101929476B1 (en) 2017-07-06 2018-12-14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084U (en) * 1989-11-30 1991-08-01
KR100436247B1 (en) * 2003-10-21 2004-06-12 박동규 Lift apparatus combined movable high position work plate for indoor work capable of operating electric power
KR101168089B1 (en) 2010-03-25 2012-07-24 권혁숭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KR20140010249A (en) * 2012-07-16 2014-01-24 이용기 Self-movable lift platform
KR101663892B1 (en) * 2015-03-13 2016-10-07 이상면 Vertical and horizontal moving wel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10Y1 (en) 2001-09-06 2001-12-01 안영각 Automatic lifting type loading apparatus
KR100954807B1 (en)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Transport lift
KR101929476B1 (en) 2017-07-06 2018-12-14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708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87A (en)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751B2 (en) Elevator lifting device and elevator lifting method
KR102250104B1 (en)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using balance weight
JP2015217990A (en) Elevator car
KR102426503B1 (en)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KR20110002524A (en) Working cage apparatus for construc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JP6422570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2250079B1 (en)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that automatically supported on the ground
KR102250101B1 (en) Folding movable worktable
JP2009057198A (en) Elevator car, assembly method of elevator car, and lifting tool
JP2019104592A (en) Gondola for work
KR101538893B1 (en)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WO2005007551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H0734069Y2 (en) Lifting device for car or counterweight in elevator
JP5581476B2 (en) Lifting type moving scaffold
JP6382391B1 (en) Elevator counterweight frame reinforcement support device and elevator balance weight frame reinforcement mounting method
JP2002020051A (en) Working floor device in pit for elevator
KR20160089058A (en) Method Of Electric Powered Multistage Work Platform
KR101769041B1 (en) A going up and down worktable for work scaffold and concrete mold system comprising the same
WO2021192129A1 (en) Pit ladder device for elevator
JP2019099301A (en) Inspection workbench and elevator device
CN211466994U (en) Indoor decoration ceiling drilling equipment
KR102411924B1 (en) 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JP7343053B2 (en) Work floor equipment for elevator installation
KR102609173B1 (en) High place operation tower and high place operation tower assembly having the same
JP4249006B2 (en) Mobile work floor for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