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76B1 -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 Google Patents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76B1
KR101929476B1 KR1020170086125A KR20170086125A KR101929476B1 KR 101929476 B1 KR101929476 B1 KR 101929476B1 KR 1020170086125 A KR1020170086125 A KR 1020170086125A KR 20170086125 A KR20170086125 A KR 20170086125A KR 101929476 B1 KR101929476 B1 KR 10192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heave
coupled
hoist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휘숙
Original Assignee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a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ge lopsidedness is prevented even if an eccentric load is applied to a cage as a result of earth and sand or building material concentration on one side of a vehicle. As a result, with the car lift, tilting of a cage for elevating passage stricture can be prevented. The ca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 portion including a drive motor, a speed reducer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front and rear rotary shafts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speed reducer, front and rear wire drum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otary shafts, front and rear take-up sieve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nd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 cage positioned in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nd elevated by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a count weight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g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and elev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age; and an eccentric load suppressing wire rope supporting the cage with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count weight.

Description

케이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카 리프트{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lift which prevents tilting of a c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케이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car lift capable of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cage.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토목 공사용 카리프트는 드럼에 다수회 권취된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차량이 실리는 케이지(cage)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Generally, a car lift for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uses a wire rope wound on a drum several times so that a cage on which a vehicle is loaded is vertically elevated.

이러한 카리프트는 토사나 건축 자재가 실린 차량을 승강시켜야 하므로, 상당한 하중을 견디어야 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실린 토사나 건축 자재가 일측에 집중되어 케이지에 편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도, 케이지가 승강 통로에 협착되어 정지되지 않아야 한다.Such a car lift has to withstand a considerable load since a vehicle carrying a tobacco or building material must be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a toe or building material placed on a vehicle is concentrated on one side and an unbalanced load is applied to the cage, And it should not be stopped.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not constituting the prior ar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8229호(2008.06.0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8229 (2008.06.09)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에 토사나 건축 자재가 일측에 집중되어 케이지에 편하중이 걸린다고 해도, 케이지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하여 승강 통로에 협착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카 리프트를 제공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r which can prevent inclination of the cage so that the cage is not tilted to one side so that the cage is not stuck in the elevation passage even if the car or the building material is concentrated on one side, Lifts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양측으로 연장된 전,후방 회전축, 상기 전,후방 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전,후방 와이어 드럼,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전,후방 테이크업 시브 및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에 각각 결합된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트부;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에 각각 결합되어 승강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카운트 웨이트; 및, 일단은 상기 케이지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지를 지지하는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 lift includes a driving motor, a speed reducer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ront and rear rotation shaft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reduction gear, front and rear wire drum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otation shafts, A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respectively, and front and rear take-up sheave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rear wire drums; A cage positioned below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n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respectively; A counting weight located at a side of the cag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and elev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ge; And an offset load restraining wire rope whose one end is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ag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ount weight to support the cage.

상기 케이지는 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1,2시브, 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1,2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에 결합되고, 상기 편하중 억제 와어어 로프는 전방 제1시브 및 측부 제1시브를 통해 일단이 상기 케이지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와, 후방 제2시브 및 측부 제2시브를 통해 일단이 상기 케이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hoist wire rop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in front of the cage, and the front and the rear shea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rear hoist wire rope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rearwardly of the cage, the deflection loader rope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front of the cage through the front first sheave and the side first sheave, A forward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coupled to the count weight and a rear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ear of the cag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 weight via a rear second sheave and a second side sheave can do.

상기 전방 제1시브, 측부 제1시브, 후방 제2시브 및 측부 제2시브는 상기 호이스트부를 탑재하고 있는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ront first sheave, the side first sheave, the rear second sheave, and the side second sheave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hoist portion is mounted.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에 결합된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와, 상기 전방 제1시브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가 삼각 형태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에 결합된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와, 상기 후방 제2시브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가 삼각 형태일 수 있다.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in front of the cage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ont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coupled to the front first sheave are triangula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age rear sheaths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coupled to the rear second sheave may be triangular.

상기 케이지는 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1,2시브,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3시브, 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1,2시브,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3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지 전방 제1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된 후 상기 케이지 전방 제3시브의 상부 외경면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케이지 전방 제2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지 후방 제1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된 후 상기 케이지 후방 제3시브의 상부 외경면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케이지 후방 제2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cage includes a first cage first sheave disposed forwardly of the first cage, a third cube forward sheav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first sheave, a first cage rear sheave disposed behind the cage, Wherein the front hoist wire rope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first sheave, And the rear hoist wire rope extends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ag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second sheav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age rear third sheave and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rear second sheave, Lt; / RTI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에 토사나 건축 자재가 일측에 집중되어 케이지에 편하중이 걸린다고 해도, 케이지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하여 승강 통로에 협착되지 않도록 하는 카리프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케이지를 상부에서 6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전방에서 3점 지지 및 후방에서 3점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진출입시 케이지가 흔들리지 않는 카 리프트를 제공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ar lift that prevents the cage from being tilted to one side so that it is not stuck in the elevator passageway, even if the vehicle or building material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nd an unbalanced load is applied to the cage.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ar lift in which the cage is not shaken at the time of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by supporting the cage in a six-point support manner from the top (three points from the front and three points from the rear).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주요 와이어 로프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주요 와이어 로프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주요 와이어 로프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 중에서 케이지와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 사이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Fig. 1A is a front view showing a car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ate of a main wire rope.
FIG. 2A is a side view showing a car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ate of a main wire rope.
FIG. 3A is a plan view showing a car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ate of a main wire rope.
FIGS. 4A through 4C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age and a hoist wire rope in a car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connected "mean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nd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indirectly connected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 and / or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the said form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related to space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But may be utilized for an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s related to such a space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various process state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of the drawing is inverted, the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lower" or "below" will be "upper" or "above." Thus, "lower"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lower ".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주요 와이어 로프(110a,140a)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10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주요 와이어 로프(140a,140b)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1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주요 와이어 로프(140a,140b)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A is a front view showing a car lif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main wire ropes 110a and 140a, FIG. 3B is a side view showing a car lift 1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ate of main wire ropes 140a and 140b. FIG.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main wire ropes 140a and 140b.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리프트(100)는 호이스트부(110), 케이지(120), 카운트 웨이트(130) 및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140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리프트(100)는 상기 호이스트부(11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50)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호이스트부(110)와 케이지(120) 및 카운트 웨이트(130)는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를 통해서 연결되고, 또한 케이지(120)와 카운트 웨이트(130)는 전,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140b)를 통해 연결된다.1A to 3B, a car lif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 portion 110, a cage 120, a count weight 130, and an offset load suppression wire rope 140a and 140b. . Further, the car lif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150 for supporting the hoist part 110 and the like. The hoist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cage 120 and the count weight 130 through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and the cage 120 and the count weight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And are connected through the rear deflector restraining wire ropes 140a and 140b.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구동 모터(111), 브레이크(112), 감속기(113), 한 쌍의 회전축(114a,114b), 한 쌍의 와이어 드럼(115a,115b), 한 쌍의 테이크업 시브(116a,116b), 한 쌍의 제 1 가이드 시브(117,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전방 제 1 가이드 시브만이 명확하게 도시됨)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 시브(118, 도 1a 및 도 1b에서는 전방 제 2 가이드 시브만이 명확하게 도시됨)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회전축(114a,114b), 한 쌍의 와이어 드럼(115a,115b), 한 쌍의 테이크업 시브(116a,116b), 한 쌍의 제 1 가이드 시브(117) 및 한 쌍의 제 2 가이드 시브(118)는 구동 모터(111), 브레이크(112) 및 감속기(113)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The hoist part 110 includes a driving motor 111, a brake 112, a speed reducer 113, a pair of rotating shafts 114a and 114b, a pair of wire drums 115a and 115b, A pair of first guide sheaves 117 (only the front first guide sheave is clearly shown in Figs. 1A and 1B) and a pair of second guide sheaves 118 (Figs. 1A and 1B Only the front second guide sheave is clearly shown). Here, a pair of rotation shafts 114a and 114b, a pair of wire drums 115a and 115b, a pair of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a pair of first guide sheaves 117, The two guide sheaves 118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drive motor 111, the brake 112 and the speed reducer 113.

상기 구동 모터(111)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이 회전함에 따라, 케이지(120) 및 카운트 웨이트(130)가 상승(또는 하강) 또는 하강(또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감속기(113)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회전수를 감속 또는 가속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112)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111 may rotate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s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rotate, the cage 120 and the count weight 130 rise (or fall) or fall (or rise). The speed reducer 113 may decelerate or accelerat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 brake 112 may stop the rotation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상기 호이스트부(110)는 지지부(150)의 상부 프레임(15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51)의 중앙에는 구동 모터(111), 브레이크(112) 및 감속기(113)가 일렬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4a,114b)은 감속기(113)를 중심으로 상호간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부 프레임(151)에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은 상기 회전축(114a,114b)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The hoist par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51 of the support part 150. Specifically, a drive motor 111, a brake 112, and a speed reducer 113 are installed in a row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51. The rotation shafts 114a and 114b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eduction gear 113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51.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rotating shafts 114a and 114b, respectively.

더불어, 상기 테이크업 시브(116a,116b)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크업 시브(116a,116b)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과 테이크업 시브(116a,116b) 사이에는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만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공간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가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에 접촉하는 부분을 와이어 드럼(115a,115b)의 중심과 연결하면 부채꼴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의 중심각은 약 340도이다. 즉,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가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에 접촉하는 면적은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전체 원둘레의 약 0.94배이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크업 시브(116a,116b)가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며 맞물리게 설치됨으로써, 와이어 드럼(115a,115b)에 대한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의 마찰 면적이 커지고, 이에 따라 와이어 드럼(115a,115b)에 대한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의 마찰력이 커진다. 따라서,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회전 시 와이어 드럼(115a,115b)으로부터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크업 시브(116a,116b)가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며 맞물리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토크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은 케이지(120)를 빠른 속도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are installed below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refore, onl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so that only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can pass. When the portions of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contacting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re connected to the centers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 fan shape is formed, and a central angle of the fan shape is about 340 . That is, the contact area of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with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is about 0.94 times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are vertically overlapped and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so that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of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The frictional force of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with respect to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is increased. Therefore,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do not slip from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when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rotate. In addition,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are vertically overlapped and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so that the torque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is increased. Therefore,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can move the cage 120 at a high speed.

상기 제 1 가이드 시브(117)와 제 2 가이드 시브(118)는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과 후술되는 웨이트 시브(131a,131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에는 테이크업 시브(116a,116b)가 설치되고, 상기 테이크업 시브(116a,116b)의 측부에는 제 1 가이드 시브(117) 및 제 2 가이드 시브(118)가 차례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시브(117)의 측부에는 웨이트 시브(131a,131b)가 설치된다. 상기 제 1,2 가이드 시브(117,118)는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를 테이크업 시브(116a,116b)에서 웨이트 시브(131a,131b)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 1,2 가이드 시브(117,118)가 와이어 드럼(115a,115b)의 측부에 설치되고, 제 1,2 가이드 시브(117,118)의 측부에 웨이트 시브(131a,131b)가 설치됨으로써, 카운트 웨이트(130)가 케이지(120)의 측부에 위치된 채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The first guide sheave 117 and the second guide sheave 118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described below. Up sheaves 116a and 116b are provided below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a first guide sheave 117 and a second guide sheave 118 ar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take- Respectively.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sheave 117. [ The first and second guide sheaves 117 and 118 guide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from the take-up sheaves 116a and 116b to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In this manner, the first and second guide sheaves 117 and 118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ar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heaves 117 and 118, The weight 130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cage 12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is smoothly performed.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51)에는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가 고정되는 고정부(119)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19)는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119a)와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의 타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119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고정부(119a)는 제 1 가이드 시브(117)와 제 2 가이드 시브(118)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고정부(119b)는 웨이트 시브(131a,131b)의 상부에 위치한다. Further, the upper frame 151 is further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119 to which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are fixed. The fixing portion 119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119a to which one end of the hoist wire rope 110a or 110b is fixed and a second fixing portion 119b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hoist wire rope 110a or 110b is fixed, . The first fixing portion 119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guide sheave 117 and the second guide sheave 118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19b is located above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더불어, 상기 고정부(119)에는 로드 셀(L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 셀(LC)은 복수의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의 셀은 복수의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로드 셀(LC)은 상기 케이지(120)의 무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 셀(LC)은 복수의 셀 각각에서 측정되는 무게로부터 케이지(120)의 총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드 셀(LC)이 측정한 케이지(120)의 무게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브레이크(112)가 작동하여 와이어 드럼(115a,115b)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 셀(LC)은 케이지(120)의 무게 편심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 셀(LC)은 복수의 셀 각각에서 측정되는 무게가 서로 다르면, 케이지(120)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려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셀 각각에서 측정되는 무게가 서로 다르면, 브레이크(112)가 작동하여 와이어 드럼(115a,115b)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In addition, a load cell LC is provided in the fixing portion 119. The load cell L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plurality of cell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respectively. The load cell LC senses the weight of the cage 120. Specifically, the load cell LC can sense the total weight of the cage 120 from the weight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For example, when the weight of the cage 120 measured by the load cell LC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brake 112 may be actuat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 load cell LC senses the eccentricity of the weight of the cage 120. Specifically, when the weights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oad cell LC can detect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120 is directed toward one side. For example, if the weights measu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rake 112 may operat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상기 케이지(120)는 와이어 드럼(115a,115b)과 이격되어 와이어 드럼(115a,115b)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지(120)에는 차량 및 사람이 탑승하며, 상부에는 케이지 전,후방 시브(121a,121b,122a,12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 시브는 상기 케이지(120)의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 총 4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케이지 시브는 케이지의 전방에 설치된 한쌍의 케이지 전방 시브(121a,121b), 케이지의 후방에 설치된 한쌍의 케이지 후방 시브(122a,122b)를 포함한다.(도 3b 참조) 여기서, 전방의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는 와이어 드럼(115a)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케이지(120)의 전방에 위치한 2개의 케이지 전방 시브(121a,121b)에 결합된다. 또한, 후방의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b)는 와이어 드럼(115b)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케이지(120)의 후방에 위치한 2개의 케이지 후방 시브(122a,122b)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120)는 상기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에 안정적으로 매달려 있게 된다. 만약, 케이지 시브가 케이지(12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만 설치되어 있으면, 차량 또는 사람이 케이지(120)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쏠림에 따라 케이지(120)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케이지(120)의 전,후방에 케이지 시브가 각각 2개씩(총 4개) 설치되어(즉, 케이지의 모서리에 케이지 시브가 하나씩 설치되어), 케이지(120)가 기울어지지 않고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에 안정적으로 매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120)는 와이어 드럼(115a,115b)의 구동에 따라 승강한다. The cage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installed below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The cage 120 is loaded with a vehicle and a person, and the cage front and rear sheaves 121a, 121b, 122a and 122b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he cage sheave is formed in front of the cage 120, two at the rear and two at the rear. That is, the cage sheave includes a pair of cage front sheaves 121a and 121b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ge, and a pair of cage rear sheaves 122a and 122b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ge. (See Fig. 3b) The hoist wire rope 110a descends vertically from the wire drum 115a and is coupled to the two cage forward sheaves 121a and 121b located in front of the cage 120. [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also falls vertically from the wire drum 115b and is coupled to two cage rear sheaves 122a and 122b located behind the cage 120. [ Accordingly, the cage 120 is stably suspended on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If only one cage sheave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age 120, the cage 120 is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as the vehicle or the person moves toward the front or back of the cage 1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cage sheaves (four in total)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ge 120 (that is, one cage sheave is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cage), and the cage 120 is not tilted And can stably hang on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Also, the cage 12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는 케이지(1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시브(118)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카운트 웨이트(130)는 케이지(120)의 승강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며, 상부에 웨이트 시브(131a,131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는 제 2 가이드 시브(118)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웨이트 시브(131a,131b)에 직접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는 와이어 드럼(115a,115b)의 구동에 따라 승강하며, 특히 케이지(120)의 승강 방향과 반대로 움직임으로써 무게 균형을 유지한다. 더불어,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는 구동 모터(111)의 전력을 약 50%로 절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가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를 통해 케이지(1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는 상기 케이지(120)의 무게를 분산시키며, 상기 케이지(120)를 승강시키는 구동 모터(111)의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실린 케이지(120)의 무게가 약 50톤 정도라면, 상기 구동 모터(111)는 약 50톤의 무게를 갖는 케이지(120)를 승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카운트 웨이트(130)에 의해 약 25톤의 무게를 갖는 케이지(120)를 승강시키면 된다. The count weight 13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cage 120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guide sheave 118. The count weight 130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age 120, and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Here,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descen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econd guide sheave 118 and are directly coupled to the weight sheaves 131a and 131b. Therefore, the counting weight 13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ire drums 115a and 115b, and in particular, moves counterclockwise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age 120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weight. In addition, the count weight 130 serves to reduce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11 to about 50%. That is, since the count weight 130 is connected to the cage 120 via the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the count weight 130 disperses the weight of the cage 120,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11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rive motor 111 can be reduced. For example, if the weight of the cage 120 loaded with the vehicle is about 50 tons, the drive motor 111 does not raise or lower the cage 120 having a weight of about 50 tons, The cage 120 having a weight of about 25 tons may be raised or lowered.

상기 지지부(150)는 상부 프레임(151), 수직 지지대(152) 및 미들 프레임(15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51)에는 호이스트부(110)가 설치되고, 미들 프레임(152)에는 하기할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140b)를 위한 전방 제1시브(141a), 측부 제1시브(142a), 후방 제2시브(141b), 측부 제2시브(142b)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 지지대(152)는 상기 상부 프레임(151) 및 미들 프레임(1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51) 및 미들 프레임(152)을 지지한다. 상기 수직 지지대(152)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150 includes an upper frame 151, a vertical support 152, and a middle frame 152. The upper frame 151 is provided with a hoist portion 110 and the middle frame 152 is provided with a front first sheave 141a and a side first sheave 142a for the load limiting ropes 140a and 140b, A rear second sheave 141b, and a side second sheave 142b. The vertical support 152 is installed under the upper frame 151 and the middle frame 152 to support the upper frame 151 and the middle frame 152. The vertical support 152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편하중 억제 와이어 와이어 로프는, 대략적으로, 일단이 케이지(120)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카운트 웨이트(130)에 각각 고정되어 케이지(120)의 전,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형태를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restraining wire wire rope is roughly one e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age 12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count weight 130 so a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age 120 respectively .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우선, 케이지(1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에 상호간 이격된 케이지 전방 제1,2시브(121a,121b)가 설치되고, 후방에 상호간 이격된 케이지 후방 제1,2시브(122a,122b)가 설치되며,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가 케이지 전방 제1,2시브(121a,121b)에 대략 U자 형태로 결합되고,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b)가 케이지 후방 제1,2시브(122a,122b)에 대략 U자 형태로 결합된다. 즉, 케이지(120)는 전,후방에서 각각 4점 지지 형태로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한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cage 120 is provided with cage forward first and second sheaves 121a and 121b spaced forward from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sheaves 122a and 122b The front hoist wire rope 110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21a and 121b in front of the cage in a substantially U shape and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22a, 122b. That is, the cage 120 is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in a four-point support form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여기서, 편하중 억제 와어어 로프는 전방 제1시브(141a) 및 측부 제1시브(142a)를 통해 일단이 케이지(120)의 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이 카운트 웨이트(130)의 상단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를 포함한다. 또한,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는 후방 제2시브(141b) 및 측부 제2시브(142b)를 통해 일단이 케이지(120)의 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이 카운트 웨이트(130)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b)를 포함한다.Here, the overload restraining rope is connect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cage 120 via the front first sheave 141a and the side first sheave 142a,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nt weight 130 Forward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140a. The load relief wire rope is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of the cage 120 via the rear second sheave 141b and the side second sheave 142b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unt weight 130 Suppression wire rope 140b.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제1시브(141a), 측부 제1시브(142a), 후방 제2시브(141b) 및 측부 제2시브(142b)는 호이스트부(110)를 탑재하고 있는 상부 프레임(151)의 하부에 설치된 미들 프레임(153)에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first sheave 141a, the side first sheave 142a, the rear second sheave 141b, and the side second sheave 142b are fixed to the upper frame 151 In the lower frame.

이와 같이 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지 전방 제1,2시브(121a,121b)에 결합된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의 수직 위치와, 전방 제1시브(141a)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의 수직 위치가 대략 삼각 형태를 한다. 즉, 케이지(120)의 대략 전방 영역은 3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된다. In this wa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110a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21a and 121b in front of the cage in a plan view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110a coupled to the forward first load relief wire 141a coupled to the front first sheave 141a,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ope 140a is approximately triangular. That is, the substantially forward region of the cage 120 is supported in a three-point support manner.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케이지 후방 제1,2시브(122a,122b)에 결합된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b)의 수직 위치와, 후방 제2시브(141b)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b)의 수직 위치가 대략 삼각 형태를 한다. 즉, 케이지(120)의 대략 후방 영역 역시 3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된다.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22a and 122b at the rear of the cage as viewed in pla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coupled to the rear second sheave 141b 140b are approximately triangular in shape. That is, the substantially rear region of the cage 120 is also supported in a three-point support manner.

따라서, 케이지(1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총 6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110b)에 의해 케이지(120)의 4점(전방 2점, 후방 2점)이 지지되고, 전,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140b)에 의해 2점(전방 1점, 후방 1점)이 지지된다.Thus, the cage 120 is supported in a total six-point support manner when viewed in plan. In other words, four points (forward two points and rear two points) of the cage 120 are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and the front and rear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s 140a and 140b are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110a and 110b, (1 forward point, 1 rearward point) are supported by the two points.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차량에 토사나 건축 자재가 일측에 집중되어 케이지(120)에 편하중이 걸린다고 해도, 케이지(120)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하여 승강 통로에 협착되지 않도록 하는 카리프트(100)를 제공한다. 더욱이, 케이지(110)에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출할 때, 케이지(110)의 흔들림이 없는 카리프트(100)를 제공한다.Accordingl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vehicle or building material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nd a load is applied to the cage 120, the cage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ilted to one side, Thereby providing a lift 100. Furthermore, when the vehicle enters or advances into the cage 110, the car lift 100 is provided with no shaking of the cage 110. [

특히,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지 전방 제1시브(121a)와 전방 제2시브(121b) 사이에 결합된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방 제1시브(141a) 및 측부 제1시부(142a) 사이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는 상호간 평행하거나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이룬다. 즉,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a)의 길이 방향과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의 길이 방향은 대략 100도 내지 170도, 또는 1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룬다.3A and 3B, the front first sheave 141a and the second sheave 14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110a coupled between the cage forward first sheave 121a and the front second sheave 121b, And the front side load limiting rope 140a coupled between the side first arm portion 142a and the side first arm portion 142a are parallel or non-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110a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ward offset load suppression wire rope 140a are approximately 100 degrees to 170 degrees, or 10 degrees to 80 degrees.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지 후방 제1시브(122a)와 후방 제2시브(122b) 사이에 결합된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후방 제1시브(142a) 및 측부 제2시브(142b) 사이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b)는 상호간 평행하거나 직각이 아닌 각도를 이룬다. 즉,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110b)의 길이 방향과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b)의 길이 방향은 대략 100도 내지 170도, 또는 1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룬다.3A and 3B,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coupled between the cage rear first sheave 122a and the rear second sheave 122b, the rear first sheave 142a And the rear deflector restraining wire rope 140b coupled between the second side sheave 142b and the second side sheave 142b are parallel or non-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110b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deflection-restraining wire rope 140b are approximately 100 degrees to 170 degrees, or 10 degrees to 80 degrees.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120)는 대략 전방에서 3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되고, 대략 후방에서 3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되어, 총 6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된다.With such a structure, the cag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in a three-point supporting manner from a substantially front side, and is supported in a three-point supporting manner in a substantially rear direction.

한편, 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와이어 드럼(115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지(120)가 상승하고 카운트 웨이트(130)는 하강하며, 와이어 드럼(115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지(120)가 하강하고 카운트 웨이트(130)는 상승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drum 115a rotates clockwise on the basis of FIGS. 1A and 1B, the cage 120 rises and the count weight 130 descends. When the wire drum 115a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cage 120 is lowered and the count weight 130 is raised.

이때,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a)는 케이지(120), 전방 제1시브(141a), 측부 제1시브(142a) 및 카운트 웨이트(130) 사이에 연결된 채, 케이지(120)의 편하중 및 흔들림을 억제하도록 한다. 또한,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140b)는 케이지(120), 후방 제2시브(141b), 측부 제2시브(142b) 및 카운트 웨이트(130) 사이에 연결된 채, 케이지(120)의 편하중 및 흔들림을 억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ccentric load restraining wire rope 140a is connected between the cage 120, the front first sheave 141a, the side first sheave 142a, and the count weight 130, Thereby suppressing the shaking. The load relief wire rope 140b is also connected between the cage 120, the rear second sheave 141b, the side second sheave 142b and the count weight 130, Thereby suppressing the shaking.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 중에서 케이지와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 사이의 결선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FIGS. 4A through 4C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age and a hoist wire rope in a car lif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지(220)의 흔들림이나 기울어짐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220)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케이지 시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4A-4C,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rther cage sheav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ge 220 to more aggressively prevent the cage 220 from rocking or tilting .

즉, 케이지(220)의 상부 전방에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1시브(221a)와 케이지 전방 제2시브(221b) 사이에 케이지 전방 제3시브(221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a)는, 예를 들면, 케이지 전방 제1시브(221a)의 하부 외경면에 결합된 후, 케이지 전방 제3시브(221c)의 상부 외경면에 결합되며, 이어서 케이지 전방 제2시브(221b)의 하부 외경면에 결합되 상부로 향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a)는 대략 "W" 형태로 케이지 전방 제1시브(221a), 케이지 전방 제3시브(221c), 케이지 전방 제2시브(221b)에 결합된다.That is, a cage forward third sheave 221c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ge forward sheave 221a and the cage forward second sheave 221b provided i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cage 220. Thus, the front hoist wire rope 210a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first sheave 221a, And then coupl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second sheave 221b and directed upward. In other words, the front hoist wire rope 210a is coupled to the cage forward first sheave 221a, the cage forward third sheave 221c, and the cage forward second sheave 221b in a substantially "W"

더불어, 케이지(22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1시브(222a)와 케이지 후방 제2시브(222b) 사이에 케이지 후방 제3시브(222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b)는, 예를 들면, 케이지 후방 제1시브(222a)의 하부 외경면에 결합된 후, 케이지 후방 제3시브(222c)의 상부 외경면에 결합되며, 이어서 케이지 후방 제2시브(222b)의 하부 외경면에 결합되 상부로 향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b)는 대략 "W" 형태로 케이지 후방 제1시브(222a), 케이지 후방 제3시브(222c), 케이지 후방 제2시브(222b)에 결합된다.In addition, a third rear sheave cage 222c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ge rear sheave 222a and the second cage rear sheave 222b dispos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cage 220. [ Thus, the rear hoist wire rope 210b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rear first sheave 222a, for example, And then coupled to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rear second sheave 222b and directed upward. In other words, the hoist wire rope 210b is coupled to the cage rear first sheave 222a, the cage rear third sheave 222c, and the cage rear second sheave 222b in a substantially "W" shap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지(220)의 상부 전방과 케이지(220)의 상부 후방에서 각각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a)와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210b) 사이의 결합 면적 또는 마찰 면적이 더욱 커짐으로써, 케이지(220)의 흔들림이나 기울임 현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된다.Th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engagement between the front hoist wire rope 210a and the rear hoist wire rope 210b at the top front of the cage 220 and at the top rear of the cage 220, By further increasing the friction area, the rocking or tilting phenomenon of the cage 220 is more positively prevented.

여기서,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uch an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리프트
110: 호이스트부 110a, 110b;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
111: 구동 모터 112: 브레이크
113: 감속기 114a,114b: 회전축
115a,115b: 와이어 드럼 116a,116b: 테이크업 시브
117: 제 1 가이드 시브 118: 제 2 가이드 시브
119: 고정부 120: 케이지
121a,121b: 케이지 전방 제1,2시브
122a,122b: 케이지 후방 제1,2시브
130: 카운트 웨이트 131a,131b: 웨이트 시브
140a,140b; 전,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
141a; 전방 제1시브 142a; 측부 제1시브
141b; 후방 제2시브 142b; 측부 제2시브
150; 지지부 151; 상부 프레임
152; 지지대 153; 미들 프레임
100; The car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Hoist section 110a, 110b;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
111: drive motor 112: brake
113: Reducer 114a, 114b:
115a, 115b: wire drums 116a, 116b: take-up sheaves
117: first guide sheave 118: second guide sheave
119: Fixing portion 120: Cage
121a, 121b: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22a, 122b: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130: count weights 131a, 131b:
140a, 140b; Front and rear deflection wire rope
141a; A forward first sheave 142a; Side first sheave
141b; A rear second sheave 142b; Side second sheave
150; A support 151; Upper frame
152; A support 153; Middle frame

Claims (5)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의 양측으로 연장된 전,후방 회전축, 상기 전,후방 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전,후방 와이어 드럼,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전,후방 테이크업 시브 및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에 각각 결합된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트부;
상기 전,후방 와이어 드럼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에 각각 결합되어 승강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카운트 웨이트; 및,
일단은 상기 케이지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케이지를 지지하는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1,2시브, 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1,2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에 결합되며, 상기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에 결합되고,
상기 편하중 억제 와어어 로프는 전방 제1시브 및 측부 제1시브를 통해 일단이 상기 케이지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와, 후방 제2시브 및 측부 제2시브를 통해 일단이 상기 케이지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트 웨이트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프트.
A driving motor, a decelerator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ront and rear rotating shaft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decelerator, front and rear wire drum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rotating shafts, A hoist portion comprising a front take-up sheave, a rear take-up sheave, and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 cage positioned below the front and rear wire drums an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respectively;
A counting weight located at a side of the cag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hoist wire ropes and elev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ge; And
Restraining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ag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count weight to support the cage,
The cage includes first and second sheaves forwar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orward direction, and first and second sheaves rearwardly of the cage,
Wherein the front hoist wire rope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forwardly of the cage, the rear hoist wire rope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rearward of the cage,
Wherein the eccentric weight restraining rope comprises a forward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g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unt weight via a forward first sheave and a side first sheave, And a rear shear restraining wire rop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age through a second sheav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unt weigh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제1시브, 측부 제1시브, 후방 제2시브 및 측부 제2시브는 상기 호이스트부를 탑재하고 있는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first sheave, the side first sheave, the rear second sheave, and the side second sheave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ing portion on which the hoist portion is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에 결합된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와, 상기 전방 제1시브에 결합된 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가 삼각 형태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에 결합된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와, 상기 후방 제2시브에 결합된 후방 편하중 억제 와이어 로프의 수직 위치가 삼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ront hoist wire rop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in front of the cage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orward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coupled to the front first sheave are triang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hoist wire rop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at the rear of the cage when viewed in plan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rear deflection restraining wire rope coupled to the rear second sheave are triangular li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1,2시브, 상기 케이지 전방 제1,2시브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지 전방 제3시브, 후방에 상호간 이격되어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1,2시브, 상기 케이지 후방 제1,2시브의 사이에 설치된 케이지 후방 제3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지 전방 제1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된 후 상기 케이지 전방 제3시브의 상부 외경면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케이지 전방 제2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호이스트 와이어 로프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지 후방 제1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된 후 상기 케이지 후방 제3시브의 상부 외경면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케이지 후방 제2시브의 하부 외경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ge includes a first cage first sheave disposed forwardly of the first cage, a third cube forward sheav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first sheave, a first cage rear sheave disposed behind the cage, And a third cage rear sheav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ave rear cages,
The front hoist wire rope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first sheave and then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age forward third sheave, And extends upwardly,
The rear hoist wire rope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ave at the rear of the cage, and the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third sheave at the rear of the cage, And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KR1020170086125A 2017-07-06 2017-07-06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KR101929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25A KR101929476B1 (en) 2017-07-06 2017-07-06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125A KR101929476B1 (en) 2017-07-06 2017-07-06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76B1 true KR101929476B1 (en) 2018-12-14

Family

ID=6474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125A KR101929476B1 (en) 2017-07-06 2017-07-06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7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7A (en) * 2019-10-08 2021-04-16 김성은 Folding movable worktable
KR20210085289A (en) * 2019-12-30 2021-07-08 유한회사 삼주 Education system of exchanging wire-rope for sheave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263A (en) 2000-03-06 2001-09-11 Hitachi Ltd Device for inhibiting vibration of elevator
JP2004043060A (en) * 2002-07-09 2004-02-12 Hiroshi Fukagawa Elevator system
KR100883209B1 (en) 2008-09-05 2009-02-11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vibration absorp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954807B1 (en) *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Transport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263A (en) 2000-03-06 2001-09-11 Hitachi Ltd Device for inhibiting vibration of elevator
JP2004043060A (en) * 2002-07-09 2004-02-12 Hiroshi Fukagawa Elevator system
KR100883209B1 (en) 2008-09-05 2009-02-11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The vibration absorp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954807B1 (en) * 2009-10-23 2010-04-2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Transport lif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7A (en) * 2019-10-08 2021-04-16 김성은 Folding movable worktable
KR102250101B1 (en) 2019-10-08 2021-05-07 김성은 Folding movable worktable
KR20210085289A (en) * 2019-12-30 2021-07-08 유한회사 삼주 Education system of exchanging wire-rope for sheave arrangement
KR102357441B1 (en) * 2019-12-30 2022-02-04 유한회사 삼주 Education system of exchanging wire-rope for sheave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9809T3 (en) TRACTION PULLEY ELEVATOR.
KR101929476B1 (en) Car lift to prevent tilting of the cage
CN101166686B (en) Elevator apparatus
CN204590116U (en) For the suspension rod of digger
CN101291867B (en) Elevator apparatus
KR100982500B1 (en) Parkimg equipment
US10059565B2 (en) Reducing elongation of roping or belting of an elevator by pretensioning the roping or belting of the elevator
JP2000229772A5 (en)
JP4849712B2 (en) elevator
JP4774429B2 (en) Elevator equipment
JP6727040B2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and its cage attitude control method
FI125509B (en) A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 large body of dimensions and mass
JP2015090044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KR20070000126A (en) 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KR20180009227A (en) Car lift
JPH0624673A (en) Elevator structure having climbing device in lift of cage for construction work
JP2008056468A (en) Elevator device
JP2003276970A (en) Elevator device
CN102515003A (en) Traction elevator without counterpoise operation
CN100528728C (en) Elevator apparatus
CN204917531U (en) A compensation arrangement that is used for two host computers drive elevators
CN110884979A (en) Elevator system
KR101966261B1 (en) Lift for personnel
CN105084156A (en) Compensating device for elevator driven by double main engines
JP7446194B2 (en) Carriage lift drive system and elevator parking equipment equipped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