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503B1 -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 Google Patents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503B1
KR102426503B1 KR1020200094302A KR20200094302A KR102426503B1 KR 102426503 B1 KR102426503 B1 KR 102426503B1 KR 1020200094302 A KR1020200094302 A KR 1020200094302A KR 20200094302 A KR20200094302 A KR 20200094302A KR 102426503 B1 KR102426503 B1 KR 10242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upport
workbench
main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4561A (en
Inventor
고재철
권용준
황종문
김판기
이기열
이경선
민승남
전두성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20009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503B1/en
Publication of KR2022001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8Scaffolds partly supported by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 작업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 및 철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 펼쳐지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와;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된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대 본체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side or remov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only by folding work,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im to do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way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an elevator hoistway. a foldable workbench main body installed so as to form a working space of a size and being removed while being fold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to the elevator hoistway side; The upper assembly is provided so as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table body so that the work space of the second floor can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ork space of the workbench main body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sid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 작업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be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side or to be remov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only by fold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t relates to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at can prevent occurrence.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는 각 층을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In general, an elevator is installed in a multi-story building to transport people or cargo while vertically moving each floor.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vator hoistway vertically formed inside a building, an elevator car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elevator hoistway, and a hoisting device that moves the elevator car up and down.

상기 승강장치는,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균형추와 다수의 고정풀리와 이동풀리 및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포함한다.The lifting device includes a hoisting machine, a governor, a control panel, a counterweight,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 moving pulley, and a wire rope.

상기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 등의 승강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을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에 작업대(3)를 가설해야 한다.The hoisting device, such as the hoisting machine, the governor, the control panel and the fixed pulley are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In order to install these devices in the elevator hoistway, as shown in FIG. do.

그런데 MRL(Machine Room-Less) 타입의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옥상에 별도로 두지 않고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상측부분에 마련하고 있다.By the way, in the MRL (Machine Room-Less) type elevator, the machine room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in the elevator hoistway 1 without separately placing the machine room on the roof.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기계실부분에 각종 승강장치(5), 예를 들면,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상측까지 작업대(3)를 가설해야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install various hoisting devices 5, for example, a hoisting machine, a governor, a control panel, and fixed pulleys in the machine room in the elevator hoistway 1, the worktable 3 must be erect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do.

상기 작업대(3)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비계파이프(3a)와, 비계파이프(3a)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비계발판(3b) 및 각종 비계장비 등을 포함한다.The worktable 3 includes a scaffolding pipe 3a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a scaffolding board 3b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in the scaffolding pipe 3a, and various scaffolding equipment.

이러한 작업대(3)는, 다단으로 설치된 비계발판(3a)을 통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상측부분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 상측부분의 기계실에 각종 승강장치(5), 즉, 권상기와 조속기와 제어반과 고정풀리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This workbench 3 allows the operator to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1 through the scaffolding board 3a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stall various hoisting devices 5, that is, a hoisting machine, a governor, a control panel, and a fixed pulley, in the machine room of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hoistway 1 .

한편, 이러한 작업대(3)는 승강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거되며, 승강장치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해 다시 설치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is workbench 3 is remove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device is completed, and may be installed again for inspection and repair of the lifting devic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작업대(3)는, 설치 및 철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 및 철거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orkbench 3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manpower and money to install and dismantle, and there is a lot of concern about safety accidents in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따라 비계파이프(3a)들을 일일이 연결설치하고, 설치된 비계파이프(3a)에 비계발판(3b)과 계단발판(3c)을 일일이 설치해야 하며, 설치된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과 계단발판(3c)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조립과정을 다시 역순으로 진행해야 하는 등, 작업공수가 매우 많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nect and install the scaffolding pipes (3a) one by one alo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and to install the scaffolding board (3b) and the step board (3c) one by one to the installed scaffolding pipe (3a), and the installed scaffolding pipe ( In order to remove 3a), the scaffolding board 3b, and the step scaffolding 3c, the assembling process as above has to be performed again in the reverse order,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work is very large and cumbersome.

또한,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과 각종 비계장비들이 무거운 재질의 철재로 구성되므로, 이들의 운반과 설치 및 철거가 매우 어렵고 힘들며, 운반과 설치 및 철거과정에서 낙하할 경우, 장비의 파손과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되기도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caffolding pipe (3a), scaffolding board (3b), and various scaffolding equipment are made of heavy steel, their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removal are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and when they are dropped during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removal, the equipment It may cause damage to the equipment and injury to workers.

뿐만 아니라, 비계파이프(3a)와 비계발판(3b)의 설치 및 철거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우려가 높고, 추락 시에는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operator will fall dur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scaffolding pipe 3a and the scaffolding board 3b, and may be fatally injured during the fall.

결과적으로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인적, 물적 손실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re are problems in that work time is delayed, productivity is lowered, and human and material loss occurs due to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is to install and maintain an elevator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in an elevator hoistway by configuring so that the number of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o provide a workbench for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work efficiency by configuring the elevator hoistway to be installed and remov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철거 작업 시에 안전사고의 우려를 대폭적으로 줄이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ring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의 소재를 사용하고 부품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ightweight material and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and reduce the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된 상기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본체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ork 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k 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erected in an elevator hoistway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the elevator hoisting device, the elevator hoistway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a collapsible workbench body that is installed to form a work space of a certain size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while unfolding to the side, and which is removed while being fold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to the elevator hoistway 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assembly which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work bench body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the work space of the second floor can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 space of the work bench main bod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그리고 상기 작업대 본체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의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면서 작업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접혀지는 접철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ain body of the workbench, and a main frame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ing frame that forms a work space or is folded on the main frame while unfolding from the main frame on the elevator platform side toward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각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각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직지지대 및;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는, 상기 메인지지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대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ain frame, and the main support of both sides compatible with the elevator exit side of the elevator platform at intervals; It includes connecting rods for connecting the main supports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The foldable frame comprises: both horizontal supports installed horizontally or foldably from each upper end of the both main supports; both vertical supports which are vertically spreadable or foldable from each end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form a work space of a certain size between the main support and the main support as they a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spread from the main support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에 대한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들의 접철운동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텔레스코픽 접철 가이드로드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는,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대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지지대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들의 접철운동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한 상기 수평지지대의 펼침 및 접힘을 일정한 궤도로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both telescopic folding guide rods for guiding the folding movement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on both sides; The folding guide rod,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the other end is rotatably and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when the folding mo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extension, contraction and sliding move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horizontal support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in a constant track.

또한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도록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1단 및 2단 로드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홀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들에 끼워져, 상기 메인지지대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also includes a stopper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ing guide rod horizontally spread the horizontal support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The stopper unit may include: stopper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foldable guide ro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horizontal supports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It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holes aligned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pin for fix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ing guide rod horizontally spread the horizontal support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또한 상기 메인지지대와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의 작업공간 하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의 바닥면을 이루는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otrest that is installed detachab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ing space between the main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또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지지시키는 제 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in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platfor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on both sides of the main support to the elevator hoistway from the main support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제 1지지부는,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하부분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하부분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바들과;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홀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h main supports can be supported o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h main supports,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upported on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fixing holders for fixing each of the upper end of the both main support to the elevator entrance side.

또한 상기 고정홀더들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와;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측 벽체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딩헤드와 대응되도록, 상기 홀딩헤드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딩헤드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상측 벽체부분 양쪽을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 및; 상기 홀딩레버를 상기 홀딩헤드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holders may include: a holding head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both main supports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I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holding head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lding head with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resses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together with the holding head, so that the upper end of both main supports a holding lever for fixing each of the elevator entrances and exits; and a fixing and releasing lever for fixing or releasing the holding lever to the holding head.

또한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whil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support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과;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과 횡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longitudinal support rods exten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and transverse support rods extend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The longitudinal support bar and the transverse support bar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hoistway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pikes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rod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and have a structure that is embedded i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종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수평지지대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은, 슬리브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re each integrally assembled to the horizontal supports,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ds,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are detachable to the horizontal supports through the assembly hook member installed in the slee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ily assembled.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는, 상기 작업대 본체의 양쪽 수평지지대에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들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 부분에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 부분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ssembly comprises: both side frames detachably assembled to both horizontal supports of the workbench main body; a pair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both side frames at interva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otrest installed between the two side frames so that a working space can be formed in the portion between the two side frames that the operator can step on and work.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 사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과 상기 상단 조립체의 작업공간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rest of the upper assembly is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and the remaining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is a movement path of the operator moving between the working space of the workbench main body and the working space of the upper assemb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used as

또한 상기 이동통로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oving pass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dder that the operator can step on and off is installed detachably.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assembly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제 3지지부는, 상기 상단 조립체의 양쪽 측면프레임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support portion, while extending from both side frames of the upper assemb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과 횡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longitudinal support rods exten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side frames; and transverse support rods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side frames; The longitudinal support bar and the transverse support bar,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side fram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벽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pikes protrude from the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rod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and have a structure that is embedded i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또한 상기 종방향 지지봉들은, 상기 측면프레임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은, 슬리브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를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re each integrally assembled to the side frames,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ds,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are detachable from the side frames through the assembly hook member installed on the slee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ily assembled.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afety handrails that are detachably installed around the footrest of the upper assembly.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의 발판 양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발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발판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uxiliary footrests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footrest of the upper assembly; The auxiliary footres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ung and fixed to each of the transverse support rod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th side frames.

또한 상기 작업대 본체는, 운반 시에 지면과의 구름운동이 가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바퀴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bench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moving wheels that facilitate the transport by rolling motion with the ground during transpor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 본체의 접철 작업과 상단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 작업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ork 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side or removed from the elevator hoistway side only by folding the work table body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upper assembly,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is reduced. This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it.

또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ear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process.

또한, 경량의 소재로 구성하고, 작은 크기로 접철이 가능하며,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비용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composed of a lightweight material, can be folded to a small siz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and also to reduce costs. have.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작업대 본체의 접철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메인지지대 상부 고정홀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메인지지대 하부 고정홀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지지봉 클램프부의 구성과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조립용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2;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workbench main body constituting the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hoistway;
8 is a view showing an upper fixing holder of the main support constituting the work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8;
10 is a view showing the lower fixing holder of the main support constituting the work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upport rod clamp part constituting the work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ok member for assembly constituting a work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orkbench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작업대 본체(10)을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2 to 7,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orkbench main body (10).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무게가 가벼운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20)과, 메인프레임(2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철프레임(30)을 구비한다.The workbench main body 10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for example, an aluminum material, and includes a main frame 20 and a foldable frame 30 that is fold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20 .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와,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24)들을 포함한다.The main frame 20 includes both main supports 22 that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connecting rods 24 that connect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t intervals.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부분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re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in the elevator platform 7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it is configured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elevator entrance 7a portion of the elevator platform 7 at intervals.

상기 접철프레임(30)은,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거나 또는 메인프레임(20)에 접혀지는 것으로,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에 연이어서 연결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및,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36)들을 포함한다.The foldable frame 30 is unfolded from the main frame 20 of the elevator platform 7 toward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or is folded on the main frame 20, both main of the main frame 20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6 connecting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on both sides consecu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2, and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on both sides include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쪽의 수직지지대(34)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각각 접철가능하게 연결된다.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are fold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s of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nd the vertical supports 34 on both sides are foldab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respectively. do.

특히, 양쪽의 수평지지대(32)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쪽의 수직지지대(34)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are installed horizontally or foldable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nd the vertical supports 34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of both sides It is installed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이러한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에 접혀지거나 또는 메인지지대(22)로부터 펼쳐지게 된다.Both of these horizontal supports 32 and vertical supports 34, as shown in FIGS. 4 to 6, are folded to the main support 22 or unfolded from the main support 22.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에 접혀짐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by being folded on the main support 22, transportation and storage are facilitat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대(22)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으로써, 메인지지대(22)와 함께 "??"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b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main support 22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 it forms a “??” typ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main support 22 .

이에 따라,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a work space 12 of a certain size can be formed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1 between the main support 22 and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

여기서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분에는 이동바퀴(22a)가 지면과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메인지지대(22)에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를 접은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Here, a moving wheel 22a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both main supports 22 to enable rolling motion with the ground. Accordingly,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on the main support 22 can be easily moved to another place in a folded state.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접철 가이드로드(14)를 더 포함한다.The workbench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folding guide rods 14 on both sides for guiding the folding of both horizontal supports 32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서, 일단은 양쪽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양쪽 메인지지대(22)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olding guide rod 14 is a telescopic type, and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both horizontal supports 32 ,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and slidably installed on both main supports 22 . .

이러한 접철 가이드로드(14)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수평지지대(32)의 펼침 및 접힘을 가이드한다.This folding guide rod 14 is, when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of the main support 22 are unfolded or folded, the horizontal support 32 for the main support 22 while extending, contracting and sliding motion. ) guide the unfolding and folding.

특히,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펼쳐질 시에,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수평지지대(32)들의 펼침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일정한 궤적을 가지면서 수평으로 펼져질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of the main support 22 are unfolded, by guiding the expansion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are While having a constant trajectory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of the horizontal to be spread.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16)를 구비한다.The workbench main body 10 includes a stopper portion 16 capable of fix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ing guide rod 14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

상기 스토퍼부(16)는, 접철 가이드로드(14)의 1단 및 2단 로드(14a, 14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홀(16a, 16b)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지는 스토퍼핀(16c)을 포함한다.The stopper part 16 includes stopper holes 16a and 16b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14a and 14b of the folding guide rod 14, and stopper holes 16a and 16b aligned with each other. ) includes a stopper pin (16c) fitted to the.

상기 스토퍼홀(16a, 16b)들은,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게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핀(16c)은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져 결합된다.The stopper holes 16a and 16b are configur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and the stopper pins 16c are aligned with each other. , 16b) are fitted and coupled.

따라서,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 수평지지대(32)가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수평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펼쳐질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ing guide rod 14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is fixed. This allows the horizontal support 32 to be unfolded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osture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작업공간(12) 하측부분에 설치되는 발판(18)을 더 포함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2 to 7 , the workbench main body 10 is a footrest 18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work space 12 between the main support 22 and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 ) is further included.

상기 발판(18)은, 사각의 판체로서, 양쪽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18a)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걸고리(18a)들 중 일측의 걸고리(18a)들은,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연결하는 연결봉(24)에 걸어져 고정되고, 타측의 걸고리(18a)들은 양쪽의 수직지지대(34)를 연결하는 연결봉(36)에 걸어져 고정된다.The footrest 18 is a rectangular plate body, and has hooks 18a at both corners, and one hook 18a of these hooks 18a connects the main support 22 on both sides. It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rod 24, and the hooks 18a on the other side are hung and fixed to the connecting rod 36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s 34 on both sides.

이러한 발판(18)은, 일측이 메인지지대(22)에, 타측이 수직지지대(34)에 걸어져 지지되므로, 서로 대응되는 메인지지대(22)와 수직지지대(34)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Since the footrest 18 is supported by hanging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22 and the other side on the vertical support 34, it has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corresponding main support 2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to each other. .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발판(18)은,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에 형성된 작업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공간(12)의 발판(18)을 딛고 작업할 수 있게 한다. The scaffold 18 having the above structure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2 formed between the main support 22 , the horizontal support 32 , and the vertical support 34 . Accordingly, it enables the operator to work while stepping on the footrest 18 of the work space 12 .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40)를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2 to 7 , the workbench main body 1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40 for supporting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to the elevator platform 7 .

상기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측면 상,하부분으로부터 측면을 향해 돌출 연장되는 4개의 지지바(42)들을 포함한다.The first support part 40 includes four support bars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both main supports 22 toward the side surfaces.

상기 4개의 지지바(42)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가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설치되었을 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four support bars 42 are, as shown in FIG. 7, when both main supports 22 of the main frame 20 are installed on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of the elevator platform 7, It has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7a).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양쪽 메인지지대(22)가,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이동하려는 것을 제한한다.Therefore, both main supports 22 of the main frame 20 limit the movement from the elevator platform 7 to the elevator hoistway 1 .

그리고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고정홀더(Holder)(44)들을 더 구비한다.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40, the upper fixing holder (Holder) 44 for fixing each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 22 on the side of the elevator entrance (7a) is further provided.

상기 상부 고정홀더(44)는, 도 6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45)와, 상기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레버(46) 및, 홀딩레버(46)를 홀딩헤드(45)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7)를 포함한다.The upper fixing holder 44 is, as shown in FIGS. 6, 8 and 9, a holding head 45 which is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ends of both main supports 22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It includes a holding lever 46 movably installed on the holding head 45 , and a fixing and releasing lever 47 for fixing or releasing the holding lever 46 to the holding head 45 .

상기 홀딩헤드(45)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로부터 각각 상,하 높이 조절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부분에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holding head 45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7a while being adjusted in height from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respectively.

상기 홀딩레버(46)는,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루부(46a)와, 자루부(46a)로부터 절곡되어 홀딩헤드(45)에 대응되는 집게부(46b)로 구성된다.The holding lever 46 includes a shaft portion 46a movably installed on the holding head 45 and a clamp portion 46b bent from the shaft portion 46a and corresponding to the holding head 45 . .

상기 집게부(46b)는, 홀딩헤드(45)에 대한 자루부(46a)의 운동에 따라 홀딩헤드(45)와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6b)는,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를 사이에 두고 홀딩헤드(45)와 대응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홀딩헤드(45)와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홀딩헤드(45)와 함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둘레부분 벽체(7b) 양쪽을 압착한다.The tongs 46b has a distance from the holding head 45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46a with respect to the holding head 45. The tongs 46b configured in this way are Corresponds to the holding head 45 with the upper wall 7b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 this state, the distance from the holding head 45 is adjusted while the holding head 45 is together with the wall of the perimeter of the elevator entrance 7a. (7b) Press both sides.

이에 따라,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켜, 메인프레임(20)을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견고하게 지지한다.Accordingly, by fixing each of the upper ends of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the main frame 20 is firmly supported on the elevator platform (7).

상기 고정 및 해제레버(47)는, 홀딩헤드(45)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47a)와,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가 통과할 수 있도록 레버몸체(47a)에 형성되는 관통홀(47b)과, 상기 관통홀(47b)의 내벽부분이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와 마찰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몸체(47a)를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47c) 및,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에 대한 관통홀(47b)의 마찰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몸체(47a)를 가압할 수 있는 해제손잡이(47d)를 포함한다.The fixing and releasing lever 47 is attached to the lever body 47a so that the lever body 47a movably installed on the holding head 45 and the shaft portion 46a of the holding lever 46 can pass there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47b and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7b are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shaft portion 46a of the holding lever 46, and a return spring 47c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lever body 47a. ) and a release handle 47d capable of pressing the lever body 47a in a direction for releasing the frictional contact of the through hole 47b with the shaft portion 46a of the holding lever 46 .

상기 관통홀(47b)은, 홀딩레버(46)의 자루부(46a)와 마찰접촉함으로써, 홀딩헤드(45)에 대한 홀딩레버(46)의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벽체(7b)를 사이에 두고 밀착된 홀딩레버(46)와 홀딩헤드(45)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The through hole 47b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haft portion 46a of the holding lever 46 ,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olding lever 46 with respect to the holding head 45 . Therefore, the holding lever 46 and the holding head 45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7b of the elevator entrance 7a therebetween can be fixed.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와 도 6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지지부(40)는,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고정홀더(48)들을 더 구비한다.And referring to FIGS. 2 to 5, 6 and 10, the first support part 40 is a lower fixing holder 48 for fixing each of the lower ends of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 are further provided.

상기 하부 고정홀더(48)는,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레버(48a) 및, 홀딩레버(48a)를 메인지지대(22)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8b)를 포함한다.The lower fixing holder 48 is, as shown in FIGS. 6 and 10, a holding lever 48a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each of the lower ends of both main supports 22, and the holding lever 48a is attached to the main support. (22) includes a fixing and releasing lever (48b) for fixing or releasing.

상기 홀딩레버(48a)는, 메인지지대(22)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루부(48a-1)와, 자루부(48a-1)로부터 절곡되어 메인지지대(22)에 대응되는 집게부(48a-2)로 구성된다.The holding lever 48a includes a shaft portion 48a-1 movably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22 and a clamp portion 48a bent from the shaft 48a-1 to correspond to the main support 22 . -2) is composed.

상기 집게부(48a-2)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자루부(48a-1)의 운동에 따라 메인지지대(22)와의 간격이 조절되는데,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8a-2)는, 상기 메인지지대(22)를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설치하였을 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부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에 대응되게 구성된다.The clamping part 48a-2 has a distance from the main support 22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aft part 48a-1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The clamping part 48a-2 configured in this way is, When the main support 22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i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elevator hoistway 1 side wall 7c among the lower wall 7c portions of the elevator entrance 7a.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집게부(48a-2)는,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에 압착된다. 따라서,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켜, 메인프레임(20)을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견고하게 지지한다.And the tongs (48a-2) configured in this way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wall (7c) of the elevator entrance (7a) while moving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Accordingly,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main supports 22 is fixed to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and the main frame 20 is firmly supported on the elevator platform 7 .

상기 고정 및 해제레버(48b)는, 상기 상부 고정홀더(44)의 고정 및 해제레버(47)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xing and releasing lever 48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xing and releasing lever 47 of the upper fixing holder 4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2지지부(50)를 포함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2 to 7 , the workbench main body 10 includes a second support part 5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hoistway 1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1 . ) is included.

상기 제 2지지부(50)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52)들을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5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52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horizontal supports 32 .

상기 지지봉(52)은,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봉(54)과, 양쪽 수평지지대(3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56)들을 포함한다.The support rod 52 is a longitudinal support rod 54 which is installed to be exten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horizontal supports 32 and a transverse support rod which is installed to be extend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both horizontal supports 32 . (56) are included.

이러한 지지봉(52)들은,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 중, 3면의 내벽에 각각 지지된다.These support rods 52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corresponding thereto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both horizontal supports 32 . In particular, among the inner walls of the elevator hoistway 1, it is supported on three inner walls, respectively.

따라서,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

이로써,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메인지지대(22)에서 펼쳐진 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can maintain a stable state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1).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ile unfolded on the main support 22 .

그 결과,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시에, 유동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or boards the work space 12 of the work bench main body 10 and works, it is possible to work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flow.

여기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지지봉(52)들의 끝부분에는, 복수의 스파이크(Spike)(52a)들이 돌출되어 있다.Here, at the ends of the support rods 52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a plurality of spikes 52a protrude.

상기 스파이크(52a)들은,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파고들면서 박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대한 지지봉(52)들의 지지력을 높인다.The spikes 52a are configured to be embedded while digging into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 Accordingl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rods 52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is increased.

또한, 지지봉(52)들은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수평지지대(32)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52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 bu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assembly and disassembly on the horizontal supports 32 in some cases.

특히, 종방향 지지봉(54)들의 경우에는,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지만, 횡방향 지지봉(56)들의 경우, 별도의 슬리브(56a)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용 후크부재(56b)를 통해 수평지지대(32)들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구성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54, each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horizontal supports 32, but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 support rods 56,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e sleeves 56a, for separate assembly It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o the horizontal supports 32 through the hook member 56b.

상기 조립용 후크부재(56b)는, 슬리브(56a)의 양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후크부(56b-1)를 갖추고 있다. 상기 양쪽의 후크부(56b-1)는, 수평지지대(32)들에 미리 조립되어 있는 양쪽의 걸림돌기(56b-2)에 걸리면서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assembling hook member 56b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leeve 56a, and as shown in FIG. 13, has hook portions 56b-1 on both sides. The hook portions 56b-1 on both sides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while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s 56b-2 on both sides that are pre-assembled on the horizontal supports 32.

따라서, 슬리브(56a)의 양쪽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 각각에 조립하고, 이로써, 슬리브(56a)의 양쪽에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56)들이 수평지지대(32)들의 폭방향 양쪽을 향해 설치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sleeve (56a) are assembled to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whereby the transverse support rods (56)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56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installed toward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대(32)로부터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52)들은, 별도의 클램프부(58)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the support rods 52 extende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are fixed in position by a separate clamp unit 58 .

상기 클램프부(58)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32)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58a)와, 지지봉(5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클램핑 플레이트(58a)에 형성되는 관통홀(58b)과, 상기 관통홀(58b)의 내벽부분이 지지봉(52)과 마찰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마찰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8a)를 운동시키는 토글 클램프 손잡이(58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clamping part 58 includes a clamping plate 58a movab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a clamping plate 58a so that the support rod 52 can pass therethrough. ) and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58b to move in the direction of friction contact with the support rod 52 or move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friction contact, the clamping and a toggle clamp handle 58c for moving the plate 58a.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8a)의 관통홀(58b)은, 지지봉(52)과 마찰접촉함으로써, 수평지지대(32)에 대한 지지봉(52)의 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52)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The through hole 58b of the clamping plate 58a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rod 5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pport 32 by frictionally contacting the support rod 52 . Accordingly, the support rod 52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can be fixed.

그리고,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는, 작업대 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단 조립체(60)를 더 구비한다.And, referring to FIGS. 2 and 3 and 6 and 7 ,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assembly 60 assemb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

상기 상단 조립체(60)는, 무게가 가벼운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며,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각각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과, 양쪽 측면프레임(70)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80)들을 포함한다.The upper assembly 60 is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for example, an aluminum material, and both side frames 70 are assembled on both horizontal supports 3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respectively, and both side surfaces. It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rods 80 for connecting the frame 70 at intervals.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은,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은, 작업대 본체(10)의 상측에 일정한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face each other on both horizontal supports 3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and are assembled side by side, and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assembled in this way are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 It allows a constant working space 62 to be formed.

예를 들어, 작업대 본체(10)에 형성된 작업공간(12)이 1층이라면,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1층 작업공간(12) 상측에 2층의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if the work space 12 formed in the workbench main body 10 is on the first floor, the work space 62 of the second floor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 space 12 on the first floor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 do.

여기서, 측면프레임(70) 각각은, 하측의 수평지지대(32)에 조립되는 한 쌍의 조립다리(72)를 갖추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조립다리(72)들은 조립용 후크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하측의 수평지지대(32)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Here, each of the side frames 70 is provided with a pair of assembly legs 72 assembled to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32 . The pair of assembly legs 72 are respectively detachably assembled to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32 through a hook member (not shown) for assembly.

상기 조립용 후크부재는, 작업대 본체(10)의 횡방향 지지봉(56)들을 조립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ssembly hook member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for assembling the transverse support rods 56 of the workbench body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연결봉(80)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의 일단과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작업대 본체(10)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rods 80 are to connec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to each other, an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the workbench main body 10 while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form one body. make it possible

상기 연결봉(80)들은, 경우에 따라 양쪽의 측면프레임(7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각각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rods 80 may be separated from both side frames 70 in some cases. Accordingly, both side frames 7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발판(64)을 더 포함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2 and 3 and FIGS. 6 and 7 , the upper assembly 60 further includes a footrest 64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상기 발판(64)은, 사각의 판체로서, 양쪽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64a)를 갖추고 있다.The footrest 64 is a rectangular plate body, and has hooks 64a at both four corners.

상기 걸고리(64a)들 중 일측의 걸고리(64a)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연결하는 일측 연결봉(80)에 걸어져 고정되고, 타측의 걸고리(64a)들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연결하는 타측 연결봉(80)에 걸어져 고정된다.One of the hooks 64a of the hooks 64a is hung and fixed to one connecting rod 80 that connects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and the hooks 64a on the other side are both side frames 70. It is hung and fixed to the other connecting rod (80) connecting the.

이러한 발판(64)은,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하측의 작업대 본체(10)에서 상측의 상단 조립체(60)의 작업공간(62)으로 이동한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대 본체(10)보다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Since the footrest 64 is a structure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the operator who moves from the lower worktable body 10 to the work space 62 of the upper upper assembly 60 treads make it possi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work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orktable body 10 .

특히, 일부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 내의 상측부분에 기계실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1) 상측부분의 기계실까지 손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계실에서의 각종 엘리베이터 설비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 some buildings, a machine room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hoistway 1, and when a worker moves to the footboard 64 of the upper assembly 60, it is possible to easily reach the machine room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hoistway 1 there will b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various elevator facility operations in the machine room.

한편, 이러한 발판(6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만 설치되고, 양쪽의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나머지 부분(A)은, 빈곳으로 남겨둔다.On the other hand, such a footrest 64, as shown in FIG. 7, is installed only in a portion between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and the remaining portion A between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is left blank. .

이러한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빈곳은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된다(이하,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빈곳을 이동통로(A)로 칭하기로 한다).An empty space between these two side frames 70 is used as a movement path for the operator (hereinafter, an empty space between both side frames 70 will be referred to as a movement passage A).

특히, 작업대 본체(10)측 작업자가, 상측의 상단 조립체(60)측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상단 조립체(60)에서 하측의 작업대 본체(10)측으로 내려올 시에, 상기 이동통로(A)를 통해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operator on the workbench main body 10 side ascends to the upper end assembly 60 side or descends from the upper end assembly 60 to the lower workbench main body 10 side, the worker ascends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A). make it come down

이때, 상기 이동통로(A)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66)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At this time, in the moving passage (A), a ladder 66 that the operator can step on and go up and down is detachably assembled.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90)를 포함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2 and 3 and 6 and 7 , the upper assembly 60 includes a third support part 90 for supporting both side frames 70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1 . includes

상기 제 3지지부(90)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봉(92)들을 포함한다.The third support part 9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92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 frames 70 .

상기 지지봉(92)은, 양쪽 측면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봉(94)과, 양쪽 측면프레임(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봉(96)들을 포함한다.The support rod 92 includes a longitudinal support rod 94 installed to be exten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side frames 70 and a transverse support rod installed to be extend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 frames 70 . (96) are included.

이러한 지지봉(92)들은, 양쪽 측면프레임(70)들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된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 중 3면의 내벽에 각각 지지된다.These support rods 92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corresponding thereto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 frames 70 . In particular, each of the inner walls of the three surfaces of the inner walls of the elevator hoistway 1 is supported.

따라서,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both side frames 7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

이로써, 양쪽의 측면프레임(70)들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대 본체(10)의 상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oth side frames 70 can maintain a stable state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1).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in a state assemb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table body 10 .

그 결과, 발판(64)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시에, 유동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작업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or boards the footboard 64 and works, it is possible to work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flow.

여기서,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지지봉(92)들의 끝부분에는, 복수의 스파이크(92a)들이 돌출되어 있다.Here, at the ends of the support rods 92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a plurality of spikes 92a protrude.

상기 지지봉(92)들은, 측면프레임(70)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측면프레임(70)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rods 92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each of the side frames 70 , but in some cases, may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on the side frame 70 .

특히, 횡방향 지지봉(96)들의 경우, 별도의 슬리브(96a)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조립용 후크부재(96b)를 통해 측면프레임(70)들에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게 구성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 support rods 96,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e sleeve 96a, it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o the side frames 70 through a separate assembly hook member 96b.

조립용 후크부재(96b)는, 작업대 본체(10)의 횡방향 지지봉(56)들을 조립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ssembly hook member 96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for assembling the transverse support rods 56 of the workbench body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측면프레임(70)으로부터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지지된 지지봉(92)들은, 별도의 클램프부(98)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92 extended from the side frame 70 and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are fixed in position by a separate clamping unit 98 .

상기 클램프부(98)는, 작업대 본체(10)의 지지봉(92)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과 동일한 구조이다.The clamp portion 98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for fixing the support rods 9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조립체(60)는, 발판(64)의 주위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00)들을 구비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2 and 3 and FIGS. 6 and 7 , the upper assembly 60 includes safety handrails 100 installed around the footrest 64 .

상기 안전난간(100)은, 발판(64)의 주위의 측면프레임(70)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발판(64)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The safety handrail 10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side frame 70 part around the footrest 64 , and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on the footrest 64 .

그리고 상단 조립체(60)는, 보조발판(110)들을 더 포함한다.And the upper assembly 60 further includes auxiliary footrests (110).

상기 보조발판(110)은,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에 조립된 발판(64)의 양측 방향에 조립되며,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110a)를 갖추고 있다.The auxiliary footrest 110 is assembled in both directions of the footrest 64 assembled between both side frames 70, and has hooks 110a of the four corners.

상기 걸고리(110a)들은, 양쪽 측면프레임(70)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hooks (110a)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each of the lateral support rods (9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side frames (70).

이러한 보조발판(110)들은, 발판(64)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열되므로,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발판(64)의 전체 넓이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범위를 넓혀, 작업자의 편의성과 작업효율을 개선시킨다.These auxiliary footrests 110, since they ar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the footrest 64 interposed therebetween, expand the overall width of the footrest 64 that the operator can ride. Therefore, the operator's work range is widened, and the operator's convenience and work efficiency are improv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 본체(10)의 접철 작업과 상단 조립체(60)의 조립 및 분해 작업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으로부터 철거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nly the folding work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and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work of the upper assembly 60 are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1 side or the elevator hoistway (1)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is removed from the side,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man-hours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철거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현저하게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cern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process.

또한, 경량의 소재로 구성하고, 작은 크기로 접철이 가능하며,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운반, 설치 및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composed of a lightweight material, can be folded to a small siz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 엘리베이터 승강로 7: 엘리베이터 승강장
7a: 엘리베이터 출입구 10: 작업대 본체
12: 작업공간 14: 접철 가이드로드(Guide Rod)
16: 스토퍼부 16a, 16b: 스토퍼홀(Stopper Hole)
16c: 스토퍼핀(Stopper Pin) 18: 발판
20: 메인프레임(Main Frame) 22: 메인지지대
24: 연결봉 30: 접철프레임(Frame)
32: 수평지지대 34: 수직지지대
36: 연결봉 40: 제 1지지부
42: 지지바(Bar) 44: 상부 고정홀더(Holder)
45: 홀딩헤드(Holding Head) 46: 홀딩레버(Holding Lever)
47: 고정 및 해제레버 48: 하부 고정홀더
48a: 홀딩레버 48b: 고정 및 해제레버
50: 제 2지지부 52: 지지봉
52a: 스파이크(Spike) 54: 종방향 지지봉
56: 횡방향 지지봉 56a: 슬리브(Sleeve)
56b: 조립용 후크부재 58: 클램프부
58a: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
58b: 관통홀 58c: 토글 클램프 손잡이
60: 상단 조립체 62: 작업공간
64: 발판 66: 사다리
70: 측면프레임(Frame) 80: 연결봉
90: 제 3지지부 92: 지지봉
92a: 스파이크 94: 종방향 지지봉
96: 횡방향 지지봉 100: 안전난간
110: 보조발판
1: Elevator hoistway 7: Elevator hoistway
7a: elevator entrance 10: workbench body
12: Workspace 14: Folding Guide Rod
16: stopper portion 16a, 16b: stopper hole (Stopper Hole)
16c: Stopper Pin 18: Footrest
20: main frame (Main Frame) 22: main support
24: connecting rod 30: folding frame (Frame)
32: horizontal support 34: vertical support
36: connecting rod 40: first support part
42: support bar (Bar) 44: upper fixing holder (Holder)
45: Holding Head 46: Holding Lever
47: fixing and releasing lever 48: lower fixing holder
48a: holding lever 48b: fixing and releasing lever
50: second support 52: support bar
52a: spike (Spike) 54: longitudinal support rod
56: transverse support rod 56a: sleeve (Sleeve)
56b: hook member for assembly 58: clamp unit
58a: Clamping Plate
58b: through hole 58c: toggle clamp handle
60: upper assembly 62: workspace
64: scaffold 66: ladder
70: side frame (Frame) 80: connecting rod
90: third support part 92: support bar
92a: spike 94: longitudinal support rod
96: transverse support bar 100: safety handrail
110: auxiliary footrest

Claims (25)

삭제delete 삭제delete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1)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10)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에 설치된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60)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측의 상기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펼쳐지면서 작업공간(12)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접혀지는 접철프레임(3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메인지지대(22)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봉(24)들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프레임(30)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각 상단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각 말단부분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직지지대(34) 및;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36)들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는, 상기 메인지지대(22)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하게 펼쳐짐에 따라 상기 메인지지대(22)와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In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erected in the elevator hoistway (1) to install, maintain and repair the elevator hoisting device,
It is installed so that a work space 12 of a certain size can be formed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1 while unfolding from the elevator hoistway 7 side to the elevator hoistway 1 side, and from the elevator hoistway 1 side a collapsible workbench body 10 that is removed while being folded toward the elevator platform 7;
Assembled and dis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bench body 10 so that the work space 62 of the second floor can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ork space 1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installed on the elevator hoistway 1 side A top assembly (60) capable of being installed;
The workbench main body 10,
a main frame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7 side;
A work space 12 is formed while unfolding from the main frame 20 on the elevator platform 7 side toward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or a folding frame 30 folded on the main frame 20 ), including
The main frame 20,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platform 7 that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on the elevator entrance 7a side;
and connecting rods 24 for connecting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The foldable frame 30,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installed horizontally or foldable from each upper end of the main supports 22;
Both vertical supports 34, which are installed to be unfolded or folded vertically downward from each end por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32,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36)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supports (32) and the vertical supports (34)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are sprea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main support 22 to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between the main support 22 and the main support 22. Work of a certain size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space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운동을 가이드 하는 양쪽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접철 가이드로드(14)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는,
일단이 상기 수평지지대(32)의 말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지지대(22)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의 접철운동 시에, 신장, 수축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한 상기 수평지지대(32)의 펼침 및 접힘을 일정한 궤도로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4. The method of claim 3,
Telescopic folding guide rods (14) on both sides for guiding the folding movement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are further included;
The folding guide rod 14,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32), the other end is rotatably and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support (22),
Elevator installation,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folding movement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the expansion and folding of the horizontal support (32)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is guided to a constant track while extending, contracting and sliding movements workbench for maintenan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16)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부(16)는,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이 수평하게 펼쳐졌을 시에, 서로 정렬되도록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1단 및 2단 로드(14a, 14b)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홀(16a, 16b)들과;
서로 정렬된 스토퍼홀(16a, 16b)들에 끼워져, 상기 메인지지대(22)에 대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을 수평하게 펼친 상기 접철 가이드로드(14)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핀(1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topper portion 16 capable of fix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ing guide rod 14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The stopper part 16,
When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stopper 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 rods 14a and 14b of the foldable guide rod 14 to align with each other. (16a, 16b) and;
A stopper pin (16c) inserted into the stopper holes (16a, 16b) align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sition of the foldable guide rod (14)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s (32) are horizontally spread with respect to the main support (22).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omprising 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32)와 수직지지대(34) 사이의 작업공간(12) 하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는 발판(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support 22 and the horizontal support 32 and the vertical support 34 ar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working space 12, the foot plate 18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12.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further compris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1지지부(40)와;
상기 양쪽의 메인지지대(22)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로 펼쳐진 양쪽의 수평지지대(32)들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는 제 2지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7.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support portion 40 for supporting the main supports 22 on both sides to the elevator platform 7;
A second support part (50)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extending from the main support (22) to the elevator hoistway (1) to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1)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40)는,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하부분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하부분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주변 벽체부분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바(42)들과;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홀더(Holder)(44)들 및;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홀더(4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support part 4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to support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elevator entrance 7a, and the elevator entrance 7a )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42) supported o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upper fixing holders 44 for fixing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side of the elevator entrance 7a;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omprising lower fixing holders (48) for fixing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side of the elevator entrance (7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홀더(44)들은,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딩헤드(45)와;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홀딩헤드(45)와 대응되도록 상기 홀딩헤드(45)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딩헤드(45)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상측 벽체(7b)부분 양쪽을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상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46) 및;
상기 홀딩레버(46)를 상기 홀딩헤드(45)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fixing holders 44 are,
a holding head 45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main supports 22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heights;
I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holding head 45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lding head 45 with the upper wall 7b of the elevator entrance 7a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levator entrance together with the holding head 45 a holding lever 46 for pressing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7b of (7a) and fixing each of the upper end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elevator doorway 7a side;
and a fixing and releasing lever (47) for fixing or releasing the holding lever (46) to the holding head (4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홀더(48)는,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의 하측 벽체(7c)부분 중,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측 벽체(7c)를 압착하여 상기 양쪽 메인지지대(22)의 하단부 각각을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고정시키는 홀딩레버(48a) 및;
상기 홀딩레버(48a)를 상기 메인지지대(22)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 및 해제레버(4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fixing holder 48,
Among the lower wall 7c of the elevator entrance 7a, it is mov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so as to correspond to the wall 7c on the 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1, and the elevator hoistway (1) a holding lever (48a) for pressing the side wall (7c) to fix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both main supports (22) to the side of the elevator entrance (7a);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omprising a fixing and releasing lever (48b) for fixing or releasing the holding lever (48a) to the main support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50)는,
상기 양쪽의 수평지지대(32)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5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upport part 50,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52)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while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supports (32) on both sid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52)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54)과;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56)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54)과 횡방향 지지봉(56)들은,
상기 양쪽 수평지지대(32)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rods 52 are
a longitudinal support bar (54)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32);
transverse support rods (56) extend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32);
The longitudinal support rod 54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d 56 ar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hoistway (1), respectively,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horizontal supports (3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52)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Spike)(52a)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end of each of the support rods 52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spikes (Spike) (52a) protrude and are embedded i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봉(54)들은, 상기 수평지지대(32)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56)들은, 슬리브(56a)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56a)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56b)를 통해 상기 수평지지대(32)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54 are assembled integrally with each of the horizontal supports 32,
The transverse support rods 56 ar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horizontal supports 32 through the assembly hook member 56b installed in the sleeve 56a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56a.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featuring.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는,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양쪽 수평지지대(32)에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양쪽의 측면프레임(70)과;
상기 양쪽의 측면프레임(70)을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봉(80)들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 부분에 작업자가 딛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 부분에 설치되는 발판(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upper assembly 60,
both side frames 70 detachably assembled to both horizontal supports 3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a pair of connecting rods (80) connecting the side frames (70) on both sides at interval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otrest 64 installed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70 so as to form a working space 62 where the operator can step and work between the side frames 70.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 사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작업대 본체(10)의 작업공간(12)과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작업공간(62)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A)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ootrest 64 of the upper assembly 60,
It is installed in a part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70, and the remaining part between the both side frames 70 is the working space 12 of the workbench main body 10 and the working space of the upper assembly 60 ( 62)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used as the movement path (A) of the worker moving betwee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A)에는, 작업자가 디디고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66)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oving passage (A), a ladder (66) that the operator can step on and go up and down is detachably installe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 3지지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8. The method of claim 17,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further comprising a third support portion (90) for supporting the upper assembly (60)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hoistway (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지지부(90)는,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양쪽 측면프레임(70)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봉(9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third support part 90,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ods 92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while extending from both side frames (70) of the upper assembly (60) bench.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92)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종방향 지지봉(94)과;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가능한 횡방향 지지봉(96)들을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지지봉(94)과 횡방향 지지봉(96)들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에 대응되는 해당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upport rods 92 are,
longitudinal support rods 94 exten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h side frames 70;
transverse support rods (96) extend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side frames (70);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94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ds 96 are,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both side frames (70), the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each supported by the inner wall (1a)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hoistway (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과 접촉하는 상기 각 지지봉(92)들의 끝부분에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92a)들이 돌출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벽(1a)에 박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1. The method of claim 20,
At the end of each of the support rods 92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spikes (92a) protrude and are embedded in the inner wall (1a) of the elevator hoistway (1).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지지봉(94)들은, 상기 측면프레임(70)들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은, 슬리브(96a)의 양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96a)에 설치된 조립용 후크부재(96b)를 통해 상기 측면프레임(70)들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94 are integrally assembled with each of the side frames 70,
The transverse support rods 96 ar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side frames 70 through the assembly hook member 96b installed in the sleeve 96a in a stat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leeve 96a.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featuring.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100)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3. The method of claim 22,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afety handrails (100) that are detachably installed around the footrest (64) of the upper assembly (60).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60)의 발판(64) 양측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발판(110)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발판(110)은, 상기 양쪽 측면프레임(70)들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횡방향 지지봉(96)들에 각각 걸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4. The method of claim 23,
It further includes auxiliary footrests 110 detachably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footrest 64 of the upper assembly 60;
The auxiliary scaffold 110 is a workbench for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ung and fixed to the transverse support rods 96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ide frames 70, respectively.
제 3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본체(10)는,
운반 시에 지면과의 구름운동이 가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바퀴(22a)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24,
The workbench main body 10,
Elevat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moving wheels (22a) that facilitates transport by rolling motion with the ground during transport.
KR1020200094302A 2020-07-29 2020-07-29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KR102426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en) 2020-07-29 2020-07-29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en) 2020-07-29 2020-07-29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61A KR20220014561A (en) 2022-02-07
KR102426503B1 true KR102426503B1 (en) 2022-07-29

Family

ID=8025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302A KR102426503B1 (en) 2020-07-29 2020-07-29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5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676B (en) * 2022-05-26 2024-03-01 广东耀南建设集团有限公司 Support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inner barrel formwork of elevator shaft
CN115162703A (en) * 2022-08-11 2022-10-11 中建新疆建工(集团)有限公司 Elevator shaft construction platform
CN115450406A (en) * 2022-09-01 2022-12-09 上海地铁第二运营有限公司 Operating platform for step ste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61A (en)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503B1 (en)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EP0702121B1 (en) Elevatable work facility
JP6348888B2 (en) Stair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heavy objects
KR101884626B1 (en) Scaffold connected by the rack method
KR101975293B1 (en)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JP2003321174A (en) Working fence of elevator car
JP6270692B2 (en)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JP4140036B2 (en) Trolley-type work scaffolding
JP2015101440A (en) Stair lifting device and stair lifting method of heavy load
JP6378550B2 (en) Scaffolding equipment
JP2009057198A (en) Elevator car, assembly method of elevator car, and lifting tool
JP2019073388A (en) Scaffold device for work for escalator and installation method of scaffold for work
KR102373661B1 (en) Scaff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of elevator
KR101820954B1 (en) Foldable work stage for suspension scaffold
JP2008179469A (en) Guide rail arranging method in elevator device
JP2002020051A (en) Working floor device in pit for elevator
EP1647512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KR102204933B1 (en) Apparatus for elevating work table
KR20180073829A (en) Bridge of tower crane
JPH08100517A (en) Vertically movable scaffold
JP2017071488A (en) Device and method for stair lifting of heavy load
KR100641465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KR101800622B1 (en) Multi-type lifting scaffold
JP7343053B2 (en) Work floor equipment for elevator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